KR200365423Y1 - 자동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423Y1
KR200365423Y1 KR20-2004-0021306U KR20040021306U KR200365423Y1 KR 200365423 Y1 KR200365423 Y1 KR 200365423Y1 KR 20040021306 U KR20040021306 U KR 20040021306U KR 200365423 Y1 KR200365423 Y1 KR 200365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er
pipe
waste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영희
Original Assignee
원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희 filed Critical 원영희
Priority to KR20-2004-0021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련의 폐수처리 공정이 콘트롤러의 제어 순서 및 시간에 따라 완전 자동화방식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자동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덮개에 의해 개폐되고 폐수를 저장하는 탱크; 헤드에 복수 개의 여과부재가 고정되고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 상기 탱크에 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인렛파이프; 상기 탱크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아웃렛파이프; 폐수를 상기 탱크에 압송시키는 펌프; 아웃렛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를 인렛파이프로 바이패스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바이패스파이프; 상기 필터에 코팅되어 폐수를 처리하는 여과제를 저장하는 수조; 수조에 저장된 여과제를 탱크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여과제공급파이프; 폐수처리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드레인파이프; 수조에 공기를 공급하여 수조내의 폐수와 여과제를 혼합시키는 블로어; 상기 탱크 및 각 밸브에 공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압축기; 및 상기 펌프, 압축기 및 각 밸브들의 구동을 설정된 순서 및 타이머에 입력된 시간에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폐수처리장치{Automatic wastewater disposal apparatus}
본 고안은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제를 필터에 공급하여 코팅한 후 폐수를 상기 코팅된 필터에 압송시켜 처리수로 만들고 이러한 폐수 처리과정에서 필터에 누적된 슬러지를 탱크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분리시킨 다음 외부로 배출토록 하고, 이러한 일련의 폐수처리 공정이 콘트롤러의 제어 순서 및 시간에 따라 완전 자동화방식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종래 수동방식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자동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폐수 및 생활 오,폐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를 통해 처리되며, 환경오염이 점차 심화됨에 따라 환경법이 강화되면서 2차, 3차 처리시설(예컨대, 한외여과법, 분리막법, 이온교환수지법 등)이 그 대응방안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같이 신규로 사용되는 처리시설들은 설치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필터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전체적인 처리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1은 각종 폐수를 처리하는 종래 폐수처리장치를 보이고 있다.
상기 폐수처리장치(1)는 베이스(2)상에 폐수를 저장하는 탱크(3)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3) 내부에는 폐수를 여과시켜 처리수로 만드는 필터(4)가 수납되며, 상기 탱크(3)의 입력포트(5)와 연결된 인렛파이프(6)에는 유입펌프(7)가 설치되고, 출력포트(8)와 연결된 아웃렛파이프(9)에는 처리수 배출을 위한 유출펌프(10)가 설치되며, 이들 펌프(7)(10)는 콘트롤러(11)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폐수처리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여과장치는 탱크(3) 상부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필터(4)를 진동방식으로 청소하기 위한 진동모터(12)를 탑재하기 위한 지지판(1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판(13)은 탱크(3)의 개구부 완전히 밀폐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입펌프(7)에 의한 압송력이 탱크(3)에서 손실되므로 폐수 처리 후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탱크(3) 상부와 연결된아웃렛파이프(9)에 유출펌프(10)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구조는 2개의 펌프(7)(10)를 사용해야 하므로 여과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여과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되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인렛파이프(6) 및 아웃렛파이프(9)에는 폐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밸브(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들은 콘트롤러(11)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수동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폐수처리동안에 작업자가 대기한 상태에서 적절한 상황에 따라 밸브를 조작해야 하므로 폐수처리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20-2004-10848호로 출원한 폐수처리장치(20)는 도 2와 같이 탱크(21) 상부를 덮개(22)로 폐쇄하여 1개의 펌프(23)만으로 폐수를 탱크(21)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폐수처리장치(20)는 1개의 펌프(23)로 폐수를 공급하는 문제는 해결하였으나, 여전히 밸브 및 그 이외의 기능들은 콘트롤러(24)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수작업에 의존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대기하면서 폐수처리공정을 전체적으로 관리 및 감독해야 하므로 폐수처리 공수가 번거롭고,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폐수처리상태가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가 요구되고 이는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폐수처리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제를 필터에 공급하여 코팅한 후 폐수를 상기 코팅된 필터에 압송시켜 처리수로 만들고 이러한 폐수 처리과정에서 필터에 누적된 슬러지를 탱크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분리시킨 다음 외부로 배출시키고, 이러한 일련의 폐수처리 공정이 콘트롤러의 제어 순서 및 시간에 따라 완전 자동화방식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자동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자동폐수처리장치는, 공급된 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갖는 몸체가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덮개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덮개에는 탱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밸브가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탱크;
