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644Y1 - 배선보호용 덕트 - Google Patents

배선보호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644Y1
KR200360644Y1 KR20-2004-0014620U KR20040014620U KR200360644Y1 KR 200360644 Y1 KR200360644 Y1 KR 200360644Y1 KR 20040014620 U KR20040014620 U KR 20040014620U KR 200360644 Y1 KR200360644 Y1 KR 200360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uct
coupling
duct body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운
Original Assignee
신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운 filed Critical 신용운
Priority to KR20-2004-0014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6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배선보호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배선보호용 덕트는 덕트본체에 덮개를 끼우는 작업이 쉽지 않고 덮개 결합후 외부에서 물리적 힘이 어느정도 가해지기만 하면 덮개가 덕트본체에서 이탈되므로 덕트본체 내에 설치된 배선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덕트본체(100)와 덮개(200)로 배선보호용 덕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100)의 양 측벽(101) 상단에는 안쪽면에 오목한 결합홈(111)이 구비되면서 바깥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결합구(110)를 측벽(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절곡시켜 형성하되 덮개(200)의 결합단부(201) 두께만큼 양 측벽(101)보다 안쪽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덮개(200)의 양 결합단부(201) 안쪽에는 결합홈(111)과 상응하는 걸림부(211)가 선단에 구비된 압박편(210)을 기존의 결합단부(201) 내측에 이격시켜 형성하여 결합단부(201)와 압박편(210) 사이의 탄력을 이용하여 덕트본체(100)의 결합구(11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으로서, 덕트본체와 덮개의 조립이 신속 간편하면서도 일단 조립후에는 덮개가 잘 이탈되지 않으므로 배선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선보호용 덕트{Duct for protection of destributing wires}
본 고안은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배선보호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덕트 본체 내에 배선을 설치한 후 덮개를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므로서 외부에서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덮개가 덕트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배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배선보호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와 컴퓨터 및 전산기기들이 많이 설치되는 업무용 사무실의 실내 바닥이나 천정, 벽면 등에는 각종 전선, 전화선, 기기의 연결 케이블 등의 많은 가닥의 배선(이하 "각종 배선"이라 칭함)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종 배선들을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하면 여러가닥의 많은 배선이 외부에서 그대로 보이게 되므로 실내의 외관이 상당히 보기 흉하여 미관이 좋지 못한 점과 아울러 실내 바닥에 노출된 각종 배선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수시로 밟고 다니면 쉽게 배선이 벗겨짐에 따라 합선, 단선 등의 우려가 많다.
또한, 천전 속으로 상기 각종 배선을 설치할 때도 외부에 노출 상태로 설치하면 그 노출된 각종 배선을 쥐가 쉽게 갉음에 따라 합선이나 단선 등의 여러가지 위험이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현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중,대형의 배선보호용 덕트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중 소형의 덕트는 배선이 2~3가닥 정도일 때 사용하고, 배선이 4~10가닥 정도일 때는 중형 덕트를 사용하며, 그 이상 수십가닥의 많은 가닥의 배선을 동시에 보호하고자 할 때는 대형의 덕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덕트는 주로 합성수지재나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선보호용 덕트 제품들은 대부분 덕트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종래 사용되어 온 대형 덕트는 사각 형상 덕트본체 상단의 양쪽 걸림부 안쪽으로 덮개의 양쪽 걸림구가 단순히 끼워져 걸리는 타입으로서, 이는 덮개를결합시킬 때 덕트본체의 걸림부가 벌어지기 힘들어 덮개를 끼우는 작업이 쉽지 않고, 덮개 결합후 외부에서 물리적 힘이 어느정도 가해지기만 하면 덮개의 걸림구가 이탈되면서 덮개가 덕트본체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배선보호용 덕트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0-0251120호의 제품을 개발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데, 이는 덕트본체 상단의 U자형 삽지부와 이에 결합되는 덮개의 삽지구가 45도 정도의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 덮개를 덕트본체에 끼우기가 쉽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덮개를 덕트본체에 조립하기가 용이하여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일단 조립후에는 덮개가 덕트본체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배선보호용 덕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이 실시된 덕트본체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덕트본체와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덕트본체와 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일부 도시한 측면도
도 3b 는 본 고안의 덕트본체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덕트본체 110 : 결합구
111 : 결합홈 200 : 덮개
210 : 압박편 211 : 걸림부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실시된 덕트본체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덕트본체와 덮개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a 는 본고안이 실시된 덕트본체와 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일부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b 는 본 고안의 덕트본체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 중 양 측벽(101)과 밑판(102)으로 함체가 이루어지고 그러한 함체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덕트본체(100)와; 상기 덕트본체(100)의 상면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 양쪽에 결합단부(201)가 형성된 덮개(200);로 배선보호용 덕트를 구성하는 점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도 3a 와 같이 상기 덕트본체(100)의 양 측벽(101)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면에 오목한 결합홈(111)이 구비되고 바깥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결합구(110)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되 덮개(200) 양단의 결합단부(201) 두께만큼 양 측벽(101)보다 안쪽에 위치되게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200)의 양 결합단부(201) 안쪽에는 상기 결합구(110)의 결합홈(111)에 끼워져 걸릴 수 있는 형상의 걸림부(211)가 선단에 구비된 압박편(210)을 기존의 결합단부(201)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여 결합단부(201)와 압박편(210) 사이로 상기 덕트본체(100)의 결합구(110)가 끼워져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덕트본체(100)를 저면에 부착되는 통상의 양면테이프나 못에 의해 실내 바닥이나 천정 속에 배열 설치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덕트본체(100)에 많은 가닥의 배선을 끼워 설치한 다음 덮개(200)를 덕트본체(100)에 조립할 때 종래에 비해 덮개(200)를 덕트본체(100)에 힘들이지 않고 조립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덕트본체(100)는 도 3a 에서와 같이 양 측벽(101) 상단에 그 측벽(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구(110)가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덮개(200) 양단의 결합단부(201)와 그 내측의 압박편(210)은 상기 결합구(110)가 있는 아래를 향하여 마주보고 있으면서 특히 압박편(210)의 걸림부(211) 선단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결합단부(201)와의 간격이 점차 벌어진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덮개(200)를 덕트본체(100)에 결합할 때 덕트본체(100)의 상향된 결합구(110)에 보다 쉽게 끼울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본체(100)의 결합구(110) 선단이 압박편(210)의 걸림부(211)와 접촉되면 걸림부(211) 선단이 자체 탄성에 의해 밀려났다가 결합구(110)가 통과되는 순간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도 3b 에서와 같이 압박편(210)의 만곡된 걸림부(211)가 결합구(110)의 오목한 결합홈(11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은 덕트본체(100)의 결합구(110)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덮개(200) 양단의 결합단부(201)가 1차로 막아주고 있는 상태에서 그 결합구(110) 내측의 결합홈(111)에 압박편(210)의 만곡된 걸림부(211)가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2차적으로 걸어주고 있으므로 덮개(200)는 덕트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덕트본체(100)의 결합구(110)가 덮개(200)의 결합단부(201) 두께만큼 양 측벽(101)보다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200)를 결합하면 그 결합단부(201)가 덮개본체(100)의 양 측벽(101) 표면과 일치된 상태로결합구(110)의 외측을 지지하므로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덕트본체의 양 측벽 상단의 결합구는 일면에 결합홈이 구비된 상태에서 그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되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덮개는 양단의 결합단부와 그 내측의 압박편이 상기 결합구를 향하여 마주보고 있으므로 덮개를 덕트본체에 결합하기가 수월하여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덮개를 덕트본체에 결합하면 덕트본체 양쪽의 결합구 내외측을 덮개의 결합단부와 압박편이 탄력적으로 동시에 감싸주면서 걸려 있으므로 일단 조립되면 외부에서 어느정도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더라도 덮개가 덕트본체에서 쉽게 빠지지 않아 덕트본체 내에 설치된 배선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

