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779Y1 - 신발안창 - Google Patents

신발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779Y1
KR200364779Y1 KR20-2004-0020370U KR20040020370U KR200364779Y1 KR 200364779 Y1 KR200364779 Y1 KR 200364779Y1 KR 20040020370 U KR20040020370 U KR 20040020370U KR 200364779 Y1 KR200364779 Y1 KR 200364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hoe
insole
receiving portion
shoe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양욱
Original Assignee
허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양욱 filed Critical 허양욱
Priority to KR20-2004-0020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7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with adjustable pads to allow custom f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화나 겨울용 부츠, 등산화, 낚시화 등에 분리착용이 가능한 신발안창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안창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일부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부(200)와; 상기 수용부(2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00)에 끼우거나 빼내도록 형성된 패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신발안창으로써 신발 등에 자유롭게 삽입하여, 보온필요시에는 발열패드를 상기 수용부에 끼워서 보온 및 통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비발열패드를 상기 수용부에 끼워서 통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공간부 또는 통공에 의한 열전달 및 공기의 순환이 잘 되어, 발부분의 보온 및 통풍에 뛰어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안창{in-sole of shoes}
본 고안은 작업화나 겨울용 부츠, 등산화, 낚시화 등에 분리착용이 가능한신발안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온필요시에는 발열패드를 신발안창에 끼워서 보온이 되도록 하여 사용하며, 평상시에는 비발열패드를 사용하여 통풍이 잘되도록 하여 사용되는 신발안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작업이나 운동, 낚시, 등산 등의 레저활동 시에는 장시간 기온이 낮은 곳에 있게 된다. 이때 발 부분은 통풍이 제대로 되지 않고,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체온이 쉽게 떨어져 발가락에 동상이 걸리거나 발에 감각이 사라지게 된다. 이로 인해 효율적으로 작업에 임하지 못하게 되거나 레저활동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은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며, 사람들은 발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보온이 되는 기능성의 부츠, 등산화, 작업화 등을 착용하거나, 양말 등을 두세개 겹쳐서 보온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발 부분의 보온을 유지시키는데는 미흡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발 부분의 체온은 점점 떨어지게 된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64093호에 의한 발열장치를 갖는 신발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연소식 소형 난로를 구비하는 발열장치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에 있어서, 발에 착용 가능한 신발몸체와, 상기 신발몸체의 배면에 형성된 신발굽 및 상기 신발굽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가동되는 발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신발굽에 상기 발열장치를 계속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신발자체의 무게가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수분의 침투 시에는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열장치가 신발굽에 설치되므로, 일반적으로 발가락 부분에 체온이 쉽게 떨어지게 되므로, 발가락 부분으로의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안창에 수용부를 구비하여 보온필요시에는 발열패드를 상기 수용부에 끼워서 보온 및 통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하며, 평상시에는 비발열패드를 상기 수용부에 끼워서 통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발안창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안창의 정면도(a) 및 배면도(b).
도 2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안창의 정면도(a) 및 배면도(b).
도 3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안창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열패드의 적용예시도.
도 5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발열패드의 적용예시도.
