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374B1 -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374B1
KR102537374B1 KR1020230020894A KR20230020894A KR102537374B1 KR 102537374 B1 KR102537374 B1 KR 102537374B1 KR 1020230020894 A KR1020230020894 A KR 1020230020894A KR 20230020894 A KR20230020894 A KR 20230020894A KR 102537374 B1 KR102537374 B1 KR 102537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frame
groove
couple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치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띠
Priority to KR102023002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3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는 좌판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방 수평받침부(102)가 형성되고, 후방 수평받침부(102) 좌우 양단 직하로 직각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며 일체로 후방 받침다리(104)가 형성된 후방 지주프레임(100)과;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의 후방 수평받침부(102) 중앙에서 전방측으로 직교되게 결합되는 전방 수평받침부(202)가 형성되고, 전방 수평받침부(202) 선단 직하로 직각 절곡되어 일체로 전방 받침다리(204)가 형성되며, 전방 받침다리 후측 수직일면에 고정끼움공(206)이 형성된 전방 지주프레임(200)과; 좌우 대칭형성되어 서로마주보는 상기 후방 받침다리(104)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안치결합부(302)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안치결합부(302) 상부면에는 반원상의 제1안치요홈(304)이 형성되고, 제1안치요홈(304) 후면 중앙에 후방외측으로 관통된 반원형상의 안치연결홈(306)이 형성되는 제1보강수평부(300)와;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의 안치결합부(302) 중앙에서 상기 고정끼움공(206)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반원상의 형상으로 제2안치요홈(404)이 형성되어 후방측으로 안치결합부(302)의 제1안치요홈(304) 중앙으로 연통되고, 전방측으로 상기 고정끼움공(206)과 동일축선상에 연통형성되는 제2보강수평부(400)와; 평면상에서 전후좌우 프레임(512,514,516,518)에 의해 "+" 형상으로 고정프레임(510)이 형성되고,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 전방(512) 및 좌우 프레임(516,518)이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의 제1안치요홈(304)과 제2보강수평부(400)의 제2안치요홈(404)에 대응되어 결합되며, "+"형상의 고정프레임(510) 후방 프레임(514)의 상측으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이 기립형성되는 등받이 연결부재(500)와;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상단에 등받이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장방형상의 등받이 결합브라켓(600)과;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과 전방 지주프레임(200) 상측에 결합되는 좌판(700)과; 상기 등받이 결합브라켓(600) 전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등받이(8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Chair back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의장의 등받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를 간편하게 조립 구성하여 조립시간의 단축과 생산성을 향상하고, 파손에 따른 등받이 교체 내지는 사용자 취향에 따른 다양한 재질이나 형태의 등받이 교체가 용이하며, 장소, 계절에 따라 등받이 교체를 통한 장식적 연출변화의 다양성이 있는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가정이나 사무실, 학교, 학원, 도서관, 각종 공공기관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책상이나 테이블과 함께 이용하거나, 의자 단독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의자는 4개의 다리가 있고, 4개의 다리위에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판이 결합되어 있으며, 좌판 후방으로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로 구성된다. 때에 따라서는 등받이가 없는 의자 형태도 있지만, 등받이의 유무에 따라 그 사용상 편의성은 현저한 차이가 있어 통상 등받이가 있는 의자가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의 등받이는 의자를 구성하는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하고 있다. 전통적인 목재 또는 철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목재와 목재를 짜맞춤 형식의 전통적 조립방식도 개시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못이나 볼트와 같은 결합피스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의자의 등받이만을 숙련된 기술 없이는 별도로 간편하게 바꿀 수 없다. 