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43Y1 -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43Y1
KR200360143Y1 KR20-2004-0014967U KR20040014967U KR200360143Y1 KR 200360143 Y1 KR200360143 Y1 KR 200360143Y1 KR 20040014967 U KR20040014967 U KR 20040014967U KR 200360143 Y1 KR200360143 Y1 KR 200360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ectrode
air cleaner
indoor ligh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직
조남훈
Original Assignee
태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4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등과 공기청정기를 일체형으로 설치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등의 점등 선택을 위한 실내등 스위치(1)와, 공기청정기만 독립적으로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공기청정치 스위치(2)와, 실내등 스위치(1)에 의해 램프점등과 아울러 공기청정기 작동을 함께 제어하고, 공기청정기 스위치(2)에 의해서는 공기청정기만 작동시키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램프점등 및 공기청정기 작동을 위한 전자 회로부가 함께 설치되는 실내등 본체(10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내의 공기청정기 제어 회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고압 플라즈마 방식에 의해 공기 청정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팬없이 공기 흐름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 공기청정기(20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 외장형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양측부에 돌출 형성한 힌지봉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풍향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정수단(3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One body type indoor lamp and Air cleaner without a fan}
본 고안은 실내등과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풍팬이 없는 공기청정기를 실내등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설치하고 공기청정기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설치된 팬을 통해서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등을 통해 이물질 및 냄새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필터링/탈취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공기청정기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팬과,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집진시켜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와, 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등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필터를 통과하여 공지중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함으로서 공기정화의 효과가 미흡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필터 대신에 또는 필터와 병합하여 흡입된 공기를 집진전극체 사이를 통과시켜 고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살균처리하는 공기 청정기가 알려져 있다. 이는 음전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뾰족한 침편들이 형성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고전압 플라즈마에 의해 공기를 살균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들은, 송풍팬이 구비되어 있어서 공기를 강제 흡입한후 필터링 및 살균 처리하여 배출구로 송풍시키는 구성으로서 팬이 장착된 구성이다.
따라서, 팬과 필터 등이 포함되는 공기청정기는 그 사이즈가 크고, 제조원가가 비싸져서 소형의 저가격 공기청정기로서 제공하기 어렵고, 사이즈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관계로 실내등과 연관하여 설치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실내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점유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좁은 공간에서는 사용이 불편하고, 공기 흡입과 배출 경로가 필요하기 때문에 풍향을 임으로 조정하기 어려운점 등이 있으며, 팬사용으로 인해 전력소비 및 소음 문제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청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팬없는 공기청정기를 실내등과 일체형으로 설치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효과적으로 하고, 무소음, 저전력 소비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실내등 일체형 팬 없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등과 일체형으로 설치하되, 공기청정기를 외장형으로 설치하여 풍향의 방향 및 각도를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실내등 일체형 팬없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실내등 내에 공기청정기를 내장하고 공기청정기의 풍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내에 음이온 방출 수단을 더 설치하여 음이온 발생 공기청정기를 실내등 일체형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등 일체형 팬없는 공기청정기의 고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무팬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무팬 공기 청정기의 고전압발생 회로부의 구성도.
