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21Y1 -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 Google Patents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521Y1
KR200481521Y1 KR2020150000731U KR20150000731U KR200481521Y1 KR 200481521 Y1 KR200481521 Y1 KR 200481521Y1 KR 2020150000731 U KR2020150000731 U KR 2020150000731U KR 20150000731 U KR20150000731 U KR 20150000731U KR 200481521 Y1 KR200481521 Y1 KR 200481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member
brush
wall
container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778U (ko
Inventor
장신주
이오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50000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2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05Brushes for applying dent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상부에 펌프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펌프부재는 외벽과 하판을 연질탄성막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판 중앙에는 내용물유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에 체크밸브를 결합하고, 상기 펌프부재 상부에 브러시가 장착된 브러시캡을 결합시키되 상기 펌프부재와 브러시캡 사이에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브러시캡을 가압하면 탄성부재와 펌프부재가 함께 가압되어 내용물유통공을 통해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토출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를 통과한 치아미백제 내용물은 브러쉬로 토출되도록 하여 항상 일정량의 치아미백제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하여 치아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밀판(20)과,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하는 펌프부재(30)와, 상기 펌프부재(30)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시캡(40)과, 상기 브러시캡(40)에 장착되는 브러시(50)와, 상기 펌프부재(30)와 브러시캡(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로 구성되되, 상기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연질탄성막(34)을 형성하여 상기 하판(31)이 펌프부재(30)의 외벽(33)으로부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부재(30) 외측에 탈부착되는 용기뚜껑(70)이 더 형성되고, 상기 펌프부재(30)는 내용물유통공(36)이 형성된 하판(31)과 상기 하판(3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32)과 상기 내벽(3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33)과 상기 하판(31)과 외벽(33)을 연결하는 연질탄성막(34)과 상기 내용물유통공(3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35)로 이루어지되, 상기 펌프부재(30)의 연질탄성막(34)과 체크밸브(35)는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silicone) 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형성된 연질탄성막(34)은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며, 브러시캡(40)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배출공(44)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1하부연장돌륜(41)과 상기 제1하부연장돌륜(4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2하부연장돌륜(42)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상부에 형성되어 브러시(50)가 장착되는 브러시수용홈(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Container for tooth whitener having a pump member}
본 고안은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상부에 펌프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펌프부재는 외벽과 하판을 연질탄성막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판 중앙에는 내용물유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에 체크밸브를 결합하고, 상기 펌프부재 상부에 브러시가 장착된 브러시캡을 결합시키되 상기 펌프부재와 브러시캡 사이에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브러시캡을 가압하면 탄성부재와 펌프부재가 함께 가압되어 내용물유통공을 통해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토출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를 통과한 치아미백제 내용물은 브러쉬로 토출되도록 하여 항상 일정량의 치아미백제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하여 치아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식습관 생활이 변화되면서 치아 착색 현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게 되었다.
최근 상기와 같이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외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효과적인 치아 미백을 할 수 있었지만 이는 치과에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치료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아 미백 성분을 패치에 함침시켜 치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패치 제형의 제품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패치 제형의 치아 미백제는 불규칙한 치열에는 부착이 어려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브러쉬를 통해 치아에 직접 도포하여 치열이 불규칙한 치아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겔 제형의 치아미백제가 개발되었다.
