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440Y1 - 유증기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440Y1
KR200360440Y1 KR20-2004-0016993U KR20040016993U KR200360440Y1 KR 200360440 Y1 KR200360440 Y1 KR 200360440Y1 KR 20040016993 U KR20040016993 U KR 20040016993U KR 200360440 Y1 KR200360440 Y1 KR 200360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vent
oil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20-2004-0016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7/048Vapour flow control means, e.g. valves,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0Recovery of escaped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차량으로부터 유류저장탱크로 유류 적하시 발생되는 유증기를 다시 유조차량으로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기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기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상에 설치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유류저장탱크(2)에 연통/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4)상에 결합수단(112)으로 결합되는 통기관(111) 및 상기 통기관(111)의 일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유증기를 유조차량(2)으로 보내는 회수관(115)으로 구성된 몸체(110); 상기 통기관(111)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관(111)을 개폐하는 통기밸브(120); 상기 회수관(115) 내부에 설치되어 회수관(115)을 개폐하는 회수밸브(130); 상기 회수밸브(130)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통기밸브(1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수밸브(130)와 통기밸브(120)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40); 상기 회수관(115)의 단부에 결합되는 접속구(150); 상기 유증기의 회수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구(150)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수단(1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증기 회수장치{Apparatus which collects oil steam}
본 고안은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차량으로부터 유류저장탱크로 유류 적하시 발생되는 유증기를 다시 유조차량으로 회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기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기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상에 설치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있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 또는 유류를 다량 사용하는 공장 등에는 유조차량 등으로부터 유류를 공급받는 유류저장탱크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류차량(2) 등으로부터 호스(3)를 통해 유류저장탱크(1)로 유류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유류저장탱크(1)내에는 유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증기는 공급되는 유류가 증발됨에 따라 발생되는 것으로서, 독한 냄새를 가지고 있음은 물론 발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등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지만, 대부분 상기 유증기를 통기파이프(4)를 통해 외부로 직접 배출하고 있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유류저장탱크(1)내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유류차량(2)으로 회수하도록 하는 것이 의무화됨에 따라, 도 2 에서와 같이, 기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4)상에 별도의 회수장치(10)를 설치하여 유증기를 유류차량(2)으로 회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회수장치(10)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회수장치(10)를 기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4)에 설치시 직접 용접으로 접합/설치하거나, 또는 플랜지를 통기파이프(4) 및 회수장치(10)에 용접으로 접합한 후 볼트결합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위의 두가지 방법 모두 용접을 사용하게 됨으로서 유류저장탱크(1) 주변에서의 용접작업 및 발화 성분을 함유한 유증기에 의해 화재나 폭발 등 안전사고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류저장탱크내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다시 유조차량으로 회수함으로서 대기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기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상에 설치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증기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일반적으로 유류차량에서 유류저장탱크로 유류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종래의 유류차량에서 유류저장탱크로 유류공급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회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에서 유증기 미회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에서 유증기 회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에서 비상배출수단을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회수장치 110: 몸체
111: 통기관 112: 결합수단
113: 테이퍼부 114: 탭
115: 회수관
120: 통기밸브 121: 통기밸브몸체
121a,131a: 관통공 121b,131b: 통기공
122,132: 이동축 123: 통기밸브판
123a,133a,163: 패킹부재 123b: 관통공
124,134,184: 스프링 130: 회수밸브
131: 회수밸브몸체 133: 회수밸브판
140: 링크부재 150: 접속구
151: 결합홈 160: 접속수단
161: 캡 162: 누름축
164: 회전식 걸림구 170: 호스
180: 비상배출수단 181: 배출몸체
182: 설치공 183: 배출공
