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252Y1 - 원목 오크통 - Google Patents

원목 오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252Y1
KR200362252Y1 KR20-2004-0018563U KR20040018563U KR200362252Y1 KR 200362252 Y1 KR200362252 Y1 KR 200362252Y1 KR 20040018563 U KR20040018563 U KR 20040018563U KR 200362252 Y1 KR200362252 Y1 KR 200362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ransparent container
contents
oa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20-2004-0018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67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relating to shape or materials, e.g. bag-in-box packages [BIB],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210/00149Fixed containers to be fill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 오크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손잡이를 마련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바닥면에 맥주 등의 내용물이 잔류함이 없이 용기 내 거의 모든 내용물을 빼낼 수 있게 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시에도 용기 안의 내용물이 잘 누출되지 않게하며 대충 보는 것만으로도 용기 안의 내용물의 수위를 확인하고 잔량의 범위까지 짐작할 수 있도록 하는 원목 오크통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를 제공하여 운반시에 종업원들의 시간과 노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맥주 등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콕에 의한 유로 개방시 맥주 등 내용물이 자동적으로 용기 밖으로 빠질 수 있게 하며, 외부로부터 충격 하중을 받더라도 상기 마개와 용기의 나사결합부 사이로 유체가 좀체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눈대중 만으로도 용기 내 내용물의 잔량의 범위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목 오크통 {A WOODEN BARREL}
본 고안은 원목 오크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손잡이를 마련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바닥면에 맥주 등의 내용물이 잔류함이 없이 용기 내 거의 모든 내용물을 빼낼 수 있게 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시에도 용기 안의 내용물이 잘 누출되지 않게하며 대충 보는 것만으로도 용기 안의 내용물의 수위를 확인하고 잔량의 범위까지 짐작할 수 있도록 하는 원목 오크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 성인들 여러명이 까페나, 레스토랑, 또는 호프집 등 생맥주를 판매하는 업소를 방문하여 그들의 주량에 맞추어 생맥주를 주문하는 경우, 업소에서는 주문량에 해당하는 맥주를 용량이 큰 용기에 담아 여러 잔의 맥주컵과 함께 주문한 손님들에게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량이 큰 용기는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최상의 온도 상태로 공급된 맥주가 마시는 동안 시간의 경과에 따라 주변의 환경이나 대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쉽게 온도 변화를 일으켜 맥주 본래의 맛을 저하시키고, 또한 용기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어 맥주 내에 함유된 탄산 가스와 향이 단시간 내에 발산되어 맥주의 맛과 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 등이 우려되어 비위생적이고, 운반하는 도중에 운반자의 부주의나 돌발적인 상황에 의해 맥주가 용기의 외부로 넘쳐 흘러버릴 수도 있다는 결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맥주피처에 관한 내용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6741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맥주피처는 상측에 주입구를 형성하고, 주입구에 뚜껑을 결합하며 투명재질로 형성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표면에 결합시켜 용기의 내/외측이 상호 열교환하는 것을 억제시키는 오크통 형상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가 결합된 용기를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맥주피처는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그 부피가 클 경우 양팔을 벌려 안고 가야만 했으므로 맥주컵이나 안주 등을 동시에 손님들에게 제공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이들 맥주컵이나 안주 등을 손님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주방으로 이동해야 하는 등 종업원들의 시간과 노력이 과도하게 든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맥주피처는 맥주를 담는 내측 용기의 바닥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콕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맥주를 용기 밖으로 빼내기가 어렵고 굳이 빼내려면 콕을 눌러 유체가 흘러 나갈 수 있는 유로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맥주 피처를 콕 쪽으로 기울여야 했으므로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맥주피처는 주입구에 뚜껑이 설치되어 있긴 하지만 용기 내에 맥주 등 유체를 수용한 상태로 손이나 팔로 운반하는 도중 또는 지면보다 높은 곳에 설치한 상태에서 우발적이거나 부주의로 아래로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 지면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 하중에 의해 상기 뚜껑과 용기의 나사결합부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어 바닥면으로 흘러내릴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맥주피처는 수량표시창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하나의 수량표시창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량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 눈대중으로 확인할 수는 있으나 이 눈대중 만으로 구체적인 잔량의 범위(예컨대 주입시는 채워지는 정도 또는 음주시는 남아 있는 정도가 1,000cc 내지 2,000cc 사이에 있는 지 등)를 짐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잡이를 제공하여 운반시에 종업원들의 시간과 노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맥주 등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콕에 의한 유로 개방시 맥주 등 내용물이 자동적으로 용기 밖으로 빠질 수 있게 하는 원목 오크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충격 하중을 받더라도 상기 마개와 용기의 나사결합부 사이로 유체가 좀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원목 오크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눈대중 만으로도 용기 내 내용물의 잔량의 범위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원목 오크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목 오크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원목 오크통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원목 오크통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는 콕의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 결합띠 11 : 마개
