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108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108Y1
KR200364108Y1 KR20-2004-0018529U KR20040018529U KR200364108Y1 KR 200364108 Y1 KR200364108 Y1 KR 200364108Y1 KR 20040018529 U KR20040018529 U KR 20040018529U KR 200364108 Y1 KR200364108 Y1 KR 200364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ewage
flow path
tra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하
Original Assignee
이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하 filed Critical 이은하
Priority to KR20-2004-0018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바닥으로부터 배수트랩으로 유입되는 하수와 세탁기로부터 배출된 하수가 분리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중심에 하수구의 내경에 관계하여 파이프 형태의 배수연결부가 형성되는 트랩본체; 배수연결부의 상부면 주위에 형성되어지되 유입된 하수의 일정량이 남아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유로; 유로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연결부의 상부 내경으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소정 각도의 일정 높이로로 차단하되 그 각각에는 유로를 연결하는 내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안내편; 유로의 내측단을 이루는 배수연결부 상단 주위의 동심원 선상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되어지되 유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일방향의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 안내편 상에 형성된 내통홈 상에 그 하단부가 지지되어 안내편 상부로 설치되어지되 하수구로부터의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 및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트랩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배수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용도실이나 욕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바닥의 생활하수를 배수시키는 한편 하수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욕실이나 다용도실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은 하수구와 연결되게 매립 설치되어 각종 생활오수를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배수트랩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천공된 배수커버가 설치되어 배수되는 생활하수 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등을 걸러 하수구의 막힘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트랩의 구조는 하수구의 내경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중앙 하측으로 일정 높이 연장된 배수연결부와 그 적소에 일정량의 하수가 저장되는 환형의 저수조가 형성된 트랩본체, 트랩본체의 저수조에 저장된 하수 속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설치하여 배수 및 하수구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반구형의 악취차단부재 및 트랩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거르면서 배수되도록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커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트랩 구조에 의하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는데, 우선 역류하는 하수 내지는 악취의 완전 차단이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저층 또는 지하의 하수구에 설치될수록 하수 내지는 하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가스(악취를 포함) 등에 대하여 강한 압력을 받게 되며, 특히 우기와 같이 하수량이 급증하게 되면 배수트랩을 통해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다시 말해서, 역류되는 하수의 경우 악취차단부재와 직면하면 그 압력에 의하여 오히려 저수조의 하수를 밀어내면서 실내로 유입되었으며, 악취를 포함하는 가스 등도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저수조를 통행 실내로 유입되었다.
한편, 배수트랩이 발코니나 창고와 같이 물의 사용이 적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 또는 일시적으로 물을 사용하지 않아 배수가 없는 경우에는 저수조의 하수가 증발함에 따라 악취가 역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트랩의 다른 문제점으로는 하수구의 청소 내지는 보수가 매우 불편하다는 것이다.
