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806Y1 -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 Google Patents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806Y1
KR200359806Y1 KR20-2004-0013196U KR20040013196U KR200359806Y1 KR 200359806 Y1 KR200359806 Y1 KR 200359806Y1 KR 20040013196 U KR20040013196 U KR 20040013196U KR 200359806 Y1 KR200359806 Y1 KR 200359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lower floor
present
prefabricated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재
Original Assignee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filed Critical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to KR20-2004-0013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1Floor panels with integrated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마루의 시공시 복잡한 하부 마루패널의 시공을 간편하고,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측 이상에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부가 형성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면에 상면이 방수접착제로 견고히 접착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하향으로 띄움과 동시에 습기를 배습하기 위해 다수개가 돌출 설치되는 돌출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누구나 설치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며, 특수한 시공장비가 불필요하며, 단순한 구성으로 자재비가 절감됨으로서 경제성이 높으며, 공기가 기존의 절반 또는 1/3 수준으로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Floating tongue and grooved system sub floor}
본 고안은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돌출부재가 일체형으로 하부 마루패널을 제작하고, 하부 마루패널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방식을 채용한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루판은 목재 마루보드나 블록 등의 목재 마루판과 그리고 합판 및 MDF, HDF에 멜라민수지화 장판을 접착한 치장목질마루판이나 MDF, HDF에 무늬목을 접착한 무늬목치장 마루보드, 박판원목을 여러겹 접착한 적층 마루보드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루판은 콘크리트슬래브에 부착 시공 혹은 하부 구조틀 위에 시공하였을 때에 온도변화에 의한 물방울이 생기거나 청소 등으로 인하여 마루판이 습기에 노출됨으로써 수축 및 팽창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습기의 흡수로 인한 하부 구조재의 부패현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고 건조수축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굴곡현상이 발생되며, 특히 습식구조, 즉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시 수분으로 인한 부패와 건조수축으로 인한 굴곡현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마루판은 시공시 전문직 목수가 반드시 투입되어야 함으로 인하여 인건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하부 구조재(장선, 멍에, 방진고무, 쐐기 등)가 필요이상으로 많이 소요됨으로 인하여 단가가 상승되며, 궁극적으로 시공비가 많이 드는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목재마루의 시공시 복잡한 하부 마루패널의 시공을 간편하고,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측 이상에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부가 형성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면에 상면이 방수접착제로 견고히 접착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하향으로 띄움과 동시에 습기를 배습하기 위해 다수개가 돌출 설치되는 돌출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배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루패널 12 : 상부부재
14 : 하부부재 16 : 돌출부재
18 : 철부 20 : 요부
22 : 시트접착층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1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측 이상에 요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부(18)가 형성되는 상부부재(12)와;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부면에 상면이 방수접착제로 견고히 접착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부재(14)와; 상기 하부부재(14)의 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하향으로 띄움과 동시에 습기를 배습하기 위해 다수개가 돌출 설치되는 돌출부재(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부재(12)는 일반합판(Ordinary Plywood) 또는 가공합판(Oriented Standard Board)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4)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제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16)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제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조 및 기타 건식 바닥면 시공용으로 상부부재(12)와 하부부재(14) 및 돌출부재(16)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부재(12)는 전체적으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 판체로 이루어지되, 판체의 전후좌우의 4측면중 전측과 좌측에는 요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20)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부부재(12)의 후측과 우측에는 철부(18)가 형성된 구조로 상부부재(12)들 각각을 연결 조립시에는 일측의 요부(20)에 타측의 철부(18)를 끼우는 인터록킹 방식으로 상부부재(12)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특히, 상기 상부부재(12)는 목재를 얇게 절삭한 단판을 가지고 목재가 서로 직교하도록 홀수매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적층한 판상재료인 합판(Plywood)을 사용하거나,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얇은 목판을 서로 직각으로 겹쳐지게 배열해 제작한 목재 가공합판(Oriented Standard Board)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4)는 전체적으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판체로 이루어지며, 폴리에틸렌 플라스틱제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부재(12)와 방수접착제로 접착된 구조이다.
여기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은 내구성,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이 뛰어난 합성고분자 재료로,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에틸렌 수지(polyethylene resin),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resin), 폴리에스테르 수지(polyester resin)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재(16)는 하부부재(14)의 하면에 다수개가 방수접착제로 접착 설치되되, 상기 돌출부재(16)는 반구형상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접착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14)에 다수개의 돌출부재(16)를 형성시킨 이유는 하부부재(14)가 시공시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부재(16)의 높이만큼의 일정한 간격이 형성된다.
특히, 하부 마루패널(10)의 시공시 바닥면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재(16)를 적절하게 적층시켜 일정한 수직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6)에 별도의 높이조절용 쐐기를 방수접착제로 접착시켜 적절한 하부 마루패널(10)의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일정한 간격은 바닥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를 배습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또한 하부부재(14)가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밀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습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습기로 인하여 하부 마루패널(10)이 뒤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하부 마루패널(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6)는 하부부재(14)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플라스틱제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16)에 방수접착제로 접착되는 높이조절용 쐐기도 돌출부재(16)와 동일한 재질의 부재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10)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10)은 시공시 상부부재(12)와 하부부재(14) 및 돌출부재(16)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마루패널(10) 단위체를 각각 요부(20)와 철부(18)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한 크기와 면적을 갖는 하부 마루패널(10)을 형성시킨 후, 바닥면에 깔아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하부 마루패널(10)은 각각의 단위체를 현장에서 각각 조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일정한 바닥면 크기에 맞춰 기 조립된 하부 마루패널(10)을 설치할 수도 있음으로 시공 상황에 맞춰서 하부 마루패널(10)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하부 마루패널(10)이 설치될 콘크리트슬래브나 기타 바닥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상태에서 시공하되,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돌출부재(16)의 하면에 별도의 높이조절용 쐐기를 방수접착제로 접착시켜 적절한 높이를 조정하거나 또는 돌출부재(16)를 여러개 적층 접착시킨 상태로 하여 바닥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킨 상태로 하여, 하부 마루패널(10)을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하부 마루패널(10) 시공은 목조 및 기타 건식 바닥면에 시공에 쓰이는 건식용 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부 마루패널(10)을 시공하면 돌출부재(16)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바닥면 콘크리트로부터 하부 마루패널(10)이 이격됨으로써, 동절기 실내온도를 5∼6℃ 정도 높여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다양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용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10)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측 이상에 요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부(18)가 형성되는 상부부재(12)와;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부면에 상면이 방수접착제로 견고히 접착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시공시 하부구조재에는 반드시 일정부분이 밀착 중첩되도록 고안된 하부부재(14)와; 상기 하부부재(14)의 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하향으로 띄움과 동시에 습기를 배습하기 위해 다수개가 돌출 설치되는 돌출부재(16)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건식용 하부 마루패널(10)과 기술적 사상을 같이한다.
단,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10)은 상기 하부부재(14)와 그 중첩되어지는 하부구조부분이 방수접착제로 접착되며, 또한 그 중첩부분에 하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차단시키기 위해 시트접착층(22)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10)은 시멘트 콘크리트 및 기타 습식 바닥면 시공인 습식용으로 콘크리트 및 기타 습식면에 함수가 있어도, 하부부재(14)에 방수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시트접착층(22)이 효율적으로 습기를 차단시키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마루패널(10)을 바닥면 콘크리트로부터 일정부분 높게 이격시키는 돌출부재(16)가 형성됨으로, 양생 및 통풍을 위한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완벽한 품질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은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누구나 설치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며, 특수한 시공장비가 불필요하며, 단순한 구성으로 자재비가 절감됨으로서 경제성이 높으며, 공기가 기존의 절반 또는 1/3 수준으로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측 이상에 요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부(18)가 형성되는 상부부재(12)와;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부면에 상면이 방수접착제로 견고히 접착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부재(14)와;
    상기 하부부재(14)의 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하향으로 띄움과 동시에 습기를 배습하기 위해 다수개가 돌출 설치되는 돌출부재(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12)는 일반합판(Ordinary Plywood) 또는 가공합판(Oriented Standard Board)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14)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제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16)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제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16)는 반구형상으로 하부부재(14)에 방수접착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접착 설치됨과 동시에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6. 제 1항, 제 4항,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16)에는 높이조절용 쐐기를 방수접착제로 접착 설치되어, 하부 마루패널(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14)에는 그 중첩되어지는 하부 구조부분이 방수접착제로 접착되며, 또한 그 중첩부분에 하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차단시키기 위해 시트접착층(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KR20-2004-0013196U 2004-05-12 2004-05-12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KR200359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196U KR200359806Y1 (ko) 2004-05-12 2004-05-12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196U KR200359806Y1 (ko) 2004-05-12 2004-05-12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806Y1 true KR200359806Y1 (ko) 2004-08-21

