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013Y1 -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013Y1
KR200361013Y1 KR20-2004-0017253U KR20040017253U KR200361013Y1 KR 200361013 Y1 KR200361013 Y1 KR 200361013Y1 KR 20040017253 U KR20040017253 U KR 20040017253U KR 200361013 Y1 KR200361013 Y1 KR 200361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abric
drum
elastic
support
centr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순
Original Assignee
이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순 filed Critical 이남순
Priority to KR20-2004-0017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8Untwis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6)을 통과하여 탄성원단(R)을 배출하는 기구에 관련되고, 구성에 있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상기 드럼(6)의 하부개방구(6a)를 통하여 일단이 고정되는 중심축(10); 상기 중심축(10)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설되고, 하단에 안전롤러(22)를 개재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의 선단에 고정판(3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2)에 일체로 설치되는 유도봉(30); 및 상기 유도봉(30)의 양단에 장착되고, 탄성원단(R)을 일정한 장력으로 확장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드럼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세팅공정에서 탄성원단의 꼬임을 방지함은 물론 탄성원단이 드럼을 통과하여 확포(擴佈)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Setting machine for step utensil of elastic textile}
본 고안은 탄성원단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세팅공정에서 탄성원단의 꼬임을 방지함은 물론 탄성원단이 드럼을 통과하여 확포(擴佈)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원단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니트 또는 스판덱스 등은 고무와 비슷한 탄성을 지니며 스트레치성이 높아 올이 강하고, 신축성과 염색성도 좋고, 땀, 기름, 화장품에도 더러워지지 않으며, 세탁에도 강하여 파운데이션, 수영복, 스포츠 셔츠, 스키 팬츠, 서스펜더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탄성원단은 환편기에 의해 이음매가 없는 원통형으로 연속적으로 직조되고,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열고정되는 세팅공정을 거쳐 확포된 상태로 배출된다.
도 1a 내지 1b는 종래의 세팅공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종래의 세팅장치는 고온의 세팅물(W)이 수용된 저수조(2)에 드럼(1)을 띄운 상태로 원형의 탄성원단(R)을 통과시키는 방식이 채택된다. 이때 드럼(1)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부는 테이퍼 형상의 밀폐된 배출구(1a)가 개재된다.
배출구(1a)는 도 1a와 같이 하부가 경사진 형태로 밀폐되어 드럼(1)을 통과하는 탄성원단(R)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확포(擴佈)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탄성원단(R)이 확포(擴佈)되는 과정에서 배출구(1a)의 모서리부(1b)와 마찰로 인해 손상됨은 물론 도 1b와 같이 갑작스러운 작업속도의 변화 등에 의해 저수조(2)상에 부양된 드럼(1)이 순간적으로 부호 1'의 위치로 하강함에 따라 배출구(1a)의 저면이 이송롤러(L)와 충돌하여 탄성원단(R)이 손상된다.
또한, 탄성원단(R)은 환편기(도시 생략)에 의해 원통형으로 직조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꼬이게 되는 바, 이에 탄성원단은 꼬여진 상태로 드럼(1)을 통하여 세팅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드럼(1)은 배출구(1a)가 일체로 형성되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롤러(L)와 대응하는 위치에 부양됨에 따라 탄성원단(R)이 뒤틀린 상태로 열고정되는 폐단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럼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세팅공정에서 탄성원단의 꼬임을 방지함은 물론 탄성원단이 드럼을 통과하여 확포(擴佈)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원단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1b는 종래의 세팅공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팅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계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설치된 상태를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텐션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중심축 20: 지지대
22: 안전롤러 30: 유도봉
32: 고정판 42: 지지프레임