상기 탱크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헤드 저면에 단부가 막힌 파이프 형상의 여과부재 복수 개가 설치되고, 헤드의 출구가 탱크의 출구에 연결되어 탱크에 저장된 폐수를 상기 여과부재가 여과시켜 그 여과된 처리수를 출구로 배출시키는 필터;
상기 탱크의 입구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폐수를 상기 탱크 내부에 공급 및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인렛파이프;
상기 탱크의 출구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탱크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탱크 외부로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아웃렛파이프;
상기 인렛파이프상에 설치되어 폐수를 상기 탱크에 압송시키는 펌프;
상기 인렛파이프 및 아웃렛파이프와 연통되게 이음되어 아웃렛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인렛파이프로 바이패스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바이패스파이프;
폐수처리시 상기 펌프와 파이프로 연결되고, 폐수처리시 상기 필터에 코팅되어 폐수를 처리하는 여과제를 저장하는 수조;
상기 탱크 및 수조와 이음되고, 수조에 저장된 여과제를 탱크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여과제공급파이프;
상기 탱크의 하부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폐수처리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드레인파이프;
상기 수조와 파이프로 연결되고 그 수조에 공기를 공급하여 수조내의 물과 여과제를 혼합시키는 블로어;
공압에 의해 상기 필터를 세척하고 각 밸브를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 및 각 밸브에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펌프, 압축기 및 각 밸브들의 구동을 설정된 순서 및 타이머에 입력된 시간에 제어하여, 수조의 여과제를 필터에 코팅시킨 후 인렛파이프를 통해 폐수를 탱크에 공급하고 아웃렛파이프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며, 상기 처리과정으로 인하여 필터에 부착된 폐여과제 및 슬러지를 탱크에 공기를 공급하여 분리시킨 후 드레인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다른 폐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폐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폐수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탱크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도 및 콘트롤러의 계통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러의 계통도
도 10은 본 고안의 폐수처리 초기과정에서 여과제가 탱크에 공급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11은 본 고안의 폐수처리 초기과정에서 여과제를 필터에 코팅시키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12는 본 고안의 자동폐수처리장치가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13은 본 고안의 자동폐수처리장치가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자동폐수처리장치 32 : 탱크
33 : 필터 34 : 인렛파이프
35 : 아웃렛파이프 36 : 바이패스파이프
37 : 수조 38 : 여과제공급파이프
39 : 드레인파이프 40 : 블로어
41 : 콘트롤러 P : 펌프
V1,V2,V3,V4,V5 : 밸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폐수처리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폐수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탱크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폐수처리장치(30)는 베이스(31)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폐수를 저장하는 탱크(32), 상기 탱크(32)에 수납되고 이 탱크(32)에 공급된 폐수를 여과시켜 처리수로 만드는 필터(33), 상기 탱크(32)의 입구에 연결되어 탱크(32)에 폐수를 공급안내하는 인렛파이프(34), 상기 탱크(32)의 출구에 연결되어 필터(33)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안내하는 아웃렛파이프(35), 상기 인렛파이프(34)상에 설치되어 폐수를 탱크(32)에 압송시키는 펌프(P), 상기 아웃렛파이프(35)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를 인렛파이프(34)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파이프(36); 상기 필터(33)에 코팅되는 여과제를 저장하는 수조(37), 상기 수조(37)의 여과제를 탱크(32)에 공급안내하는여과제공급파이프(38), 폐수처리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배출안내하는 드레인파이프(39), 상기 수조(37)에 공기를 공급하여 물과 여과제를 혼합시키는 블로어(40), 공압에 의해 상기 필터(33)를 세척하고 각 파이프(34)(35)(36)(38)(39)에 설치된 밸브들을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32) 및 각 밸브에 연결되는 압축기(미도시), 및 폐수처리에 필요한 상기 각종 요소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러(4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폐수처리장치(30)는 상기 콘트롤러(41)에 폐수처리에 필요한 각 요소들의 구동 순서 및 시간을 입력하여 세팅하게 되면 이 세팅된 명령에 따라 콘트롤러(41)가 각 요소들을 제어하여 폐수처리를 전과정을 자동방식으로 처리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대기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탱크(32)는 공급된 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32a)을 갖는 몸체(32b)가 베이스(31)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32a)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덮개(32c)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탱크(32)의 몸체 저면에는 폐수처리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안내하기 위한 배수구(32d)가 구비되고, 이 배수구(32d)에는 드레인파이프(39)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면 하부에는 압축기와 연결된 공기공급관(32e)이 연결되고, 눈높이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종래와 같이 폐수처리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는 안내창(32f)이 구비된다.
