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276Y1 - 전자식 안정기 - Google Patents

전자식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276Y1
KR200360276Y1 KR20-2004-0015621U KR20040015621U KR200360276Y1 KR 200360276 Y1 KR200360276 Y1 KR 200360276Y1 KR 20040015621 U KR20040015621 U KR 20040015621U KR 200360276 Y1 KR200360276 Y1 KR 200360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wm signal
frequency
fluorescent lamp
power
pw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철수
Original Assignee
문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철수 filed Critical 문철수
Priority to KR20-2004-0015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05B41/04Starting switches
    • H05B41/042Starting switch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044Starting switch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for lamp provided with pre-hea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7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ulse width modula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전자식 안정기에 주파수 제어 기능을 추가하여 예열 구간동안 고정된 주파수의 PWM 신호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충분히 예열하고, 예열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PWM 신호의 주파수를 급격하게 감소시키면서 형광램프를 점등시키며, 형광램프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PWM 신호의 발생을 정지시켜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초기에 PWM용 집적소자가 초기 주파수 설정용 저항으로 설정된 주파수의 PWM 신호를 발생하고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됨에 따라 주파수가 낮아지는 PWM 신호를 발생하는 PWM 신호 발생부와, PWM 신호 발생부에 초기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부와, PWM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인버터부와, 인버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예열 및 점화시키고 점등시키는 공진부와, 형광램프로 흐르는 전류로 전원을 발생하여 PWM 신호 발생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공급부와, 초기에 미리 설정된 시정수 시간동안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되지 않도록 하여 PWM 신호 발생부가 고정주파수로 PWM 신호를 발생하게 하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되면서 주파수가 감소되는 PWM 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예열시간 설정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식 안정기{Electronic Ballast}
본 고안은 하프-브리지 인버터 전용의 PWM(Pulse Width Modulation)용 집적소자를 사용하여 형광램프를 점등시키는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 정격을 가지는 형광램프의 점화 특성 차이에 무관하게 적절한 고정주파수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충분히 예열한 후, 짧은 시간동안 스위칭주파수 이하로 변화시켜 형광램프들의 점화특성의 차이로 인한 사용수명의 단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안정기는 상용 교류전원으로 소정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형광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식 안정기는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여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예열하고, 점화 및 점등을 지속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형광램프의 필라멘트의 예열은 형광램프가 방전될 경우에 흑화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형광램프의 점등을 지속시키는 과정은 형광램프의 밝기를 조절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상기한 전자식 안정기들 중에서 하프-브리지 인버터 전용의 PWM용 집적소자를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식 안정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식 안정기는 발진하여 PWM 신호를 발생하는 PWM용 집적소자(101), 저항(R1) 및 콘덴서(C1, C2)로 이루어진 PWM 신호 발생부(100)와, 메인전원(VDD)이 공급되는 초기에 상기 PWM 신호 발생부(1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저항(R2, R3) 및 콘덴서(C3, C4)로 된 제 1 전원 공급부(110)와, 상기 PWM 신호발생부(100)가 발생하는 PWM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콘덴서(C5), 저항(R4, R5), 트랜스(T1) 및 트랜지스터(Q1, Q2)로 된 인버터부(120)와, 상기 인버터부(120)의 출력신호에 따라 공진되는 형광램프(131), 콘덴서(C5) 및 트랜스(T2)의 일차코일(T21)로 이루어지는 공진부(130)와, 상기 트랜스(T2)의 일차코일(T21)의 양단전압으로 상기 PWM 신호 발생부(100)에 안정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스(T2)의 이차코일(T22), 다이오드(D1). 콘덴서(C7), 저항(R6)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로 된 제 2 전원 공급부(140)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식 안정기는 전원 스위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온하여 메인전원(VDD)이 공급되면, 그 공급된 메인전원(VDD)은 제 1 전원공급부(110)의 저항(R2)(R3)을 통해 콘덴서(C4)에 충전되면서 PWM 신호 발생부(100)의 PWM용 집적소자(101)에 동작전원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덴서(C4)에 충전된 전압이 PWM용 집적소자(101)의 동작 전압 이상으로 상승하면 PWM용 집적소자(101)가 동작을 시작하여 소정 주파수의 PWM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PWM 신호에 따라 인버터부(120)의 트랜지스터(Q1, Q2)가 교대로 동작하면서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발생한 구동신호에 따라 공진부(130)가 공진되면서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를 예열, 점화 및 점등을 지속시키게 된다.
