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642Y1 - 음이온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642Y1
KR200360642Y1 KR20-2004-0014510U KR20040014510U KR200360642Y1 KR 200360642 Y1 KR200360642 Y1 KR 200360642Y1 KR 20040014510 U KR20040014510 U KR 20040014510U KR 200360642 Y1 KR200360642 Y1 KR 200360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pl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임식
Original Assignee
윤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임식 filed Critical 윤임식
Priority to KR20-2004-0014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소정의 부품수용공간을 갖는 통형상으로써 일측이 개방되고 측면에 복수의 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 소켓부가 마련된 장치본체와; LED커버가 결합되어 상기 부품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램프지지부재와; 상기 LED커버 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LED를 가지고 상기 램프지지부재와 상기 소켓부 사이의 부품수용공간에 위치하는 PCB부재와; 상기 PCB부재와 연계하여 소정의 전자를 발생시키는 음극판부와; 상기 음극판부를 상기 램프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음극판부의 첨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폐하는 음극판커버와; 상기 음극판부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되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완전 분리가능한 방전판과; 상기 음극판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PCB부재와 상기 방전판을 상호 접지하는 판스프링형 접지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 복수의 음이온배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장치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PCB부재와 방전판 간의 접지 구조를 판스프링 형태로 개선함으로써 주변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점접관계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고 장치본체 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와 장치커버로부터 배출되는 음이온의 배출 유로를 수직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장치{Negative ion generator}
본 고안은,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B부재로부터 연결되어 방전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지부의 구조를 판스프링 형태로 구조 개선함으로써 주변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점접관계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고 장치본체 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와 장치커버로부터 배출되는 음이온의 배출 유로를 수직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43945에 보면,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은 장치를 소형화 혹은 컴팩트화 하기 위해서 그 구조가 개선되어 있는 한편 음이온 발생을 위한 장치의 가동 중에 고전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공지된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의 경우, 회로기판(이하, PCT부재라 함)으로부터 연결되어 방전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지부의 구조가 직선형의 코일스프링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지부가 통과하기 위한 별도의 통과부 등의 구조를 필요로 하는 등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접점관계가 불안정하는 등의 단점을 보인다.
또한 음극판부가 장치 내에 그대로 노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첨예부를 제외한 음극판부의 체결판부에 이물질이 끼는 등의 폐단이 발생할 수 있어 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일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메인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유입공을 통해서 내부로 유입된 다음, 음이온발생부를 통해 음이온이 되어 보조케이스의 음이온배출공으로 배출되기에 이르는데, 이 때의 공기 유입경로를 보면 장치의 설치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음이온화 되어 수직하게 하방으로 발생되는 거의 “ㄱ”자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음이온이 배출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소켓형 음이온 발생장치의 경우에는 보조케이스를 통해서 소켓부재에 별도의 전구 등을 추가로 장착해야만 램프로써의 기능을 할 수밖에 없어 사용에의 제약이 따르는 단점도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PCB부재로부터 연결되어 방전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지부의 구조를 판스프링 형태로 구조 개선함으로써 주변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점접관계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음극판커버를 통해 음극판부의 부분적으로 차폐함으로써 음극판부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최대한도로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본체 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와 장치커버로부터 배출되는 음이온의 배출 유로를 수직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에 LED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음이온 발생과 더불어 램프로써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이온 발생장치 중에서 장치본체와 장치커버 간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이온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이온 발생장치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치본체 11 : 처마부
11a : 공기유입공 12 : 소켓부
14 : 스위치 20 : 장치커버
20a : 음이온배출공 30 : PCB부재
31 : LED 40 : 램프지지부재
50 : LED커버 60 : 음극판부
60a : 평탄부 60b : 첨예부
70 : 음극판커버 75 : 접지부
80 : 방전판
상기 목적은, 내부에 소정의 부품수용공간을 갖는 통형상으로써 일측이 개방되고 측면에 복수의 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 소켓부가 마련된 장치본체와; LED커버가 결합되어 상기 부품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램프지지부재와; 상기 LED커버 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LED를 가지고 상기 램프지지부재와 상기 소켓부 사이의 부품수용공간에 위치하는 PCB부재와; 상기 PCB부재와 연계하여 소정의 전자를 발생시키는 음극판부와; 상기 음극판부를 상기 램프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음극판부의 첨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폐하는 음극판커버와; 상기 음극판부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되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완전 분리가능한 방전판과; 상기 음극판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PCB부재와 상기 방전판을 상호 접지하는 판스프링형 접지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 복수의 음이온배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장치커버를 포함하는 음이온 발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소켓부가 형성된 영역에 비해 상기 장치커버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커지는 종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와 발생한 음이온의 배출 유로가 일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공은 상기 장치본체의 처마부에 위치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이온 발생장치 중에서 장치본체와 장치커버 간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이온 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이온 발생장치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는, 내부에 각종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수용공간(10b)을 갖는 장치본체(10)와, 장치본체(10)의 일측 개구부(10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커버(20)로 이루어져 있다.