상기 덮개(32c)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구성되어 몸체(32b)에 체결방식으로 조립되어 개구부를 폐쇄하는데, 탱크(3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에는 압력밸브(32g)가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밸브(32g)는 상기 압축기에 의한 공압방식으로 구동되며, 탱크(32) 내부에 폐수가 공급되어 탱크(32) 내부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할 때 개방되어 압력을 낮추는 일종의 릴리프밸브이다.
상기 압력밸브(32g)의 일측에는 이 압력밸브(32g)와 연통되게 레버(32h)가 설치되는데, 상기 레버(32h)는 수동으로 조작되어 탱크(32)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초기에 폐수 공급시 탱크(3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안내하고, 또한 압력밸브(32g) 고장시 압력게이지(32i)를 보고 탱크(32)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안전장치인 것이다.
상기 필터(33)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헤드(33a) 저면에 파이프 형상의 여과부재(33b) 복수 개가 연통되게 설치되고, 헤드(33a)의 출구가 탱크(32)의 출구에 연결되어 탱크(32)에 저장된 폐수를 상기 여과부재(33b)가 여과시키고 그 여과된 처리수를 출구로 배출안내토록 한다.
상기 헤드(33a)는 여과부재(33b)를 침투하여 유입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공간(33c)이 구비되고 이 공간(33c) 상부에 형성된 출구는 파이프(33d)에 의해 탱크(32) 출구와 연결된다.
상기 여과부재(33b)는 선 출원한 것과 동일하다.
즉,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가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표면에 무수히 많은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여과부재(33b)는 일단부가 막혀있고 개구된 타단부가 상기 헤드(33a)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코일스프링이 수납되어 수축되거나 또는 비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폐수를 안전하게 여과시키게 되는데, 표면에 여과제로 사용되는 여과제를 코팅하게 되면 지름이 0.1㎛정도까지 조절되어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상기 인렛파이프(34)는 탱크(32)의 입구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폐수를 상기 탱크(32) 내부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V2)가 설치되다.
이러한 인렛파이프(34)는 폐수원까지 연장되어 상기 콘트롤러(41)의 제어에 의해 펌프(P)가 구동될 때 설치된 밸브(V2)가 개방되면서 폐수를 탱크(32)에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상기 아웃렛파이프(35)는 탱크(32)의 출구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탱크(32)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탱크(32) 외부로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V3)가 설치된다. 이러한 아웃렛파이프(35)의 밸브(V3)는 콘트롤러(41)의 제어에 개폐된다.
상기 펌프(P)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인렛파이프(34)를 통해 폐수를 탱크(32)에 공급하고, 필터(33)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아웃렛파이프(35)를 통해 배출하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펌프(P)를 사용함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이패스파이프(36)는 인렛파이프(34) 및 아웃렛파이프(35)와 연통되게 이음되어 아웃렛파이프(35)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를 인렛파이프(34)로 바이패스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V4)가 설치된다.
이러한 바이패스파이프(36)는 여과제인 활성탄을 필터(33)에 코팅시키기 위해 수조(37)에서 폐수에 혼합된 여과제를 그와 연결된 인렛파이프(34) 및 아웃렛파이프(35)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탱크(32)의 필터(33)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할 폐수처리 과정에서 설명하겠다.
상기 수조(37)는 폐수처리시 상기 필터(33)에 코팅되어 폐수를 처리하는 여과제를 저장하는 것으로 도 7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조(37)는 하부에 폐수를 공급하는 출구가 형성되고, 이 출구에는 여과제공급파이프(38)가 연결된다.
상기 수조(37)는 그 내부에 상기 블로어(40)와 연결된 공기공급파이프(37a)가 수직으로 세움설치되어 그 하부가 거의 바닥과 근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37a)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수조(37)의 하부에부터 부상하게 되므로 저장된 물을 난류 또는 와류 형태로 만들게 되므로 여과제를 물에 잘 믹싱시키게 된다.
