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282Y1 - 회전의자 받침다리 - Google Patents

회전의자 받침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282Y1
KR200360282Y1 KR20-2004-0015796U KR20040015796U KR200360282Y1 KR 200360282 Y1 KR200360282 Y1 KR 200360282Y1 KR 20040015796 U KR20040015796 U KR 20040015796U KR 200360282 Y1 KR200360282 Y1 KR 200360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central
coupling
arm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석
Original Assignee
박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석 filed Critical 박찬석
Priority to KR20-2004-0015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2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의자의 받침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리중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으로 분산하기 위하여 중앙보스의 외측면에 중앙보강리브 및 중앙보조보스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중앙보스는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 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조립의 용이성과 함께 의자의 좌판 하부면 중심에 결합된 높이조절봉의 하단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설치공의 내측 중간면에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 보강링을 매입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또 상기 아암의 상측면에 얇은 금속장식판들을 각각 매입시켜 상호 결합 형성하여 사용중 착석자의 신발 내지 주변 가구 등과 잦은 접촉 등을 막아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또 제품에 대한 고급화 및 외관미 등의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의자 받침다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회전의자 받침다리는 중앙보스의 외측면에 중앙보강리브 및 중앙보조보스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중앙보스는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 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조립의 용이성과 함께 의자의 좌판 하부면 중심에 결합된 높이조절봉의 하단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설치공의 내측 중간면에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 보강링을 매입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또 상기 아암의 상측면에 얇은 금속장식판들을 각각 매입시켜 상호 결합 형성하여 사용중 착석자의 신발 내지 주변 가구 등과 잦은 접촉 등을 막아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또 제품에 대한 고급화 및 외관미 등의 향상 위한 별도의 도장 내지 도금처리 또는 원목질감을 얻기 위한 무늬목 필름 전사처리 등의 생산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금속장식판으로 대체처리 생산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외관미 향상 등과 아울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제품의 작업성 및 대량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등을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의자 받침다리{A support the leg of a swivel chair}
본 고안은 회전의자의 받침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이 용이하고 강도가 양호한 내구성을 갖춤과 동시에 제품에 대한 외관미 및 상품성을 향상시킨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이루어진 회전의자 받침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ㆍ서양을 막론하고 각 시대의 생활양식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져 왔으며, 주로 상류계급에서 권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었으나, 18세기경에 이르러 일반화되었고, 그 형태도 호화로운 것에서 장식이 간소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한 기능적인 면을 중시하게 되면서 다양화 형상 및 모양ㆍ기능 등이 보완되면서 발전되고 있은 실정이다.
최근에는 인체 공학적인 면에 부합하는 기능적인 형태의 것으로 개선되어지면서 의자의 다리 하부에 다수개의 캐스터를 장착하여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의자를 자유롭게 방향의 위치 이동은 물론 회전 및 좌판ㆍ팔걸이ㆍ헤드레스트의 높낮이, 등받이판의 각도 조절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진 구조를 갖춘 회전의자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통상의 회전의자(도시생략)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기본적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판의 하부에 상단이 연결된 높이조절봉과 상기 높이조절봉의 하단이결합된 받침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다리는 높이조절봉의 하단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고정구의 외주면에 설정간격과 방향으로 일단이 용접 고정되어 연장된다.
