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765Y1 - 합체식 플랫폼 - Google Patents
합체식 플랫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2765Y1 KR200362765Y1 KR20-2004-0016465U KR20040016465U KR200362765Y1 KR 200362765 Y1 KR200362765 Y1 KR 200362765Y1 KR 20040016465 U KR20040016465 U KR 20040016465U KR 200362765 Y1 KR200362765 Y1 KR 2003627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s
- block
- platform
- pair
- fac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시추선의 플랫폼(Platform) 또는 일반 바지(Barge)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에 대한 것으로, 마주보는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들이 마주보고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분할된 블록들 및 마주보는 연결용 브래킷들을 통해 이웃하는 블록들을 일체로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분해하여 이웃하는 블록들과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분해하여 육상이송이 가능하고, 분해 및 합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고, 조립식임에도 불구하고 중앙부의 강도가 크고 대부분의 각 블록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른 블록과 연결되므로 부분적으로 파손되더라도 전체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상작업을 위한 시추선(Self Elevating Platform, 일명 S·E·P Barge로도 칭해짐)의 플랫폼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플랫폼(Platfor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시추, 연구 등을 위해 시추선을 띄워 해상의 작업위치에 고정시킨 후 작업하게 된다. 이러한 시추선은 연안 해역이나 내륙의 하천, 강 등의 수역에서 해저 또는 하저의 지층을 굴착하거나 해상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파일(Pile)을 박는데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시추선은 작업도구를 배치하고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platform)과, 이 플랫폼을 수상에 띄워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포스트(post)로 구성된다. 물론, 플랫폼도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부력을 가지며, 플랫폼 자체만으로 바지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플랫폼은 포스트에서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포스트와 대응되는 플랫폼의 측면에는 클램프가 마련되어 있다. 클램프는 플랫폼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옮겨가며 플랫폼을조절된 높이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플랫폼은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탑재된다. 이러한 플랫폼은 작업하기에 충분한 상당한 넓은 면적과 탑재된 하중을 견디기 위해 견고한 강철구조물로 제작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시추선의 플랫폼은 부피가 커서 이동시 육상운송이 불가능하다. 특히, 플랫폼은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의 운송수단에 탑재가 곤란할 정도로 부피가 커서 해체하지 않고는 위와 같은 육상운송수단으로는 운반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플랫폼은 통상 강철빔들을 용접에 의해 결합시켜 요구하는 넓고 견고한 철구조물로 제작되므로, 실질적으로 해체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시추선의 플랫폼은 통상 해상으로 운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해상운반은 육상운반에 비해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기상조건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해상일기가 좋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해일이 일거나 바람이 거셀 때에는 배의 운항이 불가능하여 운반을 하지 못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기상조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육상을 통해 시추선을 운반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트럭 등에 탑재하여 간편하게 육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요되는 볼트와 너트의 개수를 줄여 조립과 해체에 시간이 적게 소요되면서도 연결강도는 뛰어난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된 블록들을 트럭에 탑재하기 용이한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블록이 적어도 3개 이상의 인접 블록과 연결되도록 하여 일부 블록과의 연결강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전체적으로 큰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분적으로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블록만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나머지 목적은 연결부위가 중앙부에 집중되지 않아 연결로 인한 중앙부의 강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는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합체식 플랫폼을 갖는 시추선의 정면도 및 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합체식 플랫폼의 분할된 각 블록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합체식 플랫폼의 체결구성부분을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서 합체식 플랫폼의 각 블록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5는 1개의 체결공을 갖는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도 6b는 블록배치의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시추선 110 : 플랫폼
112 : 구멍 120 : 제 1블록
130 : 제 2블록 140 : 제 3블록
150 : 브래킷 152 : 체결공
160 : 체결수단 162 : 볼트
164 : 너트 170 : 포스트