장치본체(10)는 본 음이온 발생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써, 일반 원통형상이 아닌 종타입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부(12)가 위치한 일측 단부에 비해서 장치커버(20)가 결합되는 영역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커지는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장치본체(10)의 외면에는 후술할 PCB부재(30)를 컨트롤하는 스위치(14, 도 1 및 도 4 참조)가 노출되어 있다. 이에 음이온 발생장치의 소켓부(12)를 장착한 후, 스위치(14)를 작동시킴으로써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혹은, 후술할 LED(31)를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 물론, LED(31)는 PCB부재(30)에 의해 깜빡거리거나 서서히 밝아지고 서서히 어두워지는등의 제거가 충분히 가능하다.
종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치본체(10)의 처마부(11)에는 외부 공기가 장치본체(10) 내로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유입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처마부(11)에 공기유입공(11a)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공기는 장치커버(20)를 향해서 수직되게 유입된 후, 장치본체(10) 내에서 음이온화 된 다음, 다시 장치커버(20)의 음이온배출공(20a)을 통해서 수직하게 배출된다(도 4의 A 참조).
이처럼 외부 공기의 유입 경로와 음이온의 배출 유로를 상호 수직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음이온배출공(20a)에는 복수의 리브(20c)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본체(10)의 일측 개구부(10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커버(20)는 도우넛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의 개구영역(20b)으로는 후술할 LED커버(50)가 외부로 노출된다. 장치커버(20)의 판면에는 앞서 기술한 복수의 음이온배출공(20a)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는 장치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한 장치본체(10)와 상호작용하는 결합수단(25, 도 2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수단(25)은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데, 소정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장치커버(20)를 장치본체(10)에 가압한 후, 일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장치커버(20)의 음이온배출공(20a)들이 후술할 방전판(80)의 각 홀(80a)들에 일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장치본체(10) 내에 위치하는 각 부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소켓부(12)에 인접한 부품수용공간(10b) 측에는 PCB부재(30)가 위치하고 있다. PCB부재(30)에는 각종 저항을 비롯하여 트랜스 등의 부품들이 장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중심에 LED(31)가 별도의 전선에 의해 길게 연장되어 있다. 장치본체(10)에 장치커버(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 LED(31)는 LED커버(50) 내에 위치하여 발광한다. 따라서 본 음이온 발생장치는 음이온 발생기능에 더하여 램프로써의 기능을 충분히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CB부재(30)의 하부에는 LED커버(50)를 지지하는 역할 외에도 후술할 음극판부(60)를 지지하는 램프지지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될 수 있는 램프지지부재(40)는 단면 “ㅗ”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중심부에는 전술한 LED(31)가 수용되는 LED커버(50)가 결합되어 있다. LED커버(50)는 무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붉은색, 푸른색, 녹색 등 다양한 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음극판부(60)는 도우넛 형상의 평탄부(60a)와 평탄부(60a)의 각 단에서 선단이 첨예하게 가공된 첨예부(60b)로 이루어져 있다. 음극판부(60)는 램프지지부재(40)에 배치되는데 평탄부(60a)의 중심부분이 단면 “ㅗ”형상으로 된 램프지지부재(40) 내에 끼워진다. 음극판부(60)는 PCB부재(30)와 연계한 상태에서 소정의 전자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첨예부(60b)의 선단을 통해서 전자가 방출된다.