185: 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류저장탱크에 연통/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상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통기관 및 상기 통기관의 일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유증기를 유조차량으로 보내는 회수관으로 구성된 몸체; 상기 통기관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관을 개폐하는 통기밸브; 상기 회수관 내부에 설치되어 회수관을 개폐하는 회수밸브; 상기 회수밸브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통기밸브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수밸브와 통기밸브를 연결하는 링크부재; 상기 회수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접속구; 상기 유증기의 회수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구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필요시 종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에서 유증기 미회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에서 유증기 회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에서 비상배출수단을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100)는, 유류저장탱크(1)와 연통된 상태로 기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4)상에 결합수단(112)으로 결합되는 통기관(111)과, 상기 통기관(111)의 일측으로 연통되게 연장 형성되어 유증기를 유조차량(2)으로 보내는 회수관(115)으로 구성된 "T"자 형태의 몸체(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112)은 상기 통기관(111)의 상,하 양단부의 내주면에 각각 일정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부(11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부(113)에 탭(114)을 형성하여 유증기 통기파이프(4)와 나사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통기관(11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유증기 통기파이프(4)의 단부측에도 탭을 형성하여 간단히 나사결합함으로서 회수장치(100)의 설치시 화재 및 폭발 등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통기관(111) 내부에는 통기관(111)을 개폐하는 통기밸브(120)가 설치되고, 상기 회수관(115) 내부에는 회수관(115)을 개폐하는 회수밸브(130)가 설치되며, 상기 통기밸브(120)와 회수밸브(130) 사이에는 상기 회수밸브(130)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통기밸브(12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회수밸브(130)와 통기밸브(120)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40)가 설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통기밸브(120)는 상기 통기관(111)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관통공(121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21a) 주위에는 다수의 통기공(121b)이 형성된 통기밸브몸체(121)와, 상기 관통공(1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링크부재(140)의 일측과 결합되는 이동축(122)과, 상기 이동축(1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통기밸브몸체(121)의 일측에서 개폐동작하는 통기밸브판(123)과, 상기 통기밸브몸체(121)와 통기밸브판(123) 사이에 설치되면서 통기밸브판(123)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1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밸브판(123)은 상기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통기밸브몸체(121)의 통기공(121b)을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려고 하며, 따라서, 링크부재(140)로 상호연결된 상기 회수밸브(130)의 폐쇄시 상기 통기밸브판(123)은 통기밸브몸체(121)로부터 이격되어 통기밸브(120)는 개방된 상태가되고, 회수밸브(130)의 개방시에는 상기 통기밸브판(123)이 통기밸브몸체(121)에 밀착되면서 통기밸브(120)는 폐쇄된 상태가 되는 상호 연동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기밸브판(123)의 하측면에는 패킹부재(123a)가 구비되어 통기밸브몸체(121)와 밀착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밸브(130)는 상기 회수관(115)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관통공(131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31a) 주위에는 다수의 회수공(131b)이 형성된 회수밸브몸체(131)와, 상기 관통공(13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링크부재(140)의 타측과 결합되는 이동축(132)과, 상기 이동축(132)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수밸브몸체(131)의 일측에서 개폐동작하는회수밸브판(133)과, 상기 회수밸브몸체(131)와 회수밸브판(133) 사이에 설치되면서 회수밸브판(133)에 대해 회수관(115)의 단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13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수밸브판(133)의 일측면에는 패킹부재(133a)가 구비되어 회수밸브몸체(131)와 밀착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회수밸브(130)는 앞서 설명한 통기밸브(12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서 전체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140)는 상기 통기밸브(120)의 이동축(122)과 회수밸브(130)의 이동축(132)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됨으로서, 이러한 링크부재(140)에 의해 회수밸브(130)의 개방시 통기밸브(120)는 폐쇄되고, 회수밸브(130)의 폐쇄시 통기밸브(120)는 개방되는 등 상호 반대되는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수밸브(130)에 설치된 스프링(134)의 탄성계수는 상기 통기밸브(120)에 설치된 스프링(124)의 탄성계수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수관(115)의 단부에는 접속구(150)가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접속구(15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접속수단(16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150)는 내부가 관통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결합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증기의 회수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구(150)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수단(160)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수단(160)은 유증기의 회수시 또는 미회수시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되며,
