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88Y1 -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 - Google Patents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88Y1
KR200226688Y1 KR2020010001044U KR20010001044U KR200226688Y1 KR 200226688 Y1 KR200226688 Y1 KR 200226688Y1 KR 2020010001044 U KR2020010001044 U KR 2020010001044U KR 20010001044 U KR20010001044 U KR 20010001044U KR 200226688 Y1 KR200226688 Y1 KR 200226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pe
excel
bal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호
Original Assignee
배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호 filed Critical 배상호
Priority to KR2020010001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88Y1/ko

Links

Landscapes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엑셀용 밸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본체부 양측에 엑셀용관이음부를 구비하여 일체화된 밸브를 구성함에 있어, 특히, 엑셀용관이음부의 소켓본체에 스냅링이 삽입되고 체결너트가 조여진 가조립상태에서 연결관을 한 차례의 삽입과 나사조임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작업의 효율성을 높임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상측중앙에 개폐축지지관을 구비한 본체의 내부 일면에 구비된 돌출받침턱에 지지되게 합성수지볼패킹, 내부 직경과 일치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 및 상면에 연결홈을 형성한 볼밸브, 합성수지볼패킹을 순차 내장한 밸브본체부와, 일측에 밀폐패킹이 삽착되고, 나사를 조립하기 위한 연결나사관을 구비한 소켓본체의 타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긴 내측연결관과 수나사가 형성된 짧은 외측나사관을 구성하고, 이 외측나사관에 스냅링이 개재되어 체결너트를 나사조립하도록 된 엑셀관이음부와, 하단에 상기 볼밸브 상면의 연결홈 상에 삽입될 연결돌편과 돌출걸림턱을 구비한 레버결합축 상의 링형 요홈부에 두 개의 고무패킹을 삽착한 다음, 작동레버를 놓고 고정너트를 조아 고정한 레버부로 구성되어, 밸브본체부의 개폐축지지관에는 상기 레버부가 조립고정되고, 밸브본체부의 양단에는 엑셀관이음부가 조립되어 단일체화함으로써, 각종 배관작업시 한차례의 삽입과 조임으로 연결관이 연결됨과 동시에 개폐밸브의 기능을 수행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밸브와 연결관의 연결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의 배관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며, 밸브본체 내부에 회동가능한 구형 볼밸브가 양측의 합성수지제 볼패킹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음으로 인해,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른 밸브의 개폐시 본체와 구형볼의 외주면 사이의 틈으로 인한 유체, 가스 등의 누설위험을 방지하여 밸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작동레버의 결합축 외주면 링형요홈부에 1,2차 고무패킹을 순차, 구비함으로써, 작동레버의 잦은 조작으로 인해 볼개폐축지지관과 레버결합축간의 틈이나 마모 등으로 인한 유체 혹은 가스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밸브의 안정성을 배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관이 간결하고 설치하기 좋으며, 작동이 편리하고,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부품마모로 인한 부품교체가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을 증대시켰다.