따라서 첨예부(60b)를 제외한 나머지 평탄부(60a) 영역은 외부에 노출될 필요가 없다. 만일, 평탄부(60a) 역시 노출되어 있다면 이 영역에 이물질일 끼는 등의 폐단이 발생하여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사출물로 된 별도의 음극판커버(70)를 더 두어 음극판부(60)를 램프지지부재(40)에 고정시키는 한편 음극판부(60)의 첨예부(60b)는 방전판(80)을 향해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음극판커버(70)의 판면에는 음극판부(60)의 첨예부(60b)가 방전판(80) 측을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공(70a)이 형성되어 있다.
음극판부(60)의 주변에는 음극판부(60)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판(80)이 마련되어 있다. 음이온 발생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많은 이물질이 방전판(80)에 달라붙어 그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0)에 대해 장치커버(20)를 분리시키는 단순 행위만으로도 방전판(80)이 장치본체(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방전판(80) 역시 도우넛 형상을 가지는데 그 판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홀(80a)이 형성되어 있다. 장치커버(20)가 장치본체(10)에 결합될 경우, 방전판(80)에 형성된 홀(80a)들은 장치커버(20)의 음이온배출공(20a)과 하나씩 대응되어 음이온 배출효과를 높인다.
한편, 음극판부(60)와 더불어 방전판(80)이 음이온을 형성하려면 방전판(80)은 PCB부재(30)와 전기적으로 접점 되어야 한다. 만일, 접점상태가 양호하지 않다면 원하는 음이온을 얻을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음극판커버(70)에 별도의 접지브래킷(71)을 두고 이 접지브래킷(71)에 PCB부재(30)와 방전판(80)을 상호 접지하는 판스프링형 접지부(75)를 더 두고 있는 것이다. 장치커버(20)를 장치본체(10)에 결합시키면, 결합력에 의해 방전판(80)이 소켓부(12) 영역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방전판(80)은 판스프링형 접지부(75)를 가압하게 되고 판스프링형 접지부(75)가 눌린다. 그러면, 판스프링형 접지부(75)는 그 성질상,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바, 방전판(80)을 계속 미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평상시 접지부(75)와 방전판(80)의 접점상태는 양호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접점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점접관계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음이온 발생장치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우선 장치본체(10) 내에 PCB부재(30), 램프지지부재(40), 음극판부(60), 음극판커버(70)를 차례로 배치하여 부분적으로 스크루 조립한 후, 방전판(80)을 배치한다. 그런 다음, 장치커버(20)를 장치본체(10)의 일측 개구부(10a)에 정배치한 후, 가압하여 회전시켜 조립한다.
다음, 소켓부(12)를 별도의 소켓에 회전시켜 끼운 후, 스위치(14)를 작동시키면 PCB부재(30)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은 음극판부(60)에서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걸려 전자(음이온)가 발생한다.
발생한 전자(음이온)는 첨예부(60b)의 단부를 떠나 이격된 방전판(80)으로 향한다. 음극판부(60)로부터 전자가 방출되어 이동하는 동안, 장치본체(10)의 처마부(11)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1a)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수직하게 유입된 후, 음극판부(60)에서 발생한 전자와 반응하여 음이온 등으로 변화되는데(음이온의 수가 많아짐), 이 같은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에서 방전판(80) 영역 주변 공기에는 많은 음이온이 형성된다.
