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949Y1 - 작업용 동력전동카 - Google Patents

작업용 동력전동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949Y1
KR200361949Y1 KR20-2004-0016185U KR20040016185U KR200361949Y1 KR 200361949 Y1 KR200361949 Y1 KR 200361949Y1 KR 20040016185 U KR20040016185 U KR 20040016185U KR 200361949 Y1 KR200361949 Y1 KR 200361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elevating
shaft
wheel
pin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이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희 filed Critical 이충희
Priority to KR20-2004-0016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의 작목에 사용되는 작업용 전동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나 과수원 등에서 임의의 위치와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하고 수확할 때 순차적인 주행과 더불어 과수에 근접한 높이까지 작업자 또는 운전자를 승강시키는 자동식 승강장치(lift unit)를 구비한 작업용 동력전동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랙 및 피니언방식(rack and pinion type)의 조향장치(steering system)를 채택하여 간단하면서고 효율이 높고 또한, 외력에 둔감하면서도 조종이 수월하며 특히, 여성이나 노인들에게 편리한 작업용 동력전동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승강장치의 상승 시, 임의의 고도에서 운전자를 지지하는 승강판에 대한 핸들(steering wheel)의 고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운전자가 안정된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작업용 동력전동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작업용 동력전동카 {A motor car for a work}
본 고안은 농작물의 작목에 사용되는 작업용 동력전동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나 과수원 등에서 임의의 위치와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하고 수확할 때 순차적으로 주행운전하면서 과수에 근접한 높이까지 작업자 또는 운전자를 승강시키는 자동식 승강장치를 구비한 작업용 동력전동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주행 시의 방향전환 기능 이외에도 운전자의 생명보호를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이 많지만, 조작이 쉽고 방향전환이 원활하며 주행 중에 충돌하는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등의 기본적인 구비요건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전동카는 좌우의 전륜이 하나의 차축(axle)으로 연결되고 조향축(steering column)을 매개로 핸들(steering wheel)과 연결되어 핸들의 조작에 의해 조향축을 중심으로 전륜의 차축을 회전시켜서 차의 방향을 전환하는 피벗방식(pivot type)인데, 이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첫째, 운전자에게 용이한 조종을 제공하지 못한다. 보통 농작물의 작물은 손놀림이 섬세한 여성이거나 또는 시골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대부분 노인들에 의해작목되고 있고, 생산품목의 특성상 주행 바닥 면이 울퉁불퉁한 비포장의 작업장 바닥이어서 비교적 육체적인 힘이 적은 여성이나 노인에게는 주행 시 방향전환을 위한 핸들의 조작이 무척이나 힘겹고, 또한 양손을 모두 핸들의 조종에 사용하여도 핸들조작이 수월하지 못하여 차체의 선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수확한 과수를 적재하였을 경우엔 적재하중에 의한 전륜과 주행 바닥 면의 마찰을 비롯한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방향전환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
둘째, 장애물에 대한 저항력이 적다. 주행 중에 각종 장애물과 충돌 시에 바퀴의 진로가 방해를 받게 되는데, 한쪽 바퀴가 우묵한 곳에 빠지거나 불룩한 곳에 올라서면 상대편 바퀴는 전진을 서두르게 되고 조향축의 갑작스러운 선회를 유발하게 되어 안정된 직진이 불가능하게 된다.
셋째, 핸들이 차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작업용 전동카는 작업의 특성상 승강장치를 구비하고 운전자는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판 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데, 종래의 전동카는 승강판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핸들이 차체에 대해 고정적인 고도를 유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자세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어 불안정한 운전자세를 유발시킨다.
