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724Y1 - 유증기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724Y1
KR200366724Y1 KR20-2004-0022776U KR20040022776U KR200366724Y1 KR 200366724 Y1 KR200366724 Y1 KR 200366724Y1 KR 20040022776 U KR20040022776 U KR 20040022776U KR 200366724 Y1 KR200366724 Y1 KR 200366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safety valve
rod
plate cam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주)태림트리트먼트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림트리트먼트, 윤성호 filed Critical (주)태림트리트먼트
Priority to KR20-2004-0022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7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7/048Vapour flow control means, e.g. valves,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0Recovery of escaped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류저장탱크 내부에 생성된 유증기를 유조차로 회수하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관체와 회수호스에 결합된 커플링의 결합 및 착탈여부에 따라 주유저장탱크의 통기관로에 설치된 분기관체 내부의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증기 회수장치의 디스크이송봉 후방에 상,하로 관통하는 캠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이송봉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판캠이 설치되며, 상기 판캠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단부는 캠삽입홈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판캠의 타측에 형성된 밀편은 디스크이송봉의 좌,우이송에 따라 연동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안전밸브의 디스크봉을 상부로 밀어주거나 밀어주던 가압력을 해제시켜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증기 회수장치{Vapor recovery system}
본 고안은 유류저장탱크 내부에 생성된 유증기를 유조차로 회수하는 유증기회수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관체와 회수호스에 결합된 커플링의 결합 및 착탈여부에 따라 주유저장탱크의 통기관로에 설치된 분기관체 내부의 안전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나 유류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대형 공장에는 유류 공급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 유조차와 같은 유류공급장치로부터 유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유류저장탱크가 동시 구비되며, 상기 유류저장탱크는 유조차에 연결되어 있는 유류공급관을 통해 유류를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유류저장탱크 내에는 유류를 사용함에 따라 외부로 빠져나간 유류량만큼 유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증기는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다량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각종 유해성분을 대량 함유하며, 특히 발화성이 매우 높아 대기중으로 그대로 방출시 화재나 폭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아 이를 처리하고자 하는 방법은 유류업계에서 매우 중대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안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유류저장탱크에 외부로 연통되게 설치된 통기관로의 소정부위에 유증기 회수장치(1)를 설치하여 유류공급시 유류저장탱크에 있는 유증기를 유조차의 내부로 즉석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1)를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통기관로의 소정부위에 T형의 분기관체(2)가 설치되고, 상기 분기관체(2)의 수평방향 연결부(2a)에는 유조차와 연통되고 선단에 커플링(3)이 결합된 회수호스(4)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분기관체(2)의 내부에는 회수호스(4)로 통하는 유로(5)를 선택적으로 막아주는 디스크(6)가 형성된 디스크이송봉(7)이 스프링(11)으로 탄설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3)의 내부에는 도 5와 같이 밀음부재(8)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커플링(3)을 분기관체(2)에 결합시키면 밀음부재(8)가 디스크이송봉(7)을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주어 디스크(6)에 의해 밀폐되었던 유로(5)가 개방되면서 유증기가 회수호스(4)를 통해 유조차로 원활하게 회수되는 한편, 상기 커플링(3)을 착탈하는 순간 디스크이송봉(7)을 밀어주던 가압력이 동시에 해제되어 디스크이송봉(7)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디스크(6)가 유로(5)를 차단하여 유증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됨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분기관체(2)의 상측에는 안전밸브(9)가 설치되어 회수호스(4)로 통하는 유로(5)의 개폐작동과 상반되게 선택적으로 유증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수호스(4)로 통하는 유로(5)가 개방되면 안전밸브(9)의 디스크(9a)는 유로(9b)를 막아주어 유증기가 회수호스(4)로 전량 유도되도록 하고, 상기 회수호스(4)로 통하는 유로(5)가 밀폐되면 안전밸브(9)의 디스크(9a)는 유로(9b)를 개방시켜 유류저장탱크와 대기가 연통됨으로써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원활한 주유가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한 안전밸브(9)의 작동을 수동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도 5와 같이 안전밸브(9)의 디스크봉(9c) 하단에 원판캠(13)이 설치되고, 상기 원판캠(13)의 편심된 위치에 부착된 손잡이는 외부로 연결되게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원판캠(13)의 위치를 달리하여안전밸브(9)의 개폐를 조작하는 것이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원판캠(13)의 상사점이 상부에 도달하면 디스크봉(9c)이 상부로 밀리면서 자동으로 디스크(9a)가 개방되며, 상기 