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997Y1 -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 Google Patents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997Y1
KR200364997Y1 KR20-2004-0013312U KR20040013312U KR200364997Y1 KR 200364997 Y1 KR200364997 Y1 KR 200364997Y1 KR 20040013312 U KR20040013312 U KR 20040013312U KR 200364997 Y1 KR200364997 Y1 KR 200364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king
confectionery
baking pan
dough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종규
Original Assignee
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종규 filed Critical 지종규
Priority to KR20-2004-0013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1Vessels uniquely adapted f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과 이동이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제과류를 구울 수 있는 팬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빵 및 과자 등과 같은 제과류를 굽기 위한 베이킹 팬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 팬은, 폴리메틸 실록산(Polymethyl Siloxane); 실리콘스 디옥사이드(Siliconse dioxide); 및 이형제, 색소제 또는 블루밍 방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함유된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SILICON BAKING PAN FOR CONFECTIONERY}
본 고안은 과자 및 빵 등과 같은 제과류를 구울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제조된 베이킹 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과 이동이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빵을 구울 수 있는 팬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과 및 제빵은 서구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음식이고, 아시아에서도 점차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구워진 반죽의 품질을 잘 다루는 것은 요식업에서 갖추어야 할 주요 과제이면서도 매우 중요한 일 중의 하나이다.
구워진 반죽의 최종 품질은 감촉, 색깔 및 맛에 의해 결정된다.
반죽 제조와 상기 반죽을 굽는 방법은, 효모 또는 화학적 발효에 의해 미리 형성된 반죽을 소정의 크기로 만든 다음에 소정의 기하학적인 중량으로 반죽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킹 팬(Baking Pan)에 올려놓은 다음에 그의 표면이 황갈색으로 변색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240∼250℃)에서 굽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굽는 그릇 또는 금속판은 빵(예를 들어, 프랑스 빵)과 다른 반죽을 굽기 위해서 이용될 때 몇 가지의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즉, 반죽의 저면과 그를 제외한 반죽의 나머지 부분간의 열전도율 차에 의해 구워진 생산물의 바닥 면(또는 겉껍질)이 일반적으로 과열되어서 황갈색보다 더 어두운 색깔로 변하게 된다.
또한, 구워진 생산물의 바닥 면은 윗면이 황갈색으로 변색되는 시간 동안에도 계속 구워지게 되므로 상기 생산물은 생산자가 원하는 만큼의 맛을 내지는 못한다.
참고로, 구워진 반죽의 최종 크기는 내부 영역의 부피 팽창을 제한하는 껍질 때문에 최대 크기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부피의 팽창과 껍질의 형성은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대량 열전도 특성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구워진 반죽의 일정한 크기는 오븐 온도와 공기 속도 등의 굽기 위한 매개변수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구워진 반죽의 조직은 구워진 반죽의 특정 크기에 강하게 의존하기 때문에 구워진 반죽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 구워진 상태 하에서의 반죽은 가능한 한 큰 소정의 부피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워진 반죽의 조직 특성은 구워진 반죽의 일정 부피뿐만 아니라 구멍 크기 분포의 동질성에 의해 결정된다.
구멍 크기 분포는 가열하는 열과 굽는 동안의 대량 열전도에 영향을 받음은 이미 공지된 바 있다.
많은 작은 구멍들이 소진되어 극단적인 큰 구멍이 구워진 반죽에서 생성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구워진 반죽의 일정 부피가 충분함에도 구워진 반죽의 전체 품질이 아주 저하될 수 있다.
가지(Burgeon) 현상은 구워진 반죽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가지 현상은, 첫째로, 겉껍질의 형성률과 구워진 반죽의 내부 열전도율 간의 차이와 관련되고, 둘째로, 겉껍질의 두께와 인성에 관련된다.
대부분의 반죽을 굽는 상황에서는, 열전도의 지연으로 인하여 중심(내부)이 전분 젤라틴화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겉껍질이 형성된다.
상기 겉껍질이 강하거나 겉껍질이 높은 탄성모듈을 갖는 경우에는, 중심의온도가 증가되어 크기에 있어서 추가적인 확장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구워진 반죽의 특정 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반죽을 굽기 위한 소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증가될 때 내부 영역의 추가적인 크기의 확장으로 인하여 겉껍질의 약한 부위에서 먼저 깨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지는 구워진 반죽의 불규칙적이고 원하지 않는 형태에 의해 야기된다.