넷째, 종래의 전동카는 승강장치가 수동식이다. 불규칙적인 높이에 있는 과수를 관리 및 수확하기 위해선 작업자의 손이 근거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승강시키는데, 종래의 전동카는 승강장치의 고도 조절을 위해선 매번 작업자가 전동카에서 내린 후 수작업으로 적절한 고도로 승강장치를 조정한 다음 다시 탑승하여 소기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런 반복된 작업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과수에 관한 작업능률을 떨어뜨리고, 특히 높은 고도에서의 작업 시에는 작업자의 안전마저 위협하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전동카에서 유발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출안 한 것으로서, 종래의 전륜이 동일한 차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피벗방식의 조향장치가 아닌, 랙 및 피니언방식의 조향장치를 채택하여 간단하면서도 효율이 높고 또한, 외력에 둔감하면서도 조종이 수월한 작업용 동력전동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승강장치의 상승 시, 임의의 고도에서 핸들과 운전자를 지지하는 승강판의 고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운전자가 안정된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작업용 동력전동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승강장치를 탑승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자동식 승강장치를 구비한 작업용 동력전동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부 상세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부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륜부 상세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부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차체 120 : 전륜프레임
200 : 구동장치 300 : 조향장치
310 : 랙바 320 : 피니언기어
340 : 너클 360 : 조향축
400 : 승강장치 500 : 후륜축
600 : 전륜축 700 : 제어부
본 고안은 전,후륜과 구동장치와 조향장치와 승강장치 및 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행과 더불어 운전자의 위치를 상하로 승강시켜 소기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전륜조향 후륜구동방식의 작업용 전동카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steering system)는 좌우 각각의 전륜축을 매개로 상기 전륜과 연결되고, 상기 승강장치(lift unit)는 전기적인 방식으로 조작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동카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조향장치가 방향전환을 위해 조종되는 핸들(steering wheel)과, 상부에서 상기 핸들과 결합되고 하부에서 피니언기어(pinion gear)와 결합되는 봉형상의 조향축(steering column)과,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한 면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톱니를 구비하고 좌우의 상기 전륜축에서 일정거리만큼 평행하게 이격되어 수평으로 위치하는 봉형상의 랙바(rack bar)와, 상기 차체의 전방과 상기 랙바의 좌우 끝단을 양단에서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너클(knuckle)을 구비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4절 링크로 형성되고, 상기 너클의 외측에 상기 전륜이 상기 전륜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조향축은 중공으로 형성되고 하단에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상단으로 삽입되어 상하의 직선대우를 이루고 상기 핸들과 상부에서 결합되는 봉형상의 가변축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가변축의 상부와 상기 승강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하강에 따라 상기 가변축을 상하로 안내하면서 이송시키는 조향축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하강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피이언기어에 전달하고 운전자를 지지하는 상기 승강장치에 대한 상기 핸들의 고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된 운전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승강장치가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차체의 좌우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하부에서 지지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판재형상의 승강판과, 상기 승강프레임과 승강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체와 상기 지지대에 상기 유압실린더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조작폐달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부 상세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향장치부 평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륜부 상세도이며, 도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부 상세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전동카(C)의 각 구성요소를 통합하여 구성하는 차체(100)와, 모터(210)와 유압실린더(220)를 구동원으로 이용하여 차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200)와, 상기 차체(100)의 전방에서 주행 중인 차체(100)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300)와, 상기 차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운전자의 위치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400)와, 상기 구동장치(200)를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모터(210)의 동력을 전달받는 후륜축(500) 및 상기 후륜축(500)의 양단에 결합되는 후륜(510)과, 상기 조향장치(300)의 좌우에 각각 결합되는 전륜축(600) 및 상기 전륜축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전륜(6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체(10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후에서 상기 전, 후륜(610, 510)을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연결하는 전륜프레임 및 후륜프레임(120, 13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에서 상기 조향장치(300)를 지지하는 조향프레임(14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중앙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50)과, 상기 지지브라켓(15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수용하는 충전지박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상기 차체(100)의 중심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하여 비교적 간단하면서 견고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전륜프레임(12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에서 수직하방으로 결합된 좌우 한 쌍의 전륜지지프레임(122)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된다.
상기 후륜프레임(13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수직하방으로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후륜지지프레임(132)과, 상기 후륜지지프레임(132)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후륜축(510)을 지지하는 후륜베어링(134)을 구비한다.
상기 조향프레임(14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방, 즉 상기 전륜프레임(12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부로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조향지지프레임(142)과, 상기 조향지지프레임(14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장치(300)의 조향축(360)의 회전을 지지하는 조향베어링(144)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브라켓(150)은 상기 유압실린더(220)의 하단과 회전대우를 이루며 연결된다.