상기 받침다리는 철판을 길이방향으로 절곡하고 각 타단 하부에 캐스터들을 끼워 상호 결합 고정시켜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 회전의자 받침다리는 고정구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다리들의 후단을 설정간격을 두고 맞대응시킨 후 용접하여 고정함에 있어서, 각 다리의 간격을 균등하고 일정하게 맞추는 작업과 각 다리 마다 일일이 용접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에 숙련도가 요구되고, 제작이 번거러워 제품에 대한 전체적 생산성의 한계가 있어 생산원가가 높아짐과 동시에 상품성, 신뢰성 등에서도 문제를 갖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회전의자 받침다리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회전의자
받침다리를 알루미늄재를 이용 주조하여 제작하였으나 강도성의 문제와 재료 원가의 상승 등에 따른 결점으로 제작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작업공정 및 생상성 등의 제조성과 비교적 내구성이 높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상대적으로 금속재질에 대비하여 내구성, 생산성, 상품성, 원가 등이 좋고 오랜 사용으로 인한 변형 등의 결점들을 개선한 또 다른 종래 회전의자 받침다리 구조인 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9-0015234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0-0002031호의 "회전의자용 다리"들이 제한된 바 있고, 이들에 대한 기본적 구성을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9-0015234호의 "회전의자용 다리"(도시생략 - 공보참조 부호인용) 구성을 살펴보면, 중앙에 축설치공(1)이 관통 형성된 보스(4)를 중심으로 하여 5개의 아암(2)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아암(2) 단부에는 축 결합공(12)을 갖는 발(3)이 형성되어 회전바퀴(16)를 축설치 하도록 되며, 각각의 아암(2) 저부내측에는 보강수단으로 박판상의 리브가 배열 설치된 통상의 회전의자용 다리에 있어서, 각 아암(2)의 외측 플렌지(9)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박판상의 주리브(5)를 횡설 함과 동시에 각각의 주리브(5)와 플렌지(9) 사이에는 적정간격으로 다수의 거셋(10)을 종설하고, 각각 주리브(5)사이에 해당되는 아암(2) 중앙부에는 보조리브(6)를 트러스 형태로 배열 설치하되, 각각의 보조리브(6) 끝단을 주리브(4)와 거셋(10)의 접합부위에 일치 접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리브(6)의 교차점(P, P') 및 주리브(5)와의 접합부위에는 봉돌기(11)를 형성하며, 중앙의 보스(4)와 보조리브(6)의 최초교차점(P) 사이에는 보강리브(7)를 연결 설치하는 한편, 각각의 아암(2) 단부에 해당되는 발(3)의 내면과 바퀴결합용 축결합공(12)을 갖는 보스(13) 외면사이에는 중앙에 봉돌기(15)가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14)를 방사선상으로 배열 설치하여 아암의 보강수단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0-0002031호의 "회전의자용 다리"(도시생략 - 공보참조 부호인용) 구성을 살펴보면, 5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고 각 단부에 회전바퀴가 장착될 수 있는 발을 가진 회전의자용 다리에 있어서, 축설치공(1)에 형성된 1차보스(5)와 아암(2)의 외부에 형성된 외피(6)간에 2차보스(7)와 보강리브(8) 및 트러스형식의 2차 기울기를 갖는 리브(9)를 형성하고, 축결합공(11)주위에 방사상의 리브(15)가 형성된 발(3)에, 외피(6")내에 봉돌기(17)를 갖는 방사상의 리브(15')가 형성되고 탈중심력에 의하여 회전과 정지가 가능하도록 중앙에 하나의 바퀴축(10)이 설치되고 저면 중앙이 평편한 바퀴(4)를 장착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9-0015234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0-0002031호의 "회전의자용 다리"들은 다리중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보스, 리브, 거셋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결합된 아암과 발로 구성하여 경량화를 기하면서 강도를 높이고, 바퀴는 링결합으로 장착되도록 하여 결합부분의 풀림이나 탈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안한 바 있으나, 이 또한 많은 결점들이 있다.
