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95Y1 -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95Y1
KR200362495Y1 KR20-2004-0018594U KR20040018594U KR200362495Y1 KR 200362495 Y1 KR200362495 Y1 KR 200362495Y1 KR 20040018594 U KR20040018594 U KR 20040018594U KR 200362495 Y1 KR200362495 Y1 KR 200362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er
discharge
frame
reco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창
이우호
허성창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8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거래내역 또는 증명내용이 기재된 용지를 배출구 또는 회수함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거래내역 또는 증명내용이 기록된 낱장의 용지가 배출되기 전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적재되는 용지를 배출구 또는 내부 회수함으로 이송하는 구동부와; 상기 수납부에 적층되는 여러 장의 용지가 일괄적으로 배출되도록 용지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와; 용지를 배출 또는 회수하기 위하여 배출구 또는 회수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거래내역이 많거나 여러 통장의 거래내역을 확인할 경우 거래내역서를 낱장으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일시에 배출함으로써 시간이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회수과정에서 용지가 회수함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도록 하여 회수된 용지의 재 이송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Device of paper ejecting and recovering for printer}
본 고안은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거래내역 등이 기록되는 용지의 원활한 배출 및 완전한 회수를 위한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금자동인출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이나 편의점 또는 사람이 많이 다니는 지하철역 등의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현금 또는 명세표를 인출하거나 통장을 정리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사용자가 카드를 기기에 투입한 뒤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안내에 따라 버튼을 조작하면 내부에 저장된 현금 또는 거래내역서가 인출된다.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의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구비된 프린터에서 거래내역이 기록된 용지가 배출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거래내역을 기록하기 위한 용지가 감겨진 용지롤(미도시)과, 상기 용지롤에서 풀린 용지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G1)와, 용지에 거래내역을 기록하는 프린터 헤드(1)와, 거래내역이 기록된 용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커터(3)와, 절단된 용지를 배출구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5)는 절단된 용지를 배출구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통로가 구비되는 제 2 가이드(G2)와, 상기 제 2 가이드(G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2 회전축(7a,7b)과, 상기 회전축(7a,7b)을 구동시키는 전동기(M)와, 상기 전동기(M)의 회전력을 제 1 회전축(7a)으로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T)과, 제 1 회전축(7a)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 2 회전축(7b)에 전달하는 풀리(9a) 및 벨트(9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동기(M)의 정·역회전을 통해 용지의 배출 및 회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는 용지가 낱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거래내역이 많거나 여러 통장의 거래내역을 확인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회수과정에서 상기 제 2 가이드와 벨트 사이의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완전 회수되지 않은 경우 다음 거래에서 재 이송되어 잼이 발생되는 단점이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거래내역이 많거나 여러 통장의 거래내역을 확인할 경우 거래내역서를 낱장으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일시에 배출함으로써 시간이 단축할 수 있으며, 회수과정에서 용지가 회수함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도록 하여 회수된 용지의 재 이송을 방지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가 구비되는 프린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중 개폐수단을 도시한다.
도 5a~5d는 본 고안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에 의한 용지 배출동작을 도시한다.