본 고안에 따른 합체식 플랫폼은 마주보는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들이 마주보고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분할된 블록들 및 마주보는 상기 연결용 브래킷들을 통해 이웃하는 블록들을 일체로 연결하며 분해하여 상기 이웃하는 블록들과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연결용 브래킷은 구멍이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서 상기 전면판과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 바닥판과 상기 전면판의 측면과 바닥판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판을 받쳐주는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들은 안쪽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들이 설치되어 있고 간격을 두는 한 쌍의 제 1블록들, 상기 제 1블록들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하여 상기 제 1블록들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블록들과 마주보는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들이 설치된 제 2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한 쌍의 제 2블록들은 상기 한 쌍의 제 1블록들의 양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블록들과 마주보는 부분과 내측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블록들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제 2블록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블록들과 접하는 부위와 상기 제 2블록들과 접하는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이 설치된 한 쌍의 제 3블록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제 2블록과 상기 제 3블록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블록 길이의 절반이고, 상기 제 2블록과 상기 제 3블록의 폭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블록과 상기 제 3블록의 길이의 절반이고, 상기 제 2블록은 상기 제 1블록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블록은 상기 제 1블록에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용 브래킷은 상기 블록들의 모서리 부위와 다른 블록의 모서리와 마주보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블록들의 바깥쪽 모서리 부근에 포스트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플랫폼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조각들의 합체되는 대응부위에 결합공이 형성된 브래킷을 마련하여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 합체시킴으로써 해체가 용이하여 육상운송 시 플랫폼 또는 바지를 해체하여 트럭 등에 탑재하여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과,
합체 또는 분해 시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의 개수를 적게 함으로서 신속하게 합체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대부분의 블록들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이웃하는 블록들과 연결되도록 하여 어느 한 블록과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더라도 전체 구조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과,
중앙부위에 연결부위가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중앙부의 강도 저하를 줄인 것과,
부분적으로 파손 시 파손된 부분만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합체식 플랫폼을 갖는 시추선의 정면도 및 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합체식 플랫폼의 분할된 각 블록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합체식 플랫폼의 체결구성부분을 발췌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서 합체식 플랫폼의 각 블록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시추선은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에 필요한 장비들이 안착되어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인 플랫폼(110)과, 이 플랫폼(110)을 지지하면서 수상에서 부상시키는 포스트(170)들을 구비하고 있다. 포스트(170)들은 플랫폼(110)의 사방모서리에 형성된 구멍(112)들에 4개를 배치하여 플랫폼(110)을 지지하는 것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플랫폼(110)을 블록(120, 130, 140)들로 분할하여 합체시켜 구성한다. 각 블록(120, 130, 140)들은 개별적으로 부력을 가진다. 이러한 블록(120, 130, 140)들은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의 육상운송수단에 적재가 가능한 크기, 특히 폭을 위의 육상운송수단의 적재함 폭보다 작게 되도록 분할한다. 이렇게 분할된 블록(120, 130, 140)들의 합체대응부위에는 마주보게 체결공(152)들이 형성된 브래킷(150)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브래킷(150)은 각 블록(120, 130, 140)들에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브래킷(150)들의 체결공(152)들을 맞대고 체결수단(160)을 사용하여 이웃 블록(120, 130, 140)들과 결합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체결수단(160)으로는 볼트(162)와 너트(16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합체되는 블록(120, 130, 140)들의 마주보는 브래킷(150)의 체결공(152)의 어느 일측에 암나선을 형성하여 볼트를 체결하여 이웃한 두 블록들을 합체시키거나 별도로 고안된 클램프가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플랫폼(110)의 분할은 예를 들어, 플랫폼(110)의 길이(㎜) ×폭(㎜) ×높이(㎜)가 8,800 ×8,800 ×1,380이라면 길이(㎜) ×폭(㎜) ×높이(㎜) = 8,800 ×2,200 ×1,380인 한 쌍의 제 1블록(120)들을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제 1블록(120)들의 양단 사이에 길이 × 폭 = 4,400 ×2,200인 한 쌍의 제 2블록(130)들을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그 사이에 제 2블록(130)들과 같은 규격의 한 쌍의 제 3블록(140)들을 세로로 이웃하도록 배치하여 이웃하는 블록(120, 130)의 마주보는 부분에 설치된 연결용 브래킷(150)들을 통해 서로 연결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크기의 플랫폼(110)에서 볼트(162)는 직경이 30㎜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연결하는 경우 상부쪽 16개, 하부쪽 16개 총 32개 정도의 볼트(162)와 너트(164)가 필요하다. 플랫폼(110)의 규격이 커지는 경우 브래킷(150)과 볼트(162)와 너트(164)의 수는 증가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110)에 소요되는 볼트(162)와 너트(164)의 수는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대체로 20 ∼ 50개 정도로 매우 적다. 