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913B1 -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913B1
KR101037913B1 KR1020090052804A KR20090052804A KR101037913B1 KR 101037913 B1 KR101037913 B1 KR 101037913B1 KR 1020090052804 A KR1020090052804 A KR 1020090052804A KR 20090052804 A KR20090052804 A KR 20090052804A KR 101037913 B1 KR101037913 B1 KR 101037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rum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271A (ko
Inventor
소순주
Original Assignee
(주)국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림원 filed Critical (주)국림원
Priority to KR102009005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9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나 술 등을 보관하거나 이들을 따를 수 있도록 마개와 꼭지가 구비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료를 주입하는 주입구와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콕크가 구비된 음료보관통과 상기 음료보관통을 안치하는 용기받침대 및 음료를 따라 마시는 잔을 거치할 수 있는 잔거치대를 구비하되 상기 음료보관통의 양단에는 두드리면 소리가 나는 북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북을 치는 오락기능과 음료를 따라 마실 수 있는 잔 거치대를 동시에 갖추어 편의성 및 오락성이 한층 향상된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오크통, 통, 음료용기, 음료보관통, 음료저장통

Description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A Beverage Vessel with a Drum and a Winecup Rack}
본 발명은 음료나 술 등을 보관하면서 이들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마개와 꼭지가 구비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받침대 상부에 음료보관통이 구비되면서 음료를 편리하게 따라 마실 수 있는 잔을 보관하는 잔 거치대를 동시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음료보관통의 양측면에는 두드리면 소리를 내는 북을 구비함으로써 북을 치는 오락기능과 사용이 편리한 잔 거치대를 갖추어 편의성과 오락성이 한층 향상된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나 술 등은 유리병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보관용기에 보관하고 필요시 마다 이들의 마개나 뚜껑을 열어 마시게 되며 또 더운 여름철에는 냉장 보관을 위해 이들을 냉장고 등에 넣어 보관하게 된다. 또한 일반 주점 등에서는 맥주나 막걸리 등과 같은 주류를 판매할 경우 일정한 크기의 용기에 담아 따라 마시는 잔과 함께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음료나 주류 등을 제공하게 될 경우 일정 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공된 음료나 맥주 등은 주변 온도의 영향을 받아 시원한 본래의 맛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도 냉장고에서 꺼내어 식탁 등에 놓아 두게 될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맛이 상하거나 변질되는 일이 다반사다.
특히, 일반 주점 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맥주 등과 같이 다소 많은 양의 주류를 손님들에게 제공하고자 할 경우 맥주피쳐(pitcher) 등과 같은 열손실이 적은 큰 용기에 담아 제공하면서 손님이 원할 때마다 제공된 피쳐에서 맥주 등을 손님 스스로 잔에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하여 다소나마 시원한 본래의 맛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기를 사용할 경우 번잡한 주점내의 좁은 공간으로 인해 피쳐가 넘어지거나 흘러넘칠 수 있어 많은 손실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일반 가정에서는 술을 담글 경우 술을 일정기간 숙성시키기 위해 대부분 장식장 등에 보관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대부분이 투명 유리병으로 인한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다소 실내장식으로의 내부품격이 떨어진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다소나마 개선하기 위해, 실용신안 제20-0423087호에 '광고기능을 갖는 술통'이 개시되어 있는바, 종래의 상기 광고기능을 갖는 술통(5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나무판(51)을 원통형으로 이어 연결하고 양단과 중앙부가 여러개의 연결구(52)로 연결 고정되며 상기 연결구(52)로 고정된 상기 나무판(51)의 양단면을 원형의 나무판덮개(53)로 덮고, 양단 부의 직경이 중앙부 보다 작게 형성된 오크통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술통(50)의 중앙부 상부의 나무판(51)에는 술을 주입시키는 주입구(54)가 구비되고 또 상기 주입구(54)에는 이를 막아주는 마개(55)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53)의 일측 하단부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내부의 술을 따를 수 있도록 하는 콕크밸브(56)가 설치되고, 상기 나무판(51)과 연결구(52) 사이와 상기 콕크밸브(56)가 부착된 상기 덮개(53)에는 일반인들에게 광고할 수 있도록 광고패널(57)이 