첫째, 다리중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으로 분산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1차보스(5)와 2차보스(7)로 이루어진 축설치공(1)은 의자의 좌판 하부면 중심에 결합된 중심봉의 하단부가 미세하게 테이퍼진 상태로 형성되어 쉽고 용이하게 상기 축설치공(1) 내부에 끼워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때 하중이 1차보스(5)의 내측면에 지속적으로 집중하게되어 오랜 사용시 1차보스(5)의 내측면에서부터 균열이 발생하여 2차보스(7)까지 전달 파손되어 받침다리의 교체수리 애프터서비스가 고객들로부터 빈번하게 접수되어 제품에 대한 전체적인 상품성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으며,
둘째, 종래 회전의자 다리는 합성수지재를 이용 사출 성형함으로 제품에 대한 고급화 및 외관미 등을 향상 위한 방안으로 받침다리의 외측면 전체 또는 특정부분에 다양한 문양과 무늬를 표현하기 위한 도장 내지 도금처리 또는 원목질감을얻기 위한 무늬목 필름 열전사처리 등 다양하게 실시하고 있으나, 이 또한 사용중 착석자의 신발 내지 주변 가구 등과 잦은 접촉에 의해 피복이 벗겨져 외관미를 더욱 저하시킴은 물론 상기 각 처리 공정이 번거럽고 불편하여 제품의 작업성 및 대량생산성의 저하, 원가 상승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리중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중앙보스의 외측면에 중앙보강리브 및 중앙보조보스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중앙보스는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 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조립의 용이성과 함께 의자의 좌판 하부면 중심에 결합된 높이조절봉의 하단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설치공의 내측 중간면에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 보강링을 매입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또 상기 아암의 상측면에 얇은 금속장식판들을 각각 매입시켜 상호 결합 형성하여 사용중 착석자의 신발 내지 주변 가구 등과 잦은 접촉 등을 막아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또 제품에 대한 고급화 및 외관미 등의 향상 위한 별도의 도장 내지 도금처리 또는 원목질감을 얻기 위한 무늬목 필름 열전사처리 등의 생산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금속장식판으로 대체처리 생산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외관미 향상 등과 아울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회전의자 받침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저면도,
도 4는 도 1에 표기된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분기된 아암들 상부와 금속판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플렌지 구조 및 결합돌기 구조가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보강리브 구조가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 : 축설치공, 102 : 아암
103 : 발, 104 : 중앙보스
104A: 중앙보조보스, 105 : 주리브
106(106a, 106b, 106c): 보조리브, 107 : 요홈
108 : 금속장식판, 109 : 플렌지
109A : 결합공 109B : 금속장식판 결합리브
110 : 거셋, 111 : 중앙보강리브
112 : 축결합공, 113 : 외측보스
114 : 발 보강리브 115 : 결합돌기
115A : 결합핀 116 : 보강링,
117 : 높이조절봉 C : 캐스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회전의자 받침다리는『중심에 축설치공이 관통 형성된 중앙보스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아암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아암 단부에는 축결합공을 갖는 발이 형성되어 캐스터들을 축설치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아암 하부 내측에 보강수단으로 박판상의 주/보조 리브들이 상호 배열 설치되어 형성되고, 각 아암의 외측 플렌지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박판상의 주리브를 횡설 함과 동시에 각각의 주리브와 플렌지 사이공간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거셋들을 형성하고, 각각 주리브 사이에 해당되는 아암 중앙부에는 보조리브를 배열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아암 단부에 해당되는 발의 내면과 바퀴결합용 축결합공을 갖는 외측보스 외면사이에 발보강리브들을 방사선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통상의 회전의자 받침다리에 있어서, 상기 축설치공의 내측면에 금속 보강링이 매입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방사선상으로 중앙보강리브들과 상호 연결된 중앙보강보스가 형성된 중앙보스와, 상기 중앙보스의 중앙보강보스 외측면에서 방사선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면에 단턱진 요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요홈 내부에 끼워져 수용 매입되어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 형상을 갖추고 표면에 각양각색의 무늬ㆍ모양ㆍ색채 등이 선택 표현되어 형성된 금속장식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받침다리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의자의 좌판 하부에 형성된 높이조절봉 하단이 끼워져 상호 결합 고정되는 상기 중앙보스는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조립의 용이성과 함께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리브는 횡방향의 일자형 보조리브들 사이에 대략 " Χ"자 형상으로 교차된 보조리브 내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되 교대로 반복된 지그재그 식의 보조리브 중 어느 한가지의 보조리브가 선택되어 각각 주리브사이에 해당되는 아암 저면 중앙 내부에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거셋은 주리브와 플렌지 사이공간에 설정간격을 두고 횡방향 내지 일정각도 경사지게 사선방향으로 선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장식판은 상부 표면에 도금 내지 도장, 전사처리등으로 각양각색의 무늬ㆍ모양ㆍ색채 등을 선택 표현하고, 하부면에 적당량의 접착제 내지 접착테이프를 형성하여 상기 아암의 요홈에 끼워 안착 수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금속장식판은 각 모서리에서 결합돌기들이 일정길이 연장되고, 이 결합돌기들을 상기 플렌지 내측으로 각각 절곡시켜 