즉, PWM용 집적소자(101)가 동작하는 초기에는 PWM 집적소자(101)가 3번 단자에 연결된 저항(R1)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75㎑의 주파수로 PWM 신호를 발생하여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의 예열을 시작하고, PWM용 집적소자(131)의 2번 단자에 연결된 콘덴서(C2)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 스위칭 주파수까지 PWM용 집적소자(131)의 1번 단자에 연결된 콘덴서(C1)에 따른 시정수의 시간(0∼T2 이후)으로 PWM 신호의 주파수가 선형적으로 서서히 감소하면서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를 계속 예열하며, 형광램프(131)의 점화 특성에 맞는 주파수에서 형광램프(131)가 점등되게 된다.
여기서, 형광램프(131)가 점등되기 이전에는 PWM 신호의 주파수와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로 흐르는 점화전류는 반비례의 관계가 있다.
즉, 종래의 전자식 안정기는 전원 스위치를 온하는 초기에 약 75㎑의 PWM 신호로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의 예열을 시작하고, 형광램프(131)가 점화되기 시작되는 제 1 주파수(f1)까지 주어진 예열시간(0∼t11)동안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를 계속 예열한 후 점화구간 주파수 대역인 제 1 주파수(f1)에서 제 2 주파수(f2)까지 주어진 시간(t1∼t2)내에 형광램프(131)의 점등이 이루어지며, 형광램프(131)의 점등이 이루어진 후에는 형광램프(131)의 점화 특성에 맞는 주파수에서 형광램프(131)의 점등을 지속시키게 된다.
그러나 동일한 정격을 가지는 형광램프들도 제조회사별 특성의 차이(예를 들면, 방전개시전류 등) 및 생산 롯(lot)별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특성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점화 전류가 낮은 형광램프 즉, 높은 주파수에서 점등이 이루어지는 형광램프는 점화 시간이 짧아 램프에 과다한 전류가 유입되지 않아도 점등되므로 사용수명이 보장되나, 점화전류가 높은 형광램프 즉, 낮은 주파수에서 점등되는 형광램프(131)에 대해서는 필라멘트를 예열하기 위한 전류가 너무 과다하게 유입되어형광램프(131)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프-브리지 인버터 전용의 PWM용 집적소자를 이용하는 전자식 안정기에 주파수 제어 기능을 추가하여 예열 구간동안 고정된 주파수의 PWM 신호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충분히 예열하고, 예열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PWM 신호의 주파수를 급격하게 감소시키면서 형광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동일 정격을 가지는 형광램프들의 특성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형광램프를 안정하게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안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형광램프의 불량 또는 형광램프의 사용수명이 말기에 도달하여 과전류가 흐르거나 또는 3상 4선식의 380V 등과 같이 정격전압보다 높은 레벨의 전원이 전자식 안정기에 인가되어 형광램프로 과전압 및 과전류가 공급될 경우에 PWM 신호의 발생을 정지시켜 손상되지 않는 전자식 안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전자식 안정기는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예열하는 예열 구간동안은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예열하기 위한 PWM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주파수로 고정시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충분히 예열할 수 있도록 하고, 점화 구간동안 PWM 신호의 주파수를 급격하게 감소시켜 형광램프를 점등시킨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전자식 안정기는, 메인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PWM용 집적소자가 초기 주파수 설정용 저항으로 설정되는 주파수의 PWM 신호를 발생하고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됨에 따라 점차 주파수가 낮아지는 PWM 신호를 발생하는 PWM 신호 발생부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에 초기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부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PWM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공진되면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예열 및 점화시키고 점등을 지속시키는 공진부와, 상기 형광램프가 점등될 경우에 그 형광램프로 흐르는 전류로 전원을 발생하여 상기 PWM 신호 발생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공급부와, 메인전원이 공급되는 인가되는 초기에 미리 설정된 시정수 시간동안 상기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PWM 신호 발생부가 고정주파수로 PWM 신호를 발생하게 하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되면서 주파수가 감소되는 PWM 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예열시간 설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열시간 설정부는,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의 출력단자에 콘덴서 및 저항이 직렬 연결되고, 그 콘덴서 및 저항의 접속점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상기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 및 PWM용 집적소자의 전원단자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형광램프로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레벨 검출부와, 상기 레벨 검출부가 과전류 또는 과전압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PWM용 집적소자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작 안정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 검출부는,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의 출력단자와, 상기 형광램프로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따른 전원을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에 제공하는 트랜스의 일차코일의 사이에 2개의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그 2개의 저항의 접속점에서 상기 