도 6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열패드 및 비발열패드의 적용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 110 : 유로공간부
120 : 싸이즈조절부 130 : 통공
200 : 수용부 210 : 덮개판
211 : 박음질 300 : 패드부
310 : 발열패드 320 : 비발열패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신발안창 본체와; 상기 본체 일부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끼우거나 빼내도록 형성된 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신발안창은, 보온필요시에는 상기 패드부가 발열패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발안창은, 평상시에는 상기 패드부가 비발열패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전후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로공간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뒤꿈치 부분에 싸이즈조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면이 인체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전후로 길이 방향 및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로공간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부 위치에 상측으로 관통되게 다수개의 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 하면을 소정 위치에서 압착성형하여 수용공간을 형성시킨 후 덮개판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덮개판은, 양단부가 상기 본체와의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신발안창으로써 신발 등에 자유롭게 삽입하여, 보온필요시에는 발열패드를 상기 수용부에 끼워서 보온 및 통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비발열패드를 상기 수용부에 끼워서 통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공간부 또는 통공에 의한 열전달 및 공기의 순환이 잘 되어, 발부분의 보온 및 통풍에 뛰어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안창의 정면도(a) 및 배면도(b)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안창의 정면도(a) 및 배면도(b)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안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열패드의 적용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발열패드의 적용예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열패드 및 비발열패드의 적용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00), 수용부(200), 패드부(300)로 크게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본체(100)는 발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발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발안창의 재질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고무 또는 PE, EVA 등의 재료를 프레스 압착성형 또는 압착성형 후 발포과정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유로공간부(110)가 더 형성되도록 하며, 후술할 수용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100) 상측으로 관통되게 다수개의 통공(130)이 더 형성되게 한다. 상기 유로공간부(110) 및 통공(130)에 의해 통풍 및 열전달이 잘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본체(100) 일부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200)는 금형에 의한 상기 본체(100)의 성형시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전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패드부(300)가 수용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부(200)는 제조 및 사용의 편리를 위해 상기 본체(100)하면을 소정 위치에서 압착성형하여 수용공간을 형성시킨 후 덮개판(210)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의 형상 및 상기 패드부(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형상으로 형성된 고온의 금형에 의해 상기 본체(100) 재료를 압착성형하여 형성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는 상기 덮개판(210)의 결합에 의해 후술할 패드부(300)를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는 수용부(200)를 형성시킨다. 상기 덮개판(210)은 PE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와의 박음질(211)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패드부(300)는 상기 수용부(2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00)에 끼우거나 빼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패드부(300)는 신발안창의 수용부(200)에서 자유롭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300)는 사용목적에 따라 발열패드(310) 또는 비발열패드(320)로 형성된다.
상기 발열패드(310)는 공지된 발열팩으로 형성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밀폐되어 포장된 상태로 존재하며, 내부에 산소와 접촉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포장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자연스럽게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발열패드(320)는 고무, PE 또는 EVA 등의 재료를 압착성형 또는 압착성형 후 발포과정에 의해 형성시킨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상기 신발안창 본체(100)는 발형상으로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뒤꿈치 부분에는 싸이즈조절부(120)가 더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신발안창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발싸이즈 및 신발의 형태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본적인 신발안창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싸이즈조절부(120)를 절단하여 자신의 발싸이즈에 맞춘 후 착용하게 된다.
상기 그리고 상기 본체(100) 하면에는 상기 수용부(200) 전후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00)와 연통되도록 유로공간부(110)가 더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수용부(200)와 상기 유로공간부(110)는 서로 연통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200)와 상기 유로공간부(110)는 동일한 금형 내부에서 동시에 성형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온필요시에는 상기 수용부(200)에 발열패드(310)를, 평상시에는 비발열패드(320)를 끼워서 사용하게 된다.
<제2실시예>
상기 신발안창 본체(100)는 발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인체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신발안창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발싸이즈에 맞추어 제조되는 것으로,사용자는 자신의 발싸이즈에 맞는 안창을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하면에는 상기 수용부(200) 전후로 길이 방향 및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00)와 연통되도록 유로공간부(110)가 더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유로공간부(110)는 상기 본체(100)가 발바닥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유로공간부(110) 측면으로 너비 방향으로 형성된 유로공간부(11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200)와 상기 유로공간부(110)는 서로 연통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200)와 상기 유로공간부(110)는 동일한 금형 내부에서 동시에 성형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온필요시에는 상기 수용부(200)에 발열패드(310)를, 평상시에는 비발열패드(320)를 끼워서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발싸이즈에 맞추어 상기 본체(100)의 싸이즈조절부(120)에 의해 싸이즈를 맞추거나, 자신의 발싸이즈에 맞는 본체(100)를 선택하게 된다.
