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301Y1 -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 Google Patents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301Y1
KR200363301Y1 KR20-2004-0019700U KR20040019700U KR200363301Y1 KR 200363301 Y1 KR200363301 Y1 KR 200363301Y1 KR 20040019700 U KR20040019700 U KR 20040019700U KR 200363301 Y1 KR200363301 Y1 KR 200363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clock
coupled
stitch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란
Original Assignee
박경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란 filed Critical 박경란
Priority to KR20-2004-0019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3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0Ornamental shape of the graduations or the surface of the dial; Attachment of the graduations to the di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9/00Frameworks
    • G04B29/04Connecting or supporting par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76Decoration of the case and of parts thereof, e.g. as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에 관한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전면에 십자수판이 결합되고, 하부측에 받침대가 결합된 시계본체의 전면에 투명커버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본체의 외곽틀에 일치하도록 상기 투명커버체의 후면에 틀체를 일체로 구성하여 먼지등의 이물이 본체 내부의 십자수판에 유입되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장식물의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를 장구히 유지할수 있게 한 이물 유입방지 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The cruciform possibility clock which has a foreign material influx prevention structure}
본 고안은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에 관한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전면에 십자수판이 결합되고, 하부측에 받침대가 결합된 시계본체의 전면에 투명커버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본체의 외곽틀에 일치하도록 상기 투명커버체의 후면에 틀체를 일체로 구성하여 먼지등의 이물이 본체 내부의 십자수판에 유입되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장식물의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를 장구히 유지할수 있게한 이물 유입방지 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에 관한것이다.
통상 아이다라고 불리우는 십자수판 원단에 X 자로 수를 놓아 문자, 캐릭터, 각종 도안등을 여러 색상의 십자수 실로 수를 놓아 열쇠고리, 액자, 각종 차량용품 및 베개, 방석등 생활주변의 의미있는 장식물로 상품화 시키는것이 대중화 되고 있다.
이러한 십자수 원단을 이용한 탁상용 십자수 장식 시계도 여러 회사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 시판되고 있는데,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십자수의 입체감 내지 사실감을 살리기 위해 시계판의 전면에 별도의 커버체가 없이 유통,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경과되면 먼지등의 이물이 끼어 장식미를 떨어뜨리거나 오염으로 인한 변색이 가해져 사용자로 하여금 교체 내지 폐기 하게 함으로서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먼지등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전면에 투명 유리재 또는 투명 아크릴재로 된 판체를 결합하고 있는데, 이는 본체의 전면 네모서리부 가장자리에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를 결합시키고 그 각 봉체의 선단에 투명유리 또는 투명아크릴재의 판체를 체결공을 통해 결합고 있다.
그러나 이는 구조적으로 시계본체의 전면에 봉체에 의한 단순 결합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판체와 본체 사이에 간격이 유지된채 방치되고 있기 때문에 이물 유입방지 구조라기보다는 또 다른 장식미를 구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사이간격을 통해 먼지등의 이물이 유입되어 종래의 문제를 해소 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십자수를 이용한 장식용 시계가 갖는 구조적 결함으로 부터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시계본체의 전면에 투명커버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본체의 외곽틀에 일치하도록 상기 투명커버체의 후면에 틀체를 일체로 구성하여 먼지등의 이물이 본체 내부의 십자수판에 유입되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장식물의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를 장구히 유지할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5는 도4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십자수원판,
2 : 시계체,
3 : 받침대,
4 : 시계 본체,
5 : 투명커버체,
6 : 틀체,
7 : 나사,
41 : 외곽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에 십자수판(1)이 결합되고, 후면중앙에 시계체(2)가 결합되며, 하부측에 받침대(3)가 결합된 시계본체(4)의 전면에 투명커버체(5)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시계본체(4)의 외곽틀(41)에 일치하도록 상기 투명커버체(5)의 후면에 틀체(6)를 일체로 구성하여 나사(7)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로서, 21 은 시계바늘, 11 은 십자수판에 형성된 장식부, 42 는 시계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구성함에 있어, 시계본체(4)는 아크릴판 혹은 제조 원가의 절감을 위해 집성목등의 합판을 주 소재로 구성하여 이룰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기울기를 갖는 받침대(3)를 나사 체결하고 전면에 십자수원판(1)을 통상의 방법으로 고착한후, 후면에 결합되는 시계체(2)의 바늘(21) 결합공을 천공하여 결합하여 주면 시계본체(4)의 결합작업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룰수 있다.
이때에는 첨부 도면 도1과 같이 십자수 원판(1)에 각종 장식부(11)가 구성완료 되어 있어야하고 식별을 위한 시계문자판등의 부착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용이한 조립작업을 위해서는 시계본체(4)의 뒷부분에 지지판을 덧대 걸림턱(4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유리 또는 아크릴재로 된 투명커버체(5)를 시계본체(4)와 결합시켜주면 되는데,
이때 투명커버체(5)의 후면에 일체로 구성된 틀체(6)가 시계본체(4)의 외곽틀(41)에 끼워져 걸림턱(42)에 일치되는 상태로 지지되면 그 양측에서 각각 나사(7)결합하여준다.
이와같은 투명커버체(5)의 후면에 결합된 틀체(6)는 사용시 먼지등의 이물이 본체 내부의 십자수판(1)에 유입되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장식물의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를 장구히 유지할수 있게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4 및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및 그 배면 사시도로서, 전면에 십자수판(1)이 결합되고, 후면중앙에 시계체(2)가 결합되는 시계본체(4)를 "ㄷ"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시계본체(4)를 투명커버체(5)에 삽입시켜 상,하부에서 나사(7)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투명커버체(5)의 외곽틀(41) 하부에는 좌 또는 우로 회전하여 절첩가능한 받침대(3)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는 시계본체(4)를 간단히 절곡하여 그 전면에 십자수판을 부착하고 시계체(2)와 결합되는 시계바늘등을 결합한후, 투명커버체(5)에 일체로 구성된 외곽틀(41)에 내 삽입시키고, 그 상하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나사(7)결합시켜주면 되는데,
이때 하부측 나사(7)결합시 받침대(3)를 그와 함께 결합시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 하였다.
이러한 것은 그 설치, 사용되는 공간에 따라 탁상용 혹은 벽시계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한데, 탁상용으로 사용 할 경우에는 받침대(3)를 회전시켜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입설시키면 투명 커버체(5)와, 외곽틀(41)이 단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3)가 외곽틀(41)의 후방으로 연장결합된 상태를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경사각을 유지하는 채로 지지되어진다.
또한 벽시계로 사용 할 경우에는 벽면에 미리 못 등의 걸이수단을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3)를 일측으로 접어 절첩한후, 그대로 걸어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측에 결합되어 있는 나사(7)에 고리등의 걸이수단(미도시 하였음)을 별도 부착하여 이를 벽면에 고정된 못등에 걸어 사용 하면 된다.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본 고안과 동일 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시계본체의 전면에 투명커버체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본체의 외곽틀에 일치하도록 상기 투명커버체의 후면에 틀체를 일체로 구성하여 먼지등의 이물이 본체 내부의 십자수판에 유입됨으로 인한 십자수판의 오염을 방지함으로서 장식물의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를 장구히 유지할수 있게 되는등의 유용한 효가 있다.