따라서, 특정 장소나 계절에 따라 전체적인 장식미를 달리하고 싶을 때에는 의자를 교체해야 하고, 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반변에 최근에 고분자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형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는 하나의 금형으로 하나의 의자를 찍어내는 형식으로 대량생산과 더불어 경제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고자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사출형 의자는 이미 그 형상이 정형화된 상태로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의자의 등받이만을 별도로 교체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의자의 제조과정에서 등받이나 좌판을 형성함에 있어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의자가 다수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체화된 의자와 같은 경우 의자의 형상 자체의 변경이 업렵다는 문제로 인해 새로운 디자인의 의자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새롭게 의자를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44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를 구성하고자 할 때, 메쉬부재의 직물지 천을 이용하여 좌우 양단에 끼움부재를 통해 등받이 프레임에 결합하는 형태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의자는 메쉬부재의 직물지를 편평하게 잡아당겨 끼움부재를 통해 등받이 프레임에 고정함에 있어 메쉬부재의 직물지가 주름지지 않도록 잡아당기기 위한 숙력된 기술이 필요하고, 조립과정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한 번 고정되면 별도의 장치가 없이는 이를 해체하여 조립하기가 상당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처음 상태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등받이의 메쉬부재 천이 오염되거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불필요한 비용을 지불하면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4428호, 등록일자 2020년 06월 12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의자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등받이와 좌판을 숙력된 기술 없이도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의자의 제조 과정에서 빠르게 생산이 가능함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고, 좌판과 등받이의 다양한 형상의 의자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좌판이나 등받이의 교체가 전문적인 기술 없이도 교체가 가능하여 계절이나 장소에 적합한 자신만의 의자를 조립하여 제조할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는 좌판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방 수평받침부(102)가 형성되고, 후방 수평받침부(102) 좌우 양단 직하로 직각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며 일체로 후방 받침다리(104)가 형성된 후방 지주프레임(100)과;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의 후방 수평받침부(102) 중앙에서 전방측으로 직교되게 결합되는 전방 수평받침부(202)가 형성되고, 전방 수평받침부(202) 선단 직하로 직각 절곡되어 일체로 전방 받침다리(204)가 형성되며, 전방 받침다리 후측 수직일면에 고정끼움공(206)이 형성된 전방 지주프레임(200)과; 좌우 대칭형성되어 서로마주보는 상기 후방 받침다리(104)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안치결합부(302)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안치결합부(302) 상부면에는 반원상의 제1안치요홈(304)이 형성되고, 제1안치요홈(304) 후면 중앙에 후방외측으로 관통된 반원형상의 안치연결홈(306)이 형성되는 제1보강수평부(300)와;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의 안치결합부(302) 중앙에서 상기 고정끼움공(206)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반원상의 형상으로 제2안치요홈(404)이 형성되어 후방측으로 안치결합부(302)의 제1안치요홈(304) 중앙으로 연통되고, 전방측으로 상기 고정끼움공(206)과 동일축선상에 연통형성되는 제2보강수평부(400)와; 평면상에서 전후좌우 프레임(512,514,516,518)에 의해 "+" 형상으로 고정프레임(510)이 형성되고,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 전방(512) 및 좌우 프레임(516,518)이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의 제1안치요홈(304)과 제2보강수평부(400)의 제2안치요홈(404)에 대응되어 결합되며, "+"형상의 고정프레임(510) 후방 프레임(514)의 상측으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이 기립형성되는 등받이 연결부재(500)와;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상단에 등받이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장방형상의 등받이 결합브라켓(600)과;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과 전방 지주프레임(200) 상측에 결합되는 좌판(700)과; 상기 등받이 결합브라켓(600) 전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등받이(8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외주연의 절반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결합요홈(902)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요홈(902) 내주연에 자석(910)이 매립형성되어 상기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외주연에 자력결합되며, 외부에는 목재질감 또는 장식문양이 형성된 탈부착 커버(9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404)은 반원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404)의 반원형상에 대응되어 절반이 안치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504)의 반원 형상에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단면상 하측 절반의 반원 형상이 안치결합된 후, 상측으로 노출되는 고정프레임(510)의 단면상 나머지 절반의 반원 형상에 상기 탈부착 커버(9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 상부면 중앙에서 좌우대칭되게 절개형성된 안치결합부(302) 상면에 형성된 제1안치요홈(304)의 좌우측 양단으로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고정프레임(510) 좌우 프레임(516,517) 선단이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308)이 더 형성되되, 좌우측 끼움홈(308) 중 어느 한 측의 끼움홈의 수평상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고정프레임(510)의 좌우측 끼움시 용이하게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의 