상기 겔 제형의 치아 미백제가 개발되면서 이에 따라 치아 미백제의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필요를 해소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실용신안 제20-0439672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사용자가 사이드버튼(1)을 가압하면 사이드버튼(1)에 의해 고무펌프(2)가 가압되어 용기 내에 충전된 치아미백제가 토출되고, 또한 도포부재(3)가 용기와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펌핑된 치아미백제가 도포부재(3)로 토출됨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한 치열에 치아미백제를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이드버튼(1)을 가압 시 항아리 형태의 고무펌프(2)의 중앙부가 가압되는데 가압될 때 고무펌프(2)의 중앙부만 가압되므로 고무펌프(2) 중 가압되지 않는 부분이 부풀어오름에 따라 정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 불가능하여 가압할 때마다 다른 양의 내용물이 토출되기 때문에 내용물 토출양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용기 상단 외측에 사이드버튼(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금니 부분에 치아미백제를 도포할 때에는 사이드버튼(1)이 입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사이드버튼(1)을 눌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동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 상부에 펌프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펌프부재는 외벽과 하판을 연질탄성막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판 중앙에는 내용물유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에 체크밸브를 결합하고, 상기 펌프부재 상부에 브러시가 장착된 브러시캡을 결합시키되 상기 펌프부재와 브러시캡 사이에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브러시캡을 가압하면 탄성부재와 펌프부재가 함께 가압되어 내용물유통공을 통해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토출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를 통과한 치아미백제 내용물은 브러시로 토출되도록 하여 항상 일정량의 치아미백제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하여 치아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밀판(20)과;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하는 펌프부재(30)와;
상기 펌프부재(30)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시캡(40)과;
상기 브러시캡(40)에 장착되는 브러시(50)와;
상기 펌프부재(30)와 브러시캡(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로 구성되되,
상기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연질탄성막(34)을 형성하여 상기 하판(31)이 펌프부재(30)의 외벽(33)으로부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펌프부재(30) 외측에 탈부착되는 용기뚜껑(7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부재(30)는 내용물유통공(36)이 형성된 하판(31)과 상기 하판(3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32)과 상기 내벽(3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33)과 상기 하판(31)과 외벽(33)을 연결하는 연질탄성막(34)과 상기 내용물유통공(3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부재(30)의 연질탄성막(34)과 체크밸브(35)는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silicone) 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형성된 연질탄성막(34)은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러시캡(40)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배출공(44)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1하부연장돌륜(41)과 상기 제1하부연장돌륜(4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2하부연장돌륜(42)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상부에 형성되어 브러시(50)가 장착되는 브러시수용홈(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는 용기본체 상부에 펌프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펌프부재는 외벽과 하판을 연질탄성막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하판 중앙에는 내용물유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에 체크밸브를 결합하고, 상기 펌프부재 상부에 브러시가 장착된 브러시캡을 결합시키되 상기 펌프부재와 브러시캡 사이에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브러시캡을 가압하면 탄성부재와 펌프부재가 함께 가압되어 내용물유통공을 통해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토출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를 통과한 치아미백제 내용물은 브러쉬로 토출되도록 하여 항상 일정량의 치아미백제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하여 치아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치아미백제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용기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브러시가 장착된 브러시캡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브러시가 장착된 브러시캡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용기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브러시가 장착된 브러시캡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브러시가 장착된 브러시캡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밀판(20)과,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하는 펌프부재(30)와, 상기 펌프부재(30)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시캡(40)과, 상기 브러시캡(40)에 장착되는 브러시(50)와, 상기 펌프부재(30)와 브러시캡(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로 구성되되, 상기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연질탄성막(34)을 형성하여 상기 하판(31)이 펌프부재(30)의 외벽(33)으로부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수용되되,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하단에 밀판(20)이 장착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 하단에는 공기유통홀(11)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통홀(11)로 공기가 유입되어 밀판(20)이 원할하게 상승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는 펌프부재(30)가 결합된다.
상기 펌프부재(30)는 내용물유통공(36)이 형성된 하판(31)과 상기 하판(3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32)과 상기 내벽(3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33)과 상기 하판(31)과 외벽(33)을 연결하는 연질탄성막(34)과 상기 내용물유통공(3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3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31)은 가운데 내용물유통공(36)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36)에는 용기본체(10)에 장착된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35)가 장착된다.
상기 내벽(32)은 하판(3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벽(32)의 내측으로 브러시캡(40)의 제1하부연장돌륜(41)이 결합된다.
상기 외벽(33)은 용기본체(10)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어 펌프부재(30)가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질탄성막(34)은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판(31)이 펌프부재(30)의 외벽(33)으로부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질탄성막(34)은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silicone)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며,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부재(30)의 상부에는 브러시캡(40)이 결합된다.
