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005Y1 -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 Google Patents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005Y1
KR200362005Y1 KR20-2004-0017443U KR20040017443U KR200362005Y1 KR 200362005 Y1 KR200362005 Y1 KR 200362005Y1 KR 20040017443 U KR20040017443 U KR 20040017443U KR 200362005 Y1 KR200362005 Y1 KR 200362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ip
cutter
conn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렬 filed Critical 김정렬
Priority to KR20-2004-0017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5/00Hand cutting tools involving disc blades, e.g. motor-driven
    • B26B25/002Motor-driven knives with a rotating annular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100)에 연동회전되는 연장축(200)과, 베벨기어(300)에 의해 상기 연장축에 수직으로 연결설치된 회전커터(400)를 구비하여 선박의 스크류에 감긴 로프나 그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200)은, 전후방이 개방된 파이프형상으로, 연결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11)가 상호결속됨에 따라 다수가 연결형성되는 외부연결관부(210)와; 상기 외부연결관부(210) 내측에서 상기 모터(100)에 연동회전되며, 일측단부에는 스플라인(250)의 내주부가 결합되는 키돌기 또는 볼트형 외주부(22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스플라인(250)의 외주부가 결합되는 내접보스(222)가 형성된 다수가 연결형성되는 연결축부(220)와; 상기 연결축부(220)의 외주면에 내접되며, 상기 외부연결관부의 플랜지(211) 사이에 접속되는 접속플랜지(231)가 형성된 베어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연장축이 다수의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 단부간의 결합에 의해 연장형성됨에 따라 선박상측으로부터 스크류까지의 거리에 해당되는 연장축 길이를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의 갯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가능하며, 플랜지 볼트결합 내지 스플라인 접속에 의해 연결단부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베어링에 의해 연결축부 외주면이 지지됨에 따라 고속회전 시에도 모터로부터 회전커터까지 회전력을 안정되게 전달시킬 수 있는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a electromotive rope-cutter for vessel}
본 고안은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연동회전되는 연장축과 상기 연장축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회전커터가 구비된 선박용 로프 커터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은 플랜지부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다수의 파이프형 외부연결관부와, 상기 외부연결관부 내측에서 스플라인에 의해 연결단부가 접속 및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축부와, 상기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베어링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의 고속회전 시 상기 베어링에 의해 외주면이 지지됨에 따라 회전력이 안정되게 전달되며, 상기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끼리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축의 길이를 상기 외부연결관간 및 연결축부의 갯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한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의 후미에는 추진용 스크류가 장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선박을 전방으로 추진시키거나 후방으로 후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추진용 스크류에는 다수의 회전날개가 부착되어 있고, 추진용 스크류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들 다수의 회전날개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선박의 후미 측으로 추진을 위한 와류를 형성시켜 선박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선박이 항해 중에 있을 때에는, 항상 추진용 스크류는 회전상태에 놓여있게 되는데, 해상에는 많은 이물질이 떠다니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선박이 운항 중에이물질이 추진용 스크류에 빨려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물질 중에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로프 등이 추진용 스크류 측으로 빨려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에 로프 등이 감기게 되면, 축 및 스크류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에는, 통상 선박에 타고 있는 선원 등이 물속으로 잠수하여 축에 뒤엉켜 있는 로프를 수작업으로 제거하곤 하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으며, 특히 로프제거 수작업 중에 오류로 인하여 추진용 스크류가 회전이라도 하게 되면 대형 인명참사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03627호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길이조절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의 길이조절수단은 제1회전축(18)의 선단부에 압지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압지부(24)에 고정수단(28)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관체(14)에 삽입된 제2관체(16)가 구속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회전축(18)의 외주면에는 안내구멍(2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멍(20)에는 상기 제2회전축(30)에 체결된 볼트(22)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길이조절수단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선박에 적용할 수 있도록하고자 하였으나, 상기 제1회전축(18)과 제2회전축(30)이 상기 볼트(22)에 의해 국소연결됨에 따라 실제로는 회전수 100rpm이하로만 안정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스크류에 감긴 로프나 