상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보강받침프레임(522)이 절곡형성되어 하측의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의 후측과 함께 측면에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등받이(800)에 등을 기댄 상태에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에 전가되는 피로강도를 최소화하고, 탄성변형 후, 복원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판이 결합되는 전후 받침지주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에서 등받이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 연결부재의 간편한 결합만으로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를 구성할 수 있고, 한 번의 조립과정으로 등받이가 구성된 의자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의자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등받이와 좌판을 숙련된 기술 없이도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의자의 제조 과정에서 빠르게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좌판과 등받이 구성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형상의 의자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받이와 좌판을 사용자 취향에 따라 주문생산이 가능하여 다양한 장식미를 가진 의자를 소비자에게 제공이 가능하고, 사용 과정에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등받이와 좌판을 별도 구매하여 전혀 다른 장식미감을 표출할 수 있는 의자를 조립할 수 있어 계절이나 장소에 적합한 자신만의 의자를 주문 내지는 자신이 직접 조립할 수 있으며, 좌판이나 등받이의 파손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고, 이에 따른 의자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의 배면에서 분해 사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좌판의 결합되는 전후방 프레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좌판의 결합되는 전후방 프레임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연결부재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연결부재의 탄성작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가 없이 사용되는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의 배면에서 분해 사디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좌판의 결합되는 전후방 프레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좌판의 결합되는 전후방 프레임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연결부재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연결부재의 탄성작용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가 없이 사용되는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는 의자의 숙련된 기술 없이도 등받이와 좌판을 손쉽게 조립, 교체할 수 있어 의자의 제조생산 과정에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교체가 용이하여 소비자취향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의 제조가 용이함에 따른 주문생산도 가능하고, 새로운 제품으로의 변경이 등받이와 좌판을 교체하여 조립 생산함으로써, 하나의 의자 생산 라인에서 다양한 형태의 등받이와 좌판을 가진 제품을 생산 라인의 증설없이도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어 신규 디자인이 적용을 통한 제품런칭에 용이한 효과가 있고, 등받이나 좌판의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가 간편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지주프레임(100), 전방 지주프레임(200), 제1보강수평부(300), 제2보강수평부(400), 등받이 연결부재(500), 결합브라켓(600), 좌판(700), 등받이(8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후방 지주프레임(100), 전방 지주프레임(200), 제1보강수평부(300), 제2보강수평부(400)는 상호 결합되어 좌판(700)이 결합되는 부분이고, 등받이 연결부재(500), 결합브라켓(600)은 등받이(800)가 결합되어 좌판이 결합되는 부분과 등받이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은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측이 받침지지되도록 안정적으로 구성되게 형성된 것으로, 좌판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방 수평받침부(102)가 형성되고, 후방 수평받침부(102) 좌우 양단 직하로 직각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며 일체로 후방 받침다리(10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 수평받침부(102) 상측으로 좌판이 결합되면 사용자의 대부분의 체중이 엉덩이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엉덩이 부분을 받침하면서 무게를 분산하도록 후방 수평받침부 좌우 양단으로 후방 받침다리가 대칭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지주프레임(200)은 좌판 결합시, 바닥면에 후방 지주프레임(100) 만으로는 기립되도록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좌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사용자 체중이 전방측으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과 전방 지주프레임(200)이 결합되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ㅜ" 형태의 삼각배열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 지주프레임(200)은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의 후방 수평받침부(102) 중앙에서 전방측으로 직교되게 결합되는 전방 수평받침부(202)가 형성되고, 전방 수평받침부(202) 선단 직하로 직각 절곡되어 일체로 전방 받침다리(204)가 형성되며, 전방 받침다리 후측 수직일면에 