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323Y1 - 진동 스위치 및 진동 스위치 세트 - Google Patents

진동 스위치 및 진동 스위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23Y1
KR200361323Y1 KR20-2004-0016646U KR20040016646U KR200361323Y1 KR 200361323 Y1 KR200361323 Y1 KR 200361323Y1 KR 20040016646 U KR20040016646 U KR 20040016646U KR 200361323 Y1 KR200361323 Y1 KR 200361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witch
conductor
housing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박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규 filed Critical 박민규
Priority to KR20-2004-0016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cceleration, e.g. by shock or vibration, inertia switch
    • H01H35/14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cceleration, e.g. by shock or vibration, inertia switch operated by vibration

Landscapes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 검출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진동의 크기에 따라 다른 신호가 발생하는 진동 검출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진동이 감지되면 통전되도록 하는 진동 스위치에 있어서,
외부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된 도전체와, 상기 도전체를 지탱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상기 도전체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고 있다가, 진동 스위치가 진동이나 충격을 받아서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하게 되면 도전체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이동하여 하우징에 접촉됨으로써 통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진동 스위치를 제공한다.
또, 서로 다른 탄성계수 및/또는 도전체 중량을 가지는 진동 스위치가 복수개 구비되어 진동의 강도에 따라서 각각 다른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는 진동 스위치 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 스위치 및 진동 스위치 세트{Vibration detecting switch and it's set}
본 고안은 진동 검출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진동의 크기에 따라 다른 신호가 발생하는 진동 검출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스위치 중에는 외부로부터의 영향이 없이 스위치가 장착된 기기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것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용기 내부에 유동성 금속인 수은을 주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누름 버튼 스위치 또는 토글 스위치와 같은 통상의 온/오프 스위치에 기기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기구적인 장치를 추가하여 진동이나 움직임을 검출하는 스위치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은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수은스위치 케이스(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관으로서, 관의 양단부에 각각 전극(4,6)을 삽설하고, 케이스(2)의 기울어짐에 상태에 따라서 수인(8)이 이동하여 양 전극(4,6)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도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는 신속하고 정확한 동작을 요구하는 장치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진동의 강도를 감지하는데 있어서는 적합하지 못하고 단순히 진동의 유무만을 감지하거나 일정한 크기 이상의 진동만을 검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지하는 스위치를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감도를 가지는 진동 감지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은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 스위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 감지 스위치 세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 감지 스위치 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10 : 도전체
120 : 탄성부재 150 : 바닥판
SW1, SW1' : 제 1스위치
SW2, SW2' : 제 2스위치
SW3, SW3' : 제 3스위치
K1, K2, K3, K1', K2', K3' : 탄성부재
G1, G2, G3, G1', G2', G3' : 도전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진동이 감지되면 통전되도록 하는 진동 스위치에 있어서,
외부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된 도전체와, 상기 도전체를 지탱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상기 도전체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고 있다가, 진동 스위치가 진동이나 충격을 받아서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하게 되면 도전체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이동하여 하우징에 접촉됨으로써 통전되는 구조를 가지는 진동 스위치를 제공한다.
또, 서로 다른 탄성계수 및/또는 도전체 중량을 가지는 진동 스위치가 복수개 구비되어 진동의 강도에 따라서 각각 다른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는 진동 스위치 세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 스위치이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감지 스위치는 외부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내장된 도전체(110)와, 상기 도전체(110)를 지탱하는 탄성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체(110)와 탄성부재(1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150)은 부도체를 사용하여 탄성부재(120)와 하우징(100)이 서로 통전되지 않고 절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판(150)의 재질을 부도체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탄성부재(120)와 하우징(100)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가 되도록 일부에 절연재를 구비하면 족하다.
전극은 하우징(100)과 탄성부재(120)에 연결되어서, 상기 도전체(110)가 하우징(100)에 접촉하면 통전되어 신호를 발생(ON의 상태)하게 된다. 평상시에는 탄성부재(120)가 직선형상을 유지하고 있어서 도전체(110)가 하우징(100)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 놓여 있다가, 진동이나 충격을 받아서 도전체(110)가 관성력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통전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탄성부재(120)의 탄성계수의 크기(혹은 강성의 크기)와 도전체(110)의 중량을 변경함으로써 스위치의 감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본 고안은 서로 다른 감도를 가지는 진동 스위치를 일련의 세트로 구비하여 진동의 강도를 감지하여 각기 다른 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 감지 스위치 세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를 서로 다른 감도를 가지는 진동 감지 스위치를 3개 배열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진동의 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탄성계수를 조절하는 방법과 도전체의 중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는데, 본 실시예는 도전체의 중량(G1=G2=G3)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하고 탄성계수의 크기만을 다르게 한 것이다.
탄성부재(K1, K2, K3)의 탄성계수는 좌측의 제 1스위치(SW1)가 가장크고, 다음으로 제 2스위치(SW2), 그리고 제 3스위치(SW3)가 가장 작은 탄성계수를 가진다.(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K1>K2>K3의 순) 따라서 제 3스위치가 가장 작은 진동에서 반응하게 되고 진동의 크기가 점차 커짐에 따라서 제 2스위치와 제 1스위치가 차례로 반응하게 된다.(진동에 대한 감도 SW1<SW2<SW3)
이러한 진동 스위치 세트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데, 한 가지 예로 차량의 우적 감지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빗방울이 떨어짐에 따라서 제 3스위치가 반응하면 와이퍼의 속도를 저속으로 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그 강도에 따라서 중속, 고속으로 와이퍼가 작동하도록 하는 타이머를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 스위치 세트를 이용하여 우적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스위치가 세트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2개로도 구성할 수도 있으며, 4개 혹은 그 이상의 스위치로 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 감지 스위치 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진동의 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탄성계수를 조절하는 방법과 도전체(W1, W2, 23)의 중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는데, 본 실시예는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모두 동일(K1'=K2'=K3')하게 하고, 도전체의 중량을 다르게 한 것이다.
도전체의 중량은 좌측의 제 3스위치(SW3')가 가장크고, 다음으로 제 2스위치(SW2'), 그리고 제 1스위치(SW1')의 도전체(W1')가 가장 큰 중량를 가진다(도전체의 중량 G1'>G2'>G3'). 도전체의 중량이 클수록 작은 진동에서도 도전체가 이동하게 되므로, 제 3스위치(SW3')가 가장 작은 진동에서 반응하게 되고 진동의 크기가 점차 커짐에 따라서 제 2스위치(SW2')와 제 1스위치(SW1')가 차례로 반응하게 된다.
본 고안은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계수 혹은 도전체의 중량을 다르게 함으로써 진동스위치를 감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들을 복수개 구비하면 각각의 진동의 감도에 따라서 다른 반응을 보이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는 탄성계수는 동일하게 하고 도전체의 중량을 다르게 한 것이고, 도 4의 실시예는 도전체의 중량은 동일하게 하고 탄성계수를 다르게 한 것이지만, 탄성계수와 도전체의 중량을 모두 다르게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 스위치는 탄성부재의 탄성계수와 도전체의 중량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감도를 가진 진동 스위치를 제작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서로 다른 감도를 가진 진동 스위치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다른 크기의 진동에 대하여 다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도 제공한다.

