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919Y1 -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919Y1
KR200364919Y1 KR20-2004-0020473U KR20040020473U KR200364919Y1 KR 200364919 Y1 KR200364919 Y1 KR 200364919Y1 KR 20040020473 U KR20040020473 U KR 20040020473U KR 200364919 Y1 KR200364919 Y1 KR 200364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rain pipe
water
stopp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20-2004-0020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45Discharge end c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조의 측벽(1)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배수관(10)과, 상기 배수관(1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끼워지고 수조의 측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패킹부재(20)와, 상기 배수관(10)의 일측을 개폐하는 마개(30) 및, 상기 마개(30)가 구비되는 배수관(10)의 반대측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고 호스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관(40)으로 구성되어, 실내 분수대나 어항과 같은 수조 내부의 물을 위치에너지에 의해 저절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물의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마개를 통해 배수작업 후 수조 내부를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호스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원격지로 물을 배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호스 연결시 물의 누수없이 배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A drain device of a indoor water tank }
본 고안은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분수대나 어항과 같은 수조의 물을 배수시키는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분수대나 어항을 구비하여 장식하게 되면, 자연미를 느낄 수 있고 수분의 증발에 의한 습도조절효과가 있으며, 특히 어항에서는 어류를 애완동물로 키울 수 있는 취미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실내 분수대나 어항은 물이 채워져 있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수질이 나빠져 악취가 나거나 어류의 생존을 위협하게 되므로 물을 교체해야 하는데, 배수장치가 미비하여 물을 교체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실내 분수대나 어항의 수면으로 호스를 투입하고 호스의 일단에서 입으로 음압을 형성하여 물을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자칫 입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물을 담는 용기로 반복하여 물을 퍼낼 경우에는 물을 흘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어항 내부의 어류를 피해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 분수대나 어항과 같은 수조 내부의 물을 위치에너지에 의해 저절로 배출될 수있게 하고, 마개를 구비하여 누수없이 용이하게 배수작업을 할 수 있으며, 호스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원거리로 배수시킬 수 있는 실내수조의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의 일실시예의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측벽 10 : 배수관
11 : 나사산 20,20' : 패킹부재
21 : 배수관 관통홀 30,30' : 마개
31 : 나사결합부 32,32' : 손잡이
35 : 결합브라켓 40,40' : 연결관
50 : 고무패킹 H : 연결호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수조의 측벽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끼워지고 수조의 측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배수관의 일측을 개폐하는 마개 및, 상기 마개가 구비되는 배수관의 반대측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고 호스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은 수조의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수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는 배수관의 외주면과 수조의 측벽에 실리콘으로 고정설치됨으로써 배수관을 수조의 측벽에 고정시키고 수조와 배수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마개는 배수관의 일측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연성의 결합브라켓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은 배수관의 일측에 나사결합되거나 억지끼움되어 결합되고, 호스와 결합되어 호스를 배수관에 연결시킴으로써 배수관의 물을 원거리로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배수관(10)은 원통형의 관으로 내측에 나사산(11)이 형성되어 있고, 수조의 측벽(1)을 관통하여 끼워진다.
상기 패킹부재(20)는 1쌍이 배수관(10)의 양단에 구비되고, 각각의 패킹부재(20)는 배수관 관통홀(21)이 형성되며, 그 배수관 관통홀(21)에 배수관(10)이 끼워지고, 수조의 측벽(1)에 실리콘으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마개(30)는 상기 배수관(10)의 나사산(1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31)를 구비하고, 일측에 고리형의 손잡이(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개(30)와 배수관(10)의 사이에는 고무패킹(50)이 구비되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개(30)의 나사결합부(31)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상기 연결관(40)은 상기 마개(30)가 구비되는 배수관(10)의 반대측에 나사결합되어 끼워지고, 외주면에 호스가 끼워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의 측벽에 배수관(10)이 관통되어 끼워지고, 배수관(10)의 외주면 양단에 1쌍의 패킹부재(20)가 서로 마주보고 끼워진 상태에서 패킹부재(20)와 수조 측벽(1)의 경계부분에 실리콘으로 밀봉처리된다.
상기 패킹부재(20)는 탄성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10)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끼워진다.