고정끼움공(206)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지주프레임(200)의 수직상의 전방 받침다리(204) 후측 수직일면에 형성되는 고정끼움공(206)은 후술되는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고정프레임(510)의 전방 프레임(512) 선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등받이 측으로 등을 기대게 되면 고정프레임(510)의 좌우프레임(516,518)의 축선이 선회 중심점이 되어 전방 프레임(512)이 상향으로 선회할려는 작용을 제한하고, 등받이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고정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는 후술되는 고정프레임(510)의 좌우 프레임(516,518)이 안치결합되면서 등받이 연결부재를 받침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좌우 대칭형성되어 서로마주보는 상기 후방 받침다리(104)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안치결합부(302)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안치결합부(302) 상부면에는 반원상의 제1안치요홈(304)이 형성되고, 제1안치요홈(304) 후면 중앙에 후방외측으로 관통된 반원형상의 안치연결홈(306)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수평부(400)는 후술되는 고정프레임(510)의 전방 프레임(512)이 안치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의 안치결합부(302) 중앙에서 상기 고정끼움공(206)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반원상의 형상으로 제2안치요홈(404)이 형성되어 후방측으로 안치결합부(302)의 제1안치요홈(304) 중앙으로 연통되고, 전방측으로 상기 고정끼움공(206)과 동일축선상에 연통형성된다.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보강수평부(300)의 제1안치요홈(304)과 제2보강수평부(400)의 제2안치요홈(404)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후방 상측으로 등받이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전후좌우 프레임(512,514,516,518)에 의해 "+" 형상으로 고정프레임(510)이 형성되고,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 전방(512) 및 좌우 프레임(516,518)이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의 제1안치요홈(304)과 제2보강수평부(400)의 제2안치요홈(404)에 대응되어 결합되며, "+"형상의 고정프레임(510) 후방 프레임(514)의 상측으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이 기립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전방 프레임(512)는 제2보강수평부(400)의 제2안치요홈(404)에 대응되어 결합되되, 선단은 고정끼움공(206)에 끼움결합되어 후방프레임(514) 상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에 결합되는 등받이에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과정에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고정끼움공(206)에 끼움결합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512)과 동일선상으로 나열 형성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에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과정에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이 후방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사용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에 가해지는 하중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여 텐션작용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좌우 프레임(516,518)은 제1보강수평부(300)의 제1안치요홈(304)에 안치되어 결합되고, 제1안치요홈(304)의 중앙으로 상기 전방프레임과 동일선상의 후방프레임(514)가 제1안치요홈(304) 후방측으로 위치되도록 안치홈(부호생략)이 형성되어 평면상의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이 동일면상에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치요홈(304)에 안치결합되는 좌우프레임(516,518)은 제1안치요홈(304)의 좌우 양단으로 끼움홈(308)이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홈(308)은 좌우 프레임(516,518)의 선단이 끼움결합되도록 제1안치요홈(304)의 좌우측 양단에서 동일선상의 좌우측 외측방향으로 수평상으로 요입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좌우측 끼움홈(308) 중 어느 한 측의 끼움홈의 수평상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고정프레임(510)의 좌우측 끼움시 용이하게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좌우측중 어느 한 측의 수평상 깊이가 깊은 쪽으로 좌우 프레임(516,518) 중 어느 한 측을 결합하면 다른 한 측은 끼움홈(308)의 요입되는 초입부분에 선단이 위치되게 되고, 전방 프레임이 제2안치요홈에 안치되는 위치상으로 좌우 프레임(516,518)을 위치시키면서 반대편측 끼움홈(308)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이 때, 전방 프레임의 선단은 고정끼움공(206)에 끼움이 될 수 있는 상태의 위치상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하기 위해서는 전방프레임의 선단 일부가 고정끼움공(206)에 위치된 상태에 놓이고, 좌우 프레임 중 어느 한 측이 최대로 끼움홈상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야만 좌우 프레임중 다른 반대편측 선단이 끼움홈에 결합하면서 전방 및 좌우 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방 및 좌우 프레임을 제1,2안치요홈(304,404)에 안치결합한 상태 내지는 전방 프레임만이 고정끼움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안치요홈에 안치결합되고, 좌우프레임은 제1안치요홈에 안치결합된 상태 모두 이탈될 수 있는 염려가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수평부(300)와 제2보강수평부(400) 하부면에서 전방 및 좌우 프레임(512,516,518)으로 볼트체결하여 완전 고정한다.