상기 구동장치(2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지박스(16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후륜축(500)을 구동하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의 축과 후륜축(500)에 각각 결합되는 구동스프로켓 및 피동스프로켓(212, 214)과, 상기 구동 및 피동스프로켓(212, 214)을 연결하는 체인(216)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21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및 피동스프로켓(212, 214)과 상기 체인(216)을 통해 상기 후륜축(500)에 전달하고 상기 후륜(51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차체(100)를 전진 및 후진시키고, 또한 상기 승강장치(40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220)와, 상기 유압실린더(220)에 고압의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유닛(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20)는 상기 차체(100)와 상기 승강장치(400)에 연결되어 팽창 시에 상기 승강장치(400)를 상승시키고, 수축 시에 하강시킨다.
상기 유압유닛(222)은 상기 충전지박스(160)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부착되고, 소기의 작업에 대응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20)에 작동유인 고압의 유압유를 공급한다.
상기 조향장치(30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전륜이 하나의 차축으로 연결된 피벗방식이 아니라, 좌우의 전륜(610)이 각각의 상기 전륜축(600)을 매개로 상기 전륜프레임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도시된 상기 상기 조향장치(300)는 전륜프레임(120)에서 전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한 면에 톱니가 형성된 봉형상의 랙바(310)와, 상기 랙바(310)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서 회전에 의해 랙바(310)를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 시키는 피니언기어(320)와, 상기 전륜프레임(120)에 부착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랙바(310) 및 상기 피니언기어(320)를 안착시켜 상호 원활한 평면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기어플레이트(330)와, 상기 전륜프레임(120)과 상기 랙바(310)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4절 링크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너클(340)과, 선회 시 방향조종을 위한 핸들(350)과, 상기 핸들(350)과 결합되고 상기 조향프레임(140)의 조향베어링(144)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어플레이트(330)와 회전대우를 이루어서 상기 핸들(350)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320)에 전달하는 조향축(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랙바(310)는 핀구멍을 양단에 구비하고 상기 너클(340)과 랙핀(312)에의해 결합되어 회전대우를 이룬다.
상기 피니언기어(320)는 상기 조향축(36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랙바(310)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 상기 핸들(35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랙바(310)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기어플레이트(330)는 상기 랙바(310)의 톱니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0)에 대해 상기 랙바(310)가 일정한 물림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랙바(31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랙가이드(314)를 구비한다.
상기 너클(340)은 상기 전륜축(600)과 결합되는 위치에 핀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전륜프레임(120)의 끝단에 형성된 핀구멍과 킹핀(346)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대우를 이루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판재형태의 너클암(342)을 구비한다.
상기 너클암(342)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고, 슬롯을 관통하는 상기 랙핀(312)에 의해 상기 랙바(310)의 끝단에 결합되어 회전 및 직선대우를 이룬다.
상기 조향축(360)은 중공으로 형성되고 하단에서 상기 피니언기어(320)와 결합되는 고정축(362)과, 상기 고정축(362)의 상단으로 삽입되어 상하의 직선대우를 이루고 상기 핸들(350)과 상부에서 결합되는 봉형상의 가변축(364)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가변축(364)의 상부와 상기 승강장치(400)를 연결하여 상기 승강장치(400)의 상승하강에 따라 상기 가변축(364)을 상하로 안내하면서 이송시키는 조향축가이드(36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362)의 상단 또는 내부전체에는 육각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축(364)의 단면은 육각바(hexagonal-bar)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362)에 대한 직선이동만을 허용하고 회전은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축가이드(366)의 하단은 상기 승강장치(400)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가변축(364)의 상부를 수용하되 원활한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헐거운 끼움으로 결합된다.
상기 승강장치(400)는 상기 차체(100)의 중심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좌우측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승강프레임(410)과, 상기 승강프레임(410)의 상부에서 외측 및 내측지지대(430,440)로 연결되어 상승 및 하강되는 승강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익히 알려진 크로스 바 방식(cross-bar type)이므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비교적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승강프레임(41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롤러(450)의 안내역할을 하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개방된 면을 서로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좌우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승강판(420)은 판재형태이고, 좌우 양단부에 하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프레임(410)과 동일하게 롤러(450)를 수용하고 안내하는 롤러가이드(45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420)은 후단에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안전브라켓(422)을 구비하여 돌발적인 충격에 의해 과수를 수용하는 적재박스가 상기 승강판(4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지지대(430)와 상기 내측지지대(440)는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되어 서로 회전대우를 이루는 두 쌍의 바(bar)로써, 전단이 상기 승강판(420) 및 승강프레임(410)의 전방에 회전대우로 각각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승강프레임(410) 및 승강판(420)의 후방에 상기 롤러(450)를 매개로 직선대우를 이루며 결합된다.