그물을 절단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커터를 4,000rpm이상으로 회전작동시키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하며, 상기 회전커터가 베벨기어에 연결설치됨에 따라 길이조절수단의 회전축은 최하 6,000~7,000rpm 이상으로 회전되어야하므로 상기와 같은 길이조절구조는 무용지물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다수의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회전축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가능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연결단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축부의 고속회전 시에도 모터로부터 회전커터까지 회전력을 안정되게 전달시킬 수 있는 구조의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2 - 도 1의 길이조절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 - 연장축의 분해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모터 200 : 연장축
210 : 외부연결관부 211 : 플랜지
211a : 원형돌기 211b : 원형홈
215 : 수경 220 : 연결축부
221 : 볼트형 외주부 222 : 내접보스
230 : 베어링부 231 : 접속플랜지
250 : 스플라인 300 : 베벨기어
400 : 회전커터 500 : 케이싱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모터(100)에 연동회전되는 연장축(200)과, 베벨기어(300)에 의해 상기 연장축에 수직으로 연결설치된 회전커터(400)를 구비하여 선박의 스크류에 감긴 로프나 그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200)은, 전후방이 개방된 파이프형상으로, 연결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11)가 상호결속됨에 따라 다수가 연결형성되는 외부연결관부(210)와; 상기외부연결관부(210) 내측에서 상기 모터(100)에 연동회전되며, 일측단부에는 스플라인(250)의 내주부가 결합되는 키돌기 또는 볼트형 외주부(22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스플라인(250)의 외주부가 결합되는 내접보스(222)가 형성된 다수가 연결형성되는 연결축부(220)와; 상기 연결축부(220)의 외주면에 내접되며, 상기 외부연결관부의 플랜지(211) 사이에 접속되는 접속플랜지(231)가 형성된 베어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연결관부(210)는, 선상에서 스크류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이프 상하단부에 유리 또는 렌즈가 설치된 수경(215)이 외측에 결합되는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벨기어(300)는,상기 회전커터(400)가 결합된 회전축부가 상기 베벨기어(300)를 수용하는 케이싱(500)에 베어링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연결관부의 플랜지(211)는, 접촉단면부의 개방구 외측둘레에 원형돌기(211a)나 상기 원형돌기(211a)에 대응되는 원형홈(211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플라인(250)은,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장축이 다수의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 단부간의 결합에 의해 연장형성됨에 따라 선박상측으로부터 스크류까지의 거리에 해당되는 연장축 길이를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의 갯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 볼트결합 내지 스플라인 접속에 의해 연결단부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베어링에 의해 연결축부 외주면이 지지됨에 따라 고속회전 시에도 모터로부터 회전커터까지 회전력을 안정되게 전달시킬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수경이 구비되어 선상에서 스크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하면서 로프나 그물 절단작업이 가능하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연장축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는 크게 모터(100), 연장축(200), 베벨기어(300), 회전커터(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축(200)은 후방단부에 설치된 모터(100)에 연동회전되고, 상기 베벨기어(300)는 상기 연장축(200)의 전방단부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회전력을 전환시키고, 상기 회전커터(400)는 상기 베벨기어(300)에 의해 상기 연장축(200)에 수직으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베벨기어(300)의 기어치 상대비에 의해 감소된 회전수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선상에서 상기 연장축(200)을 스크류까지 인접시키고 모터를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커터(400)가 고속회전되어 스크류에 감긴 로프나 그물을 절단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모터(100), 베벨기어(300), 회전커터(400)는 종래에 공지된 기술인바,먼저 상기 연장축(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장축(200)은 외부연결관부(210), 연결축부(220), 베어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연결관부(210)는 상기 연결축부(220)를 선박상측으로부터 스크류까지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상기 연결축부(2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전후부가 개방된 파이프형상을 가지고 선박상측으로부터 스크류까지에 해당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외부연결관부(210)는 선상으로부터 스크류까지의 거리가 짧으면 하나의 갯수로도 이루어지나, 선상으로부터 스크류까지의 거리가 1m이상 되면 하나의 단위체로 제작하기 번거로워, 기본단위길이를 가진 다수가 단부끼리 상호 체결되어 길이를 연장형성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외부연결관부(210) 간의 연결단부에는 플랜지(211)가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확장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플랜지(211)끼리 상호 접촉된 상태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211)에는 동일한 대응위치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전방부의 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11)와 후방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11)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호결속됨에 따라 다수가 견고하게 축방향으로 연결 및 연장형성된다.