한편, 후방프레임(514)은 후단에 직각절곡되어 상향기립되는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이 좌판과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으로 수평상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은 등받이(800)가 상단 전방측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 등을 받침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514)의 후방으로 직각절곡 내지는 직각 절곡에 가깝운 각도로 절곡되어 상향 기립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은 가급적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90도 각도에서 70도 각도 범위에서 절곡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70도 각도를 벗어나게 되면 등받이가 사용자 등을 기대는 각도에 있어 후방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인해 사용자가 착석상태에서 불안을 느낄 수 있고, 무게 중심이 등받이쪽으로 쏠려 의자 자체가 뒤로 넘어가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70도 각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상단에는 보강받침프레임(522)이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받침프레임(522)은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상단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형성하여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하측의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의 후방프레임(514)과 함께 측면에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측면 형상을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등받이(800)에 등을 기댄 상태에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에 전가되는 피로강도를 최소화하고, 탄성변형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가 정위치 복원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단일 샤프트로 구성되는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결합브라켓(600)은 등받이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상단에 등받이를 고정하도록 장방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 결합브라켓(60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받침프레임(522)이 형성되면 보강받침프레임(522) 선단에 형성되어 등받이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등받이가 결합되기 위해 장방형상으로 등받이 결합브라켓(600)을 형성하였으나 등받이의 형태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판(700)은 일반적인 의자에 필수 구성요소로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구성이며, 본 발명의 좌판(700)은 후방 지주프레임(100)의 후방 수평받침부(102) 하부면 좌우측에서 볼트 체결방식으로 좌판의 후방측을 고정하고, 전방 지주프레임(200)의 전방 수평받침부(202)의 하부면 전방에서 상측의 좌판으로 볼트체결방식으로 좌판 전방측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방식은 볼트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고, 볼트 노출이 상관없을 경우에는 보다 용이하게 좌판의 전방 중앙측과 좌판의 후방 좌우측에서 각각 하측으로 전방 수평받침부(202)와 후방 수평받침부(102)로 볼트체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볼트체결로 구성됨에 따라 좌판 역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좌판 손상시 교체를 통해 재사용이 용이하며, 사용수명 증대가 가능하다.
상기 등받이(8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브라켓(600)의 전면측에 등받이의 후면이 대응되고, 결합브라켓(600)의 후면으로부터 등받이 측으로 볼트체결하거나 등받이 전면측에서 결합브라켓측으로 볼트체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역시, 좌판(700)과 동일하게 다양한 형태의 등받이 채용이 가능하고, 등받이 파손이나 손상으로 인한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수명 증대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 조립구조의 등받이 연결부재(500)는 주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후방지주프레임(100)과 전방지주프레임(200), 제2보강수평부(300), 제2보강수평부(400)은 주로 목재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등받이 연결부재(500)가 타 구성과는 달리 금속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한 이유로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때 탄성작용이 목재보다는 금속이 좀더 유리하기 때문에 나머지 구성과는 상호 이질적인 재질로 구성되어 이를 커버하고, 장식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탈부착 커버(900)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커버(9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연결부재(500)가 노출된 부분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장식성이 부여된 목재재질에 결합요홈(902)을 구성하고, 결합요홈(902) 내부에 자석(910)을 결합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라 등받이 연결부재(500)가 노출되도록 구성하거나 커버하여 장식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 커버(9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외주연의 절반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결합요홈(902)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요홈(902) 내주연에 자석(910)이 매립형성되어 상기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외주연에 자력결합되며, 외부에는 목재질감 또는 장식문양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탈부착 커버(900)는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하여도 바람직하지만,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여 장식적 미감의 표출이 가능하고, 조립구성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하여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탈부착 커버(900)의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404)은 반원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404)의 반원형상에 대응되어 절반이 안치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이후, 탈부착 커버(900)를 상기와 같이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504)의 반원 형상에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단면상 하측 절반의 반원 형상이 안치결합된 후, 상측으로 노출되는 고정프레임(510)의 단면상 나머지 절반의 반원 형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는 후방지주프레임(100)과 전방지주프레임(200)이 일체로 구성되고, 후방지주프레임(100)의 좌우 대칭형성되는 후방 받침다리(104)와 전방지주프레임(200)의 전방 받침다리(204)를 이은 선이 삼각 구조로 위치되어 사용자가 좌판(700)에 착석시, 사용자 체중이 삼각 구조로 분산되어 안정적 착석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방지주프레임(100)의 후방 받침다리(104) 사이에 제1보강수평부(300)를 형성하고, 제1보강수평부(300) 중앙으로 전방 받침다리(204)와 일체로 구성되도록 제2보강수평부(400)가 결합됨에 따라 삼각 구조의 전방 및 후방 받침다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되도록 보강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와 제2보강수평부(400)가 결합된 형태는 전방 및 후방 받침다리의 삼각구조를 평면상에서 "ㅜ" 내지는 "T" 자 구조로 이어주어 전방 및 후방 받침다리의 안정적 받침 및 지지를 위한 보강을 하게 된다.
