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728Y1 -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 Google Patents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728Y1
KR200363728Y1 KR20-2004-0019320U KR20040019320U KR200363728Y1 KR 200363728 Y1 KR200363728 Y1 KR 200363728Y1 KR 20040019320 U KR20040019320 U KR 20040019320U KR 200363728 Y1 KR200363728 Y1 KR 200363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ught
pin
piec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20-2004-0019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 핸들이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을 정회전시키면 래치볼트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고, 핸들을 역회전시키면 역회전 감지스위치를 작동시켜 데드볼트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록킹하도록 하며, 정역회전시 핸들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이중스프링 구조를 모티스 내에 설치하도록 하는 핸들 회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모티스의 케이스 내에 래치볼트와 연동되는 핸들이 결합되는 핸들결합구가 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시 원래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연동되며 걸림부가 형성된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과 인접하여 상기 회전축의 결합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핀과, 상기 회동편과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단부는 상기 회동편의 걸림부에 걸리며 타측단부는 상기 핀에 걸리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단부는 상기 핀에 걸리며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구에 걸리는 제 2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들 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이중 스프링구조를 모티스 내에 설치함으로써 역회전을 위하여 외부몸체에 별도의 스프링구조를 설치하지 않아 몸체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핸들 역회전시 잠금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잠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Handle Rotation Structure Installed in Mortise}
본 고안은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회동된 핸들을 원래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며, 핸들 역회전시 데드볼트를 작동시켜 도어를 록킹하도록 하는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어의 핸들은 래치볼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데에 사용되며, 데드볼트는 슬라이딩되면서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장치이다.
도어의 핸들은 주로 수평상태에서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핸들 정회전시, 즉, 수평상태에서 하측으로 회전시에는 래치볼트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핸들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양방향에 모두 스프링이 탄지되어야 한다.
모티스에 사용되는 종래 도어의 핸들은 핸들 회전시에 이를 원래위치로 복귀되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핸들이 정회전, 즉 수평상태에서 하측으로 회전하기 위한 스프링과 역회전, 즉 수평상태에서 상측으로 회전하기 위한 스프링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되는데 모티스의 공간이 좁기 때문에 정회전을 위한 스프링은 모티스내에 설치하고 역회전을 위한 스프링은 몸체 내에 별도로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의 활용공간이 적어지게 되며 몸체를 소형화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자식 도어록의 경우에는 데드볼트를 작동시켜 잠금기능을 하게 되는데 대부분 자동잠김과 수동잠금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은 수동잠금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외측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외부몸체에 스위치를 내장하거나 기능을 추가하여 잠그도록 한 별도의 구조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외부몸체에 스위치를 내장하게 되는 경우에는 외부몸체가 복잡하게 되며, 특히, 어두운 곳에서 사용하는데 이 스위치를 찾는데 많은 애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 핸들이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을 정회전시키면 래치볼트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하고, 핸들을 역회전시키면 역회전 감지스위치를 작동시켜 데드볼트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록킹하도록 하며, 정역회전시 핸들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이중스프링 구조를 모티스 내에 설치하도록 하는 핸들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핸들 정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핸들 역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회전축 1a: 핸들결합구
1b: 단 1c: 홈
2: 이탈방지구 3: 회동편
3a: 키 3b: 돌출부
3c: 제한턱 3d: 돌기부
3e: 걸림부 4: 링크
5: 핀 6: 고정구
7: 제 1 스프링 8: 제 2 스프링
9: 래치볼트 10: 이동축
20: 핸들 30: 모티스
31: 케이스 32: 결합공
33: 결합구 34: 장공