즉, 하수구는 대부분 바닥면에서 "L"자 형으로 구부려진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이물질들에 의하여 하수구가 막히게 되거나 배수에 포함된 물질이 하수구의 내면에 누적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바, 이 경우 청소용 솔 등을 이용하여 이를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배수트랩 트랩본체가 하수구 상단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시멘트 몰탈에 의하여 타설되기 때문에 배수트랩 트랩본체의 중앙에 관통된 끼움 연부를 통하여 청소용 솔을 집어넣어 청소를 하는데, 이때 저수조에 의하여 청소용 솔의 진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부득이 배수트랩의 트랩본체를 바닥의 시멘트 몰탈로부터 분리해야하는 등 제반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는 일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보다 빠르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세탁기로부터 배출되는 하수는 하수구로 직접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유로에 일정량의 하수가 남아 있도록 하는 구성과 악취차단부재의 구성을 통한 밀폐구조를 통해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시킴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구조의 배수트랩을 제공함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배수트랩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가 소정의 방향으로 소용돌이치면서 하수가 빠르게 배수되도록 하여 욕실이나 다용도실 바닥에 하수가 고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으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하수가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악취차단부재를 통한 악취차단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수트랩 110. 트랩본체
112. 배수연결부 112a. 배수구
120. 유로 130. 안내편
132. 내통홈 140. 가이드 돌기
150. 악취차단부재 152. 결합공
160. 배수커버 162. 배수공
164. 결합홀 170. 패킹
180. 호스연결부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은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구 상에 설치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트랩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지되 그 하부 중심에는 하수구의 내경에 관계하여 파이프 형태의 배수연결부가 형성되는 트랩본체; 배수연결부의 상부면 주위에 동심원의 띠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유입된 하수의 일정량이 남아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유로; 유로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연결부의 상부 내경으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소정 각도의 일정 높이로로 차단하되 그 각각에는 유로를 연결하는 내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안내편; 유로의 내측단을 이루는 배수연결부 상단 주위의 동심원 선상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되어지되 유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일방향의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 안내편 상에 형성된 내통홈 상에 그 하단부가 지지되어 안내편 상부로 설치되어지되 하수구로부터의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 및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트랩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배수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더하여 세탁기의 호스를 연결하여 세탁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를 배수연결부의 내경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호스연결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호수연결수단은 악취차단부재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악취차단부재의 결합공에 관계하여 배수커버의 중심부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결합홀; 악취차단부재의 결합공과 배수커버의 결합홀이 이루는 내경 상에 결합되는 패킹; 및 패킹과 세탁기의 호스를 연결하여 세탁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를 배수연결부의 내경으로 직접 배수되도록 하는 호스연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안내편은 유로 상에 3개가 형성되어지되 3개의 안내편이 이루는 각도는 외측단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경우 정삼각형을 이루는 각도로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전술한 구성의 가이드 돌기는 3개의 안내편 내측단 사이의 배수연결부 상단 동심원 선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안내편의 내통홈 높이는 유로의 중심에 비해서는 높고 가이드 돌기의 최저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형성되어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하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유로에는 가이드 돌기의 최저 높이 이하로 하수가 고여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악취차단부재를 안내편의 내통홈 상에 장착할 때 안내편의 내통홈 하단에 접촉되는 악취차단부재의 하단 일부는 유로에 고여 있는 하수에 잠겨지도록 구성되어 하수구로부터 올라 오는 악취가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으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하수가 배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은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구 상에 연결 설치되어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에 낙수된 하수가 본체의 구성요소에 의해 일방향의 나선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배수될 있도록 함은 물론, 세탁기와 같은 기기에서 배수되는 하수는 본체의 기타 구성요소를 거치지 않고 하수구로 직접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중심에 하수구의 내경에 관계하는 배수연결부(112)가 형성된 트랩본체(110), 트랩본체(110)의 배수연결부(112) 상부면 주위에 형성되어 유입된 하수의 일정량이 남아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유로(120), 유로(120)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연결부(112)의 상부 내경으로 안내되도록 유로(120)를 소정 각도로 차단하는 다수의 안내편(130), 유로(120)의 내측단을 이루는 배수연결부(112) 상단 주위의 동심원 선상에 형성되어 유로(120)로 유입되는 하수를 일방향의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140), 안내편(130) 상부에 장착되어 하수구(10)로부터의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150) 및 다수의 배수공(162)이 형성되어 트랩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배수커버(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은 트랩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연결부(112)를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에 형성된 하수구(10) 상에 끼워 맞춰 연결한 상태로 트랩본체(110)를 고정시킨 후, 악취차단부재(150)와 배수커버(160)를 차례로 안내편(130)과 트랩본체(110)의 상부에 조립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의 배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으로 낙수된 하수는 배수커버(160)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62)을 통해 트랩본체(110)의 상부면으로 유입된다. 