그리고, 반죽의 굽는 시간은 그의 표면 색깔에 의해 판단되므로, 오븐 온도와 공기 속도가 너무 높게 설정되고, 반죽의 모양과 크기가 적절하게 제어되지 않을 때 구워진 반죽의 기하학적 중심 부근에서 불충분하게 구워진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즉, 반죽이 적절하게 구워지지 않게 되어서 반죽 내부가 최종 생산물에서 요구되는 조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구워진 빵 내부의 부피가 작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맛은 구워진 반죽의 최종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최종 생산물에 있어서 훨씬 우수한 맛을 내게 하기 위해서는 굽기 전에 구워질 반죽을 찌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구워진 반죽의 맛을 향상시키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맛 성분이 반죽을 섞는 동안에 반죽에 첨가된다.
그러나, 미리 섞여진 냉동 반죽의 맛을 조절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여기서, 빵을 굽는 통상의 베이킹 팬은 다음에 설명된 통상의 방법 중의 하나로 제조된다.
제1 방법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써, 용기는 먼저 벽 두께가 2 내지 3mm인 알루미늄 주물로 제조된 다음에 상기 용기의 내면에 가해진 불소 수지를 피복시켜 팬을 제조한다.
제2 방법에 의하면, 비점착성이 우수한 태프론과 같은 불소 수지에 의해 표면이 미리 피복된 알루미늄 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 판을 가압 성형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베이킹 팬은 실제 사용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즉, 상기 제1 방법으로 제조된 팬은 주물로 제조되어 생산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문제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베이킹 후 빵을 식히는 데 불필요하게 긴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불소 수지로 피복한 후에 알루미늄 판을 성형하여 제조하는 제2 방법으로 제조된 팬은, 그의 벽 두께가 약 0.8 내지 1.0mm 이하로 감소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팬은 그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빵의 형상에 전혀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그의 단면 치수를 고려하여서 불소 수지 피복 판을 비교적 깊이가 얕은 사각 용기로 형상시키는 경우가 잘 공지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용기에서 구워진 빵은 평평하고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의 단면 치수를 고려하여 불소 수지 피복 판을 적절한 깊이를 갖는 형상으로 프레스할 경우에는, 측벽에 주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불소 수지 피복에 구멍이 적게 발생된다.
또한, 사용하는 동안 시간이 경과하면 할수록 불소 수지 피복과 알루미늄 기판 사이에는 접착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내구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이용 중에 주위를 소홀히 할 경우에는 부분적인 파손과 변형이 쉽게 이루어져 관리 및 보관에 있어서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술한 베이킹 팬 모두는 고가의 알루미늄을 주로 이용하여 생산되고, 그 내면에 가공물과의 점착을 방지할 수 있는 고가의 불소 수지를 피복시켜야 하는 제조 특성으로 생산 원가 및 판매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비용 부담을 가중시키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초래하였고, 성형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과와 제빵을 만들기 위해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제과용 형틀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관과 이동이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과자 및 빵류 등을 구울 수 있는 형태의 팬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제조된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빵 및 과자 등과 같은 제과류를 굽기 위한 베이킹 팬을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메틸 실록산(Polymethyl Siloxane); 실리콘스 디옥사이드(Siliconse dioxide); 및 이형제, 색소제 또는 블루밍 방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함유된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제과용 베이킹 팬에 대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제과용 베이킹 팬의 형틀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팬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되고 실현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또한, 후술된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및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빵류 및 과자류 등과 같은 제과류를 굽기 위해서 이용되는 도구로서 실리콘 베이킹 팬(10)이 있다.
한편, 상기 베이킹 팬(10)은, 폴리메틸 실록산과 실리콘스 디옥사이드 및 아더스(others)가 혼합된 실리콘재가 압축 성형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아더스"란, 상기 폴리메틸 실록산과 실리콘스 디옥사이드 이외에 베이킹 팬용 실리콘재 제조시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첨가제인 이형제, 색소제 또는 블루밍 방지제 등으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성분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킹 팬은, 중량%로, 65~68%의 상기 폴리메틸 실록산과, 27~ 29%의 실리콘스 디옥사이드와, 5~6%의 이형제, 색소제 또는 블루밍 방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실리콘재로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베이킹 팬(10)을 제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로 혼합된 실리콘재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한 것으로, 먼저 다양한 형태의 빵과 과자류를 구울 수 있는 베이킹 팬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빵과 과자류를 굽기 위해서 별도의 제과용 형틀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베이킹 팬은 고가의 알루미늄재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던 종래의 베이킹 팬과는 달리 비교적 가격과 제조 비용이 저렴한 실리콘재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보관과 이동이 매우 편리하여 보관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보관 장소에 따라서 어떠한 형태로든 가변시켜 보관시킬 수 있고, 기존의 알루미늄재 베이킹 팬과 비교하여 매우 가볍다.