상호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렌지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 후방에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장식판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공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 양측 하단 가까이에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탄성력을 갖춘 결합핀이 복수개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중앙보스의 외측면에 중앙보강리브 및 중앙보조보스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중앙보스는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 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조립의 용이성과 함께 의자의 좌판 하부면 중심에 결합된 높이조절봉의 하단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설치공의 내측 중간면에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 보강링을 매입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또 상기 아암의 상측면에 얇은 금속장식판들을 각각 매입시켜 상호 결합 형성하여 사용중 착석자의 신발 내지 주변 가구 등과 잦은 접촉 등을 막아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또 제품에 대한 고급화 및 외관미 등의 향상 위한 별도의 도장 내지 도금처리 또는 원목질감을 얻기 위한 무늬목 필름 전사처리 등의 생산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금속장식판으로 대체처리 생산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외관미 향상 등과 아울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제품의 작업성 및 대량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표기된 A - 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분기된 아암들 상부와 금속판이 상호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플렌지 구조 및 결합돌기 구조가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7a 및 7b는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보강리브 구조가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회전의자용 받침다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회전의자 받침다리는 중심에 축설치공(101)이 관통 형성된 중앙보스(104)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아암(102)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아암(102) 단부에는 축결합공(112)을 갖는 발(103)이 형성되어 캐스터(C)들을 축설치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아암(102) 하부 내측에 보강수단으로 박판상의 주/보조 리브들이 상호 배열 설치되어 형성되고, 각 아암(102)의 외측 플렌지(109)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박판상의 주리브(105)를 횡설 함과 동시에 각각의 주리브(105)와 플렌지(109) 사이공간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거셋(110)들을 형성하고, 각각 주리브(105)사이에 해당되는 아암(102) 중앙부에는 보조리브(106)를 배열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아암(102) 단부에 해당되는 발(103)의 내면과 바퀴결합용 축결합공(112)을 갖는 외측보스(113) 외면사이에 발보강리브(114)들을 방사선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보스(104)는 축설치공(101)의 내측면에 금속 보강링(116)이 매입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방사선상으로 중앙보강리브(111)들과 상호 연결된 중앙보강보스(10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보스(104)는 의자의 좌판 하부에 형성된 높이조절봉(117) 하단이 끼워져 상호 결합 고정되는 상기 중앙보스(104)는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 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조립의 용이성과 함께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아암(102)은 중앙보스(104)의 중앙보강보스(104A) 외측면에서 방사선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면에 단턱져 수용공간이 확보된 요홈(10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102)의 요홈(107) 내부에 끼워져 수용 매입되어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 형상을 갖추고 표면에 각양각색의 무늬ㆍ모양ㆍ색채 등이 선택 표현된 금속장식판(108)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금속장식판(108)은 상부 표면에 도금 내지 도장, 전사처리등으로 각양각색의 무늬ㆍ모양ㆍ색채 등을 선택 표현하고, 하부면에 적당량의 접착제 내지 접착테이프를 형성하여 상기 아암(102)의 요홈에 끼워 안착 수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금속장식판(108)은 각 모서리에서 결합돌기(115)들이 일정길이 연장되고, 이 결합돌기(115)들을 상기 플렌지(109) 내측으로 각각 절곡시켜 상호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렌지(109)에는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전 후방에 각각 결합공(109A)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장식판 결합리브(109B)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09A)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115)의 양측 하단 가까이에는상기 결합공(109A)에 결합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탄성력을 갖춘 결합핀(115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리브(106)는 횡방향의 일자형 보조리브(106a)들 사이에 대략 " Χ"자 형상으로 교차된 보조리브(106b) 내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되 교대로 반복된 지그재그 식의 보조리브(106c) 중 어느 한가지의 보조리브(106a, 106b, 106c)가 선택되어 각각 주리브(105)사이에 해당되는 아암(102) 저면 중앙 내부에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시킨다.