12 : 마개 탈거용 손잡이 13 : 오링
20, 21, 22 : 오크편 23 : 수량 확인창
24 : 구멍 25 : 손잡이
30 : 하부 결합띠 40 : 콕
41 : 스프링 42 : 스프링 보호외피
43 : 입구 44 : 출구
45 : 로드 46: 플랜지
47 : 푸쉬버튼 50 : 투명 용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평 단면이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외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하부 일측에 입구를 형성하여 안에 수용된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는 투명 용기와, 상기 투명 용기의 외면 상측 나사결합부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결합부를 내측에 형성하고 내부가 개방된 상부 결합띠와, 상기 상부 결합띠의 개방부에 착탈될 수 있는 마개와, 상기 투명 용기의 외면 하측 나사결합부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결합부를 내측에 형성하는 하부 결합띠와, 상기 투명 용기의 표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져 투명 용기와 상부 및 하부 결합띠의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오크편과, 상기 투명 용기의 입구에 연결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콕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용기의 바닥면이 입구 쪽을 향해 아래로 경사져 있고,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들 중 오크편은 마주보게 위치하여 각각 그 상부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을 통해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들이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고 그 상부 일측 및 이와 맞은편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을 통해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크편은 각각 그 크기가 동일하고 세로로 동일 간격 떨어져 있는 다수개의 수량확인창을 설치하여 투명 용기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마개는 외측면에 오링을 설치하며 상면 일측에 마개 탈거용 손잡이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콕은 상기 투명 용기의 입구의 안에 삽입되어 투명 용기에 결합되는 입구와, 이 입구에서 나오는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출구와, 플랜지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플랜지의 위에서 상기 로드에 핀을 통해 연결된 푸쉬버튼과, 상기 플랜지와 로드 사이에서 로드 주위로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의 작동으로 로드, 스프링 및 스프링 보호외피가 상하 이동하여 상기 입구 및 출구로 이루어진 유로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투명 용기의 수평단면은 12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목 오크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원목 오크통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용기(5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투명 용기(50)는 안쪽에 맥주나 기타의 유체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부와 하부의 일측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상하부의 나사결합부는 후술하는 상부 및 하부 결합띠(10, 30)에 형성된 나사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용기(50)의 바닥면은 입구(51) 쪽을 향해 아래로 경사져 있어 투명 용기(50) 내 유체가 자동적으로 입구(51)로 안내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투명 용기(50)의 외면은 그 수평단면이 12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의 형태 중 어느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결합띠(10)는 가운데 부분이 둥근 형태로 개방되어 비어 있는데 이 비어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개(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개(11)는 그 외면에 환형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오링(13)을 끼워 설치하고 있다. 이 오링(13)은 마개(11)가 상부 결합띠(10)의 안에 끼워져 원목 오크통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에 뜻밖의 사고나 부주의로 내용물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운반 도중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는 등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았을 때에도 투명 용기(50)의 안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 중 특히 맥주와 같은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개(11)는 상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180°회동할 수 있는 마개 탈거용 손잡이(12)를 설치하고 있다. 마개(11)가 상부 결합띠(10)에 결합되어 사용된 후 빼내어 세척을 하거나 맥주 등 내용물을 다시 충진하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는 원목 오크통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상기 마개 탈거용 손잡이(12)를 잡아 당기면 마개(11)가 상부 결합띠(10)로부터 빠진다. 