이에 후방지주프레임과 전방지주프레임 및 제1보강수평부와 제2보강수평부에 의해 좌판(7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좌판에 착석하는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의자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가 없는 형태의 의자로 상기 조립된 상태만으로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가 결합된 등받이 연결부재(500)를 전술한 후방지주프레임(100)과 전반지주프레임(200)에 좌판(700)이 결합된 의자의 제1보강수평부(300)와 제2보강수평부(400)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404)에 결합하여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결합만으로 전술한 등받이가 없는 상태의 의자에 손쉽게 등받이를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 취향에 따른 등받이의 교체 주문이 가능하고, 파손이나 손상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여 의자 사용수명 증대가 가능할 뿐 아니라 등받이가 없는 의자와 등받이가 있는 의자의 두가지 기능적 구성의 의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결합은 앞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의 전방 및 좌우프레임을 "ㅜ" 또는 "T" 형상으로 결합되는 제2보강수평부(400)와 제1보강수평부(300)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404)에 안치결합한 후, 볼트 고정을 통해 고정하고, 후방프레임은 등받이가 좌판과의 간섭없이 기능할 수 있도록 제1안이요홈(304) 중앙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후방 프레임의 후단측으로는 상측에 등받이가 결합된 텐션등받이 프레임이 상향 기립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등받이를 좌판과 함께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한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로 구성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체중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른 의자의 기울어짐 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등받이 연결부재의 고정프레임(510)을 구성하는 전방 및 후방, 좌우측 프레임의 구성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가 등받이에 등을 기댔을 때, 변화되는 무게중심에 대하여 버팀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안정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방 받침다리(204)에 구성되는 고정끼움공(206)에는 고정프레임(510)의 전방 프레임(512) 선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등을 텐션등받이 프레임 상측에 형성된 등받이에 기대어 사용자 체중의 중심이 후방이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프레임(510)이 전방프레임 선단과 고정끼움공의 결합을 통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작용의 고정점의 역할을 하게된다.
즉, 고정프레임과 텐션등받이 프레임과의 작용만 살펴보면 텐션등받이 프레임 상부가 무게에 의해 후방으로 선회되면 좌우 프레임(516,518)을 기준으로 전방 프레임(512)의 선단 역시 텐션등받이 프레임의 선회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상향 선회되게 들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텐션등받이 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은 좌우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호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전방프레임의 선단을 고정끼움공(206)의 결합함으로써,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에 의한 전방프레임의 상호작용에 의한 동시작동을 제한하게 되고,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의 선회작동되는 부분에 저항하게 되어 텐션등받이 프레임이 탄성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프레임(512)은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에 탄성작용을 위한 기준구성이 되고, 좌우프레임(516,518)은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의 탄성작용에 따라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도 텐션에 의해 빠르게 다시 복귀되는 일련의 선회작동에 따른 선회기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빠르게 복귀시켜 안정적 상태로 계속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의 텐션작용은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브라켓(600)에 등받이(8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510) 후단으로 일체 구성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0)의 전방프레임(512)과 동일 면상에 위치되어 보다 구조적 강도가 강화될 수 있다. 즉,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의 상단을 의자의 좌판측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보강받침프레임(522)을 형성함에 따라 측면에서 "ㄷ" 자 형태의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과정에서 등받이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한 버팀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좌판이 결합되는 프레임들의 구성과 등받이가 결합되는 프레임의 구성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좌판과 등받이가 개별 구성된 프레임을 하나로 결합이 전문 지식없이도 빠르고, 안정적으로 결합이 가능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른 의자의 장식적 미감 표출이 다른 제품의 생산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주문생산이 가능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효과가 있다.