  1. 양 측벽(101)과 밑판(102)으로 이루어진 덕트본체(100)와; 상기 덕트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밑면 양단에 결합단부(201)가 구비된 덮개(200);로 배선보호용 덕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100)의 양 측벽(101)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면에 오목한 결합홈(111)이 구비되고 바깥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결합구(110)를 일체로 절곡시켜 형성하되 덮개(200)의 결합단부(201) 두께만큼 양 측벽(101)보다 안쪽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덮개(200)의 양 결합단부(201) 안쪽에는, 상기 결합구(110)의 결합홈(111)과 결합되는 형상의 걸림부(211)가 선단에 구비된 압박편(210)을 기존의 결합단부(201)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하여 결합단부(201)와 압박편(210) 사이의 탄력을 이용하여 덕트본체(100)의 결합구(11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보호용 덕트.
KR20-2004-0014620U 2004-05-25 2004-05-25 배선보호용 덕트 KR200360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620U KR200360644Y1 (ko) 2004-05-25 2004-05-25 배선보호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620U KR200360644Y1 (ko) 2004-05-25 2004-05-25 배선보호용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644Y1 true KR200360644Y1 (ko) 2004-09-01

Family

ID=4943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620U KR200360644Y1 (ko) 2004-05-25 2004-05-25 배선보호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6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015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US7439443B2 (en)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box
JP2010112165A (ja) 被覆材の縁をカバーするためのベースボード及びベースボードのための接続部材
KR102285484B1 (ko) 케이블 몰드
KR200360644Y1 (ko) 배선보호용 덕트
JP3712601B2 (ja) 配線・配管材保護カバーのジョイント部材
RU2429332C1 (ru) Комплект плинтусных профилей
CN210798130U (zh) 一种室内装配式板墙连接结构
KR200185872Y1 (ko) 몰드 및 액자걸이 겸용 배선덕트
JP6672119B2 (ja) 配線・配管材保護カバー
RU96388U1 (ru) Комплект плинтусных профилей (варианты)
US20200161845A1 (en) Cable Management and Protective Track
KR100337281B1 (ko) 배선덕트
JP2005093290A (ja) ケーブル抜け止め器具
JP5441048B2 (ja) 隙間閉塞部材の取付構造
JP3122361U (ja) 配線装置
KR200224533Y1 (ko) 전선이 매입 가능한 천장 모서리 장식구
KR102365985B1 (ko) 케이블 몰드
KR200311227Y1 (ko) 배선 덕트용 연결구
KR200251120Y1 (ko) 배선보호용 커버
JP7391191B2 (ja) ケーブルモールド
JP4176952B2 (ja) 屋内配線ボックス
KR200171330Y1 (ko) 배선덕트용 커버
KR100705393B1 (ko) 미장판넬 연결구조
JP2004171883A (ja) モジュラー中継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