이때, 내부를 세척하거나 맥주 등을 재충진하고 나서 조립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20, 21, 22)은 투명 용기(50)의 표면에 결합되도록 안쪽면은 그 표면에 대응하는 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와 맞은편에는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용기(50)의 표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져 투명 용기(50)와 상부 및 하부 결합띠(10, 30)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들(20, 21, 22) 중 마주보게 위치하는 오크편(20, 21)은 각각 그 크기가 동일하고 세로로 동일간격 떨어져 있는 다수개의 수량확인창(23)을 설치하여 투명 용기(50)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수개의 수량확인창(23)은 각각 그 크기가 동일하고 세로로 동일 간격 떨어져 있도록 비어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이 수량확인창(23)에 대응하여 투명한 플라스틱경이 꼭 맞게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투명 용기(50) 자체에 상기 수량확인창(23)에 대응하여 꼭 맞게 결합될 수 있는 투명한 돌출부를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들(20, 21, 22)이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고 그 상부 일측 및 이와 맞은편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 환형 홈을 형성하여 손잡이(25)의 양단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들이 상기 구멍에 끼워져 손잡이(25)가 설치될 수 있어 이 손잡이(25)로 용기(50) 내에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로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20, 21, 22)이 각각 별도로 조립되어 사용되든 혹은 하나의 통으로서 사용되든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손잡이(25)가 상기 구멍들에 끼워져 설치되는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방식 뿐만 아니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결합 방식, 리벳이나 용접 등으로 견고히 고정하는 방식, 또는 핀을 통해 손잡이가 회전할 수 있게 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오크편들(20, 21, 22)은 표면을 무늬목 형상으로 성형하고 목재 특유의 색상으로 처리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들 오크편들은 투명 용기(50)에 결합시 용기(50) 내/외측의 열교환을 억제하여 용기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오크편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고 보온 및 보냉성이 우수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것이라면 어떤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위에서는 오크편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들(20, 21, 22)이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고 그 상부 일측 및 이와 맞은편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을 통해 손잡이(25)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하부 결합띠(30)는 앞서 설명했듯이 내부에 투명 용기(5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결합부에 대응하는 나사결합부를 형성하여 투명 용기(50)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콕(40)은 상기 투명 용기(50)의 입구(51)의 안에 삽입되어 투명 용기(50)에 결합되는 입구(43)와, 이 입구(43)에서 나오는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출구(44)와, 플랜지(46)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로드(45)과, 상기 플랜지(46)의 위에서 상기 로드(45)에 핀을 통해 연결된 푸쉬버튼(47)과, 상기 플랜지(46)와 로드(45) 사이에서 로드(45) 주위로 설치된 스프링(41)으로 구성되어, 상기 푸쉬버튼(47)의 작동으로 로드(45), 스프링(41) 및 스프링 보호외피(42)가 상하 이동하여 상기 입구(43) 및 출구(44)로 이루어진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에서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콕(4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콕의 형태와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로의 개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평 회전식 또는 푸시버튼식 수도꼭지등 어떤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투명 용기(50)와 상하부 결합띠(10, 30)를 나사 결합부에 의해 결합하되 하부 결합띠(30)는 좀 더 확실히 회전시켜 견고하게 결합하고 상부 결합띠(10)는 약간 느슨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오크편(20, 21, 22)을 투명 용기(50)의 표면에 결합함과 동시에 그 상하부에 형성된 계단 형상의 돌출부를 투명 용기(50)와 상하부 결합띠의 사이에 끼워 결합한다.
때 주의할 점은 오크편(20) 투명 용기(50)의 입구(51)가 형성된 부분에 결합되어야 하고 오크편(21)은 그 맞은 편에 결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야만, 투명용기(50)의 입구(51)와 오크편(20)의 구멍(24)가 일치하게 위치하게 되고 또한 손잡이(25)의 설치가 이상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콕(40)의 입구(43)를 상기 구멍(24)과 입구(51)에 삽입하고나서40)의 입구(43)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결합부에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와셔와 오링을 가진 너트를 사용하여 콕(40)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후, 마개(11)를 상부 결합띠(10)에 결합하면 본 고안의 원목 오크통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후 예컨대 까페나 레스토랑 또는 생맥주집 등에서 사람이 직접 들고 마시기 힘든 량의 맥주를 한 번에 주문하여 컵으로 여러번에 거쳐 맥주를 마시고자 할 때, 마개(11)를 마개 탈거용 손잡이(12)로 열어 투명 용기(50) 안에 주문량 만큼의 맥주를 따르고 마개(11)를 닫아 밀페시킨 다음 주문한 테이블로 운반한다. 운반시에는 손잡이(25)를 한 손으로 잡고 가면 되므로 쉽고 용이하게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운반된 다음에는 각 테이블에서 컵을 콕(40)의 아래에 두고 푸쉬버튼(47)을 원하는 시간만큼 개폐 조작하여 유출되는 맥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음주시 맥주를 마시는 사람들은 오크편(20, 21)에 형성된 수량 확인창(23)을 통해 맥주의 잔량을 확인하면서 음주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목 오크통은 손잡이를 제공하여 운반시에 종업원들의 시간과 노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맥주 등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콕에 의한 유로 개방시 맥주 등 내용물이 자동적으로 용기 밖으로 빠질 수 있게 하며, 외부로부터 충격 하중을 받더라도 상기 마개와 용기의 나사결합부 사이로 유체가 좀체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눈대중 만으로도 용기 내 내용물의 잔량의 범위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수평 단면이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외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하부 일측에 입구(51)를 형성하여 안에 수용된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는 투명 용기(50)와,
