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42Y1 -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42Y1
KR200363642Y1 KR20-2004-0020611U KR20040020611U KR200363642Y1 KR 200363642 Y1 KR200363642 Y1 KR 200363642Y1 KR 20040020611 U KR20040020611 U KR 20040020611U KR 200363642 Y1 KR200363642 Y1 KR 200363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er
elastic
base
elastic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노하우뱅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하우뱅크(주) filed Critical 노하우뱅크(주)
Priority to KR20-2004-0020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의 제조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며 각기 다른 기종의 휴대 단말기와도 용이하게 전기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의하면, 접속단자 조립체(30)가 하우징(10)의 안착부(11)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31)와,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베이스(31)의 일면에서 핀 형태로 소정높이 돌출되되 이웃하는 것들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탄성돌기(32)와, 이 탄성돌기(32)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서트되며 일단은 탄성돌기(32)의 첨단으로 노출되어 배터리(41) 충전단자(42)와 전기 접속되고 타단은 PCB(20)측과 연결되는 와이어-핀(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BATTERY CHARGER}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종이 다른 휴대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전기적 접속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가 분리되면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접속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수단이기 때문에 효율성 및 반복적인 사용을 감안하여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기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는 배터리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접속단자가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 충전기용 접속단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강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 후 수차에 걸쳐 절곡시켜 충전기의 하우징(미도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와, 이 돌출부(1)의 단부에서 "U" 밴딩되어 돌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2)와, 이 탄성 지지부(2)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PCB(미도시)측과 전기 접속 고정되는 고정부(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접속단자를 충전기의 하우징내에 조립하면, 탄성 지지부(2)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돌출부(1)가 하우징 외측으로 항상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충전기의 하우징에 거치하면 접속단자의 돌출부(1)와 배터리측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충전기용 접속단자에서는 띠강판을 통해 돌출부(1)와 탄성 지지부(2) 및 고정부(3)를 갖도록 밴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의 제작과정이 난해한 것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당하게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1)와 탄성 지지부(2) 및 고정부(3)를 갖는 접속단자들을 일일이 조립하여 접속단자 조립체가 구성되기 때문에, 이의 조립과정이 난해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단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의 제조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며 각기 다른 기종의 휴대 단말기와도 용이하게 전기 접속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충전기의 접속단자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접속단자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어 접속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우징 11..안착부
20..PCB 30..접속단자 조립체
31..베이스 32..탄성돌기
33..와이어-핀 34..접속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단자와 전기 접속되도록 하우징의 안착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PCB의 충전회로와 접속되는 접속단자 조립체를 갖춘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접속단자 조립체는 하우징의 안착부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베이스의 일면에서 핀 형태로 소정높이 돌출되되 이웃하는 것들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탄성돌기와, 이 탄성돌기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서트되며 일단은 탄성돌기의 첨단으로 노출되어 배터리 충전단자와 전기 접속되고 타단은 PCB측과 연결되는 와이어-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핀의 일단에는 배터리 충전단자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돔 형태의 접속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돌기들은 베이스의 상면에 일체로 성형되며, 베이스 및 탄성돌기들은 절연성과 탄성 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수지 또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도록 안착부(11)가 마련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안착부(11) 일측에 마련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측과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단자 조립체(30)와,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PCB(20)를 갖추고 있다.
하우징(10)은 충전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이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안착부(1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안착부(11)의 양측에는 안착된 휴대 단말기를 자체 탄성력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탄성 걸림편(12)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 걸림편(12)의 탄성 걸림 작용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안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PCB(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여기에는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측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고 아울러 충전이 완료되면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는 충전회로 등이 인쇄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PCB의 마이컴에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한편, 접속단자 조립체(30)는 배터리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안착부(11)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31)와, 이 베이스(31)의 상면에서 소정높이로 돌출되며 이웃하는 것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탄성돌기(32)와, 이 탄성돌기(3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서트되어 배터리 충전단자와 전기 접속되는 와이어-핀(33)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31)는 하우징(10)의 안착부(11)에 안착 배치되는 직사각 블록 형태로 제작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안착부(11)의 하방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베이스(31)는 절연재(insulating material)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절연성을 갖는 실리콘 수지를 통해 탄성돌기(32)와 함께 일체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탄성돌기(32)들은 베이스(31)의 상면에서 배터리 충전단자 측을 향해 핀(pin) 타입으로 소정높이 돌출된 것으로, 이의 돌출높이는 5 ~ 10m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7mm로 하였다. 이러한 탄성돌기(32)들은 자체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외력이 제거되면 직립된 상태로 복원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절연성 및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실리콘 수지 또는 우레탄 고무를 통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31)와 함께 탄성돌기(32)들을 실리콘 수지를 통해 일체로 성형하였다. 또한, 이들의 일체 성형시 탄성돌기(32)들은 이웃하는 것들과 0.7 ~ 1mm 간격을 유지하도록 베이스(31) 상면 전역에 걸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와이어-핀(33)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탄성돌기(32)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서트(insert)되는 것으로, 이의 일단은 탄성돌기(32)의 첨단으로 노출되어 배터리 충전단자와 전기 접속되며, 이의 타단은 PCB(20)측 충전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도전성을 갖는 와이어-핀(33)은 베이스(31) 및 탄성돌기(32)의 성형 시 탄성돌기(32)의 내부에 인서트(insert)되도록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와이어-핀(33)의 일단에는 배터리 충전단자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돔 형태의 접속부(34)가 마련된다.