상기 여과제공급파이프(38)는 상기 탱크(32) 및 수조(37)와 이음되고, 수조(37)에 저장된 여과제를 탱크(32)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V1)가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V1)는 콘트롤러(41)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9)는 상기 탱크(32)의 하부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폐수처리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V5)가 설치되는데, 이 역시 콘트롤러(41)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된다.
상기 블로어(40)는 상기 수조(37)와 파이프로 연결되고 그 수조(37)에 공기를 공급하여 수조(37)내의 물과 여과제를 혼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압축기는 탱크(3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필터(33)를 진동시켜 이 필터(33)에 누적된 상태로 부착된 슬러지 및 폐여과제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 공기공급관(32e)이 연결되고 이 공기공급관(32e) 타단부는 탱크(32)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각 파이프에 설치된 밸브(V1)(V2)(V3)(V4)(V5)가 공압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이들 밸브(V1)(V2)(V3)(V4)(V5)들을 구동하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콘트롤러(41)는 상기 펌프(P), 압축기 및 각 밸브(V1)(V2)(V3)(V4)(V5)들의 구동을 설정된 순서 및 타이머에 입력된 시간에 제어하여, 필터(33)의 코팅 후 인렛파이프(34)를 통해 폐수를 탱크(32)에 공급하고 처리수를 아웃렛파이프(35)를 통해 배출시키며, 상기 처리과정으로 인하여 필터(33)에 부착된 폐여과제 및 슬러지를 탱크(32)에 공기를 공급하여 분리시킨 후 드레인파이프(39)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콘트롤러(41)는 공지의 콘트롤러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제어정보를 입력할 때는 입력부(41a)를 통해 입력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확인하여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콘트롤러(41)는 본 발명의 특성에 맞게 펌프(P) 및 밸브(V1)(V2)(V3)(V4)(V5)를 적정 시간 및 순서에 따라 구동 및 정지키게 된다.
즉, 타이머의 p1포트가 펌프(P)와 연결되어 펌프(P)의 구동시간을 입력된 순서에 따라 구동 및 정지시킨다.
또한, 콘트롤러(41)는 타이머의 pv1포트는 여과제공급파이프의 밸브(V1), pv2포트는 인렛파이프의 밸브(V2), pv3포트는 아웃렛파이프의 밸브(V3), pv4포트는 바이패스파이프의 밸브(V4), pv5포트는 드레인파이프의 밸브(V5)와 연결되어 각각의 밸브의 구동시간을 입력된 순서에 따라 구동 및 정지시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폐수처리 공정은 후술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폐수를처리하는 공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수조(37)에 물을 적당량 채우고 이 수조(37)에 여과제를 섞은 후 블로어(40)를 구동시켜 수조(37)에 공기를 공급하여 물과 여과제를 잘 믹싱시켜 코팅준비를 완료한다. 여기서 여과제는 널리사용되고 있는 활성탄을 사용한다.
블로어(40)에서 공급된 공기는 수조(37) 내부에 삽입된 공기공급파이프(37a)를 통해 수조(37) 바닥에서부터 부상하기 때문에 물은 난류 또는 와류상태가 되어 여과제가 잘 녹게 된다.
이와 같이 코팅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콘트롤러(41)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미리 세팅된 폐수처리 순서에 따라 콘트롤러(41)가 여과제공급파이프의 밸브(V1)를 개방하고 인렛파이프의 밸브(V2)를 차단한 후 펌프(P)를 수초간 구동시켜 도 10과 같이 수조(37)의 혼합물, 즉 활성탄수를 탱크(32)의 상부까지 공급한다.
이와 같이 활성탄수가 탱크(32)에 공급된 후, 콘트롤러(41)는 여과제공급파이프의 밸브(V1) 및 아웃렛파이프의 밸브(V3) 각각을 차단하고 인렛파이프의 밸브(V2) 및 바이패스파이프의 밸브(V4) 각각을 개방한 다음 펌프(P)를 구동시켜 탱크(32)에 저장된 활성탄수와 폐수원의 폐수를 순환시켜 도 11과 같이 활성탄을 필터(33)의 여과부재(33b)에 코팅시킨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펌프(P)의 구동에 의해 탱크(32)의 활성탄수는 아웃렛파이프의 밸브(V3)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아웃렛파이프(35)로 배출되지 않고 바이패스파이프(36)로 압송된 후 인렛파이프(34)를 경유하여 탱크(32)로 유입된 다음 다시 바이패스파이프(36)로 순환되면서 탱크(32)에 수납된 필터(33)의 여과부재(33b)에 부착되어 코팅되고, 이 과정에서 폐수원의 일부 폐수는 펌프(P)의 구동에 의해 인렛파이프(34)를 경유하여 탱크(32)로 공급된 후 활성탄과 함께 반복 순환된다.
