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325Y1 -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25Y1
KR200361325Y1 KR20-2004-0016671U KR20040016671U KR200361325Y1 KR 200361325 Y1 KR200361325 Y1 KR 200361325Y1 KR 20040016671 U KR20040016671 U KR 20040016671U KR 200361325 Y1 KR200361325 Y1 KR 200361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power
remote controller
remot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4-0016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을 수납하는 리모콘 수납부 및 상기 리모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 전원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거치대; 상기 리모콘 수납부에 수납 또는 분리 가능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리모콘 거치대에 리모콘을 수납한 상태에서는 리모콘 거치대에 포함된 전원부로부터 리모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으며, 리모콘 거치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리모콘 자체에 포함된 전원부로부터 리모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리모콘 자체의 배터리 교체 주기를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Remote Control Apparatus Having Dual Electric Power Source}
본 고안은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 락의 전반적인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리모콘 수납부가 구비된 리모콘 거치대에 리모콘을 수납하고, 리모콘 거치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리모콘의 동작 전원을 리모콘 거치대에 포함된 거치대 전원부로부터 공급받는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무실, 호텔 객실, 아파트 등의 도어 개폐 장치로는 금속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 락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계식 도어 락은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금속 열쇠가 분실 및 복제에 취약하여 보안성이 약한 편이었다. 요즈음에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 락이 지닌 취약성을 해결하고자 인증 수단으로 전자 키(Key)를 사용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PU : Microprocessor Unit)를 도어 락에 탑재하여 도어 락의 전반적인 해정 및 괘정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 락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더욱이, 디지털 도어 락의 전반적인 작동, 예를 들어 디지털 도어 락의 해정 및 괘정 작동을 원격에서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리모콘을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 락이 보편화되고 있다.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이라 '리모콘'이라 칭함)는 전기/전자 기기의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과 같은 단순한 조작에서부터 미세 조정에 이르기까지 원격에서 해당 전기/전자 기기를 조작하는 장비를 의미한다. 리모콘은 대부분 적외선 방식, RF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적외선 방식은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를 적외선에 실어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RF 방식은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를 전자기파에 실어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적외선 방식에서 적외선의 발생에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며, RF 방식에서 전자기파의 발생에는 1 GHz 이하의 전자기파를 발생하는 RF 소자를 사용한다.
리모콘은 텔레비젼, 오디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등과 같은 가전 기기, 산업용 공작 기계 및 차량 등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에 사용되는 리모콘은 해당 가전 기기의 온, 오프, 화면 조정, 채널 조정 및 음량 조정은 물론이고 수신 주파수 채널의 선택을 원격에서 제어한다. 또한, 차량에 리모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격에서 차량의 시동을 걸기도 한다.
이처럼 리모콘은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디지털 도어 락에도 채택되어 사용자가 현관에 나가지 않고도 실내에서 원격으로 디지털 도어 락의 해정 및 괘정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도어 락에 리모콘을 구비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디지털 도어 락은 텔레비젼, 오디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등과 같이일반 가전 기기에 비하여 사용 빈도가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콘을 휴대하더라도 항상 디지털 도어 락의 해정 및 괘정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리모콘을 소홀히 방치하여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벽걸이형으로 고정된 리모콘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리모콘이 거치된 장소에서만 디지털 도어 락의 해정 및 괘정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 락의 해정 및 괘정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전원부를 구비한 리모콘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리모콘을 휴대할 필요가 없을 때는 리모콘 거치대에 리모콘을 수납하고, 리모콘 거치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리모콘의 전원을 리모콘 거치대에 포함된 전원부로부터 공급받는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리모콘의 휴대성과 분실 위험 방지를 동시에 달성함과 동시에 배터리의 교체 주기를 연장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 및 리모콘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를 비스듬이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를 뒤쪽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2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 도시된 리모콘 거치대를 우측에서 바라본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 및 리모콘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 리모콘 거치대 102 : 제 1 버튼