상기 연결축부(220)는 상기 외부연결관부(210) 내측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모터(100)의 회전축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연동회전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베벨기어(300)의 회전축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축부(220)는 상기 외부연결관부(210)의 단위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로 다수가 제작되어 각각의 외부연결관부(20)에 삽입설치되며, 후방에 설치된 상기 모터(100)로부터 전방에 설치된 회전커터(400)로 회전력을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부끼리 스플라인(250)에 의해 접속 및 결합구속되는 연결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장축(200)이 다수의 상기 외부연결관부(210) 및 연결축부(220) 단부간의 결합에 의해 연장형성됨에 따라 선박상측으로부터 스크류까지의 거리에 해당되는 상기 연장축(200) 길이를 상기 외부연결관부(210) 및 연결축부(220)의 갯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가능하다.
상기 스플라인(250)은 내주에 키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키홈이나 너트형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둘레에는 등간격으로 요철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결축부(220)의 전단부에는 상기 스플라인(250)의 내주부가 결합되는 키돌기나 볼트형 외주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에 접속되는 전방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스플라인(250)의 외주부가 결합되는 내접보스(222)가 형성된다.
도 3, 4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플라인(250)의 외주둘레에는 기어치형상으로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부(220) 후방부의 전단부가 상기 스플라인(250)을 관통하여 너트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스플라인(250)과 고정결합되고 상기 스플라인(250)이 전방부의 후단부에 끼워져 상호결속됨에 따라 후방부와 전방부가 연결되고, 다수가 견고하게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스플라인(250) 및 연결축부(220)의 전단부 형상은 상기 일실시예와 같은 형상이나 키홈이 형성된 형성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플라인(250)이육각기둥형상 등 가공이 용이하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부(220)의 전단부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부(230)는 고속회전하는 상기 연결축부(220)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원형의 내경을 가지며, 외측으로는 상기 외부연결관부의 플랜지(211)간의 연결단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연결관부(210)와 함께 볼트결합 및 구속될 수 있도록 접속플랜지(231)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부(230)는 상기 연결축부(220)의 외주면을 내접시켜 외측에서 지지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부(220)에 진동이나 굽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력이 안정되게 전방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부연결관부의 플랜지(211) 사이 뿐만 아니라 모터(100)와 상기 연장축(200)과의 접속부에도 설치되면 상기 모터(100)와 연결축부(220)의 결합부에서의 회전력전달도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벨기어(300)는 수직으로 교차접촉된 원뿔면상에 톱니가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달하는 기어로, 상기 연결축부(22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고 교차접촉된 원뿔면의 원주크기의 상대비에 의해 상기 회전커터(400)로 속도를 감속하여 전달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상기 베벨기어(300)는 상기 회전커터(400)가 결합된 회전축부의 상부가 상기 베벨기어(300)를 수용하면서 상기 연부연결관부(210)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케이싱(500)까지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을 베어링에 내접시켜 상기 케이싱(50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커터(400)의 절단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측방향 가압에 대해 비틀어지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하게되며, 인접한 다른 기어와의 기어치물림도 안정되고 명확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전달 및 굽힘가압에 대한 작동성능이 향상되고, 기어치의 손상이 방지되어 기어수명도 유지시키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연장축의 분해사시도를 보면, 상기 외부연결관부의 플랜지(211)는 전방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연결축부를 삽입하기 위한 개방구 외측둘레에 걸쳐 원형돌기(211a)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부의 후단부에 접촉되는 후방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원형돌기(211a)에 대응되는 형상의 원형홈(211b)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연결관(210)간의 조립 시 상기 원형돌기(211a), 원형홈(211b)에 의해 정위치로 맞추기 쉬워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완성 후에는 외부가압이나 진동에 의해 연결부가 서로 엇갈리지 않고 정위치가 유지되도록 해준다.