Description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one-touch insert of excel pipe joint valve}
본 고안은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밸브본체부와 양측의 엑셀관이음부가 단일체로 조립되어 있어, 밸브 양단에 구비된 소켓본체에 스냅링과 체결너트를 어느 정도 조립한 상태의 엑셀관이음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관을 한 차례의 삽입작업으로 삽입한 후 체결너트로 조여 사용함으로써, 연결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에는 보일러나 온수기 또는 가스 등의 엑셀호스나 복합관을 연결할 때,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밸브본체(51)를 중심으로 일측에 나사조립을 위한 연결나사관(53)을 구비하여 금속 파이프를 연결하고, 타측의 관연결구(55)에 엑셀호스나 복합관을 연결하여 사용해 왔다. 여기에 사용되는 관연결구(55)에 있어서, 연결나사관(56a)이 형성된 소켓본체(56)의 타측에는 엑셀호스가 접속되는 내측 연결관(56b)이 길게 돌설되고, 그 내측연결관(56b)의 외측으로는 조임너트(57)가 나사조립되는 외측나사관(도면상 미도시)을 형성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복합관의 외주면을 압착시키는 링체나 실리콘계 패킹체(도면상 미도시)등을 외측나사관과 조임너트(57) 사이에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복합관을 연결시켜 왔는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브를 이용하여 복합관을 결속시키는 연결방법을 설명하면, 일측 연결나사관(56a)이 연결시킨 소켓본체(56) 타측의 내측연결관(56b)과 외측나사관에서 링체나 실리콘계 패킹체 및 조임너트(57)를 분리한 다음, 복합관에 조임너트(57) 및 링체나 실리콘계 패킹체 등을 다시 차례로 끼워준 상태에서 복합관을 내측연결관(56b)에 삽착시키는데, 이 때 복합관의 내경은 내측연결관의 외경과 거의 일치되는 것이 사용되어 내측연결관(56b)의 외측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착되는 것이며, 이후 링체나 실리콘계 패킹체 등은 밸브 본체(51)측으로 강제 이동하게 되고, 조임너트(57)의 강한조임이 끝났을 때 링체나 패킹체는 밸브본체측으로 강한 압압력을 받게 되어, 내측연결관(56b)와 복합관 사이에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합관을 연결시켜 왔으며, 밸브본체의 다른편 연결나사관(53)에는 내주면이 암나사가공된 주철관 등의 금속재 파이프 등을 나사 조립하여 사용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구조는 연결나사관(53)측에 관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공된 금속 파이프밖에 연결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으며, 기타 외주면에 수나사 가공된 금속파이프나 엑셀호스의 복합관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별도의 보조관체나 연결소켓을 추가로 체결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연결구(55)에 있어서도 이에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임너트(57)를 소켓본체(56)에서 해체하여 복합관에 끼워준 다음, 링체나 패킹체 등을 복합관의 외주에 끼운 상태에서 내측 연결관(56b) 외측으로 복합관을 끼우고 조임너트(57)를 조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러한 번거로움은 배관작업시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조임너트(57)의 강한 조임력을 받고 있는 랑체나 실리콘계 패킹체 등은 장시간 사용시 쉽게 노화되어 오히려 복합관과 밸브체 간의 누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엑셀용 밸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본체 양측에 엑셀관이음부가 단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엑셀관이음부를 구성하는 소켓본체에 스냅링과 체결너트를 어느 정도 조립한 상태의 엑셀관이음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관을 한차례의 삽입작업으로 삽입한 후 체결너트로 조여 사용함으로써, 연결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의 배관작업의 효율성을 높임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밸브본체 내부에는 회동가능한 구형 볼밸브가 양측의 합성수지제 볼패킹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어서,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른 밸브의 개폐시 본체와 구형볼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유체, 가스 등의 누설위험을 방지하여 밸브의 안정성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동레버의 결합축 외주면 링형요홈부에는 1,2차 고무패킹을 순차, 구비함으로써, 작동레버의 잦은 조작으로 인해 볼개폐축지지관과 레버결합축간의 틈이나 마모 등으로 인한 유체 혹은 가스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밸브의 안정성을 배가하며, 외관이 간결하고 설치 및 작동이 편리하고,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부품마모로 인한 부품교체가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을 증대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 밸브의 전체 사시도
도2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의 밸브가 열린상태 일부절개 사시도
도4은 본 고안의 밸브가 닫힌상태 일부절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관이음부의 관접속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본체부 11,51 : 본체
11a,52 : 볼개폐축지지관 11b : 돌출받침턱
11c : 레버스톱퍼 12,54 : 볼밸브
12a: 연결홈 12b : 통공
13 : 합성수지제 볼패킹 20,55 : 엑셀관이음부
21 : 밀폐패킹 22,56 : 소켓본체
22a,53,56a : 연결나사관 22b,56b : 내측연결관
22c:외측나사관 23 : 스냅링
23a : 경사면 23b : 절결부
23c : 압착돌기 24,57 : 체결너트
24a : 걸림턱 24b : 삽입공
25 : 연결관 30 : 레버부
31 : 레버결합축 31a : 연결돌편
31b : 돌출걸림턱 31c : 링형요홈부
32 : 고무패킹 33,58 : 작동레버
34,59 : 고정너트
