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774Y1 -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 Google Patents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774Y1
KR200362774Y1 KR20-2004-0016629U KR20040016629U KR200362774Y1 KR 200362774 Y1 KR200362774 Y1 KR 200362774Y1 KR 20040016629 U KR20040016629 U KR 20040016629U KR 200362774 Y1 KR200362774 Y1 KR 200362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partition
aeration tank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석
고나영
Original Assignee
고명석
고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석, 고나영 filed Critical 고명석
Priority to KR20-2004-0016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42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 C02F3/1247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comprising circular tanks with elements, e.g. decanters, aeration basins, in the form of segments, crowns or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E 수지로 일체형이 되게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오수를 처리하는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일체형의 몸체 내부에 3등분되는 일체형의 내부몸체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생활하수나 분뇨를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피이(P.E)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제1 폭기조와 제2 폭기조가 제1 칸막이로 구획되며, 제2 폭기조와 침전조가 제2 칸막이로 구획되도록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내부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는 P.E 수지로 이루어지며 세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제1 폭기조의 저면으로 중앙 급수파이프를 연결하여 부패조의 오수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A cylindrical sewage disposal waterpurifier tank}
본 고안은 P.E 수지로 일체형이 되게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오수를 처리하는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일체형의 몸체 내부에 3등분되는 일체형의 내부몸체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생활하수나 분뇨를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피이(P.E)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오수처리용 정화조는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생활오수나 분뇨 등을 정화하기 위해 정화조의 내부에 다단계의 처리조는 갖도록 하는 것이며, 다단계의 처리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칸막이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오수처리용 정화조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칸막이를 삽입하고 그 칸막이와 몸체가 만나는 부분을 용융수지로 마감하여 융착시키는 구조를갖게 된다.
그러나 몸체와 칸막이가 만나는 부분을 융착한 것이므로 작업을 위한 시간의 소모가 많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점과, 이동과정이나 설치된 이후에 외부에서 작용하는 토압으로 인하여 몸체와 칸막이가 만나는 부분의 융착부분이 벌어지면서 각 처리조를 분리한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정화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대부분의 오수처리용 정화조는 지면을 넓게 파내야 하므로 작업범위가 넓고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서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단독 정화조의 경우에는 오수처리가 불가능하므로 별도의 오수처리장치를 설치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몸체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획된 내부몸체를 삽입하여 세로 원통형의 오수처리용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와 내부몸체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어서 각 실간에 토압으로 인하여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서 내용물이 서로 혼합되어 정화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 단독정화조에 설치된 상부몸체를 제거하고 본 고안의 내부몸체를 설치하면 생활오수나 분뇨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처리용 정화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제1 폭기조와 제2 폭기조가 제1 칸막이로 구획되며, 제2 폭기조와 침전조가 제2 칸막이로 구획되도록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내부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는 P.E 수지로 이루어지며 세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제1 폭기조의 저면으로 중앙 급수파이프를 연결하여 부패조의 오수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내부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수처리 정화조 200 : 몸체
210 : 부패조 220 : 입수파이프
230 : 보강띠 240 : 급수파이프
250 : 테두리 260 : 출수파이프
300 : 내부몸체 310 : 제1 폭기조
320 : 제2 폭기조 330 : 침전조
340 : 제1 칸막이 350 : 제2 칸막이
360 : 경사면 370 : 반송파이프
380 : 중앙 급수파이프 390 : 내부 테두리
400 : 덮개 410 : 중앙뚜껑
420 : 보조뚜껑 430 : 배출관
440 : 배출구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에서 수거된 비닐이나 각종 폐플라스틱을 용융시킨 P.E수지를 금형에 공급하여 외부에 다수의 보강대(230)가 형성되는 몸체(200)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200)의 외측에는 테두리(2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입수파이프(230)와 출수파이프(260)가 연결되도록 구멍이 성형된다.