먼저, 유증기의 회수시 상기 접속수단(160)은 상기 접속구(150)를 통과한 유증기를 유조차량(2)으로 보낼수 있도록 접속구(150)와 기밀/연통하는 호스(17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170)는 유조차량(2)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증기의 미회수시 상기 접속수단(160)은 상기 접속구(150)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캡(161)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캡(161)의 내측에는 상기 회수밸브판(133)을 눌러 회수밸브몸체(131)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누름축(1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구(150)와 접촉하는 캡(161)의 내측면에는 패킹부재(163)가 더 구비되어 기밀을 더욱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스(170) 또는 캡(161)에는 상기 접속구(150)에 결합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회전식 걸림구(164)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걸림구(164)는 호스(170) 또는 캡(161)을 상기 접속구(150)에 삽입할 때에는 일측으로 회전시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할 때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속구(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51)에 걸리면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증기의 회수시 또는 평상시에 상기 유류저장탱크(2) 내의 압력이 적정압력을 초과할 경우 과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통기밸브(120)에는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비상배출수단(1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비상배출수단(180)은 상기 통기밸브판(123)에 하측이 협소한 관통공(123b)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23b)의 상부에는 배출공(183)이 형성된 배출몸체(181)를 결합하되 배출몸체(181)의 내부 설치공(182)에는 상기 관통공(123b)을 개폐하는 볼(185) 및 상기 볼(185)을 관통공(123b) 측으로 일정 탄성력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18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비상배출수단(180)은 유류저장탱크(2) 내의 압력이 0.09kg/cm2를 초과할 경우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류저장탱크(2) 내의 압력이 0.09kg/cm2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184)이 압축되면서 볼(185)이 상기 통기밸브판(123)에 형성된 관통공(123b)을 개방하게 되며, 이때 이 관통공(123b) 및 배출몸체(181)의 배출공(183)을 통해 유증기가 배출되면서 과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류저장탱크(2) 내의 압력이 0.09kg/cm2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18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볼(185)이 관통공(123b)을 폐쇄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증기 회수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수장치(100)는 상기 통기관(111)과 회수관(115)의 내부에 각각 통기밸브(120) 및 회수밸브(130)를 나사결합하고 회수관(115)의 단부에는 접속구(150)를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간단히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회수장치(100)는 기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4)의 일부분을 절단한 후, 이 절단한 부분에 나사결합하여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유증기를 회수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접속구(150)에 상기 캡(161)을 결합하여 접속구(150)의 개구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때, 캡(161)의 내측에 형성된 일정길이의 누름축(162)이 상기 회수밸브판(133)을 누름에 따라 회수밸브판(133)이 회수밸브몸체(131)의 일측에 밀착되면서 회수밸브(130)는 폐쇄된 상태가 됨과 동시에 링크부재(140)로 연결된 상기 통기밸브판(123)은 스프링(1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통기밸브(120)를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평상시에는 상기 통기밸브(120)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류저장탱크(1)내에 이상 압력이 작용할 경우에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류차량(2)으로부터 유류저장탱크(1)로 유류를 공급할 때 발생하는 유증기를 회수시에는, 유류차량(2)으로부터 인출된 호스(170)를 상기 접속구(15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구(150)에 기결합되어 있는 캡(161)을 분리한 후에 호스(170)를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호스(170)에는 상기 캡(161)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축(162)이 없기 때문에 상기 회수밸브(130)의 회수밸브판(133)은 스프링(1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회수밸브(130)를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회수밸브판(133)이 이동하면서 회수밸브(130)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회수밸브판(133)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축(132)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축(132)과 링크부재(140)로 연결된 통기밸브(120)의 이동축(122)도 하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통기밸브판(123)이 통기밸브몸체(121)의 일측에 밀착되어 통기밸브(120)는 폐쇄된 상태가 된다.