여기서, 승강장치의 동작은 상기 내측지지대(440)의 전방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된 실린더브라켓(462)과 상기 지지프레임(15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상기 유압실린더(220)에 의해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대해 상기 외측 및 내측지지대(430, 440)가 밀어 올리거나 받쳐 내려져서 상기 승강판(420)이 상하로 승강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충전지박스(160)의 전방에서 상기 유압유닛(220)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전동카(C)의 상기 구동장치(200)에 대한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컨트롤박스(710)와, 조향축가이드(366)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350)의 근거리에서 전동카(C)의 시동 및 전,후 전환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조작판(720)과, 상기 승강판(420)의 전방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장치(400) 및 전후진의 주행을 제어하는 조작폐달(730)을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동카(C)의 사용 및 작용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전원을 켜서 전진 및 후진하는 방법은 익히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첨부된 도면을토대로 조향장치(300)와 승강장치(400)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행 시에 전동카(C)의 선회를 위하여 상기 핸들(350)을 회전시키면, 상기 조향축(360)을 통해서 상기 피니언기어(32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랙바(310)가 선회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너클암(342)을 밀어서 상기 너클(340)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킹핀(34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좌우 양측의 상기 전륜축(600)에 결합된 전륜(610)의 방향이 선회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전륜프레임(120), 랙바(310) 및 너클(340)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4절 링크가 평행사변형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전륜(610)의 방향을 바꾸게 된다.
상술한 조향원리는 전 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선회 시에 상기 핸들(350)을 회전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기 전륜(610)이 조종되어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랙 및 피니언방식의 조향장치(300)를 채택함으로써, 간단하면서고 효율이 높고 또한, 외력에 둔감하면서도 조종이 수월하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400)의 상승 시, 상기 핸들(350)을 상단에 구비한 상기 가변축(364)이 상기 조향축가이드(366)의 안내에 따라 상기 승강판(420)과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데, 임의의 고도에서 상기 가변축(364)과 고정축(362)은 일체로 상기 핸들(350)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320)에 전달하고 상기 핸들(350)과 상기 승강판(420)은 동일한 고도를 유지하므로 운전자는 지속적으로 안정된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장치(400)는 탑승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을 위한 조작이 상기 조작폐달(730)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되므로 소기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륜프레임(120)과 상기 너클(340)을 연결하는 상기 킹핀(346)을 상기 전륜(610)의 수직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즉 킹핀경사각(K)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주행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전륜(610)이 정방향을 유지하고 장애물 등 기타요인에 기인하여 전륜(610)이 바람직하지 못한 선회를 할 경우 정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캠버 및 캐스터각이나 토인 등 조향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를 상기 조향장치(300)에 적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좀더 용이하고 원활한 조향효과를 얻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되었지만, 랙 피니언 방식이 아닌 링크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고 상술한 원리를 보다 다양한 기구적 요소에 적용하여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랙 및 피니언방식의 조향장치를 채택하여 간단하면서도 효율이 높고 또한, 외력에 둔감하면서도 조종이 수월하며 특히, 여성이나 노인들에게 편리한 작업용 동력전동카를 제공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승강장치의 상승 시, 핸들을 상단에 구비한 가변축이 조향축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승강판과 동시에 상승하게 되어 임의의 고도에서 가변축과 고정축은 일체로 핸들의 회전력을 피니언기어에 전달하고 핸들과 승강판은 동일한 고도를 유지하므로 운전자는 지속적으로 안정된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승강장치를 유압실린더와 제어부의 작용을 통하여 탑승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후륜과 구동장치와 조향장치와 승강장치 및 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행과 더불어 운전자의 위치를 상하로 승강시켜 소기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전륜조향 후륜구동방식의 작업용 전동카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steering system)는 좌우 각각의 전륜축을 매개로 상기 전륜과 연결되고, 상기 승강장치(lift unit)는 전기적인 방식으로 