도 5a -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 청정기와 실내등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등 스위치 2 : 공기청정기 스위치
100 : 실내등 본체 110 : 안정기 회로부
120 : 램프 130 : 전원 스위칭 제어부
140 : 고전압 발생회로부 150 : 음이온 발생기
141 : 직류 변환부 142 : 고전압 발진부
143 - 146 : 고전압 승압부 20 : 제1전극
21 : 제1전극의 개구부 22 : 침편
30 : 제2전극 31 : 제2전극의 통공
40 : 제1전극 지지부 41 : 지지부의 개구부
50 : 제2전극 지지부 51 : 지지부의 통공
60 : 제1케이스 61, 71 : 통기공
70 : 제2케이스 80 : 음이온 방사핀
81 : 분리판 82 : 지지판
82a : 음이온 방사 구멍 90 : 음이온 발생기
401 : 공기청정기 설치부 403, 406 : 전극지지부
405, 409 : 제1, 제2전극 410 : 케이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등 스위치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램프를 점등시켜 조명하기 위한 실내등과;
상기 실내등 스위치를 통해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으로 발생시켜 집진전극에 의해 고전압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시킴과 아울러 팬없이 공기 순환이 이루어져 송풍되는 공기청정기와;
상기 실내등의 본체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부재와,
그 한쌍의 고정부재 사이에 상기 공기청정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그 지지수단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동지지부와,
상기 공기 청정기의 양측부를 상기 2개의 지지대에 결합시켜 공기청정기의 방향을 임의로 회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실내등 스위치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램프를 점등시켜 조명하기 위한 실내등과;
상기 실내등 스위치를 통해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으로 발생시켜 집진전극에 의해 고전압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시킴과 아울러 팬없이 공기 순환이 이루어져 송풍되는 공기청정기와;
상기 실내등의 고정 브라켓을 하향으로 "ㄴ"형으로 절곡하고, 그 절곡부위에 천정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 사이즈의 개구부를 형성하며,
그 개구부의 하부에 상기 공기청정기를 방향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회동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실내등 일체형 팬이 없는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등의 점등 선택을 위한 실내등 스위치(1)와,
공기청정기만 독립적으로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공기청정치 스위치(2)와,
실내등 스위치(1)에 의해 램프점등과 아울러 공기청정기 작동을 함께 제어하고, 공기청정기 스위치(2)에 의해서는 공기청정기만 작동시키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램프점등 및 공기청정기 작동을 위한 전자 회로부가 함께 설치되는 실내등 본체(10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내의 공기청정기 제어 회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고압 플라즈마 방식에 의해 공기 청정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팬없이 공기 흐름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 공기청정기(20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 외장형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양측부에 돌출 형성한 힌지봉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풍향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일체형 고정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는,
상기 실내등 스위치(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램프(120)를 점등 시키는 안정기 회로부(110)와, 상기 실내등 스위치(1)에 의해서 실내등과 함께 공기청정기가 작동되게 하고, 상기 공기청정기 스위치(2)에 의해서는 공기청정기만 작동되도록 전원의 역류를 방지하는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와, 그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정압 발생 회로부(140)와, 그 고전압 발생회로부(140)내에서 발생되는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청정기(200)내의 음이온의 발생핀을 통해서 음이온을 방사하도록 하는 음이온 발생기(15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에서, 공기청정기 스위치(2) 및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와, 음이온 발생기(150)는 모델에 따라 선택적 사양으로 설치할 수 있는 거이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모두 설치된 구성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등 일체형 팬없는 공기청정기의 고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 결합되어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메인 고정부재(31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메인 고정부재(310)의 중간부와 결합되어 그 고정부재(310)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320)와,
그 한쌍의 고정부재(310) 사이에 상기 공기청정기(2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그 지지수단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동지지부(330)와,