상기 패킹부재(20)가 실리콘으로 고정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수조의 내측으로 마개(30)를 결합함으로써 배수관(10)의 반대편으로 연결호스(H)를 연결관(40)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마개(30)를 제거하여 수조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개(30)를 수조의 외부로 노출된 배수관(10)의 선단에 결합할 경우 배수관(10)에 연결호스(H)를 연결관(40)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마개(30)를 먼저 제거해야 하므로 배수관(10)에 연결호스(H)를 연결하기 전에 수조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므로 마개(30)를 수조의 내측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연결호스(H)를 사용하지 않고 배수관(10)을 통해 수조의 물을 직접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마개(30)를 수조의 내측이나 외측 어느 곳에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마개(30)와 배수관(10)의 사이에는 고무패킹(50)이 구비됨으로써 배수관(10)의 선단과 마개(30)의 사이로 수조의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마개(30')는 상기 배수관(10)의 외주면에 결합브라켓(35)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브라켓(35)은 연성의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마개(30')의 개폐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마개(3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수관(10)의 내측벽에 끼워지고, 연성의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배수관(10)의 선단으로 억지끼움되며, 배수관(10)의 내측벽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마개(30')의 일측에는 손잡이(32')가 형성되어 배수관(10)으로부터 마개(3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수관(10)의 일단에는 연결관(40')에 의해 연결호스(H)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40')은 연성의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10)의 내측벽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서 연결호스(H)를 배수관(10)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마개(30')가 결합된 배수관(10)의 선단을 수조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배수관(10)에 연결호스(H)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연결관(40')과 연결호스(H)를 배수관(10)에 끼운 후 마개(30')를 개방하여 수조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부재(20') 중 하나는 상기 배수관(1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배수관(10)을 수조의 측벽(1)에 설치한 후 배수관(10)의 외주면에 실리콘으로 결합시켜 결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에 의하면, 실내 분수대나 어항과 같은 수조 내부의 물을 위치에너지에 의해 저절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물의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마개를 통해 배수작업 후 수조 내부를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호스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원격지로 물을 배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호스 연결시 물의 누수없이 배수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실내 분수대나 어항과 같은 수조의 일측에 구비되는 실내수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측벽(1)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배수관(10)과;
    상기 배수관(1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끼워지고, 수조의 측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패킹부재(20)와;
    상기 배수관(10)의 일측을 개폐하는 마개(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30)가 구비되는 배수관(10)의 반대측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고, 호스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관(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30)는 배수관(1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30)는 배수관(10)의 일측에 연성의 결합브라켓(35)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배수관(10)의 내측벽에 끼워져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40)은 배수관(1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KR20-2004-0020473U 2004-07-19 2004-07-19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KR200364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473U KR200364919Y1 (ko) 2004-07-19 2004-07-19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473U KR200364919Y1 (ko) 2004-07-19 2004-07-19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919Y1 true KR200364919Y1 (ko) 2004-10-15

Family

ID=4943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473U KR200364919Y1 (ko) 2004-07-19 2004-07-19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9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98B1 (ko) 2020-07-01 2021-03-30 조인환 수조수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98B1 (ko) 2020-07-01 2021-03-30 조인환 수조수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959718E (pt) Escova de dentes com bomba
CA2584596A1 (en) Dispenser assembly
US10076602B2 (en) Nasal douche with valve that can be actuated by respiratory air
US6151722A (en) Toilet cleaner dispensing system
ATE519545T1 (de) Quetschschaumformer
US20100308133A1 (en) Rinsing Liquid Supplying Device
JP5841146B2 (ja) 液剤混合噴射器
KR200364919Y1 (ko) 실내수조의 배수장치
US11534562B2 (en) Nasal rinsing cap for bottles
JP2007297112A (ja) 栓部材、及び同栓部材を備えた液体収容容器
JP3154499U (ja) 小型噴霧器
JP4079222B2 (ja) テストプラグの構造
KR101527583B1 (ko)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
KR20150044869A (ko) 화장용 튜브용기
CN106040456B (zh) 具有清洁功能的花洒
CN109127175A (zh) 一种即关即停花洒
KR100426642B1 (ko) 낚시용 밑밥주걱
JPS6326465Y2 (ko)
KR100768941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찌
KR200481521Y1 (ko)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US20120224909A1 (en) Mechanism for eficiently supplying paint to a roller or brush
CN218060586U (zh) 一种用于排水管的防臭装置
KR101074224B1 (ko) 액체용기의 공기 자동 조절장치
KR200393373Y1 (ko) 부구를 이용한 공기배출밸브
KR200249431Y1 (ko) 치료용 물침대의 물주입 및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