Claims (2)

  1. 전면에 십자수판(1)이 결합되고, 후면중앙에 시계체(2)가 결합되며, 하부측에 받침대(3)가 결합된 시계본체(4)의 전면에 투명커버체(5)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시계본체(4)의 외곽틀(41)에 일치하도록 상기 투명커버체(5)의 후면에 틀체(6)를 일체로 구성하여 나사(7)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시계본체(4)를 "ㄷ"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시계본체(4)를 투명커버체(5)에 삽입시켜 상,하부에서 나사(7)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투명커버체(5)의 외곽틀(41) 하부에는 좌 또는 우로 회전하여 절첩가능한 받침대(3)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KR20-2004-0019700U 2004-07-10 2004-07-10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KR200363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700U KR200363301Y1 (ko) 2004-07-10 2004-07-10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700U KR200363301Y1 (ko) 2004-07-10 2004-07-10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301Y1 true KR200363301Y1 (ko) 2004-10-01

Family

ID=4943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700U KR200363301Y1 (ko) 2004-07-10 2004-07-10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3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14Y1 (ko) * 2014-06-09 2014-09-04 이형우 원단이 구비된 시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14Y1 (ko) * 2014-06-09 2014-09-04 이형우 원단이 구비된 시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3301Y1 (ko) 이물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십자수 시계
KR200464550Y1 (ko) 양면 분리형 액자
USD508695S1 (en) Decorative personal computer frame
USD500450S1 (en) Watchcase
KR200173658Y1 (ko) 부착식 액자
USD503025S1 (en) Coin holder
KR101213536B1 (ko) 액자
KR200305133Y1 (ko) 박스형 아크릴 액자
KR200397351Y1 (ko) 시계 또는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KR200242041Y1 (ko) 액자
KR200267378Y1 (ko) 상패
JP4767662B2 (ja) 鑑賞用版木
KR100452929B1 (ko) 액자 및 탈, 부착이 가능한 액자 프레임
JP2018033865A (ja) 収納家具及び装飾シート
JP2005336770A (ja) 衝立
JP7157442B2 (ja) 叙勲用額縁
KR200337695Y1 (ko) 액자
KR20100005131U (ko) 다용도 액자
JP2006034480A (ja) 展示用パネル
KR20180074954A (ko)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KR19980055928U (ko) 발포수지로 형성된 액자의 구조
GB2485821A (en) Clock with decorative panel
JP3054307U (ja) 裸石ケース
KR200317254Y1 (ko) 얼룩말무늬를 갖는 틀재로 조립된 액자
USD549852S1 (en) Door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