조작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동카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동력전동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방향전환을 위해 조종되는 핸들(steering wheel)과, 상부에서 핸들과 결합되고 하부에서 피니언기어(pinion gear)와 결합되는 봉형상의 조향축(steering column)과,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톱니를 한 면에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는 봉형상의 랙바(rack bar)와, 상기 차체의 전방과 상기 랙바의 좌우 끝단을 양단에서 각각 연결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4절 링크를 형성하고 외측에서 상기 전륜축과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너클(knuckle)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동력전동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은 중공으로 형성되고 하단에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결합되는 고정축과, 고정축의 상단으로 삽입되어 상하의 직선대우를 이루고 상기 핸들과 상부에서 결합되는 봉형상의 가변축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가변축의 상부와 상기 승강장치를 연결하여 승강장치의 상승하강에 따라 가변축을 상하로 안내하면서 이송시키는 조향축가이드를 구비하여, 승강장치의 상승하강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서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피이언기어에 전달하고 운전자를 지지하는 승강장치에 대한 핸들의 고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된 운전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동력전동카.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차체의 좌우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하부에서 지지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판재형상의 승강판과, 상기 승강프레임과 승강판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체와 상기 지지대에 상기 유압실린더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조작폐달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동력전동카.
KR20-2004-0016185U 2004-06-09 2004-06-09 작업용 동력전동카 KR200361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85U KR200361949Y1 (ko) 2004-06-09 2004-06-09 작업용 동력전동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85U KR200361949Y1 (ko) 2004-06-09 2004-06-09 작업용 동력전동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949Y1 true KR200361949Y1 (ko) 2004-09-14

Family

ID=4943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85U KR200361949Y1 (ko) 2004-06-09 2004-06-09 작업용 동력전동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9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304B1 (ko) 2012-06-15 2013-12-02 근우테크 주식회사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CN108654024A (zh) * 2018-06-28 2018-10-16 重庆宇爵智能科技有限公司 扫球车及其后轮转向装置
CN113073833A (zh) * 2021-04-09 2021-07-06 河南润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土建施工用支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304B1 (ko) 2012-06-15 2013-12-02 근우테크 주식회사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CN108654024A (zh) * 2018-06-28 2018-10-16 重庆宇爵智能科技有限公司 扫球车及其后轮转向装置
CN113073833A (zh) * 2021-04-09 2021-07-06 河南润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土建施工用支架
CN113073833B (zh) * 2021-04-09 2024-03-08 河南润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土建施工用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28378A1 (en) Mobility enhancement wheelchair
US7316405B2 (en) Stair-climbing apparatus
US4613151A (en) High/low extension-lift power wheelchair
US6805209B2 (en) Wheelchair motorizing apparatus
US9579242B2 (en) Electric mid-wheel drive wheelchair
KR101943180B1 (ko) 주행기구 및 그 주행기구가 장착되는 전기차와 장난감
CA2398132C (en) Mobile elevator working and load-lifting platform
GB2429192A (en) Load carrying apparatus
CA2120631C (en) Power driven wheel chair
EP1798139A2 (en) Crawler moving system having variable configuration
CN102028590B (zh) 一种爬楼路行两用的电动轮椅
JPH0751319A (ja) 昇降式電動車椅子
DE602004009363T2 (de)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handgeführten, selbstfahrenden Kleinlastwagen
KR200361949Y1 (ko) 작업용 동력전동카
JPH1159515A (ja) 匍匐台車
KR102160210B1 (ko) 무한궤도를 갖는 전동 작업차
JP2004097712A (ja) 四足歩行装置
DE102006049711A1 (de) Kompakt-Treppensteiger, zum Selbststeigen für Rollstuhlfahrer
JP4076282B2 (ja) 自走式階段移動装置
JP4483035B2 (ja) 姿勢可変型クローラ
DE19816879A1 (de) Treppensteigender Rollstuhl
CN111232085A (zh) 一种伸缩腿式爬楼机
CN211765953U (zh) 一种伸缩腿式爬楼机
JP2000062658A (ja) 自走式階段移動装置
CN216359987U (zh) 爬楼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