상기한, 거셋(110)은 주리브(105)와 플렌지(109) 사이공간에 설정간격을 두고 횡방향 내지 일정각도 경사지게 사선방향으로 선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회전의자 받침다리는 첨부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심에 관통되어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 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 중간면에 보강링(116)이 매입 형성된 중앙보스(104)에 의자의 좌판 하부면 중심에 결합된 높이조절봉(117)의 하단이 쉽게 끼워져 상호 조립되어 착석시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중앙보강리브(111) 및 중앙보조보스(104A)가 일체로 연결 형성된 중앙보스(104)로 이루어져 견고한 내구성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각 발(103)의 축결합공(112)에 캐스터(C)들을 각각 끼워 상호 결합시켜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아암(102)들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홈(107)에 금속장식판(108)을 끼워 삽입 수용하여 상호 결합시켜 의자 사용중 착석자의 신발 내지 주변 가구 등과 잦은 접촉 등을 막아줌과 동시에 아암(102)의 내구성을 보강시키고, 또 금속장식판(108) 상부면에 도장 내지 도금처리 또는 원목질감을 얻기 위한 무늬목 필름 전사처리 등으로 보다 간단하게 제품의 외관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한 금속장식판(108)은 하부면에 적당량의 접착제 내지 접착테이프를 형성하여 상기 아암(102)의 요홈(107)에 끼워 안착 고정시킬 수 있고, 또 각 모서리에서 일정길이 연장 돌출된 결합돌기(115)들을 상기 플렌지(109) 내측으로 각각 절곡시켜 상호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렌지(109)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전 후방에 각각 결합공(109A)이 구비된 금속장식판 결합리브(109B)의 상기 결합공(109A)에 양측 하단 가까이에 탄성력을 갖춘 결합핀(115A)이 복수개 구비된 결합돌기(115)를 결합하여 압압하면 상기 탄성력을 갖춘 결합핀(115A)이 상기 결합공(109A)에 억지끼워짐과 동시에 관통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렌지(109)로 부터 금속장식판(108)이 이탈되지 아니하고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회전의자 받침다리는 중앙보스(104)의 외측면에 중앙보강리브(111) 및 중앙보조보스(104A)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중앙보스(104)는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 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하여 조립의 용이성과 함께 의자의 좌판 하부면 중심에 결합된 높이조절봉(117)의 하단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설치공(101)의 내측 중간면에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 보강링(116)을 매입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또 상기 아암(102)의 상측면에 얇은 금속장식판(108)들을 각각 매입시켜 상호 결합 형성하여 사용중 착석자의 신발 내지 주변 가구 등과 잦은 접촉 등을 막아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또 제품에 대한 고급화 및 외관미 등의 향상 위한 별도의 도장 내지 도금처리 또는 원목질감을 얻기 위한 무늬목 필름 전사처리 등의 생산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금속장식판(108)으로 대체처리 생산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 외관미 향상 등과 아울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제품의 작업성 및 대량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등을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중심에 축설치공(101)이 관통 형성된 중앙보스(104)를 중심으로 다수개의 아암(102)이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아암(102) 단부에는 축결합공(112)을 갖는 발(103)이 형성되어 캐스터(C)들을 축설치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아암(102) 하부 내측에 보강수단으로 박판상의 주/보조 리브(105,106)들이 상호 배열 설치되어 형성되고, 각 아암(102)의 외측 플렌지(109)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박판상의 주리브(105)를 횡설 함과 동시에 각각의 주리브(105)와 플렌지(109) 사이공간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거셋(110)들을 형성하고, 각각 주리브(105) 사이에 해당되는 아암(102) 중앙부에는 보조리브(106)를 배열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아암(102) 단부에 해당되는 발(103)의 내면과 바퀴결합용 축결합공(112)을 갖는 외측보스(113) 외면사이에 발보강리브(114)들을 방사선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통상의 회전의자 받침다리에 있어서,
    상기 축설치공(101)의 내측면에 금속 보강링(116)이 매입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방사선상으로 중앙보강리브(111)들과 상호 연결된 중앙보강보스(104A)가 형성된 중앙보스(104)와,