상기 공기 청정기(200)의 양측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고정부재(310)의 회동지지부(330)에 꽉끼도록 결합시켜 공기청정기의 방향을 임의로 회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봉(340)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 본체부(200)는,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부(140)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고, 중심부가 장방형으로 개구되고 그 개구부(21) 양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뾰족한 침편(22)들이 형성되어 음의 전극을 이루는 제1전극(20)과, 그 제1전극의 침편(22)들과 대응해서 소정의 원형 통공(3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20)과 소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되어, 상기 침편(22)들과 원형 통공(31) 사이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플라즈마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 연소 및 살균 처리를 함과 아울러 기압차에 의해 침편(22) 측에서 통공(31)측으로 공기 흐름이 자연발생되도록 설치되는 제2전극(30)과, 상기 제1전극(20)의 개구부(21)와 대응된 개구부(41)가 형성되어 그 제1전극(20)을 고정 설치하는 제1전극 지지부(40)가 내측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통기공(61)들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제1케이스(60)와, 상기 제2전극(30)의 통공(31)들과 대응된 다수의 통공(51)들이 형성되어 그 제2전극(30)을 고정 설치하는 제2전극 지지부(50)가 내측에 장착되고,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통기공(71)들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20)과 제2전극(30)이 소정의 간극이 유지되도록 제1케이스(60)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7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소정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 시키는 직류 변환부(141)와, 그 직류 변환부(141)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진 회로와 트랜스포머(T2)를 이용해 소정의 고전압으로 발진시키는 고전압 발진부(142)와, 그 고전압 발진부(142)의 발진출력을 고전압 다이오드(D1-D16)와 고전압 콘덴서(C1-C146)에 의해 고전압으로 차례로 승압시켜 상기 제1,제2전극(20)(30)으로 고전압을 공급하는 제1 - 제4 승압부(143 - 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전압 발생회로부(140)의 상세 회로구성과 그 기능은 통상의 공지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나, 본원고안에서는 상기 승압부(143 -146)를 4단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통상의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에 사용하는 승압회로는 3단의 승압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원 고안은 4단을 구성하여 12000V의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제2전극 삽입공간과 별개의 소정의 공간부가 더 형성되도록 분리판(81)이 설치되고 그 공간부내에 음이온을 방사하기 위한 음이온 방사핀(8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전압 발생회로부(140)의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음이온 방사핀(80)으로 출력하는 음이온 발생기(9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실내등과 공기청정기를 일체형으로 설치한 것으로서, 공기청정기는 팬없는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설치구조는 실내등본체(100)내에 램프 구동을 위한 안정기 회로부(110)와 공기청정기(200) 구동을 위한 고전압 발생회로부(140)을 함께 설치하고, 그 실내등 본체(100)의 브라켓에 고정수단(300)을 통해서 공기청정기(200)를 일체형으로 설치한 구조이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 소정의 결합공을 형성하여 메인 고정부재(310)를 결합하고, 내측에서 너트로 조여서 고정하고, 그 고정부재(310)의 상측부에 한쌍의 지지대(320)가 고정되어 상부에서 상기 고정부재(31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고장부재(310)의 단부측에 공기청정기(200)가 설치되기 때문에 그 중량을 견디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310)를 지지대(320)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310)의 단부에는 원통형 캡을 회동지지부(330)로 설치하고,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양측부에는 힌지봉(340)이 돌출형성되어, 그 힌지봉(340)이 상기 회동지지부(330)에 끼워져 결합된다. 힌지봉(340)과 회동 지지부(330)는 꽉끼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공기청정기(200)의 각도를 조절하였을때 그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힌지봉(340)에 오링(도면에 도시않됨)을 더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등 본체(100)의 브라켓에 상기 고정부재(310)가 설치되고, 그 고정부재(310) 단부에 공기청정기(200)가 설치되어 도 5b 및 도 5c와 같이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공기청정기(200)의 방향을 조절 할 수 있게 되어서 상부(천정측)에서 하부로 공기 흐름이 유도되게 설치(도 5b)할 수 도 있고, 측방향으로 공기흐름이 유도되게 설치(도 5c)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공기청정기(200)는, 고전압 발생회로부(140)에 의해 고전압을 공급받아 제1전극(20)과 제2전극(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고압 플라즈마가 발생되고, 제1전극(20)의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전극(30)의 통공(31)으로 통과하면서 고압 플라즈마에 의해 공기중 이물질 연소 및 살균처리등을 하게 되고, 지지부(40)(50)에 의해 공기통로가 생성되어서 바람이 발생되어 공기 흡입 및 배출이 팬 없이도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공기청정기(200)는 제1케이스(60)와, 제2케이스(70)는 측벽을 제외한 전면에다수의 통기공(61)(71)들이 형성되는데 통기공(61)(71)들은 외부에서 큰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는 구멍들로 형성하되, 공기가 자연스럽게 흡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 제2전극 지지부(50)(60)들이 설치되는 턱이 형성되어 케이스면의 통기공가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공기가 쉽게 흡입 및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발생회로부(140)는, 직류 변환부(141)에서 입력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고전압 발진부(142)에서 교류의 고전압으로 발신시키게되면, 4단으로 구성되는 승압부(143 -146)에서 12000V로 승압시킨다. 기존의 승압회로들이 3단 구성까지만 구성된 것을 4단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12000V의 음의 고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게되며, 그 12000V의 음의 고전압을 상기 제1전극(20)에 인가하고, 양극으로 제2전극(30)을 연결함으로써, 탐침편(22)의 침부분과 제2전극(30)의 통공(31) 사이에서 고압 플라즈마가 발생된다.
