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399B1 -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399B1
KR100960399B1 KR1020090089730A KR20090089730A KR100960399B1 KR 100960399 B1 KR100960399 B1 KR 100960399B1 KR 1020090089730 A KR1020090089730 A KR 1020090089730A KR 20090089730 A KR20090089730 A KR 20090089730A KR 100960399 B1 KR100960399 B1 KR 100960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region
adhesive
flooring
uni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재
Original Assignee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filed Critical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09008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5/02155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HDPE 체결시트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 4곳을 체결용 접착제로 면 접착(面 接着)시켜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자체만으로 체결ㆍ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고정시킬 별도의 하부틀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중첩부 4곳의 면 접착(面 接着)에 의하여 조립된 플로링 전체가 일체로 거동되도록 함으로써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수평하중과, 그리고 솔리드 플로링 위에 작용되는 수직하중을 지지하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Self-Locking System)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형성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또한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HDPE 체결시트의 면 접착에 의하여 플로링 전체가 일체로 거동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면의 수평레벨이 불규칙하더라도 플로링의 처짐 현상이 방지되도록 할 뿐 아니라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시공유격의 변화를 HDPE 체결시트의 연성에 의하여 소화ㆍ흡수함으로써 솔리드의 팽창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시공면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플로링의 어느 한 접합부에서 위로 솟아오르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여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에 의한 플로링 전체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는 솔리드 플로어링(110)인 상부부재(U)와, 그리고 HDPE 체결시트(120)인 하부부재(D)로 이루어지고, 상부부재(U)는 정사각형 또 는 직사각형 형상이면서 인접변에 각각 요철부(112)와 요홈부(114)가 형성되어있으며, 하부부재(D)는 P영역과, Q영역과, 그리고 S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그 코너부 R영역은 절개되어있으며 하부부재(D)는 P영역 또는 Q영역만큼 상부부재(U)보다 그 면적이 크고, P영역을 제외한 하부부재(D)의 S영역과 Q영역에는 돌출부(12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부부재(U)는 하부부재(D)의 P영역과 S영역에 놓여 있으면서 접착제(E)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일체로 접착되어있고, Q영역의 편평부에 대응ㆍ접착되는 하부부재(D)의 ‘P영역의 이면부(Pa)’에는 체결용 접착제(130)가 도포되어있으면서 상기 체결용 접착제(130)위에는 이형지(132)가 부착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유닛구조”이다.
이와 같이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HDPE 체결시트가 서로 중첩된 중첩부 4곳을 체결용 접착제로 면 접착(面 接着)시켜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자체만으로 체결ㆍ고정이 가능한 구성이므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고정시킬 별도의 하부틀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조립된 플로링 전체가 일체로 거동됨과 동시에 일체거동에 의하여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수평하중과, 그리고 솔리드 플로링 위에 작용되는 수직하중이 지지되는 효과가 있고 여기에다 솔리드의 수축팽창이 HDPE 체결시트의 연성에 의하여 흡수되는 구조이므로 솔리드의 팽창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시공패턴이 원래의 정형화된 패턴 그대로 유지되어 플로링 전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솔리드 플로링, HDPE 체결시트, 면 접착, 체결용 접착제, 이형지, 셀프 록킹 시스템

Description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Solid wood flooring unit of self-locking system with glued membrane without sub-floor method installing solid wood flooring thereof}
본 발명은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구조 + 하부구조』로 된 솔리드 플로링 구조에서 하부구조가 생략된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형성하고자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새로운 개념의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Self-Locking System)의 적용이 가능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형성하고자한 것이다.
셀프 록킹 시스템은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HDPE 체결시트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 4곳을 체결용 접착제로 면 접착(面 接着)시켜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자체만으로 체결ㆍ고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조립에 의하여 플로링 전체가 일체로 거동되게 한 방식이다.
이와 같이 셀프 록킹 시스템에 의하여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면 접착ㆍ고정이 일체로 거동되게 한 방식이므로 하부틀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수평하중과, 그리고 충격하중과 같은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확실한 방식이다.
