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948Y1 -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948Y1
KR200361948Y1 KR20-2004-0016138U KR20040016138U KR200361948Y1 KR 200361948 Y1 KR200361948 Y1 KR 200361948Y1 KR 20040016138 U KR20040016138 U KR 20040016138U KR 200361948 Y1 KR200361948 Y1 KR 200361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ilt
support shaft
fix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20-2004-0016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되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그 전면에 돔케이스를 씌워 지정영역을 촬영하는 고정식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되 상단면에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씌워지는 원통형상으로 상단면과 일측면이 연통되는 틸트홀을 갖고 일측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지지축에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틸트조절체; 상기 틸트조절체의 틸트홀을 통해 지지축의 상단면의 홈에 밀착되는 볼과 그 볼의 일측에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나사가 형성된 지지회동체; 및 상기 지지회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에 중심부가 체결되는 판 형태로 상단면에 카메라하우징이 고정 체결되는 브래킷;을 구비하여 감시카메라의 감시각의 변경에 관계없이 카메라를 모든 수평 및 경사각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시각이 변경될 경우 카메라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세팅가능함에 따라 감시카메라의 설치 및 감시각의 변경이 용이한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DOME CAMERA FREE ANGLE ADJUSTMENT}
본 고안은 고정형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의 수평각(Pan) 및 경사각(Tilt)에 대한 조절이 자유로워서 카메라 설치 후 감시영역을 변경하더라도 간단한 방식으로 감시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은행이나 현금인출기 및 중요한 공공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형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형 감시카메라는 출입자들을 촬영 녹화하여 사고발생시 범인을 추적하는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실제 이러한 감시카메라에 의해 많은 사건을 해결한 사례가 있어 더욱 더 감시카메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감시카메라는 출입자를 감시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으므로 될 수 있으면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고또 주변 미관에 잘 조화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으므로 요즘은 그 크기가 작고 외관이 미려한 감시카메라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벽면이나 천장에 하부케이스를 견고하게 부착하고 그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외부에 반구형의 돔케이스를 씌워 하부케이스에 고정시킨 구조로써 돔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감시창을 통하여 촬영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대략 360°로 수평(Pan)으로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임의의 각에서는 경사각(Tilt)의 조정이 안되므로 설치시 감시각을 미리 예상하여 그 각도로만 촬영할 수 있도록 세팅해야만 하였다.
즉,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원판형으로 그 둘레에 나선이 형성된 측벽(2)을 가지며 중앙부에 회전판(3)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1)와, 상기 하부케이스(1)의 체결공에 설치되어 대략 360°수평조절하는 회전판(3)과, 상기 회전판(3)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 연장된 브래킷(4)과, 상기 브래킷(4)에 나사 체결되어 일방향으로만 경사각(Tilt)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 카메라하우징(5), 및 상기 하부케이스(1)의 나선에 결합되는 돔케이스(7)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메라하우징(5)은 브래킷(4)을 통해 회전판(3)에 설치되어 회전판(3)의 회전에 따라 360°수평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카메라하우징(5)은 구조적으로 일방향으로만 틸트조절이 가능하도록 브래킷(4)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반대방향으로는 대략 20°정도의 경사각(Tilt) 조절밖에 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를 설치할 경우 미리 감시각도를 예상하여 그 각도로 촬영 가능하도록 세팅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정형 감시카메라는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에서 감시각을 타측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즉, 회전판(3)을 180°를 기준으로 타측으로 회전시켜야할 경우 카메라하우징(5)은 일방향으로만 틸트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판(3)을 180°로 회전시켜야 하는 데, 이때 카메라가 상하가 뒤집어져 카메라에 맺히는 영상도 상하좌우가 바뀌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카메라를 설치한 후 감시각을 변경할 경우 브래킷(4)에서 카메라하우징(5)을 분리하거나 회전판(3)을 분리하여 카메라를 원하는 방향으로 감시각을 다시 조절한 후 재설치해야 하는 데, 카메라의 설치 특성상 높은 곳에 설치되므로 상당한 번거로운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감시카메라의 감시각의 변경에 관계없이 카메라를 모든 수평 및 경사각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시각이 변경될 경우 카메라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세팅가능함에 따라 감시카메라의 설치 및 감시각의 변경이 용이한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하우징을 조절하는 고정체를 볼베어링 구조로 형성으로써, 감시각의 조절 및 변경이 용이한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를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도 2의 고정체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일부 조립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감시각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고정체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케이스 11: 측벽
