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608Y1 - 휴대폰의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의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608Y1
KR200360608Y1 KR2019980024555U KR19980024555U KR200360608Y1 KR 200360608 Y1 KR200360608 Y1 KR 200360608Y1 KR 2019980024555 U KR2019980024555 U KR 2019980024555U KR 19980024555 U KR19980024555 U KR 19980024555U KR 200360608 Y1 KR200360608 Y1 KR 200360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oller
drive
pul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836U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4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60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에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원이며, 모터 샤프트를 갖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맞물리는 종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구동 모터에 장착시키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로드 안테나의 인입 또는 인출작동시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롤러는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과,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로드 안테나와 접촉하여 인입/인출을 시키는 부분으로 구성된 러버 부분; 상기 러버 부분이 샤프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러버 부분의 상단에 조립되는 홀더 클러치; 상기 홀더 클러치에 압입되어 샤프트와 공회전을 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클러치; 상기 러버 부분과 스토퍼 클러치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인 스프링 클러치; 및 상기 러버 부분과 스토퍼 클러치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펠트 클러치로 구성되어 로드 안테나 인입/인출작동시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게 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드 안테나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 후크상태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 후크상태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는 플립형 휴대폰이 도시되었다.
통상적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통화모드상태를 오프 후크(off hook)상태라 하고, 통화를 할 수 없는 통화대기모드상태를 휴대폰의 온 후크(on hook)상태라 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휴대폰은 본체 100과 플립커버 2000 및 본체 1000과 플립커버 2000을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미도시됨)등으로 대별된다.
본체 1000은 크게 상부 케이싱 프레임 1010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 1020으로 구성되고, 최상단 일측에 안테나 장치 1001이 설치되고, 본체의 최상단에 이어 피스 1002가 위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어 피스 1002 하측으로 엘씨디 윈도우 1003이 위치하며, 엘씨디 윈도우 1003 하측으로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1004가 배열되는 구성을 취하였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 1004 하측으로 마이크장치 1005가 장착되었고, 상기 마이크장치 1005가 내장된 수납부 1006에는 미도시된 힌지장치가설치되는 구성이었다.
이때,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플립커버 2000이 열린경우에는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절환되어 로드 안테나 1001b가 자동으로 인출되었고, 플립커버 2000이 닫힌 경우, 자동으로 통화대기모드로 절환되어 로드 안테나 1001b가 자동으로 본체에 인입되는 구성이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이 안테나 하우징 1001a바로 하측에 설치되었다.
상기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은 별도의 고정수단(고정핀 452와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고정됨)에 의해 하부 케이싱 프레임 1020에 설치된다. 이때, 모터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등을 흡수하기 위하여 러버재질의 탄성체 454가 부가된 구조이다. 이러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은 모터 410의 구동에 의해 한쌍의 롤러 430,440이 구동되어짐으로서, 로드 안테나 1001b의 이동이 구현되는 구성이었다.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은 모터 410(코어레스 타입의 소형 직류모터)와, 상기 모터 410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한쌍의 롤러 430,440과, 상기 롤러를 모터 410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420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는 모터 샤프트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세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극성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 샤프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 샤프트의 외주면은 마찰력과 탄성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의 외피를 덧씌운다.
상기 브라켓 420은 벤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회전축 A1을 중심으로 모터 410에 조립되기 위하여 기저면 421을 갖고, 상기 기저면 421에는 모터 샤프트 411이 관통하는 구멍 422가 중앙에 형성되고, 기저면 421의 외주면에는 벤딩하여 형성된 체결단 423이 위치한다. 상기 체결단 423을 벤딩하여 납땜함으로서, 브라켓 420은 모터 4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 420은 상기 롤러 430,440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직각으로 절곡진 형상을 갖는 자유단 424,425를 갖는다. 상기 자유단 424,425는 벤딩하여 제작되고, 롤러들의 축이 삽입되는 구멍들을 동축으로 갖는다.