원판캠(13)의 하사점이 상부에 도달하면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디스크(9a)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디스크(9a)가 밀폐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안전밸브(9)의 개폐조작을 종래에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관체에 회수호스의 커플링을 결합하거나 착탈할 경우 좌,우로 이송하는 디스크이송봉의 이송력을 이용하여 판캠을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안전밸브의 디스크봉이 연동 조작되도록 하여 안전밸브의 개폐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을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커플링의 결합 및 착탈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안전밸브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유증기 회수장치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분기관체에 회수호스의 커플링이 결합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디스크이송봉과 판캠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디스크이송봉 및 판캠의 작동에 의한 안전밸브의 자동 밀폐상태 종단면도
도 5는 종래 유증기 회수장치의 안전밸브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증기 회수장치 2: 분기관체
3: 커플링 7: 디스크이송봉
9: 안전밸브 9c: 디스크봉
20: 캠삽입홈 30: 판캠
33: 작동단부 34: 밀편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전밸브(9)의 개폐조작을 인력에 의존하던 종래의 관행을 탈피하여 회수호스(4)의 커플링(3)을 분기관체(2)에 결합함과 동시에 자동으로안전밸브(9)가 밀폐되는 동시에 상기 커플링(3)을 분기관체(2)로부터 착탈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안전밸브(9)가 개방될 수 있음을 최선의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이하, 상기한 특징적인 요지를 달성하고자 하는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공지된 유증기 회수장치(1)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주유저장탱크와 외부로 연결된 통기관로에 설치되는 분기관체(2)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봉지지대(10)에 회수호스(4)로 통하는 유로(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디스크(6)가 형성된 디스크이송봉(7)이 스프링(11)으로 탄설되고, 상기 분기관체(2)의 상측에는 대기중으로 연통되는 유로(9b)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안전밸브(9)가 설치되며, 상기 분기관체(2)의 연결부(2a)에 착탈 가능하게 유조차와 연결된 회수호스(4)의 커플링(3)이 선택적으로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증기 회수장치(1)에 있어서, 본 고안은 디스크이송봉(7)의 후방측에 상,하로 관통하는 장홈형태의 캠삽입홈(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캠삽입홈(20)은 디스크이송봉(7)의 이송력을 이용하여 캠삽입홈(20)에 일측이 끼워지게 결합된는 판캠(30)을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이송봉(7)의 상측에는 디스크이송봉(7)의 좌,우이송작동과함께 연동으로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안전밸브(9)의 디스크봉(9c)을 조작하는 판캠(30)이 힌지축(3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판캠(30)은 전체적인 형상이 'ㄱ' 의 형태로 상기 힌지축(31)이 관통되는 힌지홀(32)이 형성되고 이 힌지홀(32)을 중심으로 일측에 디스크이송봉(7)의 캠삽입홈(20)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작동단부(33)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선택적으로 안전밸브(9)의 디스크봉(9c)을 상부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밀편(34)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단부(33)의 하단부는 캠삽입홈(20)에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디스크이송봉(7)의 좌,우이송에 따라 판캠(30)을 원활하게 무리없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작동단부(33)가 삼각이나 사각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 캠삽입홈(20)에 밀착된 상태에서 디스크이송봉(7)의 이송에 따라 원활하게 판캠이 작동되지 않고 중간에 작동이 멈춰버리는 일이 발생됨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판캠(30)은 디스크이송봉(7)의 작동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전밸브(9)의 디스크봉(9c)을 밀어주어 자동으로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상기 디스크봉(9c)의 하부작동은 안전밸브(9)에 설치된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안전밸브(9)의 자동 개폐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회수호스(4)의 커플링(3)을 분기관체(2)에 결합하면 디스크이송봉(7)이 도 4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송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디스크이송봉(7)의 이송력에 의해 판캠(30)의 작동단부(33)가 함께 이송함에 따라판캠(30)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도면상 정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밸브(9)의 디스크봉(9c)을 상부로 밀어주던 밀편(34)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안전밸브(9)의 디스크(9a) 및 디스크봉(9c)은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디스크(9a)는 유로(9b)를 막아주어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상반되게 상기 회수호스(4)의 커플링(3)을 분기관체(2)로부터 착탈하면 디스크이송봉(7)이 자동으로 원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디스크이송봉(7)의 이송력에 의해 판캠(30)이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판캠(30)의 역회전작동에 따라 밀편(34)은 상부로 올라가면서 안전밸브(9)의 디스크봉(9c)을 강제로 상부로 밀어올리므로써 상기 디스크(9a)는 유로(9b)와 