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183Y1 - 급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급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183Y1
KR200359183Y1 KR20-2004-0012961U KR20040012961U KR200359183Y1 KR 200359183 Y1 KR200359183 Y1 KR 200359183Y1 KR 20040012961 U KR20040012961 U KR 20040012961U KR 200359183 Y1 KR200359183 Y1 KR 200359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water supply
coupling member
water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주
Original Assignee
김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주 filed Critical 김학주
Priority to KR20-2004-0012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F16L33/06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in which the threaded pin is rigid with the hose-encircl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관에 호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급수관과 호스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키고, 또한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에 의하면 일측에 힌지핀과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조임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조임부와, 내측면으로 급수관을 조이는 급수관 결합부재와,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홈와, 일측에 상기 힌지핀에 의해 급수관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상기 나사조임부가 관통하는 나사조임 관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로 이루어진 급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는 조임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수관 연결구{The connecting apparatus for a water pipe}
본 고안은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관에 호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급수관과 호스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키고, 또한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관, 예를 들면 수도꼭지에 급수 호스를 직접 연결시킬 경우 호스가 쉽게 빠지거나 물이 새는 경우가 많으므로, 급수관 연결구를 통해 급수관과 호스를 고정 연결시킨다.
종래의 급수관 연결구는 다수의 체결나사에 의해 급수관에 조립되어 조정되는 구조로서, 다수의 체결나사를 수작업으로 직접 조이는 것이 매우 번거로웠고, 또한 조립된 체결나사가 급수관 연결구를 급수관에 완벽하게 고정시키지 못하여 급수관 연결구 또는 호스가 이탈되거나, 물이 급수관 연결구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경우가 많아 사용상 많은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급수관 연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내측에 다수의 고정핀(21)이 형성된 수도꼭지연결부(20)와, 외측에 상기 수도꼭지연결부(20)를 수납하고 고정핀(21)을 압착하는 조임고리(10)로 구성된 급수관 연결구(실용신안등록 제269768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도 1의 급수관 연결구, 급수관 연결구를 수도꼭지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핀(21)이 내측에 형성된 수도꼭지연결부(20)와, 상기 수도꼭지연결부(20)를 수납하는 수납홈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힌지부(11)와 나사조임부(12)를 구비하는 조임고리(10)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조임부(12) 일측에는 조임나사(13)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나사수납부(12a)가 구비되고, 상기 수도꼭지연결부(20)의 일측에는 고정핀(21)의 조임기능을 조절하는 균형돌기(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급수관 연결구에 의하면, 외측의 나사부분이 돌출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우려를 줄여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상기 도1의 종래 급수관 연결구는, 고정핀에 있어서 종래와 달라진 것이 없어서 여전히 급수관 연결구와 급수관의 조임이 불안정하고, 또한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일치시키기 위한 고려가 없어서 축심이 비뚤어질 경우와, 급수관 선단에 삼각 또는 반원형의 돌기가 있는 부위에 고정할 때 물이 새어나가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급수관 연결구를 급수관에 단단히 고정시켜서 급수관 연결구가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급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 2004-0009695호 "급수관 연결구"에 대하여 신중을 가하므로서 개선될 수 있는 급수관 연결구를 제안한다.
도 1은 종래의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급수관 결합부재 110: 힌지공
120: 나사조임부 120a: 조임나사
120b: 장공 120c: 조임공
130: 조임돌기 140: 힌지핀
200: 하우징 부재 210: 힌지공
220: 수납홈 230: 나사조임 관통공
240: 분리대 300: 호스 연결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 힌지핀과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조임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조임부와, 내측면으로 급수관을 조이는 급수관 결합부재와,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홈와, 일측에 상기 힌지핀에 의해 급수관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상기 나사조임부가 관통하는 나사조임 관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로 이루어진 급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는 조임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임돌기는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임돌기는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의 내측면 상, 하부에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는 크게 급수관 연결구를 급수관에 고정시키는 급수관 결합부재(100)와,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를 내장하는 하우징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는, 일측에 힌지핀(140)과 결합되는 힌지공(110)과, 타측에 조임나사(120a)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조임부(120)와,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조임돌기(130)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공(110)의 내경은 상기 힌지핀(140)의 직경보다 소정 크기만큼 더 크게 형성하여 급수관 결합부재(100)가 소정 반경만큼 회동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결합된 측과 반대측에 형성되는 나사조임부(120)는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급수관이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측에 삽입된 후, 상기 나사조임부(120)를 통해 급수관과 급수관 결합부재(10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나사조임부(120)는 상기 조임나사(120a)가 먼저 삽입되는 부분에는 장공(120b)을 형성하고, 그 맞은편에는 나사산이 내부면에 형성되는 조임공 (120c)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나사(120a)를 돌려 급수관에 결합시에 조임나사(120a)가 상기 조임공(120c)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조음부(120)에 장공(120b)을 형성하게 되면 급수관의 외경이 다양하더라도 나사체결이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임돌기(130)는, 급수관에 접촉되어 급수관 연결구를 급수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급수관과 조임돌기(130)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급수관에 대한 급수관 연결구의 고정을 강화시킨다.