따라서, 공기가 흡입되어 고압 플라즈마에 의해 이물질 등이 태워지고 살균되며, 고압 플라즈마 발생으로 인해 기압차가 자동으로 발생되어 통공(31)을 통해서 제2케이스(70)의 통기공으로 공기들이 배출되며, 약하기는 하지만 바람이 발생되어 배기되고, 이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제1케이스(60)측에서 공기 흡입이 생기게 되므로, 팬 없이도 바람이 생기고 자연 대류가 발생되어 실내 공기의 정화작용을 하게된다.
여기서, 팬없이 송풍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상기 고압 플라즈마 현상뿐만아니라, 케이스와 지지판 사이에 공간부를 두었고, 지지판들을 격벽 형태로 구성하고 개구부와 통공을 통해서만 공기가 흐르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압 플라즈마가 발생하였을때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어 자연스럽게 송풍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추가적으로, 전자회로부(100)내에 음이온 발생기(90)를 설치하는데, 음이온 발생기(90)는 상기 고전압 발생회로부(140)의 직류전원 변환부(141)의 출력인 일정한 직류 전원을 인가받아 음이온 발생신호를 발생해서 도선을 통해서 본체부(200)내에 설치된 음이온 방사핀(80)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음이온 방사핀(80)에서는 음이온을 방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 방사핀(80)은 상기 제1,제2전극(20)(30)이 설치된 부분과 격리 되도록 분리판(81)이 설치되며, 음이온 방사핀(81)에서 방사된 음이온이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방사될수 있도록 음이온 방사 구멍(82a)이 형성된 지지판(82)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므로 음이온 방사핀(80)에서 방사되는 음이온은 지지판(82)의 방사 구멍(82a)를 통해서 방사되어 제2케이스(70)의 통기공(71)들을 통해서 실내로 방사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실내등 스위치(1)를 온시키게 되면, 실내등의 램프(120)가 전등되어 구동되고, 아울러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를 통해 전원이 고전압 발생회로부(140)에 공급되어 공기청정기(200)가 동작함과 아울러 음이온 발생기(150)도 동작하여 공기청정 및 음이온 방사가 이루어진다. 실내등 스위치(1)를 오프시키면 실내등과 공기청정기가 모두 오프된다.
본 고안에서는 실내등을 오프 시켰을 때에도 공기청정기만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공기청정기 스위치(2)를 구비하였고,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를 구성하여 공기청정기 스위치(2)가 온 되면, 공기청정기만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한 것이다. 즉, 상기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는, 상기 실내등 스위치(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고전압 발생회로부(140)로 전원을 연결하고, 상기 공기청정기 스위치(2)가 온 되면 고전압 발생 회로부(140)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실내등 측으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구성에 의해 선로 결합만으로 실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를 실내등 본체 내에 설치하여 내장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는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등에 공기청정기를 내장한 일체형 구조의 외형도이고, 도 7은 공기 청정기 설치부분의 요부 단면도이다.
실내등 스위치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내부에 램프 구동을 위한 안정기 회로부 및 램프와, 공기청정기 구동을 위한 고전압 발생 회로부를 설치되는 실내등 본체(10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의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소정길이 하향으로 절곡후 다시 수평으로 절곡되고, 그 수평면에 공기 유입을 위한 개구부(402)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설치부(401)와;
그 공기청정기 설치부(401)의 개구부(402)와 대응하는 개구부(404)가 형성되어 설치부의 하면에 고정되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제1전극 지지부(405)와;
그 제1전극 지지부(405)의 안착홈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개구부들과 일치되는 개부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 양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침편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전압 발생회로부로부터 음의 고전압을 공급받는 제1전극(405)과;
그 제1전극(405)과 대응하는 양전극으로 연결되고, 상기 침편들과 대응하는 소정 크기의 원형 통공들이 다수 형성되는 제2전극(409)과;
상기 제1전극 지지부(405)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떨어지도록 고정부(408)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전극(409)의 통공들과 일치되는 다수의 통공(407)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409)을 안착시켜 고정 설치하는 제2전극 지지부(406)와,
상기 설치부(401)의 배면이 노출되게 캡형으로 실내등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장착 결합되고 상기 제2전극(409)의 대응 위치에 공기 배출을 위한 다수의 통기공(411)들이 형성된 공기청정기 케이스(4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등 본체(100)내에 설치되는 회로장치들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며, 공기청정기 부분의 제1,제2전극(405)(409) 및 지지부(403)(406)도 그 기본 구조가 같은 구성이다. 