15: 체결공 17: 전기단자
30: 고정체 31: 지지축
31-1: 홈 31-2: 오목부
33: 틸트조절체 33-1: 틸트홀
33-2: 고정홀 33-3: 고정볼트
35: 지지회동체 35-1: 볼
35-2: 연장부 35-3: 나선
37: 브래킷 37-1: 체결공
37-2: 조임너트 37-3: 부싱
50: 카메라하우징 60: 카메라
70: 돔케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되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그 전면에 돔케이스를 씌워 지정영역을 촬영하는 고정식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되 상단면에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씌워지는 원통형상으로 상단면과 일측면이 연통되는 틸트홀을 갖고 일측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지지축에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틸트조절체; 상기 틸트조절체의 틸트홀을 통해 지지축의 상단면의 홈에 밀착되는 볼과 그 볼의 일측에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나사가 형성된 지지회동체; 및 상기 지지회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에 중심부가 체결되는 판 형태로 상단면에 카메라하우징이 고정 체결되는 브래킷;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트조절체는 고정부재인 고정홀과 고정볼트를 통해 지지축의 오목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틸트조절체의 고정부재를 지지축의 오목부에 밀착시킬 경우 지지회동체의 볼이 지지축의 홈에 밀착되어 틸트조절체 및 지지회동체가 지지축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틸트조절체의 틸트홀은 지지회동체가 일정 경사각(Tilt)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틸트조절체는 고정부재의 밀착 조절에 따라 지지축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감시카메라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일부 조립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감시각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로서, 하부케이스(10), 고정체(30), 카메라하우징(50) 및 돔케이스(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0)는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원판형으로, 둘레에 나선이 형성된 측벽(11)을 가지며 중앙부에 고정체(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15)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케이스(1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전기단자(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체결공(15)의 가장자리의 양측부에는 하부케이스(10)를 천장 또는 벽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설치공(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5)에는 고정체(30)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체(30)에는 카메라하우징(50)이 체결되어 카메라(60)의 감시각이 변경될 경우 상의 변화없이 자유롭게 감시각을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체(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5)에 고정 결합되되 상단면에 홈(31-1)이 형성되고 있고 측면에는 오목부(31-2)가 형성된 원형 지지축(31)과, 상기 지지축(31)에 씌워지는 원통형상으로 상단면과 일측면이 연통되는 틸트홀(33-1)을 갖고 일측에 고정홀(33-2)을 형성하여 지지축(31)에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틸트조절체(33)와, 상기 틸트조절체(33)의 틸트홀(33-1)을 통해 지지축(31)의 상단면의 홈(31-1)과 밀착되는 볼(35-1)과 그 볼(35-1)의 일측에 연장부(35-2)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35-2)의 일측에 나사(35-3)가 형성되는 지지회동체(35), 및 상기 지지회동체(35)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35-3)에 중심부가 체결되는 판 형태로 상단면에 카메라하우징(50)이 고정 체결되는 브래킷(37)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틸트조절체(33)의 고정홀(33-2)을 통해 고정볼트(33-3)를 강하게 조여 지지축(31)의 오목부(31-2)에 밀착시킬 경우 도 4b의 단면도와 같이 지지회동체(35)의 볼(35-1)이 지지축(31)의 홈(31-1)에 밀착되어 틸트조절체(33) 및 지지회동체(35)가 지지축(3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하우징(50)은 고정체(30)의 브래킷(37)에 소정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며 그 중공부(55)에는 카메라(60)가 내삽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측벽(11) 나선에 결합되는 돔케이스(70)는 전면에 카메라(60)가 촬영을 할 수 있도록 감시창(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감시카메라는 벽면이나 천장에 하부케이스(10)을 부착하고 그 내부에 고정체(30)를 이용하여 카메라(60)를 설치하고 그 전면에 감시창(71)을 갖는 반구형의 돔케이스(70)를 씌워 하부케이스(10)에 고정시켜 상기 카메라(60)가 돔케이스(70)의 감시창(71)을 통하여 촬영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고정체(30)와 카메라하우징(50)의 조립 과정은 아래와 같다.