이에 따라 블록(120, 130, 140)들을 신속하게 합체하여 플랫폼(110)을 만들거나 플랫폼(110)을 여러 개의 블록(120, 130, 140)들로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는 경우, 플랫폼(110)은 6개의 블록(120, 130, 140)들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각의 블록(120, 130, 140)들의 폭 W1~W6은 동일한 크기를 갖게 된다. 그로 인해, 블록(120, 130, 140)들의 폭은 적어도 트럭 등의 적재함 폭보다 작게 되고, 적재함에 쉽게 적재가 가능한 크기가 된다. 상기와 같은 규격의 플랫폼(110)을 갖는 시추선의 육상 이송에는 통상적으로 적재함의 폭이 2.3m 정도이고 길이가 9m 정도인 트럭이 적당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120, 130, 140)들은 상하좌우 및 중간부분으로 분할시킨 것은 체결수단(160)에 의해 각 블록(120, 130, 140)들을 결합시켜 합체시킨 경우 각 블록(120, 130, 140)은 적어도 3개의 이웃하는 블록(120, 130, 140)들과 연결되도록 하여 어느 한 블록(120, 130, 140)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160)이 파손되어도 적어도 다른 2개 이상의 블록(120, 130, 140)들과는 결합되어 있어 결합력이 배가되게 하고, 외력이 플랫폼(110)의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여도 외력에 대한 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블록(120, 130, 140)들을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만 모두 평행하게 분할하여 합체시킨다면 중앙부의 연결부위의 연결 강도가 약해 중앙부분이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110)은 한 쌍의 제 2블록(130)들이 제 1블록(120)들 사이를 가로로 설치되어 있어 플랫폼(110) 좌, 우 중앙부의 강도를 일정부분 담당하고 있으므로 일체식의 플랫폼에 비해서 플랫폼(110)의 중앙부의 강도가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플랫폼(110)의 각 블록(120, 130, 140)들에는 이웃하는 블록(120, 130, 140)들과 대응되는 부위에 브래킷(150)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150)들을 볼트(162) 및 너트(164)로 체결하는데, 브래킷(150) 및 볼트(162)와 너트(164)의 위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블록(120, 130, 140)의 모서리 부근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모서리 부근에는 수직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강도가 크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플랫폼(110)은 위와 같은 분할방식 외에도 상하방향으로 1/4의 폭을 갖는 상하 2개의 블록들과 중간부위를 수직방향으로 균등하게 3분할하여 구성할수도 있다. 이외에도 육상운송수단의 적재함에 실을 수 있는 폭이 될 수 있으면 분할방식과 분할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과 도 4a∼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50)은 체결공(152)이 형성된 전면판(153)과 전면판(153)의 하단에 전면판(153)에 수직하게 연결된 바닥판(155)과 전면판(153)의 측면과 바닥판(155)의 측면에 연결되어 전면판(153)을 받쳐주는 한 쌍의 측면판(157)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측면판(157)은 대략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두 측면판(157) 사이에 측면판(157)과 같은 모양을 가지는 중앙 보강판(159)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1개의 체결공을 갖는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플랫폼(110)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 1개의 체결공(152)이 형성된 전면판(153a)과 전면판(153a)의 하단에 연결되고 전면판(153a)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바닥판(155a)과 그 양측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판(157a)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나머지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 위에서 설명한 브래킷(150, 150a)들은 블록(120, 130, 140)의 가장자리에서 블록(120, 130, 140)의 표면 위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 블록(120, 130, 140)의 가장자리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브래킷(150, 150a)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렇게 하는 경우 브래킷(150, 150a)이 플랫폼(110)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6a∼도 6b는 블록배치의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블록(120)들을 간격을 두고 세로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제 2블록(130)들을 가로로 배치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브래킷(150)과 체결수단(160)을 이용하여 연결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제 1블록(120)을 가로로 배치하고, 그 일측면에 제 2블록(130)들을 세로로 배치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브래킷(150)과 체결수단(160)을 이용하여 연결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플랫폼은 일반 바지(Barge)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 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 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 받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체식 플랫폼을 갖는 시추선은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의 육상운송수단에 적재가 가능한 크기로 분할된 플랫폼의 각 조각들을 합체시켜 완성되므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플랫폼의 각 블록들을 육상운송수단에 적재시켜 육로를 통해 사용장소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상조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든지 운반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은 연결부위가 중앙 부근에 집중되어 있지 않아 중앙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적다.
또한, 사용 중에 플랫폼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약 20∼50개 정도의 적은 수의 볼트와 너트만으로도 플랫폼을 합체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합체 및 조립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장점도 가진다.