104 : 제 2 버튼 106, 202, 308 : 리모콘 수납부
108 : 제 1' 버튼 110 : 제 2' 버튼
112, 318 : 리모콘 220 : 거치부
210, 304 : 배터리 수납부 302 : 거치대 전원부
306 : 절전 회로부 310 : 리모콘 전원부
312 : 전원 선택 회로부 314 : 리모콘 배터리 수납부
316 : 리모콘 동작부 320 : 거치대 접속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을 수납하는 리모콘 수납부 및 상기 리모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 전원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거치대; 상기 리모콘 수납부에 수납 또는 분리 가능한 리모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 및 리모콘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100)는 제 1 버튼(102), 제 2 버튼(104) 및 리모콘 수납부(106)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서, 리모콘 수납부(106)는 바(Bar) 형태의 리모콘(112)이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리모콘 수납부(106)의 형상은 수납하고자 하는 리모콘(112)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리모콘 거치대(100)에 포함된 제 1 버튼(102)은 리모콘 거치대(100)에 수납된 리모콘(112)의 제 1' 버튼 (108)의 기능을 조작하고, 제 2 버튼(104)은 리모콘 거치대(100)에 수납된 리모콘(112)의 제 2' 버튼 (110)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후술하는 과정에서 리모콘(112)의 제 1' 버튼(108)은 디지털 도어 락의 해정 동작으로 정의되어 있고, 제 2' 버튼(110)이 디지털 도어 락의 괘정 동작으로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리모콘(112)이 리모콘 거치대(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리모콘(112)에 구비된 제 1' 버튼(108)을 조작하면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게 된다. 반대로 디지털 도어락을 괘정하기 위해서는 제 2'버튼(110)을 조작하면 된다.
이와 달리 리모콘(112)을 리모콘 거치대(100)에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리모콘 거치대(100)에 구비된 제 1 버튼(102)을 조작하면 리모콘(112)에 구비된 제 1' 버튼(108)을 조작하게 된다. 즉, 가정한 상황에서는 디지털 도어 락을 해정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리모콘 거치대(100)에 구비된 제 2 버튼(104)을 조작하면 리모콘(112)에 구비된 제 2'버튼을 조작하게 된다. 즉, 가정한 상황에서는 디지털 도어 락을 괘정하게 된다.
또한, 리모콘(112)이 리모콘 거치대(100)에서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리모콘(112)의 전원은 리모콘(112) 자체에 포함된 상용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와 달리 리모콘(112)이 리모콘 거치대(100)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리모콘(112)의 전원은 리모콘 거치대(100)의 거치대 전원부(미도시)로부터 공급받는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를 비스듬이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를 뒤쪽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리모콘 거치대(200)의 배면도에는 거치대 전원부를 구성하는 상용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리모콘 거치대(200)에 리모콘을 수납하면 리모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은 리모콘 거치대(200)의 배터리 수납부(210)에 수납된 상용 배터리를 통해 공급받게 된다.
또한, 리모콘 거치대(200)를 벽, 기둥 등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콘 거치대(200)를 거실의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 도시된 리모콘 거치대를 우측에서 바라본 우측면도이다.
사용자는 도 2c에 도시된 리모콘 수납부(202)에 리모콘을 삽입함으로써, 리모콘 거치대(200)에 리모콘을 수납한다. 여기서, 도 2c의 리모콘 거치대(200)의 우측면에 리모콘 수납부(202)를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사항으로 반드시 리모콘 거치대(200)의 우측면에 리모콘 수납부(202)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 및 리모콘의 내부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거치대(300)는 거치대 전원부(302)를 포함한다.
거치대 전원부(302)는 'AA' 타입 또는 'AAA' 타입의 상용 배터리를 한 개 내지 3 개까지 삽입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304) 및 절전 회로부(306)를 포함하고 있다.
거치대 전원부(302)는 리모콘 수납부(308)에 수납된 리모콘(318)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거치대 전원부(302)는 절전 회로부(30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리모콘(318)이 리모콘 거치대(3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거치대 전원부(302)는 반드시 건전지와 같은 상용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정용 교류(AC)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형태도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거치대 전원부(302)에는 가정용 교류를 저전압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가 추가로 요구될 것이다.