이처럼 유입된 하수는 트랩본체(110)의 상부면 상에 띠 형태로 형성된 유로(120)와 안내편(130) 및 가이드 돌기(140)에 의해 시계방향의 일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를 통해 하수구(10)로 배수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에는 세탁기의 호스(20 : 도 5 내지 도 7 참조)를 연결하여 세탁기로부터 발생된 하수를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을 통해 하수구(10)로 배출되도록 하는 호스연결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호스연결수단은 세탁기의 호스(20)와 배수트랩(100)을 연결하여 호스(20)로부터 배수되는 하수가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을 통해 하수구(10)로 직접 배출되도록 한다.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랩본체(110)는 다용도실이나 욕실의 바닥에 형성된 하수구(10) 상에 본 고안의 배수트랩(10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 트랩본체(110)는 일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어지되 그 하부 중심에는 하수구(10)의 내경에 관계하여 파이프 형태의 배수연결부(1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트랩본체(110)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판상(일정깊이가 있는 판상으로 형성됨)의 본체 하부 중심에 파이프 형태의 배수연결부(112)가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트랩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연결부(112)의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배수구(112a)를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트랩본체(1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실이나 욕실의 바닥에 형성된 하수구(10) 상에 배수연결부(112)를 끼워 설치하게 된다. 이때, 트랩본체(110)의 상단부는 다용도실이나 욕실의 바닥에 낙수된 하수가 모여들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용도실이나 욕실의 바닥면보다는 낮은 높이로 설치된다.
유로(120)는 트랩본체(110)의 상부면 내부로 유입된 하수를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함은 물론 배수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정량의 하수가 유로(120) 상에 남아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유로(120)는 트랩본체(110)의 상부면인 배수연결부(112)의 상부면 주위에 동심원의 띠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유입된 물의 일정량이 남아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유로(120)로는 다용도실이나 욕실의 바닥에 낙수되어 트랩본체(110)의 상부면 내측으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를 통해 하수구(10)로 배수되기 전에 유입된다. 이처럼 유로(120)로 유입된 하수는 후술하는 안내편(130)과 가이드 돌기(140)에 의해 유로(120)의 일방향으로 휘돌면서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로 배수된다.
안내편(130)은 트랩본체(110)의 상부면 내부로 유입되어 유로(120)로 유입된 하수를 배수구(112a)의 상단부 내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이 안내편(130)은 유로(120)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연결부(112)의 상부 내경으로 안내되도록 유로(120)를 소정 각도로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내편(130)은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고, 그 각각에는 내통홈(132)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안내편(13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120)로 유입된 하수가 안내편(130)의 안내에 의해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의 상단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즉, 트랩본체(110)의 상부면 내부로 하수가 유입되면 하수는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안내편(130)에 의해 가로막히면서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의 상단으로 안내되어 배수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안내편(130)의 각도는 트랩본체(110)의 상부면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의 상단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안내편(130)은 3개가 형성되고, 그 외측단의 연결하는 경우 전삼각형의 형태가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안내편(130)의 내통홈(132)은 유로(120)가 안내편(130)에 의해 가로막혀 있다 하더라도 내통홈(132)을 통해 상호 내통되어 유로(120)로 유입된 하수가 유로(120) 전체에 걸쳐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내편(130) 각각에 형성된 내통홈(132)의 높이는 후술하는 가이드 돌기(140)의 최저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즉, 안내편(130)의 내통홈(132) 높이는 유로(120)의 최하 중심에 비해서는 높고 가이드 돌기(140)의 최저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형성되어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하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유로(120)에는 가이드 돌기(140)의 최저 높이 이하로 하수가 고여 있게 된다.
가이드 돌기(140)는 유로(120)로 유입된 하수를 안내편(130)과 함께 일방향의 나선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가이드 돌기(140)는 유로(120)의 내측단을 이루는 배수연결부(112) 상단 주위의 동심원 선상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 돌기(140)는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이 가이드 돌기(140)는 안내편(130)의 내측단을 이루는 사이사이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안내편(130)과 함께 유로(120)로 유입된 하수를 일방향의 나선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 돌기(140)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3개로 이루어진 안내편(130)의 내측단을 이루는 배수연결부(112)의 상단면 원주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편(130)이 3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돌기(140) 역시 3개로 구성되어진다.