상기 몸체(200)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보강대(230)에 의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며, 바닥에도 보강대를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200)의 상측 내부에는 테두리(250)에 걸려 설치되는 내부몸체(300)를 조립한다.
상기 내부몸체(300)는 몸체(200)와 같이 폐비닐이나 각종 폐플라스틱을 용융시킨 P.E 수지를 금형에 공급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몸체(300)는 몸체(200)의 길이에 비하여 1/2∼1/4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몸체(300)는 제1 폭기조(310)와 제2 폭기조(320) 및 침전조(330)로 구획되는 것이며, 제1 폭기조(310)와 제2 폭기조(320)의 사이에 일체형의 제1 칸막이(340)가 형성되고, 제2 폭기조(320)와 침전조(330)의 사이에는 제2 칸막이(350)가 형성되어 구획되는 것이다.
내부몸체(300)의 제1 폭기조(310)와 제2 폭기조(320) 및 침전조(330)는 그 기능에 따라서 각각의 크기를 서로 달리할 수 있는 것이며,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어서 외부의 충격이나 토압에 의하여 쉽게 서로 서로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제1 칸막이(340)와 제2 칸막이(350)는 오수가 흘러 넘치도록 성형되는 것이며, 침전조(330)의 하측 한쪽에 경사면(360)을 형성하여 찌꺼기가 침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침전조(330)와 몸체(200)의 내부에서 주류를 이루는 부패조(210)는 내부몸체(300)의 하측에 위치하며 반송파이프(370)가 연결되어 침전조(330)의 침전물이 부패조(210)에 반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몸체(300)의 상측에는 다수의 홈(500, 510, 520)을 형성하여 입수파이프(220)가 부패조(210)에 연결되도록 하며, 반송파이프(270)가 관통되는 동시에 내부를 청소하는 공간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몸체(200)의 상측에는 덮개(4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앙뚜껑(410)이 설치되고 일측으로 보조뚜껑(4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배출관(43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430)의 상측에는 배출구(440)가 연결되어 있어서 몸체(2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패조(210)의 일측으로 급수파이프(240)를 설치하되 선단이 부패조(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측은 제1 폭기조(310)에 오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제1 폭기조(310)에는 급수파이프(240)를 통하여 오수를 공급할 수 있지만, 도 3 과 같이 제1 폭기조(310)의 바닥부분을 관통하여 중앙 급수파이프(38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 폭기조(310)의 내부를 통하여 오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일반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나 분뇨는 입수파이프(220)를 통하여 오수처리 정화조(100)에 공급되어 정화된 후 출수파이프(26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입수파이프(220)를 통하여 입수된 오수는 부패조(210)에 공급되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부패되는 것이며, 1차로 정화된 오수는 중앙부분에 위치한 급수파이프(240)를 통하여 수위에 의해 자연적으로 제1 폭기조(310)로 이동되어 도시하지 않은 폭기장치를 통하여 저면에서 폭기에 의한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 폭기조(310)에서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는 오수는 자연적으로 제1 칸막이(340)를 통하여 제2 폭기조(320)에 공급되는 것이며, 제2 폭기조(320) 역시 도시하지 않은 폭기장치를 통하여 저면에서 폭기에 의한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2 폭기조(320)에서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는 오수는 자연적으로 제2 칸막이(350)를 통하여 침전조(330)에 공급되는 것이며, 침전조(330)에서는 침전물은 바닥으로 침전되고 정화된 오수는 출구파이프(2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침전조(330)에 침전되는 침전물은 반송파이프(370)를 통하여 부패조(210)에 반송되어 재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부패조(210)는 1년에 1회 정도 내용물을 모두 배출하는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부패조(210)를 이루는 몸체(200)와 내부몸체(200)는 P.E 수지를 공급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며, 몸체(200)가 세로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것이어서 좁은 면적에도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특히, 내부몸체(300)는 3칸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몸체(200)의 상측에서 테두리(250)와 내부 테두리(390)의 조합으로 간편하게 조립되는 것이어서 조립시간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부몸체(300)는 3칸으로 구획되는 제1 칸막이(340)와 제2 칸막이(350)가 일체형으로 한번에 