형광램프로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따른 레벨의 검출신호가 출력되게 구성되고, 상기 동작 안정화부는, 상기 레벨 검출부가 과전류 또는 과전압을 검출할 경우에 도통상태로 되는 정전압 다이오드와,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가 도통상태로 될 경우에 트리거되어 상기 PWM용 집적소자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차단시키는 다이리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안정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2는 도 1의 PWM용 집적소자에서 발생하는 PWM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3은 본 고안의 전자식 안정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자식 안정기에 따라 PWM용 집적소자가 발생하는 PWM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PWM 신호 발생부 101 : PWM용 집적소자
110 : 제 1 전원 공급부 120 : 인버터부
130 : 공진부 131 : 형광램프
140 : 제 2 전원 공급부 200 : 예열시간 설정부
210 : 레벨 검출부 220 : 동작 안정화부
Q10 : 트랜지스터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자식 안정기를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자식 안정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하여 PWM 신호를 발생하는 PWM 신호 발생부(100)와, 메인전원(VDD)이 공급되는 초기에 상기 PWM 신호 발생부(1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부(110)와, 상기 PWM 신호 발생부(100)가 발생하는 PWM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인버터부(120)와, 상기 인버터부(120)의 출력신호에 따라 공진되면서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를 예열 및 점화시키고 점등을 지속시키는 공진부(130)와, 상기 형광램프(131)가 점등될 경우에 그 형광램프(131)로 흐르는 전류로 전원을 발생하여 상기 PWM 신호 발생부(1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공급부(140)로 이루어지는 전자식 안정기에 있어서, 메인전원(VDD)이 인가되는 초기에 미리 설정된 시정수 시간동안 상기 PWM 신호 발생부(100)가 PWM 신호를 일정한 고정주파수로 발생하게 하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스위칭 주파수(f2) 이하로 급격히 감소되는 PWM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예열시간 설정부(200)와, 상기 형광램프(131)가 점등될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140)가 발생하는 동작전원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부(210)와, 상기 레벨 검출부(210)가 검출하는 동작전원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일 경우에 상기 PWM 신호 발생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작 안정화부(220)로 구성하였다.
상기 예열시간 설정부(200)는, 상기 PWM 신호 발생부(100)의 PWM용 집적소자(101)의 전원단자(8번 단자)에 콘덴서(C10) 및 저항(R10)이 직렬 연결되고, 그 콘덴서(C10) 및 저항(R10)의 접속점이 트랜지스터(Q10)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0)의 드레인이 PWM용 집적소자(101)의 발진 주파수 가변단자(1번 단자) 및 콘덴서(C1)에 접속된다.
상기 레벨 검출부(210)는,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140)의 출력단자와 상기 형광램프(131)가 점등될 경우에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140)에 전원을 제공하는 트랜스(T2)의 일차코일(T21)의 일측단자의 사이에 저항(R11, R12)이 직렬 연결되어 저항(R11, R12)의 접속점에서 레벨 검출신호가 출력되게 하였다.
상기 동작 안정화부(220)는, 상기 레벨 검출부(210)의 출력단자가 저항(R14), 콘덴서(C11)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0)의 캐소드에 접속되고, 정전압 다이오드(ZD10)의 애노드가 저항(R13) 및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다이리스터(SCR)의 애노드가 상기 PWM용 집적소자(101)의 전원입력단자(8번 단자)에 접속되며, 다이리스터(SCR)의 캐소드는 접지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자식 안정기는 전원 스위치를 온하여 메인전원(VDD)이 공급되면, 그 공급된 메인전원(VDD)은 제 1 전원공급부(110)의 저항(R2)(R3)을 통해 콘덴서(C4)에 충전되고, 콘덴서(C4)에 충전된 전압이 PWM용 집적소자(101)의 동작 전압 이상으로 상승하면 PWM용 집적소자(101)가 동작을 시작하여 소정 주파수의 PWM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PWM용 집적소자(101)는 동작 초기에 저항(R1)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 주파수로 발진하여 PWM 신호를 발생하고, 콘덴서(C1)에 전원이 충전됨에 따라 발생하는 PWM 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PWM용 집적소자(101)가 발생한 PWM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인버터부(120)의 트랜지스터(Q1, Q2)가 교대로 동작하면서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구동신호에 따라 공진부(130)가 공진되면서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를 예열, 점화 및 점등을 지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메인전원(VDD)이 저항(R2),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 및 저항(R3)을 통해 예열시간 설정부(200)의 콘덴서(C10)에 충전되기 시작하고, 콘덴서(C10)에 소정의 전압 이상이 충전되기 이전에는 저항(R10)의 양단에는 트랜지스터(Q10)의 바이어스 전압 이상이 걸리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0)가 도통상태로 되고, PWM용 집적소자(101)의 1번 단자가 트랜지스터(Q10)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어 콘덴서(C1)에는 전원이 충전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PWM 집적소자(101)는 콘덴서(C10) 및 저항(R10)으로 설정된 소정의 시정수 시간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의 예열시간(0∼t11)동안 저항(R1)으로 설정되는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f1)보다 약간 높은 약 63㎑의 주파수를 가지는 PWM 신호를 계속 발생하면서 형광램프(131)의 필라멘트를 예열하게 된다.