나아가, 좌판이나 등받이의 파손으로 인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의자의 사용에 있어 보다 현실적으로 주변 환경과 어우러질 수 있는 장식미감의 표출도 가능하여 오래 사용하여도 항상 새로운 의자의 사용이 가능한 것과 같은 연출을 할 수 있다.
즉, 좌판과 등받이가 낡거나 파손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하거나 장식적 연출을 위해 교체가 필요할 경우 앞서 언급한 좌판과 등받이의 결합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해제하여 새로운 좌판이나 등받이를 다시 끼움결합하여 새로운 의자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취향이나 색상 등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 좌판등받이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색상과 모양의 의자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결합없이 사용시에는 간편하게 어느 방향에서나 착석이 가능한 등받이가 없는 의자로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등받이 연결부재(500)를 결합하여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로서의 2가지 형태의 의자로서 사용가능하고, 좌판과 등받이의 다양성에서는 보다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좌판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등받이가 결합되는 등받이 연결부재를 분리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좌판과 등받이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보다 좀 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좌판과 등받이 각각 개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 면에서 유리한 부분이 있다.
나아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등받이 프레임을 좌우대칭 형성하여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되게 구성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지부프레임을 좌우대칭구비하고, 제2보강수평부를 좌우대칭구비하여 좌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도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과 도 11의 형태를 모두 합친형태로 구성하여 좌판과 등받이를 안정적으로 받침지지하로고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00 : 후방 지주프레임 102 : 후방 수평받침부
104 : 후방 받침다리 200 : 전방 지주프레임
202 : 전방 수평받침부 204 : 전방 받침다리
206 : 고정끼움공 300 : 제1보강수평부
302 : 안치결합부 304 : 제1안치요홈
306 : 안치연결홈 308 : 끼움홈
400 : 제2보강수평부 404 : 제2안치요홈
500 : 등받이 연결부재 510 : 고정프레임
512 : 전방프레임 514 : 후방프레임
516 : 좌측프레임 518 : 우측프레임
520 : 텐션등받이 프레임 522 : 보강받침프레임
600 : 결합브라켓 700 : 좌판
800 : 등받이 900 : 탈부착 커버
902 : 결합요홈 910 : 자석

Claims (5)

  1. 좌판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후방 수평받침부(102)가 형성되고, 후방 수평받침부(102) 좌우 양단 직하로 직각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며 일체로 후방 받침다리(104)가 형성된 후방 지주프레임(100)과;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의 후방 수평받침부(102) 중앙에서 전방측으로 직교되게 결합되는 전방 수평받침부(202)가 형성되고, 전방 수평받침부(202) 선단 직하로 직각 절곡되어 일체로 전방 받침다리(204)가 형성되며, 전방 받침다리 후측 수직일면에 고정끼움공(206)이 형성된 전방 지주프레임(200)과;
    좌우 대칭형성되어 서로마주보는 상기 후방 받침다리(104)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안치결합부(302)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안치결합부(302) 상부면에는 반원상의 제1안치요홈(304)이 형성되고, 제1안치요홈(304) 후면 중앙에 후방외측으로 관통된 반원형상의 안치연결홈(306)이 형성되는 제1보강수평부(300)와;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의 안치결합부(302) 중앙에서 상기 고정끼움공(206) 사이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반원상의 형상으로 제2안치요홈(404)이 형성되어 후방측으로 안치결합부(302)의 제1안치요홈(304) 중앙으로 연통되고, 전방측으로 상기 고정끼움공(206)과 동일축선상에 연통형성되는 제2보강수평부(400)와;
    평면상에서 전후좌우 프레임(512,514,516,518)에 의해 "+" 형상으로 고정프레임(510)이 형성되고,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 전방(512) 및 좌우 프레임(516,518)이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의 제1안치요홈(304)과 제2보강수평부(400)의 제2안치요홈(404)에 대응되어 결합되며, "+"형상의 고정프레임(510) 후방 프레임(514)의 상측으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이 기립형성되는 등받이 연결부재(500)와;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상단에 등받이를 고정하도록 마련된 장방형상의 등받이 결합브라켓(600)과;
    상기 후방 지주프레임(100)과 전방 지주프레임(200) 상측에 결합되는 좌판(700)과;