도 6a~6d는 본 고안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에 의한 용지 회수동작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용지 : P 급지카세트 : 10
이송롤러 : 12 프린터 헤드 : 14
안내롤러 : 16 가이드 : 18
회수함 : 20 배출구 : 22
회수구 : 24
수납부 : 110 바닥면 : 111
구동부 : 130 전동기 : 131,157
회전축 : 133,171 구동롤러 : 135
풀리 : 137,159 벨트 : 139,155,158
가압부 : 150 프레임 : 151
종동롤러 : 153 랙기어 : 161
피니언기어 : 163 개폐수단 : 170
개폐부재 : 173 솔레노이드 : 175
스프링 : 177 로드 : 179
연결부재 : 181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는, 각종 거래내역 또는 증명내용이 기재된 용지를 배출구 또는 회수함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거래내역 또는 증명내용이 기록된 낱장의 용지가 배출되기 전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적재되는 용지를 배출구 또는 내부 회수함으로 이송하는 구동부와; 상기 수납부에 적층되는 여러 장의 용지가 일괄적으로 배출되도록 용지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와; 용지를 배출 또는 회수하기 위하여 배출구 또는 회수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구동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용지에 압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하강시 구동롤러와 연동되어 구동하는 종동롤러 및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개폐부재와, 외부 신호에 의해 승·하강하는 로드가 구비되는 솔레노이드와, 일단은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동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는 모든 금융자동화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되, 바람직하게는 가상계좌의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거래내역서와 각종 정부기관, 학교에서 발급되는 증명서를 모두 인출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적용되는 바, 거래내역서와 증명서 인출이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구비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가 구비되는 프린터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를 도시한다.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구비되는 프린터에 있어서, 용지를 배출 및 회수하는 단계 이전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거래내역 및 증명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용지(P)는 최초 급지카세트(10)에 적재되며, 이송롤러(12)에 의해 급지카세트(10)로부터 프린터 헤드(14)로 이송되는 바, 상기 급지카세트(10)와 이송롤러(12) 사이에는 안내롤러(16)가 구비되어 이송 시 발생 가능한 급지스큐현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급지스큐(SKEW)란, 용지가 용지 카트리지(Cartridge)에서 비틀어진 상태로 드럼으로 급지되어 용지 비틀림 정도가 큰 것을 말하는 것으로, 급지스큐가발생한 상태로 인쇄 할 경우 용지에 인쇄된 이미지의 위치가 정상상태의 위치에서 많이 비틀어져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에는 거래내역서와 증명서를 각각 발급하기 위하여 복수의 급지카세트(10)가 구비된다. 상기 급지카세트(10) 중 거래내역서를 발급용 급지카세트(10a)에는 A4용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A4용지와 동일한 길이마다 절취선이 구비된 연속용지가 절취선을 따라 접이식으로 적재되며, 증명서를 발급용 급지카세트(10b)에는 A4용지가 적재된다. 이때, 상기 연속용지는 기록되는 내용의 양에 따라 A4용지의 1/3, 2/3, 전지(全紙) 크기로 절단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하여 연속용지의 일면에는 블랙마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인쇄되어 있다.
상기 이송롤러(12)에 의해 프린터 헤드(14)로 이송되는 용지(P)는 프린터 헤드(14)를 통과함과 동시에 거래내역 또는 증명내용이 기록되며, 다른 이송롤러(12)에 의해 가이드(18)를 통과하여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프린터 헤드(14)를 통과한 용지 중 증명서 발급용 A4용지는 절단과정 없이 전지(全紙) 크기 그대로 이송되는 반면, 거래내역서 발급용 연속용지는 기록된 내용의 양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송되는 용지는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에 의해 내부 회수함(20) 또는 외부 사용자에게 이송되는 바, 본 고안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는, 각종 거래내역 또는 증명내용이 기록된 후 다양한 크기로 절단되는 낱장의 용지가 배출되기 전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수납부(110)와, 상기 수납부(110)에적재되는 용지를 내부 회수함(20) 또는 배출구(22)로 이송하는 구동부(130)와, 수납부(110)에 적재되는 여러 장의 용지가 일괄적으로 배출되도록 용지(P)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150)와, 용지(P)를 배출 또는 회수하기 위하여 배출구(22) 또는 회수구(2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110)는 각종 거래내역 및 증명내용이 기록된 낱장의 용지가 상기 가이드(18)에서 배출되어 적재되는 바, 여러 장이 적재 가능하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그 폭과 길이는 최대 A4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0)의 바닥면(111)에는 상기 구동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30)는 전동기(131)와, 상기 전동기(131)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133)과, 상기 회전축(133)에 결합되는 구동롤러(135)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33)에 결합되는 구동롤러(135)는 적재된 