여기에다 본 발명은 HDPE 체결시트의 연성에 의하여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시공유격의 변화가 흡수됨으로써 솔리드의 팽창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정형화된 시공패턴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어느 한 접합부에서 위로 솟아오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기술이다.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의 기술적 변천은 전통적인 마루구조인 『상부구조 + 하부구조』에서 하부구조를 생략한 『상부구조』로의 변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구조 + 하부구조』로 된 마루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으로 『하부구조』가 없는 『상부구조』만으로 된 마루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상부구조 + 하부구조』로 된 마루구조
이 구조에는 전통적인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와, 그리고 “드라이 코아” 및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가 있다.
여기서 “솔리드(solid)”는 통나무 원목으로 된 마루패널을 말한다. 마루분야에서 “솔리드(solid)”로 통용되고 있으므로 이하 “솔리드”란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가. 전통적인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
가) 개요
전통적인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는 『상부구조 + 하부구조』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부구조는 솔리드 플로링(Solid Flooring)(U)이고, 하부구조(D)는 도1에서와 같이 합판(G)과 장선목(H)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합판(G)은 장선목(H) 위에 설치된다. 합판(G)은 일반합판(Ordinary Plywood) 또는 가공합판(Oriented Plywood)이다.
이와 같이 하부구조(D)는 콘크리트바닥면(200)에 설치된다.
콘크리트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는 하부구조(D)인 합판(G)과 장선목(H)을 부패시키는 주범이다.
장선목(H)에 의하여 배습공간(J)이 형성된다.
솔리드는 재질이 통나무이기 때문에 대기 중의 습기에 아주 민감하다.
습기에 의한 팽창과 건조에 의한 수축으로 인하여 조립된 솔리드 플로링(U)사이의 틈새가 벌어지고 뒤틀리게 된다.
솔리드 플로링(U) 자체의 수축팽창을 고려하여 실제 시공 시에는 통상 매 200-300mm 간격 당[즉 폭 방향으로 보아 4-5매의 솔리드 플로어링(U) 간격마다] 1.5~2mm의 조립간격(또는 시공유격)을 주고 있다.
시공 시 1.5~2mm의 시공유격을 주고 있다고 해서 시공후의 솔리드 플로어링(U)의 수축팽창이 모든 시공유격에 균등하게 배분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솔리드 플로어링(U)은 습기를 머금은 정도에 따라, 그리고 솔리드 플로어링(U)의 나이테 결이 형성된 방향에 따라 수축팽창의 정도나 그 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솔리드 플로어링(U)이 수축 팽창되더라도 원래의 시공유격과 같은 정형화된 패턴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상부구조를 하부구조(D)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한다. 고정수단으로서 스테이플 혹은 고정못(I)이 주로 사용된다.
만약 상부구조가 하부구조(D)에 고정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솔리드의 팽창이 한 방향(주로 폭 방향)으로 진행되게 되면 그 간격이 누적되어 1.5~2mm의 시공유격이 이루고 있는 정형화 패턴이 균형을 잃게 되고 그 결과 인접 패널간의 단차가 발생되어 안전상의 위험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정형화 패턴이 불규칙하게 일그러져 외관이 흉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반드시 해체 철거한 후 보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부구조(D)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나. “드라이 코아” 및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
가) 개요
“드라이 코아(dricore)”는 국제공개번호 WO 02/12653 A1에 게재된 발명이다.(도2참조)
이 기술 분야에서 “드라이 코아(dricore)”로 통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서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은 특허등록번호 제 10-0882000호에 게재된 발명이다.
“드라이 코아(dricore)”와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은 전통적 인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와 같이 『상부구조 + 하부구조』로 이루어진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이다.
“드라이 코아(dricore)”와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은 하부 구조(D)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10)는 하부구조(D)는 물론 상부구조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이 없는데 반하여 “드라이 코아(20)”와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구조는 습기로부터 보호하기위한 플라스틱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된 시트[이하 이를 ‘방수시트(K)’이라한다.]를 접착제에 의하여 하부구조(D)에 견고하게 접착시킨 구조이다.
한편 전통적인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10)는 장선목(H)에 의하여 배습공간(J)이 형성된 구조인데 반하여 “드라이 코아(20)”와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구조는 장선목(H)이 없는 비장선이면서 배습공간(J)은 ‘방수시트(K)’에 형성된 원형상의 돌출부(L))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이다.