44: 가이드롤러 46: 탄성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드럼(6)을 통과하여 탄성원단(R)을 배출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드럼(6)의 하부개방구(6a)를 통하여 일단이 고정되는 중심축(10); 상기 중심축(10)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설되고, 하단에 안전롤러(22)를 개재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의 선단에 고정판(3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2)에 일체로 설치되는 유도봉(30); 및 상기 유도봉(30)의 양단에 장착되고, 탄성원단(R)을 일정한 장력으로 확장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텐션수단은 유도봉(30)상의 개재되는 브라켓(30a)에 의해 절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2)과, 지지프레임(42)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롤러(44)와, 가이드롤러(44)를 외측방향으로 확장시키는탄성스프링(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팅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계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설치된 상태를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드럼(6)을 통과하여 탄성원단(R)을 배출하는 기구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보조기구는 드럼(6)의 하부개방구(6a)를 통하여 일단이 고정되는 중심축(10)과, 중심축(10)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설되고, 하단에 안전롤러(22)를 개재하는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선단에 고정판(3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2)에 일체로 설치되는 유도봉(30)과, 유도봉(30)의 양단에 장착되고, 탄성원단(R)을 일정한 장력으로 확장시키는 텐션수단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중심축(10)은 드럼(6)의 하부개방구(6a)를 통하여 일단이 고정된다. 중심축(10)은 파이프형태로 제작되어 상단이 하부개방구(6a)를 통하여 드럼(6)의 내측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고, 하단에 보조축(12)이 구비된다. 보조축(12)은 중심축(10)보다 작은 지름의 파이프로 제작되어 중심축(10)과 동축상에 일체로 고정되고, 저면에 너트홈(12a)을 개재한다. 너트홈(12a)은 중심축(10)이 후술하는 지지대(20)와 회동가능하도록 볼트(B)로 체결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20)는 중심축(10)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설되고,하단에 안전롤러(22)를 개재한다. 지지대(20)는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제작되어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마감판(21)에 의해 밀폐된다. 마감판(21)은 양단에 샤프트(22a)를 개재한 상태로 보조축(12)의 너트홈(12a)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21a)이 형성된다. 이에 관통공(21a)을 통하여 보조축(12)의 너트홈(12a)에 볼트(B)가 체결됨에 따라 중심축(10)이 지지대(20)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세팅공정 중에 중심축(10)이 드럼(6)을 회동시켜 꼬인 상태로 진입되는 탄성원단(R)을 펴게 된다.
이때, 안전롤러(22)는 마감판(2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샤프트(22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안전롤러(22)는 중앙이 관통되어 이단으로 형성된 샤프트(22a)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삽설되고, 와셔를 개재한 볼트(B)가 샤프트(22a)의 끝단에 체결된다. 따라서 저수조(2)상에 부양된 드럼(1)이 갑작스러운 작업속도의 변화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하강시 안전롤러(22)가 저수조(2)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롤러(L)와 맞닿아 회동됨에 따라 드럼(6)의 하부가 이송롤러(L)와 충돌하여 탄성원단(R)이 찍히는 등의 불량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도봉(30)은 지지대(20)의 선단에 고정판(3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2)에 일체로 설치된다. 유도봉(30)은 원형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타원형태로 제작되고, 고정판(32)에 장착된 상태로 지지대(20)상에 설치된다. 이때 유도봉(30)은 드럼(6)을 통과하는 탄성원단(R)이 후술하는 텐션수단으로 이송되는 중에 탄성원단(R)의 내면이 보조기구의 일단에 걸리지 않도록 유도하고, 탄성원단(R)이 이송되는 동안 마찰을 최소화하여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텐션수단은 유도봉(30)의 양단에 장착되고, 탄성원단(R)을 일정한 장력으로 확장시킨다. 이때 텐션수단은 유도봉(30)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설치되고, 드럼(6)을 통해 원통형으로 배출되는 탄성원단(R)을 확장된 상태로 포개어 배출하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기구의 텐션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에서, 텐션수단은 유도봉(30)상의 개재되는 브라켓(30a)에 의해 절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2)과, 지지프레임(42)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롤러(44)와, 가이드롤러(44)를 외측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탄성스프링(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프레임(42)은 유도봉(30)의 내측방향으로 개재되는 브라켓(30a)에 힌지(30b)로 결합되고, 하단에 가이드롤러(44)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롤러(44)는 내식성이 우수한 수지재로 제작되고, 탄성원단(R)의 내면과 맞닿아 회동된다. 