Claims (4)

  1. 진동이 감지되면 통전되도록 하는 진동 스위치에 있어서,
    외부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된 도전체와, 상기 도전체를 지탱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상기 도전체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고 있다가, 진동 스위치가 진동이나 충격을 받아서 상기 탄성부재가 변형하게 되면 도전체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이동하여 하우징에 접촉됨으로써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위치.
  2. 제 1항의 진동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제 1항의 진동 스위치가 복수개 구비되어, 진동의 강도에 따라서 각각의 진동 스위치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위치 세트.
  3. 제 1항의 진동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의 중량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제 1항의 진동 스위치가 복수개 구비되어, 진동의 강도에 따라서 각각의 진동 스위치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위치 세트.
  4. 제 1항의 진동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며, 상기 도전체의 중량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제 1항의 진동 스위치가 복수개 구비되어, 진동의 강도에 따라서 각각의 진동 스위치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위치 세트.
KR20-2004-0016646U 2004-06-14 2004-06-14 진동 스위치 및 진동 스위치 세트 KR200361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46U KR200361323Y1 (ko) 2004-06-14 2004-06-14 진동 스위치 및 진동 스위치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646U KR200361323Y1 (ko) 2004-06-14 2004-06-14 진동 스위치 및 진동 스위치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23Y1 true KR200361323Y1 (ko) 2004-09-08

Family

ID=4943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646U KR200361323Y1 (ko) 2004-06-14 2004-06-14 진동 스위치 및 진동 스위치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7909B1 (en) Bistable mechanical sensors capable of threshold detection and automatic elimination of excessively high amplitude data
KR100499143B1 (ko) 보행 로봇의 지면 반력 측정 모듈 및 이를 장착한 로봇 발구조물
EP1519197B1 (en) Planar inertial sensor, in particular for portable devices having a stand-by function
JP2015529989A (ja) 対象物の移動を検出する静電容量センサ
WO2007010992A1 (ja) 加速度スイッチ
EP0943582A3 (en) Position detector for industrial vehicles
US20060048575A1 (en) Drop shock measurement system and acceleration sensor element used in the same
KR200361323Y1 (ko) 진동 스위치 및 진동 스위치 세트
US7275412B2 (en) Drop shock measurement system and acceleration sensor element used in the same
US11740150B2 (en) Electrostatic capacity sensor
WO2021261556A1 (ja) 慣性力センサ
EP2307891B1 (en) Acceleration sensor
JP4153266B2 (ja) アナログスイッチの出力値補正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アナログスイッチ
JP5941690B2 (ja) 加速度センサ
KR101953760B1 (ko) 수직력 또는 전단력 측정이 가능한 센서, 센서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신발 안창
JPH1124860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9068936A (ja) 物理量検出装置
CN101876664B (zh) 加速度感应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电子装置
JP4038535B2 (ja) 衝撃振動検知スイッチ
KR20020091919A (ko) 충격감지 장치
CN110085477B (zh) 一种多阈值加速度开关
KR20050109888A (ko) 충격감지장치
JP4403248B2 (ja) 加速度応動スイッチ
RU2161298C2 (ru) Датчик физических величин
US20120019269A1 (en) Motion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