상기 통기밸브(120)가 폐쇄되면 유류저장탱크(1)내에서 발생한 유증기는 회수관(115)을 통해 호스(170)측으로 유동하면서 유류차량(2)으로 회수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고안은, 상기 유류저장탱크내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다시 유조차량으로 회수함으로서 대기오염이 방지됨은 물론 회수장치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회수장치를 기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상에 간단히 나사결합으로 설치가 완료되어 설치시간 및 작업이 간편하고 화재 등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0)

  1. 유류저장탱크(2)에 연통/설치된 유증기 통기파이프(4)상에 결합수단(112)으로 결합되는 통기관(111) 및 상기 통기관(111)의 일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유증기를 유조차량(2)으로 보내는 회수관(115)으로 구성된 몸체(110);
    상기 통기관(111)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관(111)을 개폐하는 통기밸브(120);
    상기 회수관(115) 내부에 설치되어 회수관(115)을 개폐하는 회수밸브(130);
    상기 회수밸브(130)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통기밸브(1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수밸브(130)와 통기밸브(120)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40);
    상기 회수관(115)의 단부에 결합되는 접속구(150);
    상기 유증기의 회수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구(150)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수단(16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밸브(120)는, 상기 통기관(111) 내부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관통공(121a)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는 다수의 통기공(121b)이 형성된 통기밸브몸체(121)와, 상기 관통공(1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링크부재(140)와 결합된 이동축(122)과, 상기 이동축(1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통기밸브몸체(121)의 일측에서 개폐동작하는 통기밸브판(123)과, 상기 통기밸브몸체(121)와 통기밸브판(123) 사이에 설치되면서 통기밸브판(123)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1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밸브(130)는, 상기 회수관(115) 내부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관통공(131a)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는 다수의 회수공(131b)이 형성된 회수밸브몸체(131)와, 상기 관통공(13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링크부재(140)와 결합된 이동축(132)과, 상기 이동축(132)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수밸브몸체(131)의 일측에서 개폐동작하는 회수밸브판(133)과, 상기 회수밸브몸체(131)와 회수밸브판(133) 사이에 설치되면서 회수밸브판(133)에 대해 회수관(115)의 단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1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밸브(130)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탄성계수는 상기 통기밸브(120)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탄성계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12)은, 상기 통기관(111)의 양단부 내주면에 각각테이퍼부(11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부(113)에 탭(114)을 형성하여 유증기 통기파이프(4)와 나사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160)은, 유증기의 회수시 상기 접속구(150)를 통과한 유증기를 유조차량(2)으로 보낼수 있도록 접속구(150)와 기밀/연통하는 호스(17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160)은, 유증기의 미회수시 상기 접속구(150)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캡(161)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캡(161)의 내측에는 상기 회수밸브판(133)을 눌러 회수밸브몸체(131)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누름축(16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저장탱크(2) 내의 압력이 적정압력을 초과할 경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통기밸브(120)에 비상배출수단(18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배출수단(180)은 상기 통기밸브판(123)에 하측이 협소한 관통공(123b)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23b)의 상부에는 배출공(183)이 형성된 배출몸체(181)를 결합하되 배출몸체(181)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123b)을 개폐하는 볼(185) 및 상기 볼(185)을 관통공(123b) 측으로 일정 탄성력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18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배출수단(180)은 유류저장탱크(2) 내의 압력이 0.09kg/cm2를 초과할 경우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KR20-2004-0016993U 2004-06-17 2004-06-17 유증기 회수장치 KR200360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993U KR200360440Y1 (ko) 2004-06-17 2004-06-17 유증기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993U KR200360440Y1 (ko) 2004-06-17 2004-06-17 유증기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440Y1 true KR200360440Y1 (ko) 2004-08-30

Family

ID=4943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993U KR200360440Y1 (ko) 2004-06-17 2004-06-17 유증기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4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5259B1 (en) A member for removably closing a cylindrical opening
US9739390B2 (en) Valve pressure assembly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200360440Y1 (ko) 유증기 회수장치
JP4281820B2 (ja) ブリーダ装置
US5350222A (en) Auxiliary stabilizer valve for VX vent valve
JP2010151243A (ja) 管接続部材の脱着装置
DE102006017257A1 (de) Blindkupplung mit Rückschlagventil
CN1240563C (zh) 燃油箱
US4153305A (en) Railroad air brake systems
CN211851759U (zh) 一种防喷溅装置
AU756935B2 (en) Normally open purge valve
KR200328045Y1 (ko) 유증기 회수장치
CN112555479A (zh) 加油机用拉断阀
US20190331250A1 (en) Vacuum safety valve
EP1591378B1 (en) Drop tube segments adapted for use with a liquid reservoir
KR200366724Y1 (ko) 유증기 회수장치
JP5256016B2 (ja) 管接続部材の脱着装置
CN200989452Y (zh) 一种用于变压器灭火装置高压氮气瓶的闭锁阀门
CN2625683Y (zh) 双管路安全阀
JPS593645B2 (ja) ガス体の逆流・逆火緊急自動停止装置
CA1110295A (en) Railroad brake systems
CN111155957B (zh) 一种起下油管的防喷溅方法
CN108999674B (zh) 一种集成式单向pcv阀
CN219774906U (zh) 一种化工安全阀
CN215568066U (zh) 一种双密封排气接头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