그러므로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이들의 구조나 기능들을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실내등 본체(100)의 메임 프레임의 측면에 소정형태로 절곡시킨 공기청정기 설치부(401)를 설치하고, 그 설치부(401)에 지지부와 전극들을 설치하여 공기청정기 집진 전극부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그 위부분을 캡형 케이스(410)로 커버링 한 구성이며, 실내등 본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동일 구성으로 공기청정기 구성을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어느 한쪽에만 공기청정기 구성을 설치하고, 다른 쪽은 미관상 캡형 케이스만을 부착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실내등 내장형으로 공기청정기를 구성한 경우에는 외장형에 비해 그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시에 실내등 본체만 설치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이온 발생기와 음이온 방시핀을 설치해서 음이온 발생기능까지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팬없는 구조의 소형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실내등과 일체형으로 공기청정기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공기청정기만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공간 점유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실내등과 함께 천정등에 설치함으로써 실내공기중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청정을 실현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공기 청정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공기청정기의 승압부를 4단구성에 의해 12000V로 승압시켜 고압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게 되어 월등히 향상된 살균 효과 및 공기 청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기를 더 채용하게 되면 인체에 유익하다고 알려진 음이온들을 실내에 방출시킬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등 본체내부에 공기청정기 구조를 일체형으로 내장시켜 설치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공기청정기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실내등의 점등 선택을 위한 실내등 스위치(1)와,
    공기청정기만 독립적으로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공기청정치 스위치(2)와,
    실내등 스위치(1)에 의해 램프점등과 아울러 공기청정기 작동을 함께 제어하고, 공기청정기 스위치(2)에 의해서는 공기청정기만 작동시키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램프점등 및 공기청정기 작동을 위한 전자 회로부가 함께 설치되는 실내등 본체(10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내의 공기청정기 제어 회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고압 플라즈마 방식에 의해 공기 청정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팬없이 공기 흐름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 공기청정기(20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 외장형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양측부에 돌출 형성한 힌지봉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풍향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고정수단(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는,
    상기 실내등 스위치(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램프(120)를 점등 시키는 안정기 회로부(110)와,
    상기 실내등 스위치(1)에 의해서 실내등과 함께 공기청정기가 작동되게 하고, 상기 공기청정기 스위치(2)에 의해서는 공기청정기만 작동되도록 전원의 역류를 방지하는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와,
    그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정압 발생 회로부(14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 결합되어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메인 고정부재(31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메인 고정부재(310)의 중간부와 결합되어 그 고정부재(310)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대(320)와,
    그 한쌍의 고정부재(310) 사이에 상기 공기청정기(2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그 지지수단의 단부에 고정되는 회동지지부(330)와,
    상기 공기 청정기(200)의 양측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고정부재(310)의 회동지지부(330)에 꽉끼도록 결합시켜 공기청정기의 방향을 임의로 회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봉(3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봉(340)에는 상기 회동지지부(330)와 꽉 끼워지도록 하는 오링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청정기(200)는,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부(140)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고, 중심부가 장방형으로 개구되고 그 개구부(21) 양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뾰족한 침편(22)들이 형성되어 음의 전극을 이루는 제1전극(20)과, 그 제1전극의 침편(22)들과 대응해서 소정의 원형 통공(3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20)과 소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되어, 상기 침편(22)들과 원형 통공(31) 사이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플라즈마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 연소 및 살균 처리를 함과 아울러 기압차에 의해 침편(22) 측에서 통공(31)측으로 공기 흐름이 자연발생되도록 설치되는 제2전극(30)과, 상기 제1전극(20)의 개구부(21)와 대응된 개구부(41)가 형성되어 그 제1전극(20)을 고정 설치하는 제1전극 지지부(40)가 내측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통기공(61)들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제1케이스(60)와, 상기 제2전극(30)의 통공(31)들과 대응된 다수의 통공(51)들이 형성되어 그 제2전극(30)을 고정 설치하는 제2전극 지지부(50)가 내측에 장착되고,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통기공(71)들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20)과 제2전극(30)이 소정의 간극이 유지되도록 제1케이스(60)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전극 삽입공간과 별개의 공간부가 케이스 내에서 분리 형성되도록 분리판(81)이 설치되고 그 공간부내에 음이온을 방사하기 위한 음이온 방사핀(80)이 설치되며,