이격되면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디스크이송봉(7)의 이송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 없이 자동으로 판캠(30)이 회동하면서 안전밸브(9)의 개폐조작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은 분기관체와 회수호스에 설치된 커플링의 결합 또는 착탈여부에 따라 좌,우로 이송하는 디스크이송봉의 이송력에 의해 판캠이 연동 회전작동되므로써 안전밸브의 디스크봉을 선택적으로 밀어주거나 밀어주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안전밸브의 개폐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므로써 작업의 정밀도 및 품질이 향상되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주유저장탱크와 외부로 연결된 통기관로에 설치되는 분기관체(2)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봉지지대(10)에 회수호스(4)로 통하는 유로(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디스크(6)가 형성된 디스크이송봉(7)이 스프링(11)으로 탄설되고, 상기 분기관체(2)의 상측에 대기중으로 연통되는 유로(9b)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안전밸브(9)가 설치되며, 상기 분기관체(2)의 연결부(2a)에 착탈 가능하게 유조차와 연결된 회수호스(4)의 커플링(3)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증기 회수장치(1)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이송봉(7)의 후방에 상,하로 관통하는 캠삽입홈(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이송봉(7)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판캠(30)이 설치되며, 상기 판캠(30)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단부(33)는 캠삽입홈(20)에 끼워지는 한편, 상기 판캠(30)의 타측에 형성된 밀편(34)은 디스크이송봉(7)의 좌,우이송에 따라 연동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안전밸브(9)의 디스크봉(9c)을 상부로 밀어주거나 밀어주던 가압력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단부(33)의 하단부는 디스크이송봉(7)의 좌,우이송에 따라 판캠(30)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플링(3)의 결합시 디스크이송봉(7)의 이송에 따라 판캠(30)이 연동 회전하며 상기 판캠(30)의 회전과 동시에 밀편(34)은 디스크봉(9c)을 상부로 밀어주어 안전밸브(9)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한편,
    상기 커플링(3)의 착탈시 디스크이송봉(7)의 이송에 따라 판캠(30)이 원상태로 연동 회전하며 상기 판캠(30)의 회전과 동시에 안전밸브(9)의 디스크(9a)는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장치.
KR20-2004-0022776U 2004-08-10 2004-08-10 유증기 회수장치 KR200366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776U KR200366724Y1 (ko) 2004-08-10 2004-08-10 유증기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776U KR200366724Y1 (ko) 2004-08-10 2004-08-10 유증기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724Y1 true KR200366724Y1 (ko) 2004-11-06

Family

ID=4935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776U KR200366724Y1 (ko) 2004-08-10 2004-08-10 유증기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7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892B1 (ko) 2014-10-10 2015-01-29 사단법인 한국선급 유증기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증기 처리방법
KR102503039B1 (ko) 2022-06-27 2023-02-23 에코매직 주식회사 재순환식 유증기 액화회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892B1 (ko) 2014-10-10 2015-01-29 사단법인 한국선급 유증기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증기 처리방법
KR102503039B1 (ko) 2022-06-27 2023-02-23 에코매직 주식회사 재순환식 유증기 액화회수장치
KR20240001649A (ko) 2022-06-27 2024-01-03 에코매직 주식회사 재순환식 유증기 액화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488A (en) Hands-off low-air-loss quick-connect quick-disconnect fast-fill dunnage bag filling valve-nozzle assembly & system
NZ209786A (en) Shut-off valve with at least two axially communicating chambers
US8104540B2 (en) Completion tool
US4491177A (en) Ball dropping assembly
US9316560B2 (en) Hydrostatic test tool and method of use
ES2544823T3 (es) Sistema de cierre y bloqueo verificable de un paso cilíndrico
CA26584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shing asphalt feeding devices
KR200366724Y1 (ko) 유증기 회수장치
JPH05215299A (ja) ボンベバルブ
EP1338347A2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paint sprayer gun
CN101027187B (zh) 将墨盒连接到喷墨打印系统的储墨仓的系统和方法
KR200364899Y1 (ko) 유증기 회수장치
US7556058B2 (en) Activation assembly in a dehumidifier
JPH0320199A (ja) 逆止弁付きボンベバルブ
JP3622512B2 (ja) ネジ打ち機の自動停止装置
KR20050117688A (ko) 체크밸브용 안전 잠금장치
JP2001280529A (ja) 残圧抜き機能を具備する弁装置
KR200484610Y1 (ko) 수도꼭지 연결구
CN212377335U (zh) 一种气阀开关
GB2185470A (en) Improvements in tap heads
CN217234778U (zh) 一种管道接头
CN215521423U (zh) 一种适用于海上采油平台的油井安全阀控制柜液压油箱
CN219549722U (zh) 一种防盗型阀门
US20070277890A1 (en) Rotationally adjustable on/off valve for a compressed gas storage tank
KR20190092634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드럼통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