리모콘(318)은 리모콘 동작부(316), 리모콘 전원부(310)를 포함하고 있다. 리모콘 동작부(316)는 적외선 방식, RF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 락을 원격에서 제어한다. 리모콘 동작부(316)의 작동 방식은 당업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모콘 전원부(310)는 리모콘 배터리 수납부(312), 전원 선택 회로부(312)를 포함하고 있다. 리모콘 배터리 수납부(312)는 버튼 타입의 상용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리모콘 동작부(316)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선택 회로부(312)는 거치대 접속부(320)를 통해 거치대 전원부(302)의 전원이 인가되는지를 감지하여 리모콘 동작부(316)의 전원으로 리모콘 전원부(310)의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 아니면 거치대 전원부(302)의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즉, 전원 선택 회로부(312)는 거치대 접속부(320)를 통해 거치대 전원부(302)의 전원이 인가됨을 감지하지 못하면 리모콘 전원부(310)의 전원을 리모콘 동작부(316)로 공급한다. 반대로, 거치대 접속부(320)을 통해 거치대 전원부(302)의 전원이 인가됨을 감지하면, 거치대 전원부(302)의 전원을 리모콘 동작부(316)로 공급한다.
따라서, 리모콘 동작부(316)는 리모콘 거치대(300)로부터 리모콘(318)이 분리된 경우에는 리모콘 전원부(310)의 전원을 공급받지만, 리모콘 거치대(300)에 리모콘(318)이 수납된 경우에는 거치대 전원부(302)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리모콘 거치대에 리모콘을 수납한 상태에서는 리모콘 거치대에 포함된 전원부로부터 리모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으며, 리모콘 거치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리모콘 자체에 포함된 전원부로부터 리모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리모콘 자체의 배터리 교체 주기를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 거치대에 리모콘을 수납함으로써 리모콘을 분실할 경우가 적어지는 장점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는 벽걸이형 리모콘 수납부로부터 리모콘을 분리하여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리모콘의 휴대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디지털 도어 락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을 수납하는 리모콘 수납부 및 상기 리모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 전원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거치대;
    상기 리모콘 수납부에 수납 또는 분리 가능한 리모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거치대는 상기 리모콘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 타입의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전원부는 상용 배터리를 사용하되 상기 리모콘 거치대에 수납된 상기 리모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KR20-2004-0016671U 2004-06-14 2004-06-14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KR200361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71U KR200361325Y1 (ko) 2004-06-14 2004-06-14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71U KR200361325Y1 (ko) 2004-06-14 2004-06-14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25Y1 true KR200361325Y1 (ko) 2004-09-08

Family

ID=4943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671U KR200361325Y1 (ko) 2004-06-14 2004-06-14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7373A1 (en) Switch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JP3694883B2 (ja) 施解錠制御装置
CN115416594A (zh) 一种通过无线网络控制的车门系统
KR200361325Y1 (ko)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리모콘 장치
GB2563836A (en) Electrical plug security cover
US20160241169A1 (en) Power control device
JP2008199787A (ja) リモコン装置
KR20040106668A (ko)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0473888B1 (ko) 도어록 장치
JP5263567B2 (ja) 非常用照明装置
KR102471594B1 (ko)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JP2003138806A (ja) 遠隔施解錠機能付き什器
KR200337625Y1 (ko) 자동도어록용 전압공급단말기
JP2003138811A (ja) 遠隔施解錠機能付き什器
CN214338266U (zh) 结构紧凑的手持遥控器
KR200460555Y1 (ko) 동시개폐형 가구 락킹장치
KR20120005099A (ko) 도어록과 연계한 대기전력 차단장치
JP4034545B2 (ja) 遠隔施解錠機能付きワゴン
KR200295657Y1 (ko) 도어록 장치
JP3973879B2 (ja) 遠隔施解錠機能付き什器
JP2006348620A (ja) 開閉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037637B2 (ja) 什器施解錠システム
KR20050106761A (ko) 전자제품의 리모콘장치
JP4037638B2 (ja) 什器施解錠システム
JP2007231548A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及び認証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