상기 브러시캡(40)은 내용물배출공(44)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1하부연장돌륜(41)과 상기 제1하부연장돌륜(4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2하부연장돌륜(42)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상부에 형성되어 브러시(50)가 장착되는 브러시수용홈(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부연장돌륜(41)은 펌프부재(30)의 내벽(32)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어 브러시캡(40)이 펌프부재(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하부연장돌륜(42)은 펌프부재(30)의 외벽(33) 내측에 끼워져서 상, 하로 움직인다.
상기 제2하부연장돌륜(42)과 펌프부재(30)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되어 브러시캡(40)을 탄발지지한다.
상기 내용물배출공(44)으로 용기본체(10)의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브러시수용홈(43)에는 브러시(50)가 장착된다.
상기 브러시(50)를 대체하여 배출관 또는 도포팁이 상기 브러시수용홈(4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펌프부재(30)의 외측에는 용기뚜껑(70)을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브러시(5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 내부에 밀판(20)을 장착한 후, 치아미백제 내용물을 주입한다.
이후,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내용물유통공(36)이 형성된 하판(31)과 상기 하판(31)으로 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32)과 상기 내벽(3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33)과 상기 하판(31)과 외벽(33)을 연결하는 연질탄성막(34)과 상기 내용물유통공(3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35)로 이루어진 펌프부재(3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질탄성막(34)은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판(31)이 펌프부재(30)의 외벽(33)으로부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펌프부재(30)에 내용물배출공(44)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1하부연장돌륜(41)과 상기 제1하부연장돌륜(4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2하부연장돌륜(42)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상부에 형성되어 브러시(50)가 장착되는 브러시수용홈(43)으로 이루어진 브러시캡(40)을 장착하되, 상기 제2하부연장돌륜(42)은 펌프부재(30)의 외벽(33) 내측에 끼워져서 상, 하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펌프부재(30)와 브러시캡(40)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캡(40)을 탄발지지한다.
이후, 상기 브러시수용홈(43)에 브러시(50)를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뚜껑(70)을 분리한 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시(50)가 장착된 브러시캡(40)을 가압한다.
상기 브러시캡(40)을 가압하면 브러시캡(40)의 하부에 결합된 펌프부재(30)가 가압된다.
이때, 상기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형성된 연질탄성막(34)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치아미백제 내용물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가압되면 펌프부재(30)의 내용물유통공(36)을 막고 있던 체크밸브(35)가 개방되면서 용기본체(10)의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브러시캡(50)의 내용물배출공(44)쪽으로 이동하여 브러시(5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브러시캡(40)을 가압하면 탄성부재(60)와 펌프부재(30)가 함께 가압되어 내용물유통공(36)을 통해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토출되며 상기 내용물유통공(36)를 통과한 치아미백제 내용물은 브러시(50)로 토출되도록 하여 항상 일정량의 치아미백제 내용물이 용이하게 토출되어 치아에 도포된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시(50)가 장착된 브러시캡(40)의 가압을 해제하면 펌프부재(30)와 브러시캡(40)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60)가 브러시캡(40)을 탄발지지하여 상기 브러시캡(40)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펌프부재(30) 안으로 흡입된 치아미백제 내용물만큼 용기본체(10)에 빈 공간이 생겨 음압이 발생한다.