또한, 상기 조임돌기(130)는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것은 급수관을 조일때 밀착력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조임돌기(130)는 바람직하게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측면 상, 하부에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이것 역시 더욱 견고한 밀착력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부재(200)는,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1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홈(220)과, 일측에 상기 힌지핀(140)에 의해 급수관 결합부재(100)와 결합되는 힌지공(210)과, 타측에 상기 나사조임부(120)가 관통하는 나사조임 관통공(230)과, 하측에 호스 연결부(30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호스 연결부(300)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호스 연결구 (400)가 연결되고, 상기 호스 연결부(30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호스 연결구(400)가 결합시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401)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수납홈(2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납홈(220)의 깊이만큼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회동 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140)은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힌지공(110)과 하우징부재(200)의 힌지공(210)에 함께 결합되어, 급수관 결합부재(100)가 하우징부재(200) 내부에서 소정 반경만큼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조임 관통공(230)은 급수관 결합부재(100)이 나사조임부(120)가 관통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나사조임부(120)가 외부에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나사조임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나사조임 관통공(230)의 중심부에는 분리대(240)가 형성되어 있어서,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유동을 제한하고, 또한 급수관 결합부재 (100)가 상기 나사조임 관통공(230)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호스 연결부(300)는 급수관 연결구와 호스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의 동작관계를 도 4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급수관 결합부재(100)는 하우징부재(200) 내부에서 소정 반경만큼 회동이 가능하므로,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내측 반경은 급수관이 용이하게 삽입될 만큼 충분히 크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을 급수관 결합부재 (10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일치시킨 후, 나사조임부(120)를 통해 급수관 결합부재(100)를 조이게 된다.
이때, 종래 급수관 연결구의 경우에는 힌지결합의 유동성이 작아서, 힌지결합 부분에 가까운 조임돌기는 급수관을 강하게 압착하는 반면, 힌지결합 부분의 반대측에 형성된 조임돌기는 급수관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압착하여, 결국 각 조임돌기들이 급수관을 고르게 압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힌지공(110)의 내경이 힌지핀(140)의 직경보다 더 커서, 그 직경의 차이만큼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유동성이 커져서 각 조임돌기(130)가 급수관을 고르게 압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급수관을 급수관 연결구에 고정시킨 후, 호스를 급수관 연결구의 호스 연결부(300)에 결합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 연결구에 의하면, 급수관 결합부재(100)가 하우징부재(200) 내부에서 소정 반경만큼 유동이 가능하여 급수관과 급수관 연결구의 축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고, 동시에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힌지공(110)의 내경을 힌지핀(14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 인한 유동 간격으로 각 조임돌기(130)가 급수관을 고르게 압착할 수 있게 되어 급수관 연결구가 급수관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급수관 결합부재(100)의 조임돌기(130)가 2중으로 형성되어 있어 안정된 조임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부재(200)에 분리대(240)를 구비하여 급수관의 외경이 크거나 또는 적더라도 중심을 잡아주어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에 힌지핀과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조임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조임부와, 내측면으로 급수관을 조이는 급수관 결합부재와,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납홈와, 일측에 상기 힌지핀에 의해 급수관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힌지공과, 타측에 상기 나사조임부가 관통하는 나사조임 관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재로 이루어진 급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의 내측면에는 조임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돌기는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돌기는 상기 급수관 결합부재의 내측면 상, 하부에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연결구.
KR20-2004-0012961U 2004-05-10 2004-05-10 급수관 연결구 KR200359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961U KR200359183Y1 (ko) 2004-05-10 2004-05-10 급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961U KR200359183Y1 (ko) 2004-05-10 2004-05-10 급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183Y1 true KR200359183Y1 (ko) 2004-08-21

Family

ID=4943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961U KR200359183Y1 (ko) 2004-05-10 2004-05-10 급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1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877B1 (ko) 2006-12-06 201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바이스 볼트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877B1 (ko) 2006-12-06 201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바이스 볼트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764B1 (en) Adjustable water-guiding rod for a cleaning brush
US20190247879A1 (en) Automatic adjustable showerhead
KR200359183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360354Y1 (ko) 급수관 연결구
KR100442993B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397356Y1 (ko) 가스연소기구의 가스용기 장착구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396604Y1 (ko)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JPH049490Y2 (ko)
KR200225053Y1 (ko) 급수호스 연결용 소켓
KR200342609Y1 (ko) 수도꼭지 연결용 커플링.
KR200194821Y1 (ko) 연결관 조임구
KR200302196Y1 (ko)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KR200473616Y1 (ko) 급수관용 호스 연결구
KR200197236Y1 (ko) 급수연결장치
KR900000193Y1 (ko) 온수탱크의 호스결합구조
JPH109453A (ja) 燃料タンクのゴムホ−ス
KR200209986Y1 (ko) 세탁기용 급수홀더의 결합구조
JPS5817110Y2 (ja) 蝶番
KR200174776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180338Y1 (ko) 급배수용 파이프 연결구
KR200165070Y1 (ko) 가스배송관과가스기기연결용플렉시블호스
JPH049488Y2 (ko)
KR20020014979A (ko) 수도꼭지의 호스 연결장치
JPS6438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