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354Y1 - 급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급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354Y1
KR200360354Y1 KR20-2004-0009695U KR20040009695U KR200360354Y1 KR 200360354 Y1 KR200360354 Y1 KR 200360354Y1 KR 20040009695 U KR20040009695 U KR 20040009695U KR 200360354 Y1 KR200360354 Y1 KR 200360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water supply
screw
coupling mem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주
Original Assignee
김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주 filed Critical 김학주
Priority to KR20-2004-0009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3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12Hose-clips with a pivoted or swinging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e.g. toggle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관에 호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급수관과 호스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키고, 또한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일측에 힌지핀과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조임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조임부와,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급수관 결합부재와;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홈와, 일측에 상기 힌지핀에 의해 급수관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상기 나사조임부가 관통하는 나사조임 관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급수관 결합부재가 하우징부재 내부에서 소정 반경만큼 유동이 가능하여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급수관 결합부재의 힌지공의 내경이 힌지핀의 직경보다 더 커서 각 고정돌기가 급수관을 고르게 압착할 수 있게 되어 급수관 연결구가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수관 연결구{The connecting apparatus for a water pipe}
본 고안은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관에 호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급수관과 호스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키고, 또한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관, 예를 들면 수도꼭지에 급수 호스를 직접 연결시킬 경우 호스가 쉽게 빠지거나 물이 새는 경우가 많으므로, 급수관 연결구를 통해 급수관과 호스를 고정 연결시킨다.
종래의 급수관 연결구는 다수의 체결나사에 의해 급수관에 조립되어 조성되는 구조로서, 다수의 체결나사를 수작업으로 직접 조이는 것이 매우 번거로웠고, 또한 조립된 체결나사가 급수관 연결구를 급수관에 완벽하게 고정시키지 못하여 급수관 연결구 또는 호스가 이탈되거나, 물이 급수관 연결구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경우가 많아 사용상 많은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급수관 연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내측에 다수의 고정핀(21)이 형성된 수도꼭지연결부(20)와, 외측에 상기 수도꼭지연결부(20)를 수납하고 고정핀(21)을 압착하는 조임고리(10)로 구성된 급수관 연결구(실용신안등록 제269768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도 1의 급수관 연결구, 급수관 연결구를 수도꼭지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핀(21)이 내측에 형성된 수도꼭지연결부(20)와, 상기 수도꼭지연결부(20)를 수납하는 수납홈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힌지부(11)와 나사조임부(12)를 구비하는 조임고리(10)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조임부(12) 일측에는 조임나사(13)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나사수납부(12a)가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연결부(20)의 일측에는 고정핀(21)의 조임기능을 조절하는 균형돌기(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급수관 연결구에 의하면, 외측의 나사부분이 돌출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우려를 줄여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상기 도1의 종래 급수관 연결구는, 고정핀에 있어서 종래와 달라진 것이 없어서 여전히 급수관 연결구와 급수관의 조임이 불안정하고, 또한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일치시키기 위한 고려가 없어서 축심이 비뚤어질 경우, 급수관 선단에 삼각 또는 반원형의 돌기가 있는 부위에 고정할 때 물이 새어나가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상기 종래 급수관 연결구는 최근에 건설되는 아파트 내에 설치되는 원 삼각산 수도꼭지에 사용하게 되면 누수가 심한 문제점도 이울러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급수관 연결구를 급수관에 단단히 고정시켜서 급수관 연결구가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급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최근에 건설되는 아파트 내의 원 삼각산 수도꼭지에도 유용하게 시용이 가능한 급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고정돌기에 접촉하는 급수관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급수관 결합부재 110: 힌지공
120: 나사조임부 120a: 조임나사
120b: 장공 120c: 조임공
130: 고정돌기 130a: 나사산
140: 힌지핀 200: 하우징 부재
210: 힌지공 220: 수납홈
230: 나사조임 관통공 240: 분리대
300: 호스 연결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 힌지핀과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조임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조임부와,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급수관 결합부재와;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홈와, 일측에 상기 힌지핀에 의해 급수관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상기 나사조임부가 관통하는 나사조임 관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의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공의 반경이 힌지핀의 직경보다 소정 크기만큼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조임 관통공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나사조임부의 유동을 제한하는 분리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급수관은 삼각산이 형성된 수도꼭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측에는 호스연결구가 나사결합되는 호스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호스연결구가 나사결합시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조임부는 상기 조임나사가 먼저 삽입되는 부분에 장공이 형성되고 맞은편에는 상기 조임나사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내부면에 형성되는 조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고정돌기에 접촉하는 급수관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는 크게 급수관 연결구를 급수관에 고정시키는 급수관 결합부재(100)와,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를 내장하는 하우징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는, 일측에 힌지핀(140)과 결합되는 힌지공(110)과, 타측에 조임나사(120a)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조임부(120)와,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130)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공(110)의 내경은 상기 힌지핀(140)의 직경보다 소정 크기만큼 더 크게 형성시키고, 급수관 결합부재(100)가 소정 반경만큼 회동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결합된 측과 반대측에 형성되는 나사조임부(120)는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경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급수관이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측에 삽입된 후, 상기 나사조임부(120)를 통해 급수관과 급수관 결합부재 (10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나사조임부(120)는 상기 조임나사(120a)가 먼저 삽입되는 부분에는 장공(120b)이 형성되고, 그 맞은편에는 나사산이 내부면에 형성되는 조임공 (120c)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나사(120a)를 돌려 급수관에 결합시 조임나사(120a)가 상기 조임공(120c)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조음부(120)에 장공 (120b)을 형성하게 되면 급수관의 외경이 다양하더라도 나사체결이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130)는, 급수관에 접촉되어 급수관 연결구를 급수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급수관에 접촉되는 각 고정돌기(130)의 표면에 나사산(130a)이 형성되도록 하여, 급수관과 고정돌기(130)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급수관에 대한 급수관 연결구의 고정을 강화시킨다.