나) “드라이 코아(20)”와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
“드라이 코아(20)”와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는 양자모두 상부구조(U)와 하부구조(D)로 이루어지면서 하부구조(D)에 원형상의 돌출부(L))가 형성된 ‘방수시트(K)’가 접착되어있는 구성이다.
다만 하부구조(D)에 접착된 ‘방수시트(K)’의 면적이 하부구조(D)의 단위면적과 똑같은 크기로 되어 있느냐? ‘방수시트(K)’의 면적이 하부구조(D)의 단위면적보다 더 큰 크기로 되어 있느냐? 의 차이가 있다. 그 차이로 인한 기술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후술한다.
‘방수시트(K)’의 면적이 하부구조(D)의 단위면적과 똑같은 크기로 되어있는 것이 “드라이 코아(20)”이다. 그 결과 콘크리트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로부터 하부구조(D)의 판상부분은 보호되지만 하부구조(D)의 접합부는 습기의 통로이기 때문에 하부구조(D)는 물론 상부구조의 솔리드 플로링(U)을 부패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부구조(D)의 접합부는 시공시 인접되게 조립되는 하부구조(D)간의 조립부를 말한다.
이와 같이 “드라이 코아(20)”는 하부구조(D)만을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반면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은 하부구조(D)는 물론 그 접합부(또는 조립부)까지 보호하도록 한 것이므로 ‘방수시트(K)’의 면적이 하부구조(D)의 단위면적보다 더 큰 구조이다.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은 “드라이 코아(20)”의 접합부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습기통로인 접합부까지 ‘방수시트’로 차단함으로써 습기가 접합부(또는 조립부)를 통해 상부구조인 솔리드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2. 『하부구조』 없이 『상부구조』만으로 된 마루구조
이 구조에는 솔리드 클립 시스템(Solid Clip System) 구조(30)와, 그리고 MDF의 클릭 시스템(MDF Click System) 구조(40)가 있다.
가. 솔리드 클립 시스템(Solid Clip System) 구조(30)
솔리드 클립 시스템(Solid Clip System)은 덴마크의 JUNCKERS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하부구조(D) 없이 클립(C)만으로 상부구조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U)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접합부의 시공유격(시공 시의 조립간격)이 클립에 의하여 억제되어 불규칙적으로 변화되지 않도록 한 시스템이다.
솔리드 클립 시스템에 의한 클립(C)의 역할은 하부구조(D) 없는 상부구조를 고정시키는 역할과, 그리고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U)의 수축팽창에 대한 접합부의 시공패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위한 클립(C)은 도3a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이고, 역 ‘ㅅ’ 자 형상이다.
클립(C)의 형상이 역 ‘ㅅ’ 자 형상이기 때문에 탄성에 의하여 수평방향의 신축만이 가능하다.
클립(C)의 양단에는 후크형상의 고정부(O)가 형성되어있다.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U)에는 클립(C)삽입을 위한 고정홈(N)이 2줄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있다.
솔리드 플로링(U)의 고정은 후크형상의 고정부(O)를 고정홈(N)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클립(C)은 일정간격으로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U)의 고정홈(N)에 서로 교번적으로 삽입된다.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U)끼리의 고정을 위해서다.
클립(C)에 의한 고정은 선형(線形) 결속이다. 클립(C)의 폭이 좁은데다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있기 때문이다.
클립(C)에 의한 선형(線形) 결속은 적어도 3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클립(C)이 수평방향으로만 신축되기 때문에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없는 것이 첫 번째 문제이다.
즉 솔리드 플로링(U)의 상부에 충격하중이 수직방향으로 작용되게 되면 클립(C)은 이에 대하여 아무런 지지력이 없다. 클립(C)에 의한 고정이 선형(線形) 결속이기 때문이다. 선형결속으로는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취약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수축팽창으로 인한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력역시 취약하다.