부착되며, 또 상기 술통(50)의 하부에는 상기 술통(50)을 안정되게 안치시켜 주는 받침대(58)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술통(50)은 일반 가정이나 유흥주점 등에서 술 등과 같은 음료를 저장 보관할 경우 상기 마개(55)를 열고 상기 주입구(54)를 통해 술 등과 같은 음료를 주입한 후 필요시 마다 상기 콕크밸브(56)를 사용하여 필요한 양만큼 따라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술통은 단지 술 등과 같은 음료를 주입한 상태에서 일반인들에게 쉽게 노출되도록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이 있으며 여전히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즉 피쳐와 같은 용기를 사용하여 손님들에게 맥주 등을 제공할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됨으로써 주위로의 열전도로 인해 맥주 등의 신선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번잡한 주점내의 좁은 공간으로 인해 피쳐가 넘어질 경우 많은 손실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일반 가정에서도 상기와 같은 술통은 그 규모가 크고 또 맥주가 아닌 다른 종류의 술이나 기타 음료를 담아 보관하기에는 적절하지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를 주입하는 주입구와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콕크가 구비된 음료보관통과 상기 음료보관통을 안치하는 용기받침대 및 음료를 따라 마시는 잔을 거치할 수 있는 잔거치대를 구비하되 상기 음료보관통의 양단에는 두드리면 소리가 나는 북을 구비하여 북을 치는 오락기능과 음료를 따라 마실 수 있는 잔 거치대를 갖추어 편의성, 오락성 및 위생성이 한층 향상된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는 주류나 음료 등을 주입하는 주입구(11)와 이를 배출하는 배출콕크(12)가 구비된 원통형의 음료보관통(13)과, 상기 음료보관통(13)을 안치하여 지지해 주는 용기받침대(14)와, 주류나 음료 등을 따라 마시는 잔(15)을 거치할 수 있는 잔거치대(16) 및 상기 용기받침대(14)와 상기 잔거치대(16)가 고정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7)으로 구성되되;
상기 음료보관통(13)은 양단부에 일정 공간부(18)를 형성하고 그 끝단부에 두드리면 소리가 나는 북(19)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받침대(14)는 상기 음료보관통(13)이 안치되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라운드부(141)가 형성되고 또 상기 라운드부(141)의 양단 직하부에는 상기 북(19)을 두드리는 북채(20)를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북채거치홈(21)이 구비되며,
상기 잔거치대(16)는 와인 잔(15)의 손잡이가 삽설되어 잔바닥부가 거꾸로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구멍(161)이 형성된 잔거치부(162)와 상기 잔거치부(162)를 상기 바닥프레임(17)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고정지지대(16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는 일반 음식점이나 주점 등에서는 그 크기를 작게하여 맥주나 막걸리 등과 같은 주류를 저장하여 제공함으로써 주류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또 좁은 공간으로 인해 넘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활용도가 제고 됨은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술을 담그어 장식장 등에 보관하게 되면 내부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물 등과 같은 음료를 담아 식탁 등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입을 막아 부패를 방지시켜 줌으로써 생활의 편의성, 오락성 및 위생성을 한층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의 사사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의 요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술통에 대한 사시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류나 음료 등을 주입하는 주입구(11)와 이를 배출하는 배출콕크(12)가 구비된 원통형의 음료보관통(13)과, 상기 음료보관통(13)을 안치하여 지지해 주는 용기받침대(14)와, 주류나 음료 등을 따라 마시는 잔(15)을 거치할 수 있는 잔거치대(16) 및 상기 용기받침대(14)와 상기 잔거치대(16)가 고정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7)으로 구성되되;
상기 음료보관통(13)은 양단부에 일정 공간부(18)를 형성하고 그 끝단부에 두드리면 소리가 나는 북(19)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받침대(14)는 상기 음료보관통(13)이 안치되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라운드부(141)가 형성되고 또 상기 라운드부(141)의 양단 직하부에는 상기 북(19)을 두드리는 북채(20)를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북채거치홈(21)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라운드부(141)에는 상기 음료보관통(13)이 안착될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패드(1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잔거치대(16)는 와인 잔(15)의 손잡이가 삽설되어 잔바닥부가 거꾸로 거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거치구멍(161)이 형성된 잔거치부(162)와 상기 잔거치부(162)를 상기 