상기 하우징부재(200)는,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홈(220)과, 일측에 상기 힌지핀(140)에 의해 급수관 결합부재(100)와 결합되는 힌지공(210)과, 타측에 상기 나사조임부(120)가 관통하는나사조임 관통공(230)과, 하측에 호스 연결부(30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호스 연결부(300)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호스 연결구 (400)가 연결되고, 상기 호스 연결부(30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호스 연결구(400)가 결합시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401)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수납홈(2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납홈(220)의 깊이만큼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회동 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140)은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힌지공 (110)과 하우징부재(200)의 힌지공(210)에 함께 결합되어, 급수관 결합부재(100)가 하우징부재(200) 내부에서 소정 반경만큼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조임 관통공(230)은 급수관 결합부재(100)이 나사조임부(120)가 관통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나사조임부(120)가 외부에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나사조임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나사조임 관통공(230)의 중심부에는 분리대(240)가 형성되어 있어서,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유동을 제한하고, 또한 급수관 결합부재 (100)가 상기 나사조임 관통공(230)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호스 연결부(300)는 급수관 연결구와 호스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동작관계를 도 4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급수관 결합부재(100)는 하우징부재(200) 내부에서 소정 반경만큼 회동이 가능하므로,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측 반경은 급수관이 용이하게 삽입될 만큼 충분히 크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을 급수관 결합부재 (10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일치시킨 후, 나사조임부(120)를 통해 급수관 결합부재(100)를 조이게 된다.
이때, 종래 급수관 연결구의 경우에는 힌지결합의 유동성이 작아서, 힌지결합 부분에 가까운 고정돌기는 급수관을 강하게 압착하는 반면, 힌지결합 부분의 반대측에 형성된 고정돌기는 급수관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압착하여, 결국 각 고정돌기들이 급수관을 고르게 압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힌지공(110)의 내경이 힌지핀(140)의 직경보다 더 커서, 그 직경의 차이만큼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유동성이 커져서 각 고정돌기 (130)가 급수관을 고르게 압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급수관을 급수관 연결구에 고정시킨 후, 호스를 급수관 연결구의 호스 연결부(300)에 결합시킨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고정돌기에 접촉하는 급수관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고정돌기(130)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급수관에 대해서도 고른 압착을 통해 보다 완벽한 조임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 건설되는 아파트에 설치되는 원 삼각산(131)이 형성된 수도꼭지에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사용하더러도 누수를 방지하며 급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에 의하면, 급수관 결합부재(100)가 하우징부재(200) 재부에서 소정 반경만큼 유동이 가능하여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고, 동시에 급수관 결합부재 (100)의 힌지공(110)의 내경이 힌지핀(14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 인한 유동 간격으로 각 고정돌기(130)가 급수관을 고르게 압착할 수 있게 되어 급수관 연결구가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급수관 결합부재 (100)의 고정돌기(130)의 단면이 나사산 형태로 되어 급수관의 선단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된 조임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부재(200)에 분리대(240)를 구비하여 급수관의 외경이 크거나 또는 적더라도 중심을 잡아주어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일측에 힌지핀과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조임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조임부와,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급수관 결합부재와;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홈와, 일측에 상기 힌지핀에 의해 급수관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상기 나사조임부가 관통하는 나사조임 관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공의 내경이 힌지핀의 직경보다 소정 크기만큼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조임 관통공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나사조임부의 유동을 제한하는 분리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급수관은 삼각산이 형성된 수도꼭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측에는 호스연결구가 나사결합되는 호스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호스연결구가 나사결합시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조임부는 상기 조임나사가 먼저 삽입되는 부분에 장공이 형성되고 맞은편에는 상기 조임나사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내부면에 형성되는 조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KR20-2004-0009695U 2004-04-08 2004-04-08 급수관 연결구 KR200360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695U KR200360354Y1 (ko) 2004-04-08 2004-04-08 급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695U KR200360354Y1 (ko) 2004-04-08 2004-04-08 급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354Y1 true KR200360354Y1 (ko) 2004-08-30

Family

ID=4943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695U KR200360354Y1 (ko) 2004-04-08 2004-04-08 급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3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8146B2 (en) Automatic adjustable showerhead
KR200360354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359183Y1 (ko) 급수관 연결구
JP3122350B2 (ja) 配管接続具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974940B1 (ko) 누수 방지와 보수가 용이한 터치 수전시스템
KR200175033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473616Y1 (ko) 급수관용 호스 연결구
JPH049490Y2 (ko)
JPH09284954A (ja) 防水用グロメット
US7014217B2 (en) Pipe connector
KR100751755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200342609Y1 (ko) 수도꼭지 연결용 커플링.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225053Y1 (ko) 급수호스 연결용 소켓
KR20020014979A (ko)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장치
KR200269762Y1 (ko) 호스 연결장치
KR910004771Y1 (ko) 가스호오스 접속구
KR200197236Y1 (ko) 급수연결장치
KR200164009Y1 (ko) 호스연결장치
KR200174776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209986Y1 (ko) 세탁기용 급수홀더의 결합구조
KR200180338Y1 (ko) 급배수용 파이프 연결구
JP2003185097A (ja) 液化石油ガス容器用バルブ
KR200226688Y1 (ko)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