상기와 같이 여과부재(33b)를 코팅할 때 펌프(P)의 구동시간은 자동폐수장치(30)의 용량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며, 대략 10∼20분정도 된다.
이상과 같이 여과부재(33b)의 코팅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폐수를 정화시키게 되는데, 코팅공정 후 콘트롤러(41)는 바이패스파이프의 밸브(V4)를 차단하고 펌프(P)를 구동시키게 되면 인렛파이프(34)에 의해 탱크(32)로 공급된 폐수원의 폐수는 필터(33)의 여과부재(33b)에 여과되어 정화된 처리수는 도 12와 같이 아웃렛파이프(35)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콘트롤러(41)의 제어에 의해 폐수를 장시간 처리하게 되면, 필터(33)의 여과부재(33b)에는 폐수 중의 슬러지가 누적되고 상기 누적된 슬러지는 여과부재(33b)의 미세공을 막아 탱크(32)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다시 말해, 슬러지가 미세공을 막게 되더라도 펌프(P)는 폐수를 탱크(32)에 계속 공급하게 되고 탱크(32)에 이미 저장된 폐수는 막힌 슬러지에 의해여과부재(33b)를 거의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탱크(32)의 내부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력이 상승하여 그 압력이 콘트롤러(41)에 입력된 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탱크(32)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고 이 때 콘트롤러(41)에 설치된 부져(미도시)가 울려 압력상승을 알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콘트롤러(41)는 센서(S)의 압력신호를 감지한 후 즉시 압력밸브(32g)를 개방시켜 탱크(32)의 압력을 낮추어 안정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후, 콘트롤러(41)는 펌프(P)의 구동을 정지시켜 폐수처리를 중지한 상태에서 압축기를 구동시켜 공기공급관을 통해 탱크(3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여과부재(33b)를 세척한다.
상기 여과부재(33b)의 세척방법을 더 구제척으로 설명하면, 압축기가 고압의 공기를 탱크(32) 하부에 공급하게 되면 유입된 공기는 탱크(32) 내부의 폐수와 혼합되어 폐수를 난류 또는 와류상태로 만들게 되므로 플렉시블한 여과부재(33b)는 심하게 흔들려 진동되면서 그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가 제거되면서 세척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33)의 여과부재(33b)가 깨끗하게 세척되면 필터(33)는 처음상태와 같이 탱크(32)의 압력을 상승시키지 않아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33)의 세척이 완료되면, 콘트롤러(41)는 드레인파이프의밸브(V5)를 개방하여 도 13과 같이 탱크(32) 내부에 혼재되어 있는 폐수 및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 탱크(32)는 상부의 덮개(32c)를 개방하여 탱크(32)에 저장된 폐수 및 슬러지가 잘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필터(33)의 세척 및 슬러지의 배출이 완료되면, 처리조건이 다시 초기상태와 같이 되는데, 콘트롤러(41)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필터(33)의 여과부재(33b)에 활성탄을 코팅시킨 후 계속해서 폐수를 처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폐수 여과장치는 콘트롤러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게 되므로 폐수의 처리를 간편하게 처리하여 종래 수동방식으로 폐수처리할 때 작업자가 대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콘트롤러의 외부버튼 조작만으로 폐수처리 전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1)

  1. 공급된 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갖는 몸체가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착탈가능하게 조립된 덮개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덮개에는 탱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밸브가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탱크;
    상기 탱크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헤드 저면에 단부가 막힌 파이프 형상의 여과부재 복수 개가 설치되고, 헤드의 출구가 탱크의 출구에 연결되어 탱크에 저장된 폐수를 상기 여과부재가 여과시켜 그 여과된 처리수를 출구로 배출시키는 필터;
    상기 탱크의 입구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폐수를 상기 탱크 내부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인렛파이프;
    상기 탱크의 출구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탱크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탱크 외부로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아웃렛파이프;
    상기 인렛파이프상에 설치되어 폐수를 상기 탱크에 압송시키는 펌프;
    상기 인렛파이프 및 아웃렛파이프와 연통되게 이음되어 아웃렛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인렛파이프로 바이패스 및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바이패스파이프;
    폐수처리시 상기 펌프와 파이프로 연결되고, 폐수처리시 상기 필터에 코팅되어 폐수를 처리하는 여과제를 저장하는 수조;
    상기 탱크 및 수조와 이음되고, 수조에 저장된 여과제를 탱크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여과제공급파이프;
    상기 탱크의 하부와 연통되게 이음되고, 폐수처리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를 배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되는 드레인파이프;
    상기 수조와 파이프로 연결되고 그 수조에 공기를 공급하여 수조내의 물과 여과제를 혼합시키는 블로어;
    공압에 의해 상기 필터를 세척하고 각 밸브를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 및 각 밸브에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펌프, 압축기 및 각 밸브들의 구동을 설정된 순서 및 타이머에 입력된 시간에 제어하여, 수조의 여과제를 필터에 코팅시킨 후 인렛파이프를 통해 폐수를 탱크에 공급하고 아웃렛파이프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며, 상기 처리과정으로 인하여 필터에 부착된 폐여과제 및 슬러지를 탱크에 공기를 공급하여 분리시킨 후 드레인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수처리장치.