    상기 등받이 결합브라켓(600) 전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등받이(800);로 형성되는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외주연의 절반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결합요홈(902)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요홈(902) 내주연에 자석(910)이 매립형성되어 상기 텐션등받이 프레임(520) 외주연에 자력결합되며, 외부에는 목재질감 또는 장식문양이 형성된 탈부착 커버(9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404)은 반원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404)의 반원형상에 대응되어 절반이 안치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안치요홈(304)과 제2안치요홈(504)의 반원 형상에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단면상 하측 절반의 반원 형상이 안치결합된 후, 상측으로 노출되는 고정프레임(510)의 단면상 나머지 절반의 반원 형상에 상기 탈부착 커버(9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수평부(300) 상부면 중앙에서 좌우대칭되게 절개형성된 안치결합부(302) 상면에 형성된 제1안치요홈(304)의 좌우측 양단으로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고정프레임(510) 좌우 프레임(516,517) 선단이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308)이 더 형성되되,
    좌우측 끼움홈(308) 중 어느 한 측의 끼움홈의 수평상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고정프레임(510)의 좌우측 끼움시 용이하게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500)의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의 상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보강받침프레임(522)이 절곡형성되어 하측의 "+" 형상의 고정프레임(510)의 후측과 함께 측면에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등받이(800)에 등을 기댄 상태에서 텐션등받이 프레임(520)에 전가되는 피로강도를 최소화하고, 탄성변형 후, 복원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KR1020230020894A 2023-02-16 2023-02-16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KR102537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894A KR102537374B1 (ko) 2023-02-16 2023-02-16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894A KR102537374B1 (ko) 2023-02-16 2023-02-16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374B1 true KR102537374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894A KR102537374B1 (ko) 2023-02-16 2023-02-16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3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352U (ja) * 1992-01-15 1993-12-03 一郎 山下 三脚椅子
KR950002850U (ko) * 1993-07-20 1995-02-16 손택수 하트형 좌판의 삼각다리 의자
KR0140441Y1 (ko) * 1996-11-21 1999-04-01 정해창 의자
KR200382308Y1 (ko) * 2005-02-01 2005-04-18 이태봉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20080006344U (ko) * 2007-06-14 2008-12-18 신동천 각도조절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102124428B1 (ko) 2018-09-28 2020-06-18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용 등받이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352U (ja) * 1992-01-15 1993-12-03 一郎 山下 三脚椅子
KR950002850U (ko) * 1993-07-20 1995-02-16 손택수 하트형 좌판의 삼각다리 의자
KR0140441Y1 (ko) * 1996-11-21 1999-04-01 정해창 의자
KR200382308Y1 (ko) * 2005-02-01 2005-04-18 이태봉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20080006344U (ko) * 2007-06-14 2008-12-18 신동천 각도조절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102124428B1 (ko) 2018-09-28 2020-06-18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용 등받이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408B2 (en) Article of rattan furniture having a seat support cushion
US4123105A (en) Chair construction
US6305750B1 (en) Clamshell backrest components
US20120242200A1 (en) Modular Interior Design System
US4828320A (en) Chair frame and cushion assembly
US3578385A (en) Demountable sofa or chair construction
US6439656B1 (en) Folding chair convertible to rocking chair
US20160242550A1 (en) Chair Assembly
KR102537374B1 (ko)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CN104287500A (zh) 用于椅子的靠背的内部支撑
KR102383272B1 (ko) 부분 교체 가능한 복합 의자
KR102437017B1 (ko) 의자의 등받이 조립구조
KR200427977Y1 (ko) 조립식 의자
KR102172990B1 (ko) 좌판과 등받이 구조를 개선한 의자
JP6823284B2 (ja) 椅子
KR20100043589A (ko) 넉다운 의자
KR101044573B1 (ko) 관람석 의자의 측면프레임
US11944208B2 (en) Chair and method of making the chair
KR200260625Y1 (ko) 의자용 등받이의 커버
JP6865016B2 (ja) 椅子
KR200295402Y1 (ko) 의자 등받이의 조립 구조
KR20190023739A (ko) 조립형 스툴
US2579795A (en) Theater chair
CN217337946U (zh) 一种拆装式沙发椅
KR100634332B1 (ko) 탈부착 다리를 갖는 소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