상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 411에는 하나의 롤러 430이 맞물리고, 하나의 롤러 430에는 다른 하나의 롤러 440이 맞물린다. 상기 하나의 롤러 430은 모터 샤프트 411과 접촉하는 부분 431과, 안테나와 접촉하는 부분 432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롤러 440은 상기 롤러 430과 접촉하는 부분 441과, 안테나와 접촉하는 부분 4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와 접촉하는 부분 432,442의 직경은 모터 샤프트 411과 접촉하는 부분 431의 직경보다 작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모터 샤프트 411은 축 A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어서 모터 샤프트 411과 맞물린 롤러 430은 축 A2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롤러 430과 맞물린 다른 롤러 440은 축 A3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동력전달이 되는 구성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터 410이 구동되면, 상기 모터 샤프트 411과 맞물린 하나의 롤러 430은 회전하고, 상기 롤러 430과 맞물린 다른 하나의 롤러 440도 회전한다. 상기 한쌍의 롤러 430,440이 회전함으로서, 로드 안테나 1001b와 롤러 430,440간의 외주면에서 발생하는 마착력에 의해 로드 안테나는 인입/인출을 하게 되는 구성이었다. 상기 롤러 430,440간의 맞물림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은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동력전달의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기어 샤프트 4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기어 샤프트와 맞물린 롤러 430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롤러와 맞물린 다른 하나의 롤러 4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종래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은 롤러를 고무라는 탄성재질로 구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안테나 인입이나 인출시, 안테나와의 마찰력을 극대화하는데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통상적인 로드 안테나장치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직경크기를 갖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안테나가 인출된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로드 안테나에 외력이 가해지면, 안테나가 휘거나 인입작동에 오동작이 발생함으로서, 안테나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휴대폰특성상, 낙하나 충격등에 매우 강하게 저항할 수 있는 요건이 필요하며, 안테나 인입 또는 인출시에도 안테나의 안정적인 이동이 필요하며, 휴대장치라는 특성 때문에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저전력으로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서 안테나를 인입이나 인출시킬 필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로드 안테나 인입 또는 인출시에 발생하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동력원이며, 모터 샤프트를 갖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맞물리는 종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구동 모터에 장착시키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로드 안테나의 인입 또는 인출작동시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롤러는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과,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로드 안테나와 접촉하여 인입/인출을 시키는 부분으로 구성된 러버 부분;
상기 러버 부분이 샤프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러버 부분의 상단에 조립되는 홀더 클러치;
상기 홀더 클러치에 압입되어 샤프트와 공회전을 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클러치;
상기 러버 부분과 스토퍼 클러치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인 스프링 클러치; 및
상기 러버 부분과 스토퍼 클러치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펠트클러치로 구성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온 후크상태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통상적인 오프 후크상태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이 휴대폰의 하부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의 구동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구동 모터 52:브라켓
53:구동 롤러 54:종동 롤러
530:러버 부분 533:홀 클러치
534:스프링 클러치 535:스토퍼 클러치
536:펠트 클러치 550:샤프트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은 구동 모터 51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한쌍의 구동 롤러 53과 종동 롤러 54로 구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롤러 53,54에 의해 로드 안테나는 상호간의 마찰력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운동을 한다.
본 고안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구동 모터 51을 중심으로 브라켓 52에 의해 구동 롤러 53과 종동 롤러 54가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 52는 외주방향으로 체결단 522를 구비하여 모터 51에 고정되고, 기저면 521과 두 개의 자유단 523을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 기저면 521에서 연장된 하나의 자유단 523은 구동 롤러 53이 장착되고, 또 하나의 자유단 523은 종동 롤러54가 장착된다. 상기 자유단 523은 벤딩되어 상기 각각의 롤러 53,54를 누르는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롤러 53,54들은 자유단 523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구동 모터 51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은 구동 롤러 51과 종동 롤러 52로 구성되는 바, 구동 모터 51의 동력은 일차적으로 구동 롤러 53에 전달되고, 상기 구동 롤러 53에 의해 이차적으로 동력을 종동 롤러 52가 제공 받는다. 상기 구동 롤러 51과 종동 롤러 52는 각각 회전축 A1,A2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면서 로드 안테나 튜브의 외주면과 상호 마찰운동을 하면서 로드 안테나를 인입 또는 인출시킨다.
상기 구동 롤러 53의 러버부 530(통상적으로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인 러버가 롤러의 외피로 적절함)은 모터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분 531과, 로드 안테나의 튜브와 접촉하는 부분 5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 롤러 54는 상기 구동 롤러와 접촉하는 부분 541과, 로드 안테나와 접촉하는 부분 54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동력전달수단인 구동 롤러 53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구동 롤러 53은 모터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분 531과, 로드 안테나의 튜브와 접촉하는 부분 532로 구성된 러버 부분 530과, 상기 러버 부분 530이 샤프트 550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홀더 클러치 533(holder clutch)과, 상기 러버 부분 530과 홀더 클러치 533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클러치 534(spring clutch)와, 상기 러버 부분 530과 샤프트 550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 클러치 535(stopper clutch)와, 상기 스토퍼 클러치 535와 러버 부분 530사이에 위치하는펠트 클러치 536(felt clutch)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샤프트 550의 상단부근에 위치하는 홀더 클러치 533은 스토퍼 클러치 535와 상호 압입되어 일체형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펠트 클러치 536은 스토퍼 클러치 535에 양면 테이프 537을 사용하여 부착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 클러치 535는 모터 샤프트 550에 공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 샤프트가 회전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분 531에 의해 러버 부분 530은 회전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 스프링 534는 자체적으로 보유한 탄성력에 의해 러버 부분 530과 홀더 클러치 533간을 연결시킨다. 즉, 상기 클러치 스프링 534가 동력전달역할을 담당한다. 결과적으로 클러치 스프링 53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러버 부분 530의 동력은 홀더 클러치 533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홀더 클러치 533도 회전하며, 홀더 클러치 533에 압입된 스토퍼 클러치 535도 샤프트 550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한다.