그 다음에 보온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발열패드(310)를 상기 수용부(200) 일측으로 끼워서 사용하게 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발열패드(310)를 꺼내고 비발열패드(320)부(300)를 상기 수용부(200)에 끼워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열패드(310) 또는 비발열패드(320)가 끼워진 상태의 신발안창을 사용자가 원래 가지고 있던 작업화, 부츠, 등산화, 낚시화 등의 신발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발열패드(310)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통공(130)에 의해 발 쪽으로 열기가 올라오게 되며, 상기 유로공간부(110)를 따라 따뜻한 공기가 흐르게 되어 발바닥 전체에 골고루 온기가 미치게 된다.
또한 비발열패드(320)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통공(130) 및 상기 유로공간부(110)에 의해 통풍이 잘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신발안창으로써 신발 등에 자유롭게 삽입하여, 보온필요시에는 발열패드를 상기 수용부에 끼워서 보온 및 통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발열패드 대신 비발열패드를 상기 수용부에 끼워서 통풍이 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어 발 부분의 보온 및 통풍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로공간부 및 통공에 의한 열전달 및 공기의 순환이 잘 되어 발 부분의 보온 및 통풍 효율을 더욱 높인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신발안창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일부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부(200)와;
    상기 수용부(2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00)에 끼우거나 빼내도록 형성된 패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안창은,
    보온필요시에는 상기 패드부(300)가 발열패드(31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안창은,
    평상시에는 상기 패드부(300)가 비발열패드(32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00) 전후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로공간부(1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뒤꿈치 부분에 싸이즈조절부(12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면이 인체의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면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00) 전후로 길이 방향 및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로공간부(1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부(200) 위치에 상측으로 관통되게 다수개의 통공(130)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본체(100) 하면을 소정 위치에서 압착성형하여 수용공간을 형성시킨 후 덮개판(210)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210)은,
    양단부가 상기 본체(100)와의 박음질(211)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
KR20-2004-0020370U 2004-07-16 2004-07-16 신발안창 KR200364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370U KR200364779Y1 (ko) 2004-07-16 2004-07-16 신발안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370U KR200364779Y1 (ko) 2004-07-16 2004-07-16 신발안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632A Division KR100650396B1 (ko) 2004-07-16 2004-07-16 신발안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779Y1 true KR200364779Y1 (ko) 2004-10-16

Family

ID=4943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370U KR200364779Y1 (ko) 2004-07-16 2004-07-16 신발안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7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7696A1 (en) Flow Insole
US20060168846A1 (en) Insole with improved internal air circulation
US5220791A (en) Heat resistant work shoe
US20110041360A1 (en) Adjustable Sole Support System
EP3692849B1 (en) Fussbekleidungsartikel mit einem heizsystem
US20040020074A1 (en) Heater device, particularly for inner shoes of sports footwear
KR200364779Y1 (ko) 신발안창
KR100650396B1 (ko) 신발안창
KR101136110B1 (ko) 냉각기능과 발열기능을 갖는 신발
KR20090007332U (ko) 신발
EP1728444B1 (en) Chimney structures for footwear and foot coverings
CN111449360A (zh) 一种具有换气功能的温控鞋
CN214432220U (zh) 一种保暖靴
KR20150009218A (ko) 맞춤 깔창
GB2618577A (en) A slipper device
CN215958565U (zh) 一种可电动加暖的皮鞋
CN219047545U (zh) 一种散热清凉运动鞋
CN214283558U (zh) 电工用高绝缘安全靴
KR200330669Y1 (ko) 동절기용 신발
JP3163688U (ja) 複数の柱状発熱体を靴底又は中敷に埋設する履物
KR20150146120A (ko)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스키 신발의 내부 보온피
JP3092522U (ja) 熱成型靴用インソール
JP3206926U (ja) 長靴
KR101938256B1 (ko) 측면에 통기공이 형성된 인솔
KR200176055Y1 (ko) 열 방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