바닥프레임(17)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고정지지대(16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음료보관통(13)의 양측면에 구비된 상기 북(19)에는 그 중앙부에 태극모양이나 기타 북을 의미하는 문양이 표시되어 있고 또 그 가장자리에도 전통문양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색깔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료보관통(13)의 양단부에서 상기 북(19)이 구비되는 경계면에는 상기 음료보관통(13)과 상기 북(19)의 연결성과 견고성을 강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쇄(22)와 일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장식된 장신구(23)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잔거치대(16)에 형성된 상기 거치구멍(161)에는 와인잔의 가느다란 목부분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삽설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개부(164)가 구비되 어 있고, 상기 바닥프레임(17)의 하면에는 이를 바닥 등에 편리하게 놓아 두거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닥지지구(171)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보관통(13)의 바닥면(131)은 이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경사면의 낮은쪽 단부에 상기 콕크밸브(12)의 연결관(121)이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료보관통(13) 내부에 보관 저장된 음료 또는 주류를 완전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21)은 상기 음료보관통(13)의 양측면에 구비된 어느한쪽의 상기 공간부(18)를 관통 상기 북(19)의 하단부로 돌출되어 그 끝단부에 상기 콕크밸브(12)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음료보관통(13)은 양단부보다 중앙부의 직경이 다소 크게 형성된 오크통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통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음료보관통(13)의 상부측 중앙부에 구비된 상기 주입구(11)에는 이를 개폐하는 마개(24)가 구비되되 상기 마개(24)에는 밀봉기능을 할 수 있도록 실링(25)이 구비되며 이를 끼움식 또는 나사식으로 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콕크밸브(12)도 상기 마개(24)와 같은 밀봉기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마개(24)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콕크밸브(12)를 개방하여 음료 등을 따르게 되면 음료가 약간 배출되다가 정지되며 이 순간 다시 상기 콕크밸브(12)를 닫아주게 되면 상기 음료보관통(13)이 진공상태로 되어 외부의 이 물질이나 미생물 또는 병균바이러스 등이 유입될 수 없어 상기 음료보관통(13) 내의 음료가 안전하면서도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10)는 상기 음료보관통(13)에 음료 또는 주류 등을 보관 저장하되, 일반 가정에서는 물을 담아 식탁 등에 놓아 두고 수시로 따라마실 수 있도록 하고 또 술을 담그어 거실 등의 장식장 등에 보관하면서 내부 인테리어 구성의 한 요소로 운용될 수 있으며, 또 주점 등에서는 맥주 또는 과일주 등과 같은 주류를 담아 손님들에게 제공하게 되면 테이블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상기 북채(20)를 이용하여 상기 북(19)을 치면서 흥을 복돋아 가며 술잔을 권유하게 되어 고객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의 사사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의 요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술통에 대한 사시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음료용기 11:주입구 12:배출콕크 13:음료보관통 14:용기받침대
15:잔 16:잔거치대 17:바닥프레임 18:공간부 19:북 20:북채
21:북채거치홈 22:연결이음쇄 23:장신구 24:실링
121:연결관 141:라운드부 161:거치구멍 162:잔거치부 163:고정지지대
164:절개부 171:바닥지지구

Claims (6)

  1. 오크통이나 원통형 몸통에 주입구와 배출콕크가 구비되어 그 내부에 보관 저장된 음료를 잔으로 따라 먹을 수 있도록 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는 주류나 음료를 주입하는 주입구(11)와 이를 배출하는 배출콕크(12)가 구비된 원통형의 음료보관통(13)과, 상기 음료보관통(13)을 안치하여 지지해 주는 용기받침대(14)와, 주류나 음료를 따라 마시는 잔(15)을 거치할 수 있는 잔거치대(16) 및 상기 용기받침대(14)와 상기 잔거치대(16)가 고정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7)으로 구성되되;
    상기 음료보관통(13)은 양단부에 일정 공간부(18)를 구비하여 그 끝단부에 두드리면 소리가 나는 북(19)을 설치하고,