상기 고정체(30)의 지지축(31)은 하부케이스(1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5)에 나선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고정 체결한 후 틸트조절체(33)의 내부에 지지회동체(35)의 볼(35-1)을 삽입하되 틸트홀(33-1)을 통해 지지회동체(35)의 연장부(35-2)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회동체(35)의 연장부(35-2)의 일측에 형성된 나선(35-3)에 브래킷(37)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37-1)을 삽입하고 조임너트(37-2)를 이용하여 브래킷(37)을 지지회동체(35)의 연장부(35-2)에 고정 결합한다.
이어, 지지회동체(35)에 브래킷(37)을 고정한 상태에서 틸트조절체(33)를 지지축(31)의 외측에 씌운 후 틸트조절체(33)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홀(33-2)에 고정볼트(33-3)를 끼우되 감시각을 조정하거나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틸트조절체(33)가 지지축(31)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볼트(33-3)를 적당히 조인다.
이와 같이 고정체(30)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체(30)의 브래킷(37) 상단면에 카메라하우징(50)을 설치하게 되는 데, 먼저 브래킷(37)의 모서리에 형성된 소정의 체결공에 부싱(37-3; Bushing)을 이용하여 나사결합한 후 상기 부싱(37-3)의 상단에 카메라하우징(50)을 정렬한 후 나사를 이용하여 부싱(37-3)에 각각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카메라하우징(50)의 일측에는 카메라(60)가 삽입되는 개구(55)가 형성되어 있고, 카메라(60)는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내장되게 되며, 하부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된 전기단자(17)에는 카메라(60)의 전원 및 데이터송수신용 케이블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브래킷(37)에 카메라하우징(50)을 설치한 후 사용자는 카메라(60)의 감시각을 조정하여 세팅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틸트조절체(33)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홀(33-2)에 고정볼트(33-3)를 풀거나 조여서 감시각을 조정하게 된다. 도 4a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33-3)를 조일 경우 도 4b와 같이 지지축(31)에 형성된 오목부(31-2)의 경사면을 따라 오목한 부분까지 접근하게 되며, 이때 지지회동체(35)의 볼(35-1)이 틸트조절체(33)의 틸트홀(33-1)과 지지축(31)의 홈(31-1) 사이에 강하게 밀착되어 카메라를 일정 위치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틸트조절체(33)를 지지축(31)에 씌운 후 고정홀(33-2)을 통해 고정볼트(33-3)를 체결할 때, 고정볼트(33-3)를 너무 약하게 조이면 즉, 도 4a의 상태와 같이 조일 경우 지지회동체(35)의 볼(35-1)이 지지축(31)의 홈(31-1)에서 이격되어 유동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정볼트(33-3)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도 4b와 같이 지지회동체(35)가 지지축(31)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강하게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틸트조절체(33)의 틸트홀(33-1)은 상단면과 일측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데, 지지회동체(35)가 대략 95°내지 100° 정도의 경사각(Tilt)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만약, 카메라를 설치한 상태에서 카메라의 감시각을 변경할 경우 틸트조절체(33)의 고정홀(33-2)에 끼워진 고정볼트(33-3)를 도 4a와 같이 조금 푼 후 틸트조절체(33)만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카메라하우징(50)은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틸트조절체(33)를 회전시킨 후 틸트홀(33-1)을 통해 카메라의 감시각을 다시 조정한 후 다시 고정볼트(33-3)를 도 4b와 같이 체결하여 카메라를 고정시키면, 카메라의 상하 변경없이 감시각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지지축이나 틸트조절체, 지지회동체 및 브래킷을 포함한 고정체의 형상과 조립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감시카메라의 감시각을 변경할 경우 촬영영상의 상하변화없이 카메라를 모든 수평각 및 경사각 방향에 대해 간단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감시각이 변경될 경우 별도의 구조적인 분리를 하지 않아 감시카메라의 설치와 감시각의 변경이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수월하며, 또한 카메라하우징을 조절하는 고정체를 볼베어링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감시각의 조절과 체결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되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그 전면에 돔케이스를 씌워 지정영역을 촬영하는 고정식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되 상단면에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씌워지는 원통형상으로 상단면과 일측면이 연통되는 틸트홀을 갖고 일측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지지축에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틸트조절체;