    상기 실내등 본체부(100)에는, 고전압 발생회로부(140)의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음이온 방사핀(80)으로 출력하는 음이온 발생기(9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부(140)는,
    전원 스위칭 제어부(13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소정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 시키는 직류 변환부(141)와,
    그 직류 변환부(141)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진 회로와 트랜스포머(T2)를 이용해 소정의 고전압으로 발진시키는 고전압 발진부(142)와,
    그 고전압 발진부(142)의 발진출력을 고전압 다이오드(D1-D16)와 고전압 콘덴서(C1-C146)에 의해 고전압으로 차례로 승압시켜 상기 제1,제2전극(20)(30)으로 고전압을 공급하는 제1 - 제4 승압부(143 - 1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8. 실내등 스위치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내부에 램프 구동을 위한 안정기 회로부 및 램프와, 공기청정기 구동을 위한 고전압 발생 회로부를 설치되는 실내등 본체(100)와;
    상기 실내등 본체(100)의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소정길이 하향으로 절곡후 다시 수평으로 절곡되고, 그 수평면에 공기 유입을 위한 개구부(402)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설치부(401)와;
    그 공기청정기 설치부(401)의 개구부(402)와 대응하는 개구부(404)가 형성되어 설치부의 하면에 고정되며 절연체로 이루어진 제1전극 지지부(405)와;
    그 제1전극 지지부(405)의 안착홈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개구부들과 일치되는 개부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 양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침편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전압 발생회로부로부터 음의 고전압을 공급받는 제1전극(405)과;
    그 제1전극(405)과 대응하는 양전극으로 연결되고, 상기 침편들과 대응하는 소정 크기의 원형 통공들이 다수 형성되는 제2전극(409)과;
    상기 제1전극 지지부(405)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떨어지도록 고정부(408)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전극(409)의 통공들과 일치되는 다수의 통공(407)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409)을 안착시켜 고정 설치하는 제2전극 지지부(406)와,
    상기 설치부(401)의 배면이 노출되게 캡형으로 실내등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장착 결합되고 상기 제2전극(409)의 대응 위치에 공기 배출을 위한 다수의 통기공(411)들이 형성된 공기청정기 케이스(4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KR20-2004-0014967U 2004-05-29 2004-05-29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KR200360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67U KR200360143Y1 (ko) 2004-05-29 2004-05-29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67U KR200360143Y1 (ko) 2004-05-29 2004-05-29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427A Division KR100580432B1 (ko) 2004-05-25 2004-05-25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43Y1 true KR200360143Y1 (ko) 2004-08-26

Family

ID=4943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67U KR200360143Y1 (ko) 2004-05-29 2004-05-29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65B1 (ko)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GB2412727A (en) An air purifying and disinfecting device
KR101258760B1 (ko) 이온 발생 유닛 및 조명 장치
KR100601363B1 (ko) 대류현상을 이용한 실내부유먼지집진장치
US7179425B2 (en) Cylindrical optoelectronic air cleaner
US11896106B2 (en) LED nail dryer
JP5132466B2 (ja) イオン発生装置
KR101738504B1 (ko) 음이온 발생부가 구비된 led 조명등
KR100580432B1 (ko)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KR200360143Y1 (ko) 실내등 일체형 무팬 공기청정기
KR100819376B1 (ko) 공기정화 음이온발생 형광램프
KR100425569B1 (ko) 폭포형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KR20120133286A (ko) 벽걸이형 공기 살균기
CN213429407U (zh) 一种带有杀菌功能的浴室镜
KR20110042799A (ko)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
KR100580431B1 (ko) 팬이 없는 공기청정기
CN100532973C (zh) 光电子空气净化消毒风机
KR200360142Y1 (ko) 팬이 없는 공기청정기
US20050129585A1 (en) Ozone-deodorizing rubbish container
JP5264359B2 (ja) 照明装置
KR100519932B1 (ko) 화면노출 행잉형 공기정화, 살균탈취기
JP2005207675A (ja) 空気調和機
CN219674431U (zh) 具有纳米水离子净化功能的装置
KR102348285B1 (ko) 마이크로폰 살균기
KR102400004B1 (ko) 다기능 행거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