    상기 잔거치대(16)는 잔(15)의 손잡이가 삽설되어 잔바닥부가 거꾸로 거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거치구멍(161)이 형성된 잔거치부(162)와 상기 잔거치부(162)를 상기 바닥프레임(17)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고정지지대(16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대(14)는 상기 음료보관통(13)이 안치되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라운드부(141)가 형성되고 또 상기 라운드부(141)의 양단 직하부에는 상기 북(19)을 두드리는 북채(20)를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북채거치홈(21)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보관통(13)의 바닥면은 이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경사면의 낮은쪽 단부에 상기 콕크밸브(12)의 연결관(121)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121)은 상기 음료보관통(13)의 양측면에 구비된 어느 한쪽의 상기 공간부(18)를 통해 상기 북(19)의 하단부로 돌출되어 그 끝단부에 상기 콕크밸브(12)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19)이 구비되는 상기 음료보관통(13)의 양단부 경계면에는 상기 음료보관통(13)과 상기 북(19)의 연결성과 견고성을 강화시켜 줄 수 있도록 설치된 연결이음쇄(22)와 일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장식된 장신구(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거치대(16)에 형성된 상기 거치구멍(161)에는 상기 잔(15)의 가느다란 목부분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삽설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개부(16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대(14)에 형성된 상기 라운드부(141)에는 상기 음료보관통(13)이 안착될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고무패드(142)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KR1020090052804A 2009-06-15 2009-06-15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KR101037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04A KR101037913B1 (ko) 2009-06-15 2009-06-15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04A KR101037913B1 (ko) 2009-06-15 2009-06-15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271A KR20100134271A (ko) 2010-12-23
KR101037913B1 true KR101037913B1 (ko) 2011-05-30

Family

ID=4350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804A KR101037913B1 (ko) 2009-06-15 2009-06-15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7489B (zh) * 2014-11-27 2016-10-12 贵州宝洞酱藏酒业有限公司 一种伸缩可调式酒罐夹持装置
KR20160118577A (ko) 2015-04-02 2016-10-12 장성복 오락 장치
CN108861143A (zh) * 2018-06-25 2018-11-23 德清县浙北麒麟蚁酒厂 一种新型黄酒用酒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412A (ko) * 1997-02-04 1998-10-15 김철호 맥주피처
KR20040023087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40085595A (ko) * 2003-04-01 2004-10-08 차용진 호프통의 제조방법 및 호프통
KR200423087Y1 (ko) 2006-05-22 2006-08-02 고대중 광고기능을 갖는 술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412A (ko) * 1997-02-04 1998-10-15 김철호 맥주피처
KR20040023087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40085595A (ko) * 2003-04-01 2004-10-08 차용진 호프통의 제조방법 및 호프통
KR200423087Y1 (ko) 2006-05-22 2006-08-02 고대중 광고기능을 갖는 술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271A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0999B2 (ja) 底を通じて飲料の注入がなされる飲料容器
CN201305201Y (zh) 用于饮料容器的模型盖
US6786361B2 (en) Beverage cooling and dispensing device
US20190133358A1 (en) Bottle with insulated chamber and internal storage for cups and accessories
KR101037913B1 (ko) 오락기능의 북과 잔 거치대를 갖는 음료용기
US20120043296A1 (en) Container with Wine Stem and Optional Lid and Optional Handle
KR20170009294A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KR20130074992A (ko) 다용도 테이블
JP2007537950A (ja) アルコール収容大樽用チャイム
KR200423087Y1 (ko) 광고기능을 갖는 술통
TWM606697U (zh) 附插座的飲料容器
JP3153629U (ja) 飲料サーバーセット
CN212980734U (zh) 一种多功能葡萄酒酒瓶
CN214631482U (zh) 一种杯子底部带可拆卸工具杯子
US9828231B2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wine
CN210826119U (zh) 一种新型酿酒器
CN210018770U (zh) 便携饮具组件
KR200406835Y1 (ko) 병받침대
CN209694522U (zh) 一种十字插片酒架
CN207438995U (zh) 一种立躺两用式酒瓶架
CN211459679U (zh) 一种多变花托杯子
EP4273061A1 (en) Glass container for food liquids
US20070098855A1 (en) SaltBeauty : Ornamental Kitchen Salt Container and Dispenser
KR200402281Y1 (ko) 아이스박스
KR200260848Y1 (ko) 음료 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