또한, 소량의 이형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워진 제과 및 제빵을 베이킹 팬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팬의 내면에 가공물과의 점착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고가의 불소 수지를 피복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절감과 제조 편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가공물이 완성된 후 빼낼 때에는 팬을 들어서 털어 주거나 혹은 가공물이 넣어진 요입부를 뒤집어서 빼낼 수 있다.
한편, 고온의 오븐 내에서 식품을 만드는데 쓰이는 베이킹 팬의 용도로 사용된 실리콘재는 그를 사용할 때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발생시키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에 공인된 연구원(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안전성 여부를 조사하도록 의뢰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표 1에 개시된 시험성적서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제품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료구분 결과치 시험방법
㎎/㎏ 0.6 식품공전
카드늄 ㎎/㎏ 0.1 식품공전
2-머캅토이미다졸 - 불검출 식품공전
페놀 ㎎/L 불검출 식품공전
포룸알데히드 ㎎/L 4.0이하 식품공전
아연 ㎎/L 0.0 식품공전
중금속 ㎎/L 1.0이하 식품공전
증발잔류물 ㎎/L 10.0 식품공전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만 개시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킹 팬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제조된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은 실제 사용시 보관과 이동이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빵 및 과자류 등과 같은 제과류를 구울 수 있는 형태의 팬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과류를 굽기 위한 베이킹 팬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 팬(10)은, 폴리메틸 실록산(Polymethyl Siloxane); 실리콘스 디옥사이드(Siliconse dioxide); 및 이형제, 색소제 또는 블루밍 방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함유된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재는, 중량%로,
    65 내지 68%의 상기 폴리메틸 실록산과,
    27 내지 29%의 상기 실리콘스 디옥사이드와,
    5 내지 6%의 상기 이형제, 색소제 또는 블루밍 방지제 중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KR20-2004-0013312U 2004-05-13 2004-05-13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KR200364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312U KR200364997Y1 (ko) 2004-05-13 2004-05-13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312U KR200364997Y1 (ko) 2004-05-13 2004-05-13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997Y1 true KR200364997Y1 (ko) 2004-10-16

Family

ID=4935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312U KR200364997Y1 (ko) 2004-05-13 2004-05-13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9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7269A1 (en) Method for producing baked objects, at least parts of which are a glossy brown
US4812323A (en) Method for preparing a cup-shaped cookie
US4303677A (en) Frozen pizza process
RU265641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фельных форм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выпеченных под давлением
RU245941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льтратонкого печенья с гладк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US4917907A (en) Pie having a microwave brownable crust and method of baking same
US5281433A (en) Process for preparing a pre-cooked, microwaveable frozen baked food product
JPH02215415A (ja) 調理用フード及びそれを使ったスポンジケーキの製法
EP1830654B1 (en) Microwaveable filled frozen foodstuff
US6153239A (en) Method for producing a single-use container and mold for practicing the method
KR200364997Y1 (ko)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KR100498125B1 (ko) 제과용 실리콘 베이킹 팬
JP6109596B2 (ja) 焼成食品の製造方法
US20220117243A1 (en) Super-thin tin bread,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its use
US3161523A (en) Method of preparing an incompletely cooked sliced loaf of bread
US20190191721A1 (en) System for producing flatbread, and method for the provision of same
WO2017189886A1 (en) Scooped out bagel produc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cooped out bagel
PL1658773T3 (pl) Ukształtowane i nadziewane przekąski z upieczonego miękiszu ciasta
US20070110845A1 (en) Standard loaves,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obtaining them
Ovadia et al. Microwave baking of bread
JP4465314B2 (ja) フレンチクルーラーの製造方法
US20100047431A1 (en) Bagel product and process for producing a bagel product
JP2787798B2 (ja) シュー皮の製造方法
JP5721879B1 (ja) パン・菓子用の食品調理容器及びパン・菓子用の蓋付食品調理容器
KR102180932B1 (ko) 빵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