    상기 투명 용기(50)의 외면 상측 나사결합부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결합부를 내측에 형성하고 내부가 개방된 상부 결합띠(10)와,
    상기 상부 결합띠(10)의 개방부에 착탈될 수 있는 마개(11)와,
    상기 투명 용기(50)의 외면 하측 나사결합부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결합부를 내측에 형성하는 하부 결합띠(30)와,
    상기 투명 용기(50)의 표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져 투명 용기(50)와 상부 및 하부 결합띠(10, 30)의 사이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오크편(20, 21, 22)과,
    상기 투명 용기(50)의 입구(51)에 연결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콕(40)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용기(50)의 바닥면이 입구(51) 쪽을 향해 아래로 경사져 있고,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들 중 오크편(20, 21)은 마주보게 위치하여 각각 그 상부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을 통해 손잡이(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오크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오크편들(20, 21, 22)이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고 그 상부 일측 및 이와 맞은편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을 통해 손잡이(25)가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오크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크편(20, 21)은 각각 그 크기가 동일하고 세로로 동일 간격 떨어져 있는 다수개의 수량확인창(23)을 설치하여 투명 용기(50)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오크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1)는 외측면에 오링(13)을 설치하며 상면 일측에 마개 탈거용 손잡이(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오크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콕(40)은 상기 투명 용기(50)의 입구(51)의 안에 삽입되어 투명 용기(50)에 결합되는 입구(43)와, 이 입구(43)에서 나오는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출구(44)와, 플랜지(46)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로드(45)과, 상기 플랜지(46)의 위에서 상기 로드(45)에 핀을 통해 연결된 푸쉬버튼(47)과, 상기 플랜지(46)와 로드(45) 사이에서 로드(45) 주위로 설치된 스프링(41)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47)의 작동으로 로드(45), 스프링(41) 및 스프링 보호외피(42)가 상하 이동하여 상기 입구(43) 및 출구(44)로 이루어진 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오크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용기(50)의 수평단면은 12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오크통.
KR20-2004-0018563U 2004-06-30 2004-06-30 원목 오크통 KR200362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63U KR200362252Y1 (ko) 2004-06-30 2004-06-30 원목 오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63U KR200362252Y1 (ko) 2004-06-30 2004-06-30 원목 오크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535A Division KR100575123B1 (ko) 2004-06-30 2004-06-30 원목 오크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252Y1 true KR200362252Y1 (ko) 2004-09-16

Family

ID=4943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563U KR200362252Y1 (ko) 2004-06-30 2004-06-30 원목 오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2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0999B2 (ja) 底を通じて飲料の注入がなされる飲料容器
US4739898A (en) Closure for hot beverage container
AU2009249194B2 (en)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US9751678B2 (en) Ribbed water spike
KR102315384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US6868694B2 (en) Dry ice drinking vessel
US20180244511A1 (en) Reusable Vessel for Dispensing Beverages and Method of Sto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AU2006281791A1 (e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s from a flexible container
KR20080039376A (ko) 음료 디스펜싱 시스템
US20190133358A1 (en) Bottle with insulated chamber and internal storage for cups and accessories
US201700087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JP2005527438A (ja) 冷蔵庫用の液体ディスペンサー
KR100575123B1 (ko) 원목 오크통
US5067328A (en) Cooling vessel for beverages
KR200362252Y1 (ko) 원목 오크통
US20130233438A1 (en) Spill Proof Drink Dispensing System, Kit and Method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101037913B1 (ko)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KR101667353B1 (ko) 음료 용기
JP3771038B2 (ja) 飲料注出具及び飲料用容器
US6708598B2 (en) Beverage dispenser with cover assembly and method
KR101656422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200401445Y1 (ko) 얼음통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AU2011206946B2 (en)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