이러한 와이어-핀(33)은 유연하면서도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것에 의해 PCB(20)와 배터리 충전단자가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PCB(20)측과 접속된 와이어-핀(33)들은 초기에 무극성이지만, 배터리측 충전단자와 접속되게 되면 이러한 상태를 PCB(20)측 마이컴에서 판단하여 충전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사용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40)를 하우징(10)의 안착부(11)에 안착시킨다. 이 때, 하우징(10)의 안착부(11)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탄성 걸림턱(12)에 의해 휴대 단말기(40)가 견실하게 안착 고정됨과 동시에 배터리(41) 충전단자(42)와 접속단자 조립체(30)의 와이어-핀(33) 접속부(3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충전이 진행된다.
또한, 와이어-핀(33)과 함께 탄성돌기(32)는 휴대 단말기(40)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접속부(34)가 배터리(41) 충전단자(42)측과 탄력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탄성돌기(32)들이 탄성 변형되면서 이웃하는 것과 접하는 경우도 있지만, 탄성돌기(32) 자체는 절연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되어도 이웃하는 것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실제로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충전이 완료되어 하우징(10)의 안착부(11)에서부터 휴대 단말기(40)를 분리하면, 이들 상호간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됨과 동시에 탄성돌기(32)들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와이어-핀(33)과 함께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도 3참조).
이와 같이, 절연재를 통해 베이스(31)와 탄성돌기(32)를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탄성돌기(32)들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핀(33)을 인서트 구성함으로써, 접속단자 조립체(30) 부품을 일원화하여 제조 및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1)의 상면 전역에 걸쳐 탄성돌기(32)들을 일정하게 배열하면, 배터리(41) 충전단자(42)들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기종의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전기 접속하여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탄성 걸림편(12)을 통해 휴대 단말기(40)가 고정되는 타입의 충전기에 접속단자 조립체(30)가 장착된 것을 예로 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탄성 걸림편(12) 이외에 다른 고정수단을 통해 휴대 단말기(40)를 고정시켜도 접속단자 조립체(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의 접속단자 조립체에 의하면, 하우징의 안착부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절연재로이루어지며 베이스의 일면에서 핀 형태로 소정높이 돌출되되 이웃하는 것들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탄성돌기와, 이 탄성돌기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서트되며 일단은 탄성돌기의 첨단으로 노출되어 배터리 충전단자와 전기 접속되고 타단은 PCB측과 연결되는 와이어-핀을 포함한다.
따라서 절연재를 통해 베이스와 탄성돌기가 일체로 성형됨과 동시에 탄성돌기들 내부에 와이어-핀이 길이방향으로 인서트 구성됨으로써, 접속단자 조립체 부품이 일원화되어 제조 및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돌기들을 베이스의 상면 전역에 걸쳐 일정하게 배열하면, 배터리측 충전단자의 간격이 구애받지 않고 모든 기종의 휴대 단말기 배터리를 용이하게 전기 접속하여 충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단자와 전기 접속되도록 하우징의 안착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PCB의 충전회로와 접속되는 접속단자 조립체를 갖춘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 조립체(30)는;
    상기 하우징(10)의 안착부(11) 일측에 배치되는 베이스(31)와;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31)의 일면에서 핀 형태로 소정높이 돌출되되 이웃하는 것들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탄성돌기(32)와;
    상기 탄성돌기(32)들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서트되며, 일단은 상기 탄성돌기(32)의 첨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41) 충전단자(42)와 전기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PCB(20)측과 연결되는 와이어-핀(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핀(33)의 일단에는 상기 배터리(41) 충전단자(42)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돔 형태의 접속부(3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32)들은 상기 베이스(31)의 상면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베이스(31) 및 탄성돌기(32)들은 절연성과 탄성 복원력을 갖는 실리콘 수지 또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KR20-2004-0020611U 2004-07-20 2004-07-20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KR200363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611U KR200363642Y1 (ko) 2004-07-20 2004-07-20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611U KR200363642Y1 (ko) 2004-07-20 2004-07-20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42Y1 true KR200363642Y1 (ko) 2004-10-02

Family

ID=4943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611U KR200363642Y1 (ko) 2004-07-20 2004-07-20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58B1 (ko) * 2016-08-25 2017-04-12 최원종 공용 휴대폰 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58B1 (ko) * 2016-08-25 2017-04-12 최원종 공용 휴대폰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8516B2 (en)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US9385401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electrical hand tool device
EP1780825B1 (en) Battery pack and internal component arrangement within the battery pack for cordless power tool system
KR101329252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US8944845B2 (en) Power plug, electrical plug assembly and electrical charger assembly
JP3696070B2 (ja) 弾性接点を備える機器
CN110476271B (zh) 具有底部连接型托盘的电池组及其制造方法
CN101901942A (zh) 2种方形充电电池的充电器
KR100807412B1 (ko) 서로 다른 타입의 전원을 사용하는데 적합한, 휴대 장치용전원 장치
EP0545132B1 (en) Rechargeable power pack
US10541452B2 (en) Battery pack including circuit board having protruding surface
JP6571621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474486B1 (ko) 배터리용 커넥터
CN101027819A (zh) 用于附连到导电连接器上的可附连电池组
KR101023898B1 (ko) 이차 전지
KR200363642Y1 (ko)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KR101720403B1 (ko) 원형전지 충방전 지그
KR101084947B1 (ko)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EP1406323A2 (en) Terminal and battery containing said terminal
CN213278476U (zh) 扁插端子及电连接器
US20040018426A1 (en) Terminal and battery containing said terminal
KR102477215B1 (ko) 배터리 팩 모듈
KR200157400Y1 (ko)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KR20020077293A (ko) 배터리셀의 전원경로형성구조
JP2009177853A (ja) 充電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