40: 마이크로스위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는, 모티스의 케이스 내에 래치볼트와 연동되는 핸들이 결합되는 핸들결합구가형성된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회전시 원래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연동되며 걸림부가 형성된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과 인접하여 상기 회전축의 결합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핀과, 상기 회동편과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단부는 상기 회동편의 걸림부에 걸리며 타측단부는 상기 핀에 걸리는 제 1 스프링과, 일측단부는 상기 핀에 걸리며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구에 걸리는 제 2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회동편은 돌기부가 더 형성되며, 핸들 역회전시 상기 돌기부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록킹시키도록 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는 핸들(20)이 결합되는 핸들결합구(1a)가 형성된 회전축(1)과, 상기 회전축(1)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회동편(3)과, 상기 회동편(3)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핀(5)과, 상기 회동편(3)과 인접하여 모티스(30)의 케이스(31) 내에 고정되는 고정구(6)와, 상기 회전축(1)에 삽입되어 핸들(20) 정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제 1 스프링(7)과, 상기회전축(1)에 삽입되어 핸들(20) 역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제 2 스프링(8)과, 핸들(20) 역회전시 도어를 록킹시키도록 하는 마이크로스위치(4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은 모티스(30)의 케이스(31)에 형성된 결합공(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핸들결합구(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결합구(1a)에 핸들(20)이 결합되어 회동되게 된다. 상기 회전축(1)의 상부와 하부에는, 모티스(30)의 케이스(31)에 형성된 결합구(3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1)과 결합되어 회전축(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은 상기 이탈방지구(2)에 결합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단(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에는 상기 회동편(3)이 결합되며, 상기 회동편(3)과 연동되도록 홈(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의 외주에 핸들(20) 정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제 1 스프링(7)과 핸들(20) 역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제 2 스프링(8)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회동편(3)은 내측에 키(3a)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과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핸들(20)과 연동되게 된다. 상기 회동편(3)의 좌측 즉 래치볼트(9)가 위치하는 일측에는 돌출부(3b)가 형성되어 링크(4)와 결합되어 있으며, 링크(4)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축(10)을 이동시켜 좌우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이동축(10)의 단부에는 래치볼트(9)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축(10)과 연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편(3)의 하측에는 핸들(20)이 정회전시 즉 래치볼트(9)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때에 상기 핀(5)에 걸려 핸들(20) 회전 각도를 제한하며, 핸들(20) 역회전시에는 고정구(6)에 걸리게 되어 핸들(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한턱(3c)이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동편(3)의 우측에는 돌기부(3d)가 형성되어 핸들(20) 역회전시 이 돌기부(3d)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마이크로스위치(40)는 데드볼트(미도시됨)를 작동시켜 도어를 잠그게 된다. 상기 회동편(3)의 상부에는 걸림부(3e)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3e)에 핸들(20) 정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제 1 스프링(7)의 일측단부가 걸리게 된다.
상기 핀(5)은 상기 회동편(3)의 돌출부(3b) 하부에 접하고 상기 회전축(1)의 결합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핀(5)은 케이스(31)에 형성된 아크(Arc)로 된 장공(34)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핀(5)에는 핸들(20) 정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상기 제 1 스프링(7)의 타측단부가 걸리게 된다. 핸들(20) 정회전시에 상기 핀(5)과 상기 회동편(3)의 걸림부(3e)에 걸린 코일스프링으로 된 제 1 스프링(7)이 인장하면서 핸들(20)에 탄성력을 부가시키며, 핸들(20)을 놓게 되면 이 탄성력에 의해 핸들(20)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상기 핀(5)은 핸들(20) 역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상기 제 2 스프링(8)의 일측단부가 걸리게 된다. 핸들(20)이 역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핀(5)은 상기 돌출부(3b)에 의해 하부로 밀려 케이스(31)에 형성된 아크(Arc)로 된 장공(34)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핀(5)이 장공(34)의 단부에 걸리게 되면 핸들(20)이 더 이상 역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장공(34)은 핸들(20) 역회전시의 회전각도를 약 10ㅀ 정도로 제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6)는 상기 회동편(3)과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3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6)는 상기 제 2 스프링(8)의 타측단부가 걸리게 된다. 핸들역회전시에 상기 핀(5)과 상기 고정구(6)에 걸린 코일스프링으로 된 상기 제 2 스프링(8)이 압축되면서 핸들에 탄성력을 부가시키며, 핸들(20)을 놓게 되면 이 탄성력에 의해 핸들(20)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6)는 핸들(20) 정회전시에 상기 회동편(3)에 형성된 돌기부(3d)가 걸리게 되어 핸들(20)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 1 스프링(7)은 상기 회전축(1)에 삽입되며 일측단부는 상기 회동편(3)의 걸림부(3e)에 걸리며 타측단부는 상기 핀(5)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 스프링(7)은 핸들(20) 정회전시 상기 걸림부(3e)와 상기 핀(5)에 의해 인장되게 되어 핸들(20)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20)을 놓게 되면 제 1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20)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제 2 스프링(8)은 상기 회전축(1)에 삽입되어 일측단부는 상기 핀(5)에 걸리며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구(6)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2 스프링(8)은 핸들(20) 역회전시 상기 핀(5)과 상기 고정구(6)에 의해 압축되게 되어 핸들(20)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20)을 놓게 