    상기 중앙보스(104)의 중앙보강보스(104A) 외측면에서 방사선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면에 단턱진 요홈(107)이 형성된 다수개의 아암(102)과,
    상기 아암(102)의 요홈(107) 내부에 끼워져 수용 매입되어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 형상을 갖추고 표면에 다양한 무늬ㆍ모양ㆍ색채 등이 선택 표현되어 형성된 금속장식판(10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받침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여기에서, 의자의 좌판 하부에 형성된 높이조절봉(117) 하단이 끼워져 상호 결합 고정되는 상기 중앙보스(104)는 상측 직경이 하측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확개된 상태로 내측면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받침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장식판(108)은 상부 표면에 도금 내지 도장, 전사처리등으로 각양각색의 무늬ㆍ모양ㆍ색채 등을 선택 표현하고, 하부면에 적당량의 접착제 내지 접착테이프를 형성하여 상기 아암(102)의 요홈(107)에 끼워 안착 수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받침다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장식판(108)은 각 모서리에서 결합돌기(115)들이 일정길이 연장되고, 이 결합돌기(115)들을 상기 플렌지(109) 내측으로 각각 절곡시켜 상호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받침다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109)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 후방에 각각 결합공(109A)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장식판 결합리브(109B)와,
    상기 결합공(109A)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115) 양측 하단 가까이에는 상기 결합공(109A)에 결합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탄성력을 갖춘 결합핀(115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받침다리.
KR20-2004-0015796U 2004-06-07 2004-06-07 회전의자 받침다리 KR200360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796U KR200360282Y1 (ko) 2004-06-07 2004-06-07 회전의자 받침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796U KR200360282Y1 (ko) 2004-06-07 2004-06-07 회전의자 받침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282Y1 true KR200360282Y1 (ko) 2004-08-25

Family

ID=4943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796U KR200360282Y1 (ko) 2004-06-07 2004-06-07 회전의자 받침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2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49B1 (ko) 2008-08-05 2009-02-23 김선환 의자 다리의 구조
KR200449534Y1 (ko) 2008-01-03 2010-07-16 김상섭 사무의자 다리용 오발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34Y1 (ko) 2008-01-03 2010-07-16 김상섭 사무의자 다리용 오발구조체
KR100885049B1 (ko) 2008-08-05 2009-02-23 김선환 의자 다리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212465A (en) Support trolley: legs in sliding engagement with central pillar
KR200360282Y1 (ko) 회전의자 받침다리
US7610682B2 (en) Method of affixing a caster on a wooden or plastic furniture leg
US20050060840A1 (en) Caster system used with wooden or plastic legs for furniture
CA1303475C (en) Chair base
KR20090124227A (ko) 조립식 좌식의자 겸용 의자용 좌판
KR200395744Y1 (ko) 회전식 의자용 다리
KR200390553Y1 (ko) 회전식 의자용 다리
KR200395909Y1 (ko) 회전의자용 다리
US4144617A (en) Tilted axle caster
KR200424336Y1 (ko) 회전의자 받침다리
KR200219997Y1 (ko) 의자용 다리
KR200311919Y1 (ko) 캐스터의 스핀들 구조
KR102308880B1 (ko) 다리 매립형 캐스터 및 이를 가지는 책상
JP2000000129A (ja) 家具類の脚台
CN218355301U (zh) 一种沙发
JP2023163705A (ja) 家具用キャスタ及び家具
ITMI20000695U1 (it) Ruota piroettante a montaggio semplificato particolarmente studiata per sedie poltroncine e simili
CN221044617U (zh) 一种沙发转动底盘
KR102537374B1 (ko)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KR200260625Y1 (ko) 의자용 등받이의 커버
JPH0130919Y2 (ko)
CN216454179U (zh) 一种可拆卸装饰椅脚
CN207012128U (zh) 一种改进安装结构的食物料理杯
CN209003268U (zh) 一种拆装式新型硬体酒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