악취차단부재(150)는 하수구(10)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 악취차단부재(150)는 안내편(130) 상에 형성된 내통홈(132) 상에 그 하단부가 지지되어 안내편(130) 상부로 설치되어 하수구(10)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악취차단부재(150)는 안내편(130) 각각에 형성된 내통홈(132)을 연결하는 동심원에 관계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그 테두리의 하단이 안내편(130)의 내통홈에 지지되도록 장착된다.
한편, 안내편(130)의 내통홈(132)의 높이가 가이드 돌기(140)의 최저 높이에 비해 낮기 때문에 유로(120) 상에 가이드 돌기(140)의 최저 높이만큼 하수가 항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악취차단부재(150)를 안내편(130)의 내통홈(132) 상에 장착하게 되면 안내편(130)의 내통홈(132) 하단에 접촉되는 악취차단부재(150)의 하단 일부는 유로(120) 상에 고여 있는 하수에 잠겨지기 때문에 하수구(10)로부터 올라 오는 악취가 차단된다.
배수커버(160)는 트랩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여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에 낙수된 하수가 트랩본체(110)의 상부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배수커버(160)는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에 낙수된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다수의 배수공(162)이 형성되어 트랩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배수커버(160)는 트랩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 크기나 형태는 트랩본체(110)에 관계하는 크기나 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악취차단부재를 통한 악취차단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에는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실이나 욕실의 바닥에 낙수된 하수를 배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탁기와 같은 기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가 하수구로 직접 배술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구비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에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세탁기의 호스(20)를 연결하여 세탁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를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을 통해 하수구(10)로 배출되도록 하는 호스연결수단이 더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트랩(100)의 상부와 세탁기의 호스(20)를 연결하는 호스연결수단은 악취차단부재(150)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152), 악취차단부재(150)의 결합공(152)에 관계하여 배수커버(160)의 중심부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결합홀(164), 악취차단부재(150)의 결합공(152)과 배수커버(160)의 결합홀(164)이 이루는 내경 상에 결합되는 패킹(170) 및 패킹(170)과 세탁기의 호스(20)를 연결하여 세탁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를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으로 직접 배수되도록 하는 호스연결부재(18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호스연결수단의 패킹(170)은 상호 접해 있는 악취차단부재(150)의 결합공(152)과 배수커버(160)의 결합홀(164)의 두단부를 모두 감싸면서 결합되어 그 내경을 통해 호스연결부재(180)의 일단이 배수커버(160)와 악취차단부재(150)의 중심을 관통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패킹(170)의 내경은 호스연결부재(180) 일단의 외경에 관계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패킹(170)에 의해 배수커버(160)와 악취차단부재(150)의 중심을 관통 결합된 호스연결부재(180) 일단은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으로 위치되어 세탁기로부터 배수된 하수가 호스(20)와 호스연결부재(180)를 거쳐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로 직접 배수된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배수트랩(100)은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에 낙수된 하수는 트랩본체(110)의 유로(120), 안내편(130) 및 가이드 돌기(140)에 의해 일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로 배수되고, 세탁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는 호스연결부재(180)를 통해 배수연결부(112)의 내경인 배수구(112a)로 직접 배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랩본체(110), 유로(120), 안내편(130), 가이드 돌기(140), 악취차단부재(150) 및 배수커버(160)로 이루어진 구성의 배수트랩(100)은 배수되는 하수를 유로(120), 안내편(130) 및 가이드 돌기(140)를 통해 일방향의 나선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의 용이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트랩(100)은 악취차단부재(150)의 구성을 통해 하수구(10)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이라 할 수 있다.