용지(P)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납부(110)의 바닥면(111) 보다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135)는 용지의 폭에 따라 동일한 회전축(133)에 둘 또는 그 이상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133)은 용지의 길이 방향으로 최소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경우는 두 개의 회전축(133a,133b)이 구비되며 상기 전동기(13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회전축(133a)과, 상기 구동회전축(133a)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종동회전축(133b)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전동기(131), 구동회전축(133a) 및 종동회전축(133b)에는 각각 풀리(137)가 결합되며 상기 풀리(137)는 벨트(139)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회전축(133a,133b)과 구동롤러(135)가 구비되는 이유는용지 이송시 스킵현상 및 급지스큐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수납부(110)에 적재되는 여러 장의 용지(P)가 일괄적으로 배출되도록 용지(P)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150)는, 용지(P)에 압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프레임(151)과, 상기 프레임(151)이 하강하여 용지(P)가 일정한 두께 이하로 압축되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롤러(135)와 연동하여 용지(P)를 이송하는 복수개의 종동롤러(153)와, 상기 복수개의 종동롤러(153)를 연결하는 벨트(15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150)는 상기 프레임(151)이 자동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전동기(157)가 추가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51)의 내부에는 프레임(151)의 승·하강 방향과 동일한 진행방향을 갖는 랙기어(161)가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16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63)가 구비된다. 상기 랙기어(161)와 피니언기어(163)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랙기어(161) 사이에 피니언기어(163)가 위치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피니언기어(16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랙기어(161)는 용지(P)의 압축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151)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피니언기어(163) 중 하나를 전동기(157)에 결합되는 풀리(159)와 벨트(158)로 연결하여 프레임(151)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킨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중 개폐수단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를 배출 또는 회수하기 위하여 배출구(22) 또는 회수구(2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170)은 회전축(171)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개폐부재(173)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173)를 개방하기 위한 솔레노이드(17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71)에 의해 관통되며 일단은 스프링(177)에 의해 프린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175)의 로드(179)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181)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의 용지 배출 및 회수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5d는 본 고안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에 의한 용지 배출동작을 도시한다.
도 5a는 최초 전원이 인가된 초기화 상태로 가압부(150)는 수납부(110)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배출구(22)는 폐쇄되고 회수구(24)가 개방된다.
초기화 상태에서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도 5b와 같이, 이송롤러(12)에 의한 이송단계와, 거래내역 및 증명내용을 기록하는 단계 및 절단단계를 거친 용지(P)가 가이드(18)를 통해 수납부(110)에 적재된다. 이때, 거래내역 및 증명내용이 기록된 용지는 거래내역의 양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출력 및 적재된다.
그 후, 배출신호가 입력되면 가압부(150)의 피니언기어(163)는 전동기(157)에 의해 회동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63)의 회동에 의해 상기 랙기어(161)가 구동되며, 프레임(151)이 하강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51)의 하강으로 종동롤러(153)와 벨트(155)는 용지(P)를 가압하고, 용지(P)가 일정 두께로 압축되면 상기전동기(157)는 동작을 멈춘다(도 5c참조).
도 5d는 배출동작의 마지막 단계로, 일정 두께로 압축된 용지(P)를 배출하기 위하여 전동기(131)는 구동롤러(135)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롤러(135)는 종동롤러(153)와 연동되어 용지(P)를 배출구(22)로 이송하며, 금융자동화기기 외부로 용지(P)의 일부가 노출되면 구동을 멈춘다. 이때, 개폐수단(170)은 용지(P)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구(22)를 개방하는 바, 솔레노이드(175)의 로드(179)가 하강하면 상기 로드(179)와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181)가 회동되고, 상기 연결부재(181)에 고정되는 회전축(171) 및 회전축(171)에 고정되는 개패부재(173)가 회동함으로써 배출구(22)를 개방시킨다.
도 6a~6c는 본 고안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에 의한 용지 회수동작을 도시한다.