위와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상세시 설명하면, 우선 도2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밸브본체부(10)에 있어서, 외주면이 각지고 내주면이 원형인 본체(11)의 중앙부 상측에 볼개폐축지지관(11a)을 형성하고, 내부 중앙에는 순차로 끼움되는 합성수지볼패킹(13) 및 볼밸브(12)를 지지하는 돌출받침턱(11b)이 구비되어 있고, 이 돌출받침턱(11b)에 도넛모양으로 중앙이 뚫어진 합성수지제 볼패킹(13), 볼밸브(12), 볼패킹(13)의 순으로 순차조립되며, 상기 볼밸브(12)에는 본체(11)의 내부 직경과 같게 관통시킨 통공(12b)과 상면에 연결홈(12a)을 형성하였으며, 본체(11)의 양단부 내주면에는 소켓본체(22)의 연결나사관(22a)과 체결되는 암나사를 형성하였다. 또한 볼개폐축지지관(11a)의 일측에는 레버(33)의 회동을 억지하는 스톱퍼(11c)가 구비되어 있다.
엑셀관이음부(20)는 밸브본체(11) 양단부 내주면 암나사에 나사조립되기 위해 일측에 밀폐패킹(21)이 삽착되고, 나사를 조립하기 위한 연결나사관(22a)을 구비한 소켓본체(22)의 타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긴 내측연결관(22b)과 수나사가 형성된 짧은 외측나사관(22c)이 구성되고, 이 외측나사관(22c)에 스냅링(23)이 개재되어 체결너트(24)를 나사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링(24)의 내면에는 2줄의 링으로 된 압착돌기(23c)를 가지며, 폭의 양단부에 얇은 경사면(23a)이 구성되고, 링의 일부분이 비스듬히 절단된 절결부(23b)가 형성되어 있어 비압축된 상태에서와 압축된 상태에서 그 직경이 편차를 갖도록 하고, 체결너트(24)의 걸림턱(24a)의 삽입공(24b)은 스냅링(23)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여 스냅링(23)이 이탈됨을 방지하고, 소켓본체(22)의 외측나사관(22c)에 스냅링(23)이 개재되어 체결너트(24)를 2~3리드 정도 나사조립시킨 상태하에서 복합관 등의 연결관(25)을 내측나사관(22b)에 원터치로 삽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레버부(30)는 레버결합축(31) 하단부에 볼밸브(12)의 연결홈(12a)에 삽입되는 연결돌편(31a)과, 또 그 상단에 볼개폐축지지관(11a)의 결합공을 통하여 본체(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레버결합축(31)의 결합시 레버결합축이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돌출걸림턱(31b)이 구비되고, 그 상부 외주면으로는 상,하 2단의 링형 요홈부(31c)가 구비되며, 이 요홈부(31c)에는 1,2차 고무패킹(32)이 순차끼움되고, 레버결합축(31)의 상단부에 작동레버(33)와 고정너트(34)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 개의 구성부로 나누어진 상기 엑셀관이음밸브를 작용상태에 따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밸브본체부(10) 중앙에 내장된 볼밸브(12)는 양쪽에 도넛형태의 합성수지제 볼패킹(13)에 의해 밀착,보호된 상태내에서 볼밸브(12) 상부의 연결홈(12a)에 레버결합축(31)의 연결돌편(31a)이 삽입되고, 이 축상단에 고정너트(34)로 고정된 작동레버(33)의 회동에 따라,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레버결합축(31)을 매개로 하여 밸브본체부(10)내의 볼밸브(12)와 작동레버(33)는 일체로 작동하게 된다.
먼저, 도3을 살펴보면, 이는 밸브가 열린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외측에서 보아 작동레버(33)가 밸브본체(11)의 축선과 일치된 상태이며, 이 때 볼밸브(12)의 통공(12b)이 볼밸브의 내경과 일치하여 연통되며, 작동레버(33)가 밸브본체(11)에 수직으로 놓이게 되면 도4에서와 같이 볼밸브(12)의 통공(12b)이 닫혀져 차단된다.
다음으로,밸브본체(11) 양단에 나사조립된 엑셀관이음부(20)는 소켓본체(22)의 외측나사관(22c) 수나사부에 스냅링(23)이 내장된 체결너트(24) 내주면의 암나사가 2~3리드 정도 나사조립된 가조립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도5에서 보이는 바과 같이, 체결너트(24)의 걸림턱(24a) 방향에서 연결관(25)을 삽입시키면 연결관의 삽입단은 스냅링(23)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내,외측나사관(22b,22c) 사이로 삽입되어진다.
이와같이 한 차례의 삽입작업을 완료한 후 체결너트(24)를 조여주게 되면 상기 체결너트(24)의 걸림턱(24a)이 스냅링(23)의 후단부를 밀어주게 되어 나사조임력을 받는 스냅링 내면의 압착돌기(23c)는 연결관(25)의 외주면을 압박하게 되고, 스냅링(23)의 선단 경사면(23a)은 외측나사관(22c)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조여들면서 연결관(25)의 외주면을 압박하다가, 스냅링(23)의 선단부가 외측나사관(22c) 내측의 소내경부 속으로 삽입되는 상태가 되면 스냅링(23)은 최대로 조여들어 연결관(25)의 외주면을 강력하게 압박하는 상태가 된다.
본 고안은 밸브본체부 양단에 엑셀관이음부가 단일체로 조립되고, 본체의 내부중앙에 내장된 볼밸브를 개폐가능토록 한 것으로서, 엑셀관이음부는 스냅링이 외측나사관에 밀접한 상태로 개재되어 체결너트가 2~3리드 정도 나사조립된 가조립상태에 있기 때문에, 배관작업시에 원하는 연결관을 한차례의 삽입과정을 거쳐 체결너트를 조이는 단순작업만으로 엑셀호스나 복합관 및 주름관 등의 다양한 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조립시간의 단축과 번거로움을 일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체결너트의 조임작용에 의해 스냅링 자체가 외측나사관내로 이동, 조여들게 함으로써, 삽입된 연결관의 외주면을 긴밀하고 안정되게 압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 주어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뿐만 아니라, 밸브본체 내부에 회동가능한 구형 볼밸브가 양측의 합성수지제 볼패킹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음으로 인해,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른 밸브의 개폐시 본체와 구형볼의 외주면 사이의 틈으로 인한 유체, 가스 등의 누설위험을 방지하여 밸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덧붙여 작동레버의 결합축 외주면 링형요홈부에 1,2차 고무패킹을 순차, 구비함으로써, 작동레버의 잦은 조작으로 인해 볼개폐축지지관과 레버결합축간의 틈이나 마모 등으로 인한 유체 혹은 가스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밸브의 안정성을 배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관이 간결하고 설치하기 좋으며, 작동이 편리하고,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부품마모로 인한 부품교체가 원활하고, 연결관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엑셀호스를 포함해 복합관, 주름관 및 다양한 연결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을 증대시켰다.