Family

ID=4934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196U KR200359806Y1 (ko) 2004-05-12 2004-05-12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8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4100B2 (en) Laminate floor panels
US8464489B2 (en) Laminate floor panels
KR100486438B1 (ko) 밀봉부를 갖는 다중패널 플로어 시스템 패널 커넥터
EP1642751B1 (en) Floor covering
US6918215B2 (en) Free floating sub-floor panel
KR101239366B1 (ko)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RU2415234C2 (ru) Ламинатные панели пола
US20060174974A1 (en) Floorboard and floor convering for resilient floor
US20100269443A1 (en) Tongue-in-groove floor and wall panels using multiple bonded sheet construction
KR100486439B1 (ko) 다방향성 패널
US20050115181A1 (en) Modular flooring system with framed tiles
KR200359806Y1 (ko) 현가 조립식 하부 마루패널
AU2003216789A1 (en) Modular flooring system with framed tiles
JP5837921B2 (ja) 床を支持するための部分構造及び該部分構造を備える床システム
CA2671446A1 (en) Floairs
KR100960399B1 (ko)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KR200399608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WO2004057131A1 (en) Panel assembly for wall or floor surfaces
KR200294617Y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원목 마루 판넬
KR20200016148A (ko) plastic material을 소재로 하는 바닥재의 단변 체결 구조 및 이러한 체결 구조가 형성된 바닥재
EP1309761B1 (en) Flooring system with floor layer and sub-floor panels
JP3488214B2 (ja) 相互連結される係合解除可能なフローリング装置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KR100967051B1 (ko) 조립식 마루판
JP6964028B2 (ja) 床材及び当該床材を用いた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31

Effective date: 2008032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