이 같은 음이온은 장치커버(20)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음이온배출공(20a)을 통해 수직되게 배출됨으로써 실내 공기는 음이온으로 정화될 수 있다. 물론, 음이온 배출과정에서도 LED(31)는 발광함으로써, 어두운 실내를 밝히는 역할을 겸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PCB부재(30)로부터 연결되어 방전판(80)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지부(75)의 구조를 스프링 형태의 구조에서 판스프링 형태로 구조 개선함으로써 주변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점접관계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극판커버(70)를 통해 음극판부(60)의 부분적으로 차폐함으로써 음극판부(60)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최대한도로 저지할 수 있다. 장치본체(10) 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와 장치커버(20)로부터 배출되는 음이온의 배출 유로를 수직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장치에 LED(31)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음이온 발생과 더불어 램프로써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PCB부재로부터 연결되어 방전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지부의 구조를 스프링 형태의 구조에서 판스프링 형태로 구조 개선함으로써 주변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점접관계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극판커버를 통해 음극판부의 부분적으로 차폐함으로써 음극판부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최대한도로 저지할 수 있다. 장치본체 내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와 장치커버로부터 배출되는 음이온의 배출 유로를 수직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음이온 발생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장치에 LED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음이온 발생과 더불어 램프로써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소정의 부품수용공간을 갖는 통형상으로써 일측이 개방되고 측면에 복수의 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 소켓부가 마련된 장치본체와;
    LED커버가 결합되어 상기 부품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램프지지부재와;
    상기 LED커버 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LED를 가지고 상기 램프지지부재와 상기 소켓부 사이의 부품수용공간에 위치하는 PCB부재와;
    상기 PCB부재와 연계하여 소정의 전자를 발생시키는 음극판부와;
    상기 음극판부를 상기 램프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음극판부의 첨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폐하는 음극판커버와;
    상기 음극판부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되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완전 분리가능한 방전판과;
    상기 음극판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PCB부재와 상기 방전판을 상호 접지하는 판스프링형 접지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면에 복수의 음이온배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장치커버를 포함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소켓부가 형성된 영역에 비해 상기 장치커버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커지는 종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와 발생한 음이온의 배출 유로가 일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공은 상기 장치본체의 처마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
KR20-2004-0014510U 2004-05-25 2004-05-25 음이온 발생장치 KR200360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510U KR200360642Y1 (ko) 2004-05-25 2004-05-25 음이온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510U KR200360642Y1 (ko) 2004-05-25 2004-05-25 음이온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642Y1 true KR200360642Y1 (ko) 2004-09-07

Family

ID=4934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510U KR200360642Y1 (ko) 2004-05-25 2004-05-25 음이온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6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608B1 (ko) 2005-12-05 2008-06-05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부품증설장치가 부착된 이오나이저
KR101156604B1 (ko) 2010-06-29 2012-06-15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이온클러스터 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608B1 (ko) 2005-12-05 2008-06-05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부품증설장치가 부착된 이오나이저
KR101156604B1 (ko) 2010-06-29 2012-06-15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이온클러스터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120A (en) Lighting device for a stun gun
US7484980B2 (en) Lighting tube adapting device
RU99119310A (ru) Полезная сигарета
KR101193113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조립체
CN208138963U (zh) 一种台灯
US11215342B2 (en) Split-type ceiling lamp
CA2544975A1 (en) Flashlight having back light elements
US20090295268A1 (en) Lamp assembly
US7462052B2 (en) Lamp and socket assembly which prevents installation of an incandescent lamp
US7993044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KR200360642Y1 (ko) 음이온 발생장치
US6227912B1 (en) Structure of lamp socket
JP2001345014A (ja) 照明器具
JP2002157914A (ja) ソケット付き発光装置
CN108488645B (zh) 一种螺旋式发光装置及应用有该发光装置的气球灯
CN100580867C (zh) 气体放电管
CN112984398B (zh) Led灯
CN104823943B (zh) 多功能灯泡
KR100811075B1 (ko) 음이온 방출 램프
CN106958771A (zh) 一种led筒灯
CN105972562A (zh) 一种led筒灯
JP6317831B1 (ja) 光源体アセンブリ
KR102246802B1 (ko) 차량용 조명 기구
CN209876853U (zh) Led开关
CN209084689U (zh) 灯管接驳器及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