이때 가이드롤러(44)의 확장력은 탄성스프링(46)의 탄성에 비례하는 바, 이에 탄성스프링(46)은 일단이 지지프레임(42)의 선단에 개재된 상태로 타단이 지지대(2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탄성스프링(46)의 탄성에 의해 가이드롤러(44)를 외측방향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롤러(44)는 탄성스프링(46)에 의해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탄성원단(R)을 확장시켜 탄성원단(R)의 조직이 과다하게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갑작스런 작업속도변화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탄성원단(R)이 수축시탄성스프링(46)과 지지프레임(42)의 완충작용에 의해 가이드롤러(44)가 접힘으로 탄성원단(R)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 내지 6을 통해 보조기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드럼(6)을 통과하는 탄성원단(R)이 배출되는 위치에 보조기구를 설치하고 저수조(2)에 수용되고, 환편기에 의해 원통형으로 직조되어 저수조(2)에 투입되는 탄성원단(R)은 드럼(6)을 통해 보조기구로 이송되는 바, 보조기구의 유도봉(30)을 타고 진입되는 원통형의 탄성원단(R)은 한 쌍의 가이드롤러(44)를 통과하는 순간 확장된 상태로 포개지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롤러(44)는 탄성원단(R)의 내면과 맞닿아 회동됨에 따라 확포(擴佈)공정에서 탄성원단(R)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기구의 하부에 개재되는 안전롤러(22)는 경우에 따라 드럼이 급하강시 이송롤러(L)의 외주면과 맞닿아 회동됨으로 탄성원단(R)이 찍히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보조기구는 지지대(20)에 중심축(10)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중심축(10)의 상단에 드럼(6)이 설치됨에 따라, 환편기에 의해 꼬인 상태로 직조된 탄성원단(R)이 세팅작업 중에 보조기구에 의해 드럼(6)이 회동하여 꼬인 탄성원단(R)을 펴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드럼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세팅공정에서 탄성원단의 꼬임을 방지함은 물론 탄성원단이 드럼을 통과하여 확포(擴佈)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 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드럼(6)을 통과하여 탄성원단(R)을 배출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드럼(6)의 하부개방구(6a)를 통하여 일단이 고정되는 중심축(10);
    상기 중심축(10)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설되고, 하단에 안전롤러(22)를 개재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의 선단에 고정판(3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2)에 일체로 설치되는 유도봉(30); 및
    상기 유도봉(30)의 양단에 장착되고, 탄성원단(R)을 일정한 장력으로 확장시키는 텐션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수단은 유도봉(30)상의 개재되는 브라켓(30a)에 의해 절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2)과, 지지프레임(42)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롤러(44)와, 가이드롤러(44)를 외측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탄성스프링(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KR20-2004-0017253U 2004-06-18 2004-06-18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KR200361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253U KR200361013Y1 (ko) 2004-06-18 2004-06-18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253U KR200361013Y1 (ko) 2004-06-18 2004-06-18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013Y1 true KR200361013Y1 (ko) 2004-09-06

Family

ID=4943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253U KR200361013Y1 (ko) 2004-06-18 2004-06-18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0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956B1 (ko) 2008-11-11 2011-02-08 한국니트산업연구원 탄성사가 함유된 레이온편직물의 열고정방법
KR200452658Y1 (ko) 2008-06-10 2011-03-14 김희구 자체 부력 기능을 갖는 원통 직물 세팅장치용 드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58Y1 (ko) 2008-06-10 2011-03-14 김희구 자체 부력 기능을 갖는 원통 직물 세팅장치용 드럼
KR101012956B1 (ko) 2008-11-11 2011-02-08 한국니트산업연구원 탄성사가 함유된 레이온편직물의 열고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68762B (zh) 一种纺织用布匹除皱设备
ITBS990016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distendere e raccogliere un tessuto a maglia da macchine tessili circolari.
EP2053152B1 (en) Washing or drying machine with a drum provided with movable lifters
KR200361013Y1 (ko)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보조기구
BRPI0618701A2 (pt) dispoistivo de tensionamento para máquinas de tricÈ circulares
KR20090001074A (ko) 드럼세탁기
CN111826864A (zh) 一种化纤纺织机
CN106757938B (zh) 一种自调节布匹扩幅除皱设备
CN207512403U (zh) 一种用于平幅水洗的压力可调的搓洗装置
CN207659689U (zh) 一种方便调节的定型机张紧辊
CN208395463U (zh) 一种带有溢流喷嘴的导流装置
JPH05272054A (ja) 湿化処理済みホース状織物における舳先マークの防止方法および防止装置
KR200361012Y1 (ko) 탄성섬유의 세팅장치용 드럼
CN211311847U (zh) 一种平幅圆筒冷堆机
KR100988711B1 (ko) 빨래 건조대
KR100417924B1 (ko) 제지또는판지기계의건조와이어를세척하는방법및장치
CN205802616U (zh) 布料对折机及布料对折系统
CN212713979U (zh) 一种针织圆机的出幅装置
CN207567481U (zh) 一种用于阻燃工装织物生产的双工序去甲醛装置
CN111058211B (zh) 烧毛机布边灭火装置
CN105297375B (zh) 一种抗收缩羊毛衫的专用晾衣架
CN109355841B (zh) 一种缩放式纺织品晾晒架
CN111910367A (zh) 一种服装面料染色后烘干设备
KR960005671Y1 (ko) 개량 텍스터 가이드(texture guide)
KR200364307Y1 (ko) 섬유원단 구김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