되면 제 1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40)는 핸들(20) 역회전시 상기 돌기부(3d)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돌기부(3d)에 의해 작동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40)는 모터(미도시됨)에 의해 데드볼트(미도시됨)를 이동시켜 도어를 록킹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는 핸들 정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과 결합된 핸들(20)을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키게 되면, 회동편(3)에 형성된 돌출부(3b)와 결합된 링크(4)가 회전되고 링크(4)와 결합된 이동축(10)이 우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축(10)의 단부에 결합된 래치볼트(9)가 우로 이동되게 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핸들(20)을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리게 되면 회동편(3)의 하부에 형성된 제한턱(3c)이 핀(5)에 걸리게 되며 회동편(3)의 우측에 형성된 돌기부(3d)가 고정구(6)에 걸리게 되어 핸들(2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일측단부가 핀(5)에 걸리고 타측단부가 회동편(3)의 걸림부에 걸린 제 1 스프링(7)이 인장하면서 핸들(20)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20)을 놓게 되면 도 1과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4는 핸들 역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과 결합된 핸들(20)을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키게 되면, 회동편(3)에 형성된 돌출부(3b)의 하부에 위치한 핀(5)이 장공(34)을 따라 회동되며 회동편(3)에 형성된 돌기부(3d)가 마이크로스위치(40)를 작동시켜 도어를 록킹하게 된다. 핸들(20)을 반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리게 되면 핀(5)이 케이스(31)에 형성된 장공(34)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핸들(2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편(3)의 하부에 형성된 제한턱(3c)이 고정구(6)에 걸리게 되어 핸들(2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 일측단부가 핀(5)에 걸리고 타측단부가 고정구(6)에 걸린 제 2 스프링(8)이 압축되면서 핸들(20)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핸들(20)을 놓게 되면 도 1과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에 의하면, 핸들 회전시 복귀되도록 하는 이중 스프링구조를 모티스 내에 설치함으로써 역회전을 위하여 외부몸체에 별도의 스프링구조를 설치하지 않아 몸체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핸들 역회전시 잠금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잠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모티스(30)의 케이스(31) 내에 래치볼트(9)와 연동되는 핸들(20)이 결합되는 핸들결합구(1a)가 형성된 회전축(1)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20)의 회전시 원래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에 결합되어 연동되며 걸림부(3e)가 형성된 회동편(3)과,
    상기 회동편(3)과 인접하여 상기 회전축(1)의 결합방향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핀(5)과,
    상기 회동편(3)과 인접하여 상기 케이스(31) 내에 고정되는 고정구(6)와,
    상기 회전축(1)에 삽입되어 일측단부는 상기 회동편(3)의 걸림부(3e)에 걸리며 타측단부는 상기 핀(5)에 걸리는 제 1 스프링(7)과,
    상기 회전축(1)에 삽입되어 일측단부는 상기 핀(5)에 걸리며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구(6)에 걸리는 제 2 스프링(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3)은 돌기부(3d)가 더 형성되며,
    핸들(20) 역회전시 상기 돌기부(3d)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록킹시키도록 하는 마이크로스위치(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KR20-2004-0019320U 2004-07-07 2004-07-07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KR200363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320U KR200363728Y1 (ko) 2004-07-07 2004-07-07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320U KR200363728Y1 (ko) 2004-07-07 2004-07-07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728Y1 true KR200363728Y1 (ko) 2004-10-08

Family

ID=4943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320U KR200363728Y1 (ko) 2004-07-07 2004-07-07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7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273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KR100907641B1 (ko)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US6535380B1 (en) Portable computer with an unlatching member movable in either of two opposite directions to permit opening of a computer lid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JP6537409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錠装置及び開放支援機構付き錠装置を備えた引戸
AU2120201A (en) Lock mechanism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JP4823874B2 (ja) 電気錠
KR200363728Y1 (ko) 모티스에 설치되는 핸들 회전 구조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JP3421651B2 (ja) 引き出し回転操作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2136225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JP2005213888A (ja) 錠装置
JP3963992B2 (ja) 錠におけるサムターン軸の係止装置
KR102183383B1 (ko)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JPH0671811U (ja) 錠装置
KR100542641B1 (ko) 모티스록 잠금장치
JP7179361B2 (ja)
JP2017197990A (ja) 扉用の施解錠装置
JP4014215B2 (ja) ダブルロック機構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877394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