    상기 틸트조절체의 틸트홀을 통해 지지축의 상단면의 홈에 밀착되는 볼과 그 볼의 일측에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나사가 형성된 지지회동체; 및
    상기 지지회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에 중심부가 체결되는 판 형태로 상단면에 카메라하우징이 고정 체결되는 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조절체는 고정부재인 고정홀과 고정볼트를 통해 지지축의 오목부에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조절체의 고정부재를 지지축의 오목부에 밀착시킬 경우 지지회동체의 볼이 지지축의 홈에 밀착되어 틸트조절체 및 지지회동체가 지지축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조절체는 고정부재의 밀착 조절에 따라 지지축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KR20-2004-0016138U 2004-06-09 2004-06-09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KR200361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38U KR200361948Y1 (ko) 2004-06-09 2004-06-09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38U KR200361948Y1 (ko) 2004-06-09 2004-06-09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948Y1 true KR200361948Y1 (ko) 2004-09-14

Family

ID=4935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38U KR200361948Y1 (ko) 2004-06-09 2004-06-09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9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996A (zh) * 2021-07-14 2021-09-17 济南中维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多维度固定摄像机球机的上墙支架
CN116347198A (zh) * 2023-03-15 2023-06-27 深圳学泰科技有限公司 工业摄像头识别模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996A (zh) * 2021-07-14 2021-09-17 济南中维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多维度固定摄像机球机的上墙支架
CN116347198A (zh) * 2023-03-15 2023-06-27 深圳学泰科技有限公司 工业摄像头识别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560B2 (en) Surveillance camera with impact absorbing structure
US9690172B2 (en)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KR101082808B1 (ko) 촬상 장치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US7534057B2 (en) Surveillance camera gimbal mechanism
KR100651688B1 (ko)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US20030103161A1 (en) Reduce size structure of surveillance camera
KR100724306B1 (ko)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
US11134200B2 (en) Two axis pan tilt camera system configured to maintain a level image when wall or ceiling mounted
KR200361948Y1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
US6860654B1 (en) Lens holding structure for wall-mounted surveillance camera
KR200376617Y1 (ko)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20070092792A (ko) 돔 카메라
AU2022224774A1 (en)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KR200277709Y1 (ko)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KR101027444B1 (ko) 감시카메라의 고정용 플레이트
KR200180585Y1 (ko) 촬영각 조절이 자유로운 보안카메라
KR100492121B1 (ko) 돔형상 감시카메라 조립체
KR200391550Y1 (ko) 감시카메라
KR200229827Y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960008780Y1 (ko) 감시용 카메라(cctv 카메라)의 천정 고정 브라켓
KR101357268B1 (ko) Cctv용 브래킷 장치
KR200200321Y1 (ko) 돔형 카메라의 지지 고정장치
KR200446255Y1 (ko)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회전체
KR20025209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돔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