상기 용기본체(10)에 발생한 음압은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유통홀(11)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0)로 유입되면서 밀판(20)이 위로 올라가게 되어 음압이 해소된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11:공기유통홀
20:밀판 30:펌프부재
31:하판 32:내벽
33:외벽 34:연질탄성막
35:체크밸브 36:내용물유통공
40:브러시캡 41:제1하부연장돌륜
42:제2하부연장돌륜 43:브러시수용홈
50:브러시 60:탄성부재
70:용기뚜껑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밀판(20)과;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결합되어 펌핑하는 펌프부재(30)와;
    상기 펌프부재(30) 상부에 결합되는 브러시캡(40)과;
    상기 브러시캡(40)에 장착되는 브러시(50)와;
    상기 펌프부재(30)와 브러시캡(4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로 구성되되,
    상기 펌프부재(30)의 하판(31)과 외벽(33) 사이에 연질탄성막(34)을 형성하여 상기 하판(31)이 펌프부재(30)의 외벽(33)으로부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펌프부재(30)는 내용물유통공(36)이 형성된 하판(31)과 상기 하판(3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32)과 상기 내벽(3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33)과 상기 하판(31)과 외벽(33)을 연결하는 연질탄성막(34)과 상기 내용물유통공(3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탄성막(34)은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silicone) 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탄성막(34)은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캡(40)은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배출공(44)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외측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1하부연장돌륜(41)과 상기 제1하부연장돌륜(4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 형성된 제2하부연장돌륜(42)과 상기 내용물배출공(44) 상부에 형성되어 브러시(50)가 장착되는 브러시수용홈(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50)는 배출관 또는 도포팁으로 대체되어 브러시수용홈(4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KR2020150000731U 2015-01-30 2015-01-30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KR200481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31U KR200481521Y1 (ko) 2015-01-30 2015-01-30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31U KR200481521Y1 (ko) 2015-01-30 2015-01-30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78U KR20160002778U (ko) 2016-08-10
KR200481521Y1 true KR200481521Y1 (ko) 2016-10-14

Family

ID=5671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31U KR200481521Y1 (ko) 2015-01-30 2015-01-30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2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85B1 (ko) 2006-03-14 2007-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장치 및 치아 미백제 용기
KR100733002B1 (ko) * 2006-09-28 2007-06-28 변영광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KR200439672Y1 (ko) 2006-12-15 2008-04-25 강성일 도포 팁 교체 사용이 가능한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KR101367880B1 (ko) 2013-03-21 2014-02-27 (주)연우 감압토출 방지 벨로우즈 펌프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85B1 (ko) 2006-03-14 2007-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미백장치 및 치아 미백제 용기
KR100733002B1 (ko) * 2006-09-28 2007-06-28 변영광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KR200439672Y1 (ko) 2006-12-15 2008-04-25 강성일 도포 팁 교체 사용이 가능한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KR101367880B1 (ko) 2013-03-21 2014-02-27 (주)연우 감압토출 방지 벨로우즈 펌프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78U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844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pplication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side of button member
US20170347772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discharge plate made of ceramic
JP6386668B2 (ja) スポイト型異液混合容器
US10328451B2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US8647007B2 (en) Pump toothbrush with integrated dentifrice dispensing platform and disposable bristle head
US10472160B2 (en) Compact container having contents storage container horizontally coupled to lateral side of pump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KR20110028730A (ko) 부항컵용 밸브, 바디 및 이를 이용하는 부항컵
US10220406B2 (en) Applicator having press button for discharging gel-type contents
TWM479161U (zh) 具有含彈性直立式噴嘴之按鈕的化妝品容器
KR20090011481U (ko) 마사지 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81521Y1 (ko) 펌프부재를 구비한 치아미백제 용기
KR101844742B1 (ko) 메쉬망을 구비한 콤팩트용 캡슐용기
JP3109917U (ja) 液体化粧料塗布具の構造
KR101729071B1 (ko) 화장료 배출펌프가 형성되고 손잡이겸용뚜껑이 구비된 퍼프
KR102218841B1 (ko) 구강 내에서 구부러짐이 가능한 치간 칫솔
CN205306851U (zh) 压泵式挤牙膏器及包含该挤牙膏器的牙膏供给装置
KR101745365B1 (ko)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ES2336201T3 (es) Dispensador para la aplicacion de productos fluidos.
JP2018027168A (ja) 臨時貯蔵所を有するフロックチップを具備したスポイト容器
KR101434099B1 (ko) 치약 토출 칫솔
KR101734182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헤어 마사지 어플리케이터
KR20170005385A (ko) 휴대용 손 세척기
KR101971918B1 (ko) 임시저장소를 갖는 플로킹팁을 구비한 스포이드 용기
KR101909618B1 (ko) 분리 공간을 갖는 펌핑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