KR20-2004-0021306U 2004-07-26 2004-07-26 자동폐수처리장치 KR200365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306U KR200365423Y1 (ko) 2004-07-26 2004-07-26 자동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306U KR200365423Y1 (ko) 2004-07-26 2004-07-26 자동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423Y1 true KR200365423Y1 (ko) 2004-10-25

Family

ID=4935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306U KR200365423Y1 (ko) 2004-07-26 2004-07-26 자동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4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00B1 (ko) 2011-09-29 2012-03-09 박준석 자동 폐수처리장치 및 그 폐수처리방법
KR101128324B1 (ko) 2011-11-14 2012-03-27 박준석 역세척 기능을 갖는 자동 폐수처리장치 및 그 폐수처리방법
KR20210062751A (ko) 2019-11-21 2021-06-01 (주)진합 폐수처리를 위한 레이저 드라이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00B1 (ko) 2011-09-29 2012-03-09 박준석 자동 폐수처리장치 및 그 폐수처리방법
KR101128324B1 (ko) 2011-11-14 2012-03-27 박준석 역세척 기능을 갖는 자동 폐수처리장치 및 그 폐수처리방법
KR20210062751A (ko) 2019-11-21 2021-06-01 (주)진합 폐수처리를 위한 레이저 드라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6169B2 (en) Method for filtering water in an aquarium, a water cultivation tank and similar water bonds, and corresponding filtering system
JPH02164423A (ja) 中空糸膜フィルタの洗浄方法
KR20080075160A (ko) 막/미생물 여과 조합체
KR101402899B1 (ko) 여과와 역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는 여과형 수처리장치
US10000880B1 (en) Laundry wash water recycle system
CN108636124A (zh) 过滤设备
KR200365423Y1 (ko) 자동폐수처리장치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KR101759548B1 (ko) 고압 세정수를 이용한 이동형 분리막 자동 세정장치
KR101932028B1 (ko) 분리막 생물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004055B1 (ko) 분리막 세정장치
KR101974523B1 (ko) 필터세척이 용이한 정수기
JPWO2018225186A1 (ja) 水処理膜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並びに水処理システム
KR101128324B1 (ko) 역세척 기능을 갖는 자동 폐수처리장치 및 그 폐수처리방법
JPH08252438A (ja) 浸漬型膜濾過装置における膜の薬液洗浄方法及び薬液洗浄装置
KR200419211Y1 (ko) 침전장치
KR102500344B1 (ko) 식물공장 및 재배기 전용 순환식 수경재배 양액 전처리 정화장치
KR101118200B1 (ko) 자동 폐수처리장치 및 그 폐수처리방법
KR200370318Y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KR200191691Y1 (ko) 공기방울 자동 역세척 정수 시스템
KR100768250B1 (ko) 운전 중 자가 세정 기능을 가진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자가 세정 방법
KR102059516B1 (ko) 단일펌프를 이용한 분리막의 자동 역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KR101164161B1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CN111268786A (zh) 空气排出装置和微气泡的效率性得到提高的容易自行维护的污染水净化装置
KR20170119706A (ko) 밸러스트수의 제조 방법 및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