여기서, PWM 집적소자(101)가 발생하는 PWM 신호의 주파수인 약 63㎑는 저항(R1)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덴서(C10) 및 저항(R10)으로 설정된 소정의 시정수 시간이 경과되어 콘덴서(C10)에 소정 레벨 이상의 전원이 충전되면, 저항(R10)의 양단 전압이 트랜지스터(Q10)의 바이어스 전압 이하로 된다. 그러면, 상기와는 반대로 트랜지스터(Q10)가 차단상태로 되므로 콘덴서(C1)에 전원이 충전되기 시작하고, 이로 인하여 PWM 집적소자(101)가 발생하는 PWM 신호의 주파수는 콘덴서(C1)에 충전되는 전원의 레벨에 따라 낮아지게 된다.
여기서, 콘덴서(C1)의 용량을 낮게 설정하면, 콘덴서(C1)에 전원이 빠른 속도로 충전되고, 이로 인하여 PWM 집적소자(101)가 발생하는 PWM 신호의 주파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램프(131)의 점화 구간(t11∼t12)동안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예열 구간동안 필라멘트가 충분히 예열된 형광램프(131)가 점화된다.
그리고 상기 콘덴서(C1)의 충전이 완료된 시간(t12) 이후에는 PWM 집적소자(101)가 스위칭 주파수(f2)보다 낮은 주파수의 PWM 신호를 발생하고, 형광램프(131)는 안정하게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레벨 검출부(210)는 상기 형광램프(131)가 점등될 경우에 그형광램프(130)로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전원을 발생하여 상기 PWM 집적소자(101)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발생부(140)의 출력단자와, 형광램프(130)로 흐르는 전류에 따른 전원을 제 2 전원 발생부(140)에 제공하는 트랜스(T2)의 일차코일(T21) 사이의 전압을 저항(R11, R12)으로 분할하여 동작 안정화부(22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형광램프(131)가 정상으로 형광램프(131)로 정격 전류 및 정격 전압이 공급될 경우에는 저항(R11, R12)의 접속점의 전압 레벨이 동작 안정화부(220)의 정전압 다이오드(ZD10)의 정전압보다 낮게 되도록 저항(R11, R12)의 값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0)의 정전압을 설정한다.
그러면, 형광램프(131)로 정격 전류 및 정격전압이 공급될 경우에 레벨 검출부(2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전압 다이오드(ZD10)의 정전압보다 낮으므로 정전압 다이오드(ZD10)가 도통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다이리스터(SCR)가 계속 차단상태를 유지하면서 PWM 집적소자(101)에는 계속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정상 동작하고, 형광램프(131)는 계속 안정된 점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형광램프(131)의 불량 또는 형광램프(131)의 사용수명이 말기에 도달하여 과전류가 흐르거나 3상 4선식의 380V 등과 같이 정격전압보다 높은 레벨의 전원이 전자식 안정기에 인가되어 형광램프(131)로 과전류 및 과전압이 공급될 경우에 레벨 검출부(2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전압 다이오드(ZD10)의 정전압보다 높게 되므로 정전압 다이오드(ZD10)가 도통된다.