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연결관부(210) 외측에는 선상에서 스크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하면서 로프나 그물 절단작업이 가능하도록 수경(215)이 설치되며, 상기 수경(215)은 상기 외부연결관부(210) 길이를 따라 파이프가 연속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상하단부에는 유리 또는 렌즈가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연장축이 다수의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 단부간의 결합에 의해 연장형성됨에 따라 선박상측으로부터 스크류까지의 거리에 해당되는 연장축 길이를 외부연결관부 및 연결축부의 갯수에 따라 다양하게조절가능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 볼트결합 내지 스플라인 접속에 의해 연결단부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베어링에 의해 연결축부 외주면이 지지됨에 따라 고속회전 시에도 모터로부터 회전커터까지 회전력을 안정되게 전달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경이 구비되어 선상에서 스크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하면서 로프나 그물 절단작업이 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모터(100)에 연동회전되는 연장축(200)과, 베벨기어(300)에 의해 상기 연장축에 수직으로 연결설치된 회전커터(400)를 구비하여 선박의 스크류에 감긴 로프나 그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200)은,
    전후방이 개방된 파이프형상으로, 연결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11)가 상호결속됨에 따라 다수가 연결형성되는 외부연결관부(210)와;
    상기 외부연결관부(210) 내측에서 상기 모터(100)에 연동회전되며, 일측단부에는 스플라인(250)의 내주부가 결합되는 키돌기 또는 볼트형 외주부(22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스플라인(250)의 외주부가 결합되는 내접보스(222)가 형성된 다수가 연결형성되는 연결축부(220)와;
    상기 연결축부(220)의 외주면에 내접되며, 상기 외부연결관부의 플랜지(211) 사이에 접속되는 접속플랜지(231)가 형성된 베어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관부(210)는,
    선상에서 스크류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이프 상하단부에 유리 또는 렌즈가 설치된 수경(215)이 외측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300)는,
    상기 회전커터(400)가 결합된 회전축부가 상기 베벨기어(300)를 수용하는 케이싱(500)에 베어링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관부의 플랜지(211)는,
    접촉단면부의 개방구 외측둘레에 원형돌기(211a)나 상기 원형돌기(211a)에 대응되는 원형홈(211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250)은,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KR20-2004-0017443U 2004-06-21 2004-06-21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KR200362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43U KR200362005Y1 (ko) 2004-06-21 2004-06-21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43U KR200362005Y1 (ko) 2004-06-21 2004-06-21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005Y1 true KR200362005Y1 (ko) 2004-09-13

Family

ID=4943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43U KR200362005Y1 (ko) 2004-06-21 2004-06-21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0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27B1 (ko) 2015-10-01 2016-09-09 김영원 조명부재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제거장치
KR101879959B1 (ko) * 2016-12-23 2018-07-18 황민선 수중 그라인더
KR102276829B1 (ko) 2020-01-10 2021-07-12 고갑석 선박용 추진 시스템 보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27B1 (ko) 2015-10-01 2016-09-09 김영원 조명부재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제거장치
KR101879959B1 (ko) * 2016-12-23 2018-07-18 황민선 수중 그라인더
KR102276829B1 (ko) 2020-01-10 2021-07-12 고갑석 선박용 추진 시스템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678B2 (en) Spindle with overmolded bushing
KR102083778B1 (ko) 선박용 그물 및 로프 절단장치
US20020085914A1 (en) Hub assembly for marine propeller
EP3144214B1 (en) Tubular damper unit to be disposed between a propeller shaft of a vessel propulsion apparatus and a propeller member
KR200362005Y1 (ko) 선박용 전동 로프 커터기
US6672834B2 (en) Removable propeller assembly incorporating breakaway elements
US6358008B1 (en) Propeller assembly for a marine vehicle
EP0464085B1 (en) Feathering propeller with a manually adjustable pitch
US7708526B2 (en) Propeller assembly incorporating spindle with fins and overmolded bushing
EP1578662B1 (en) Arrangement in a propulsion system
KR200303627Y1 (ko)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US4850800A (en) Device for blocking rotation of marine propellers
KR102179639B1 (ko) 보트 선외기의 추진프로펠러 보호장치
FR2560147A1 (fr) Ensemble de propulsion d&#39;un navire, escamotable dans un puits
JP4279380B2 (ja) 推進装置
EP0790922B1 (en) Angle gearing, especially for a marine outboard drive unit
CN209905025U (zh) 一种用于船用推进器上的螺旋桨装置
JP5723295B2 (ja) 副駆動部を有する船舶推進装置
CN218055581U (zh) 一种安全可靠的船用驱动系统
US7416460B2 (en) Marine screw drive with line cutter
KR200388993Y1 (ko) 선박용 프로펠러 장치
KR100310354B1 (ko) 선회 유리창에서 모타가 제거된 선회창
KR102548647B1 (ko) 선박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
KR20230165417A (ko) 선박의 스러스터 장치
KR101444116B1 (ko) 선박의 프로펠러 동력 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