대부분의 각 블록들을 적어도 3개 이상의 이웃하는 블록들과 연결되므로 어느 한 블록과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더라도 플랫폼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8)
- 마주보는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들이 마주보고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분할된 블록들; 및마주보는 상기 연결용 브래킷들을 통해 이웃하는 블록들을 일체로 연결하며 분해하여 상기 이웃하는 블록들과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합체식 플랫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브래킷은 구멍이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서 상기 전면판과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 바닥판과 상기 전면판의 측면과 바닥판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판을 받쳐주는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합체식 플랫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안쪽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들이 설치되어 있고 간격을 두는 한 쌍의 제 1블록들, 상기 제 1블록들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하여 상기 제 1블록들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블록들과 마주보는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들이 설치된 제 2블록을 포함하는 합체식 플랫폼.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블록들은 상기 한 쌍의 제 1블록들의 양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블록들과 마주보는 부분과 내측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블록들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제 2블록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블록들과 접하는 부위와 상기 제 2블록들과 접하는 부위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용 브래킷이 설치된 한 쌍의 제 3블록들을 더 포함하는 합체식 플랫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블록과 상기 제 3블록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블록 길이의 절반이고, 상기 제 2블록과 상기 제 3블록의 폭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2블록과 상기 제 3블록의 길이의 절반이고, 상기 제 2블록은 상기 제 1블록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블록은 상기 제 1블록에 평행하게 배치된 합체식 플랫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브래킷은 상기 블록들의 모서리 부위와 다른 블록의 모서리와 마주보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 합체식 플랫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록들의 바깥쪽 모서리 부근에 포스트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합체식 플랫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합체식 플랫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6465U KR200362765Y1 (ko) | 2004-06-11 | 2004-06-11 | 합체식 플랫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6465U KR200362765Y1 (ko) | 2004-06-11 | 2004-06-11 | 합체식 플랫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2765Y1 true KR200362765Y1 (ko) | 2004-09-22 |
Family
ID=4935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6465U KR200362765Y1 (ko) | 2004-06-11 | 2004-06-11 | 합체식 플랫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276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2675B1 (ko) * | 2012-05-04 | 2013-03-12 | (주)명일정공 | 개선된 흔들림 방지 성능을 가지는 잭-업 바지선 |
-
2004
- 2004-06-11 KR KR20-2004-0016465U patent/KR2003627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2675B1 (ko) * | 2012-05-04 | 2013-03-12 | (주)명일정공 | 개선된 흔들림 방지 성능을 가지는 잭-업 바지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11542A (en) | Unsinkable floating dock system | |
US7273018B2 (en) | Modular floating dock frame and interconnection system | |
KR20140013323A (ko) | 해양 구조물의 방탄 또는 방화벽 | |
KR100947584B1 (ko) |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 |
US3797099A (en) | Method for forming a ship hull section | |
KR200362765Y1 (ko) | 합체식 플랫폼 | |
KR100422978B1 (ko) | 선체내에 배치된 수평으로 뻗은평탄한 면 엘레먼트를 구비한 선박 | |
KR102166383B1 (ko) | 파일 가이드가 연결된 부잔교 | |
CN211645914U (zh) | 支撑结构、支撑模块及钢箱梁 | |
US6315622B1 (en) | Amphibious vehicle chassis | |
US7631470B2 (en) | Heliport and civil engineering/building material | |
CN212358364U (zh) | 一种浅水区立式下水导管架 | |
CN112158306A (zh) | 漂浮式重载平台 | |
KR20220068490A (ko) | 친환경 부유식 해상구조물 | |
CN112478081A (zh) | 一种船用胎架 | |
KR20050090970A (ko) | 조립식 주차장치 | |
CN213323595U (zh) | 漂浮式重载平台 | |
JP4253662B2 (ja) | タンカーのマニホールド部の上甲板構造 | |
JP3100546B2 (ja) | 海上作業台船の組立て方法 | |
KR20150012437A (ko) | 보강구조를 가지는 해양 구조물 | |
JP3130467B2 (ja) | 海上作業台船 | |
JP2843500B2 (ja) | 河川専用作業台船およびそのためのユニット | |
CN114394211B (zh) | 一种模块式组合坞墩及布置方法 | |
CN219707280U (zh) | 一种拼装式水上作业平台 | |
CN212980471U (zh) | 船用锚机底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