그러면, 다이리스터(SCR)가 트리거되어 도통상태로 되고, PWM 집적소자(101)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이 다이리스터(SCR)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PWM 집적소자(101)에는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PWM 신호를 발생하지 못하게 되고, 형광램프(131)가 소등되면서 전자식 안정기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PWM용 집적소자를 이용하는 전자식 안정기에서 전원을 온하는 초기에 소정의 고정 주파수의 PWM 신호를 발생하여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충분히 예열하고, 필라멘트의 예열이 완료될 경우에 PWM 신호를 급격하게 감소시키면서 형광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동일 정격의 형광램프라 하더라도 메이커 및 롯(lot)별 차이로 인한 형광램프의 점등조건의 분포에 관계없이 형광램프 수명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식 안정기에 3상 4선식의 380V 등과 같은 과전압이 공급되거나 또는 형광램프의 불량 등이 발생하여 형광램프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전자식 안정기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과전압 및 과전류로 인한 전자식 안정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메인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PWM용 집적소자가 초기 주파수 설정용 저항으로 설정되는 주파수의 PWM 신호를 발생하고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됨에 따라 점차 주파수가 낮아지는 PWM 신호를 발생하는 PWM 신호 발생부;
    상기 PWM 신호 발생부에 초기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공급부;
    상기 PWM 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PWM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공진되면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예열 및 점화시키고 점등을 지속시키는 공진부;
    상기 형광램프가 점등될 경우에 그 형광램프로 흐르는 전류로 전원을 발생하여 상기 PWM 신호 발생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공급부; 및
    메인전원이 공급되는 인가되는 초기에 미리 설정된 시정수 시간동안 상기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PWM 신호 발생부가 고정주파수로 PWM 신호를 발생하게 하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상기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에 전원이 충전되면서 주파수가 감소되는 PWM 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예열시간 설정부로 구성된 전자식 안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시간 설정부는;
    상기 제 1 전원 공급부의 출력단자에 콘덴서 및 저항이 직렬 연결되고, 그 콘덴서 및 저항의 접속점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상기 주파수 조절용 콘덴서 및 PWM용 집적소자의 전원단자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램프로 과전류 또는 과전압이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레벨 검출부; 및
    상기 레벨 검출부가 과전류 또는 과전압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PWM용 집적소자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작 안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부는;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의 출력단자와, 상기 형광램프로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따른 전원을 상기 제 2 전원 공급부에 제공하는 트랜스의 일차코일의 사이에 2개의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그 2개의 저항의 접속점에서 상기 형광램프로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따른 레벨의 검출신호가 출력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안정화부는;
    상기 레벨 검출부가 과전류 또는 과전압을 검출할 경우에 도통상태로 되는 정전압 다이오드; 및
    상기 정전압 다이오드가 도통상태로 될 경우에 트리거되어 상기 PWM용 집적소자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차단시키는 다이리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KR20-2004-0015621U 2004-06-04 2004-06-04 전자식 안정기 KR200360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621U KR200360276Y1 (ko) 2004-06-04 2004-06-04 전자식 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621U KR200360276Y1 (ko) 2004-06-04 2004-06-04 전자식 안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276Y1 true KR200360276Y1 (ko) 2004-08-25

Family

ID=4943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621U KR200360276Y1 (ko) 2004-06-04 2004-06-04 전자식 안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170B1 (ko) * 2006-03-27 2012-08-22 주식회사 만도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의 과전류 방지 처리 방법 및그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170B1 (ko) * 2006-03-27 2012-08-22 주식회사 만도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의 과전류 방지 처리 방법 및그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5284A (en) Ballast containing circuit for measuring increase in DC voltage component
CA2062126C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US5262699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US7436124B2 (en) Voltage fed inverter for fluorescent lamps
US5142202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US5138235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JP4002791B2 (ja) 自励発振ランプ安定器ホット再点弧保護回路
JP4513152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360276Y1 (ko) 전자식 안정기
US8310160B1 (en) Anti-arcing circuit for current-fed parallel resonant inverter
JP2011520224A (ja) 電圧給電型プログラム始動式安定器
KR20040012597A (ko)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방법
JPH1055891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JPH0765970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404267B1 (ko) 정전류 예열형 전자식 안정기
JP4069687B2 (ja) 放電灯点灯装置
RU2403690C2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JP2002352990A (ja) 放電灯点灯装置
EP1122986B1 (en) An electronic ballast for a fluorescent lamp
KR200184782Y1 (ko) 형광등 점등회로
JP4099696B2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H01500628A (ja) 有極蛍光管の給電システム
KR200366017Y1 (ko) 전자식 안정기
KR100320236B1 (ko) 고효율 전자식 안정기
JPH09308259A (ja) 電源装置、放電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