도 6a는 용지(P)의 일부가 금융자동화기기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실수 또는 그 외의 이유로 용지를 수취하지 않을 경우 회수하기 위한 동작의 최초단계이며, 상기 도 5d와 동일한 상태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롤러(135)와 연결되는 전동기(131)의 역회전에 의해 용지가(P) 최초 적재되었던 위치로 역 이송된다. 역 이송된 용지(P)를 회수함(미도시)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개폐수단(170)은 회수구(24)를 개방하게 되는 바, 솔레노이드(175)의 로드(179)가 상승하면 상기 로드(179)와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181)는 상기 배출동작의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181)에 고정되는 회전축(171) 및 회전축(171)에 고정되는 개패부재(173) 또한 배출동작의 역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회수구(24)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수구(24)가 개방되면 도 6c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135)는 용지(P)가 회수함(20)으로 낙하될 때까지 정회전하며, 용지(P)는 상기 개폐부재(173)의 내벽을 따라 회수함(미도시)으로 이송되어 안착됨으로써 회수동작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배출 및 회수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는 거래내역이 많거나 여러 통장의 거래내역을 확인할 경우 거래내역서를 낱장으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일시에 배출함으로써 시간이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수과정에서 용지가 회수함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도록 하여 회수된 용지의 재 이송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각종 거래내역 또는 증명내용이 기재된 용지를 배출구 또는 회수함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에 있어서,
    각종 거래내역 또는 증명내용이 기록된 낱장의 용지가 배출되기 전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수납부(110)와;
    상기 수납부(110)에 적재되는 용지를 내부 회수함(20) 또는 배출구(22)로 이송하는 구동부(130)와;
    상기 수납부(110)에 적층되는 여러 장의 용지가 일괄적으로 배출되도록 용지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150)와;
    용지를 배출 또는 회수하기 위하여 배출구(22) 또는 회수구(2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17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전동기(131)와, 상기 전동기(131)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133)과, 상기 회전축(133)에 결합되어 용지를 이송하는 구동롤러(13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150)는,
    용지에 압력을 인가하는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프레임(151)과, 상기 프레임(151) 하강시 구동롤러(135)와 연동되어 구동하는 종동롤러(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170)은,
    회전축(171)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개폐부재(173)와, 외부 신호에 의해 승·하강하는 로드가 구비되는 솔레노이드(175)와, 일단은 스프링(177)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175)의 로드(179)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71)을 회동하는 연결부재(18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135)는,
    용지의 폭에 따라 상기 회전축(133)에 둘 또는 그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33)은,
    용지의 길이 방향으로 최소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전동기(13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회전축(133a)과, 상기 구동회전축(133a)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종동회전축(133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135)는,
    상기 수납부(110)의 바닥면(111) 보다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51)은,
    프레임(151)의 승·하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랙기어(161)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16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63)가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163)의 회동에 의해 프레임(151)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50)는,
    상기 프레임(151)의 승·하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동기(157)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KR20-2004-0018594U 2004-06-30 2004-06-30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KR200362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94U KR200362495Y1 (ko) 2004-06-30 2004-06-30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94U KR200362495Y1 (ko) 2004-06-30 2004-06-30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780A Division KR100573603B1 (ko) 2004-06-30 2004-06-30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95Y1 true KR200362495Y1 (ko) 2004-09-18

Family

ID=4935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594U KR200362495Y1 (ko) 2004-06-30 2004-06-30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4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356B1 (ko) 지폐 취급 장치
US4820909A (en) Transacting device
US5577719A (en) Document alignment system
US5435542A (en) Statement presenter mechanism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343679B1 (ko)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WO2019062520A1 (zh) 薄片类介质输送机构、纸币集积分离装置及存取款机
JPH02305669A (ja) 帳票取扱い装置
KR100711316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장치
JPS5810276A (ja) 伝票発行装置
KR100573603B1 (ko)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KR200362495Y1 (ko)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CN101799952B (zh) 自动柜员机的传送模块
US5354161A (en) Check book issuing machine
KR100699568B1 (ko) 매체 임시집적장치
US20150353310A1 (en) Paper medium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said paper medium
US11900752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JP4042900B2 (ja) 紙葉類の収納排出装置
JP3046155B2 (ja) 紙葉類入出金機における紙葉類収納繰出機構
JPS6313577Y2 (ko)
KR100554128B1 (ko) 종방향 지폐입·출금기의 픽업 번들벨트장치
KR940001008Y1 (ko) 현금 자동 지급기
JP4472973B2 (ja) ロール紙充填装置
JP3278888B2 (ja) ページ捲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