Claims (1)

  1. 상측중앙에 개폐축지지관(11a)을 구비한 본체(11)의 내부 일면에 구비된 돌출받침턱(11b)에 지지되게 합성수지볼패킹(13), 내부 직경과 일치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12a) 및 상면에 연결홈(12a)을 형성한 볼밸브(12), 합성수지볼패킹(13)을 순차 내장한 밸브본체부(10)와,
    일측에 밀폐패킹(21)이 삽착되고, 나사를 조립하기 위한 연결나사관(22a)을 구비한 소켓본체(22)의 타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긴 내측연결관(22b)과 수나사가 형성된 짧은 외측나사관(22c)을 구성하고, 이 외측나사관(22c)에 스냅링(23)이 개재되어 체결너트(24)를 나사조립하도록 된 엑셀관이음부(20)와,
    하단에 상기 볼밸브(12) 상면의 연결홈(12a) 상에 삽입될 연결돌편(31a)과 돌출걸림턱(31b)을 구비한 레버결합축(31) 상의 링형 요홈부(31c)에 두 개의 고무패킹(32)을 삽착한 다음, 작동레버(33)를 놓고 고정너트(34)를 조아 고정한 레버부(30)로 구성되며,
    밸브본체부(10)의 개폐축지지관(11a)에는 상기 레버부(30)가 조립고정되고,밸브본체부의 양단에는 엑셀관이음부(20)가 조립되어 단일체화함으로써,
    각종 배관작업시 한차례의 삽입과 조임으로 연결관(25)이 연결됨과 동시에 개폐밸브의 기능을 수행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삽입식 엑셀관이음 밸브.
KR2020010001044U 2001-01-15 2001-01-15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 KR200226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044U KR200226688Y1 (ko) 2001-01-15 2001-01-15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044U KR200226688Y1 (ko) 2001-01-15 2001-01-15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88Y1 true KR200226688Y1 (ko) 2001-06-15

Family

ID=7308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044U KR200226688Y1 (ko) 2001-01-15 2001-01-15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244B1 (ko) * 2009-03-04 2011-12-23 대경기업(주) 굴삭기 어태치먼트용 스톱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244B1 (ko) * 2009-03-04 2011-12-23 대경기업(주) 굴삭기 어태치먼트용 스톱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3365B2 (ja) 瞬間接続連結装置
US20030160449A1 (en) Device for locking cap nut for coupling
RU2324101C2 (ru) Муфта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0756429B1 (ko) 배관 이음구
KR200226688Y1 (ko) 원터치 삽입식 엑셀 관이음 밸브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100056736A (ko) 스테인레스 강관의 관이음 부재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200187815Y1 (ko) 배관용 이음쇠
KR200177938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100493329B1 (ko) 파이프 연결구
JP2595818Y2 (ja) 管の接続構造
KR200164009Y1 (ko) 호스연결장치
KR200322158Y1 (ko) 압륜을 갖는 오수관 연결 구조
KR200280086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KR200241509Y1 (ko) 파이프연결구의밀폐링
KR200402964Y1 (ko) 파이프 결합장치
JP2000161553A (ja) 管継手
US20050146135A1 (en) Pipe connector
KR20070100089A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20240023843A (ko) 수밀성이 향상된 링타입 배관 연결구
JPH11336962A (ja) ユニオン継手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