상기 스프링 클러치 534가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홀더 클러치 533과 러버 부분 530에는 고정홈 533a,530a가 각각 형성되어 스프링 클러치 534의 양단이 긴밀하게 접촉한다.
이때, 상기 펠트 클러치 536은 러버 부분 530의 저면과 면접촉을 하며, 이러한 면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작동시에 부하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작동시에 자동으로 슬립이 일어나는구조이기 때문에 원할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이 작동된다.
상기 러버 부분 530이 회전하면, 스프링 클러치 534에 의해 홀더 클러치 533과 스토퍼 클러치 535가 회전운동을 한다. 만약에, 상기 러버 부분 530이 회전운동을 하다가 정지한 경우, 또는 정지후에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 클러치 534 및 펠트 클러치 536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부하발생을 최소화한다.
상기 홀더 클러치 533이나 스토퍼 클러치 535는 플라스틱재질이며, 펠트 클러치 536은 섬모재질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통화모드 또는 통화대기모드로의 절환시에 로드 안테나를 인입/인출시키는 안테나 시스템에서 작동시에 부하발생을 최소화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보다 안정되며 부드럽게 자동 인입 또는 인출작동이 구현된다.

Claims (3)

  1. 동력원이며, 모터 샤프트를 갖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맞물리는 종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구동 모터에 장착시키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로드 안테나의 인입 또는 인출작동시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롤러는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과,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로드 안테나와 접촉하여 인입/인출을 시키는 부분으로 구성된 러버 부분;
    상기 러버 부분이 샤프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러버 부분의 상단에 조립되는 홀더 클러치;
    상기 홀더 클러치에 압입되어 샤프트와 공회전을 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클러치;
    상기 러버 부분과 스토퍼 클러치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매체인 스프링 클러치; 및
    상기 러버 부분과 스토퍼 클러치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펠트 클러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 클러치는 스토퍼 클러치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클러치는 압축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KR2019980024555U 1998-12-09 1998-12-09 휴대폰의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KR200360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555U KR200360608Y1 (ko) 1998-12-09 1998-12-09 휴대폰의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555U KR200360608Y1 (ko) 1998-12-09 1998-12-09 휴대폰의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36U KR20000011836U (ko) 2000-07-05
KR200360608Y1 true KR200360608Y1 (ko) 2004-11-16

Family

ID=4934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555U KR200360608Y1 (ko) 1998-12-09 1998-12-09 휴대폰의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6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96B1 (ko) * 1999-12-30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안테나 자동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36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4521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264895B1 (ko)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EP1528757A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7334296B2 (en)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360608Y1 (ko) 휴대폰의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KR100314521B1 (ko) 통신기기용 안테나 구동 장치
KR200192880Y1 (ko) 휴대폰에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KR200346506Y1 (ko) 휴대폰에서 캠을 이용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KR100279160B1 (ko) 휴대폰의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KR100264894B1 (ko) 휴대폰에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KR20000001532U (ko)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KR100293924B1 (ko) 휴대폰에서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KR19990042119U (ko)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KR100293927B1 (ko)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KR200199757Y1 (ko)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마이크장치
KR19990040933U (ko) 휴대폰에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의 가변용 롤러메카니즘
KR200227869Y1 (ko) 휴대폰에서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의댐핑장치
KR200192882Y1 (ko)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에서 로드 안테나이탈방지장치
KR200324999Y1 (ko) 휴대폰에서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의 댐핑장치
KR200166383Y1 (ko) 자동인입/인출안테나시스템
KR100744491B1 (ko) 드럼세탁기용 콘트롤러부의 버튼장치
KR100334769B1 (ko) 단말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
KR0145013B1 (ko) 셀룰라폰 플립의 개폐장치
KR20000007549U (ko) 휴대폰의 자동 인입/인출 안테나 시스템의 로드 안테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