더구나, 본 고안은 호스연결수단을 통해 세탁기의 호스(20)를 배수트랩(100)의 상부로 연결하여 세탁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는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에 낙수된 하수와는 별도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은 그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안내편과 가이드 돌기에 의해 일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면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더라도 빠른 속도로 배수구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하수구로 유입되는 물이 안내편과 가이드 돌기에 의해 유로를 통해 회전하면서 하수구로 유입될 시에 하수구의 내벽을 따라 물이 배출되므로 물의 배출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은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에 낙수된 하수와 세탁기와 같은 기기로부터 발생되어 배출되는 하수를 배수시키는데 있어 분리 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에 낙수된 하수와 세탁기와 같은 기기로부터 발생되어 배출되는 하수를 동시에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구 상에 설치되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트랩에 있어서,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지되 그 하부 중심에는 하수구의 내경에 관계하여 파이프 형태의 배수연결부가 형성되는 트랩본체;
    상기 배수연결부의 상부면 주위에 동심원의 띠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유입된 하수의 일정량이 남아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유로;
    상기 유로로 유입된 하수가 상기 배수연결부의 상부 내경으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소정 각도의 일정 높이로 차단하되 그 각각에는 유로를 연결하는 내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안내편;
    상기 유로의 내측단을 이루는 배수연결부 상단 주위의 동심원 선상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하수를 일방향의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
    상기 안내편 상에 형성된 내통홈 상에 그 하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안내편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하수구로부터의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 및
    상기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트랩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배수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세탁기의 호스를 연결하여 상기 세탁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를 상기 배수연결부의 내경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호스연결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연결수단은 상기 악취차단부재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악취차단부재의 결합공에 관계하여 상기 배수커버의 중심부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결합홀;
    상기 악취차단부재의 결합공과 배수커버의 결합홀이 이루는 내경 상에 결합되는 패킹; 및
    상기 패킹과 상기 세탁기의 호스를 연결하여 세탁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를 배수연결부의 내경으로 직접 배수되도록 하는 호스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4.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은 유로 상에 3개가 형성되어지되 3개의 안내편이 이루는 각도는 외측단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경우 정삼각형을 이루는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3개의 안내편 내측단 사이의 배수연결부 상단 동심원 선상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의 내통홈 높이는 상기 유로의 중심에 비해서는 높고 가이드 돌기의 최저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형성되어 상기 다용도실이나 욕실 바닥의 하수가 유입되지 않아 하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유로에는 가이드 돌기의 최저 높이 이하로 하수가 고여 있도록 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부재를 상기 안내편의 내통홈 상에 장착할 때 안내편의 내통홈 하단에 접촉되는 악취차단부재의 하단 일부는 상기 유로에 고여 있는 하수에 잠겨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4-0018529U 2004-06-30 2004-06-30 배수트랩 KR200364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29U KR200364108Y1 (ko) 2004-06-30 2004-06-30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29U KR200364108Y1 (ko) 2004-06-30 2004-06-30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108Y1 true KR200364108Y1 (ko) 2004-10-11

Family

ID=4935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529U KR200364108Y1 (ko) 2004-06-30 2004-06-30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1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9701A (ja) * 2018-05-14 2019-11-21 株式会社ベンカン 浴室改装工法および排水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9701A (ja) * 2018-05-14 2019-11-21 株式会社ベンカン 浴室改装工法および排水継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4877A (zh) 利用将雨水渗透蓄存到土壤中的渗水管井的水囊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KR101336587B1 (ko) 오수받이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KR200364108Y1 (ko) 배수트랩
KR101415952B1 (ko) 배수트랩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0954145B1 (ko) 점검구 전환이 가능한 오수받이
WO2002092926A1 (en) Drain-outlet structure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1054723B1 (ko) 배수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194420B1 (ko) 공동주택의 배수구 악취 제한용 하수관 구조물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101130211B1 (ko) 바닥 배수 트랩
JPH07197504A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JP5532607B2 (ja) 浴室排水装置
KR200223980Y1 (ko) 배수트랩
KR200200796Y1 (ko) 배수 장치
KR200239586Y1 (ko) 배수트랩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