성형되는 것이므로 오수가 상호 혼합되지 않아서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몸체(300)는 기존의 단독 정화조에서 상부몸체를 제거하고 몸체(200)의 상측으로 설치하면 분뇨만 정화하도록 설치된 정화조를 구비한 각 가정에서는 생활오수까지도 함께 처리할 수 있는 오수처리용 정화조(100)를 겸용으로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칸막이(340)와 제2 칸막이(350)에 의하여 오수가 자연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였으나,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341, 251)을 설치하여 구멍(341, 351)으로 오수가 이동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몸체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획된 내부몸체를 삽입하여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세로 원통형의 오수처리용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와 내부몸체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어서 각 실간에 토압으로 인하여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서 오수가 서로 혼합되어 정화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거하므로 정화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 단독정화조에 설치된 상부몸체를 제거하고 본 고안의 내부몸체를 설치하면 생활오수나 분뇨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처리용 정화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

  1. 외부에 다수의 보강대(230)를 갖고 입수파이프(220)와 출수파이프(260)가 연결되는 몸체(200)의 내부에 부패조(210)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오수 또는 분뇨를 정화시키도록 하는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며 제1 폭기조(310)와 제2 폭기조(320)가 제1 칸막이(340)로 구획되며, 제2 폭기조(320)와 침전조(330)가 제2 칸막이(350)로 구획되도록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내부몸체(3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200)는 P.E 수지로 이루어지며 세로 원통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폭기조(310)의 저면으로 중앙 급수파이프(380)를 연결하여 부패조(210)의 오수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KR20-2004-0016629U 2004-06-14 2004-06-14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KR200362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29U KR200362774Y1 (ko) 2004-06-14 2004-06-14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29U KR200362774Y1 (ko) 2004-06-14 2004-06-14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774Y1 true KR200362774Y1 (ko) 2004-09-22

Family

ID=4935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629U KR200362774Y1 (ko) 2004-06-14 2004-06-14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93B1 (ko) * 2014-08-22 2016-04-22 경기도 컴팩트형 하폐수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93B1 (ko) * 2014-08-22 2016-04-22 경기도 컴팩트형 하폐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996B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수처리 설비
CN104082211B (zh) 平位三渠道循环水养鱼方法
PT1128885E (pt) Dispositivo, do tipo com três camadas, para purificação de líquidos
KR100820863B1 (ko)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시설
CN204151142U (zh) 一种序批式生化污水处理装置
JP4812354B2 (ja) 水移送ポンプ、水処理装置
CN2825619Y (zh) 废水处理装置
KR200362774Y1 (ko) 피이 세로 원통형 오수처리 정화조
CN205933554U (zh) 固态生物膜反应器污水处理系统
CN212212250U (zh) 一种水生植物的循环生态系统
KR20140022173A (ko) 분뇨처리장치
CN108338108B (zh) 水净化处理环保养殖网箱
CN207158903U (zh) 一种多级过滤的玻璃钢化粪池硬化污物处理机
CN206486397U (zh) 一种餐消废水处理装置
CN221191712U (zh) 一种玻璃钢隔油池
CN202297267U (zh) 一种新型除垢杀菌防腐无阀精滤机
CN206255957U (zh) 一种高效一体化废水净化装置
CN205821021U (zh) 生活污水油水分离一体化处理装置
KR200221281Y1 (ko) 오수처리조용 일체형 내부조의 조립구조
CN219652837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反应池
CN219929675U (zh) 一种污水净化杀菌箱
FI115044B (fi) Jätevedenkäsittely-yksikkö
CN210825609U (zh) 一种脱氮除磷污水处理装置
CN108408908A (zh) 一种一体化小型污水处理装置和污水处理方法
CN214389013U (zh) 膜池净水处理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