만약 도3b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이 수평레벨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는 솔리드 플로링의 접합부가 내려앉아 처지면서 단차가 생기게 된다. 처짐으로 인하여 구조적 안전성의 문제는 물론 마루의 외관이 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 솔리드 플로링(U)의 팽창이 누적ㆍ가중되게 되면 도3c에서와 같이 솔리드 플로링(U)이 ‘산마루’와 같이 솟구쳐 오르는 두 번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클립(C)구조상 수직하중을 지지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 솔리드 플로링(U)의 수축팽창이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팽창되는 것이 아니더라도 만약 한 방향으로만 일정하게 팽창되게 되면 수평방향으로의 팽창이 누적되어 원래의 시공유격보다 점점커지면서 원래의 시공 패턴이 균형을 상실하게 세 번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솔리드 클립 시스템은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는 불안정한 시스템이다.
나. MDF 클릭 시스템(MDF Click System) 구조(40)
클릭 시스템(Click System)은 하부구조(D) 없이 상부구조인 MDF 또는 HDF(이하 이를 총칭하여 ‘MDF’라 한다.) 플로어링(M)만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MDF 패널(M)의 4면 모서리에 제혀 쪽매(Tongue & Groove)인 커플링(Ca)(Cb)이 형성되어있고 인접된 MDF 패널(M)의 커플링(Ca)(Cb)을 서로 클릭(Click)함으로써 MDF 패널(M)이 서로 체결되도록 된 시스템이다.
다시 말하면 MDF 패널(M)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수평하중과, 그리고 충격하중에 의한 수직하중이 클릭(Click)된 커플링(Ca)(Cb)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한 시스템이다.
MDF 클릭 시스템의 대표적인 발명으로는 국제공개번호 WO 1997/47834호가 있다.(도4a 및 도4b 참조)
MDF는 목재분말에다 수지를 혼합하여 고온에서 고압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판상의 패널이다. 마루 패널로서 사용되는 패널두께는 통상 10mm~22mm이다.
MDF 패널은 목 가공성이 뛰어나고 마루시공 후 비교적 치수가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그 두께가 얇으면서도 강도가 일정하여 클릭 시스템(Click System)에 적합한 소재이다.
3. 마루구조의 요약 및 그 문제점
위에서 살핀 마루구조의 요약 및 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가. 『상부구조 + 하부구조』로 마루구조의 요약 및 그 문제점
전통적인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10)와, 그리고 “드라이 코아(20)” 및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는 『상부구조 + 하부구조(D)』로 된 마루구조에 속한다.
『상부구조 + 하부구조』로 마루구조에서는 “상부구조”를 고정하기위한 “하부구조(D)”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하부구조(D)』 없이 『상부구조』만으로 된 마루구조에 비하여 그만큼 설치작업이 비효율적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원 발명자의 선 등록 특허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에서 ‘방수시트(K)’는 하부구조(D)의 접합부까지 연장되어 습기의 접합부통과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바꿔 말하면 ‘방수시트(K)’는 단순히 습기를 차단하는 습기차단부재이지 상부구조를 고정하기위한 역할을 하는 고정부재는 아니다.
나. 『하부구조(D)』 없이 『상부구조』만으로 된 마루구조의 요약 및 그 문제점
솔리드 클립 시스템(Solid Clip System) 구조(30)와, 그리고 MDF의 클릭 시스템(MDF Click System) 구조(40)가 『하부구조(D)』 없이 『상부구조』만으로 된 마루구조에 속한다.
『하부구조(D)』가 처음부터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부구조』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은 『상부구조』내에 내재되어있다.
솔리드 클립 시스템(Solid Clip System) 구조(30)에서는 클립이 『상부구조』의 고정수단이고, MDF 클릭 시스템(MDF Click System) 구조(40)에서는 MDF패널(M) 단부에 형성된 제혀쪽매인 커플링(Ca)(Cb)이 『상부구조』의 고정수단이다.
솔리드 플로링(U)의 고정수단으로 클립(C)에 의한 클립 시스템(Clip System)의 적용이 가능하지만 커플링(Ca)(Cb)에 의한 클릭 시스템( Click System)의 적용은 불가능하다. 솔리드 플로링(U)의 재질로서는 MDF패널과는 달리 수평하중과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제혀쪽매, 즉 커플링(Ca)(Cb)의 형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솔리드 클립 시스템(Solid Clip System)의 클립(C)은 수평방향으로만 신축이 가능하고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없는 구조이므로 콘크리트 바닥면(200)의 수평레벨이 이상적이지 않는 한 하향 처짐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또 클립(C)의 신축방향이 어느 한 지점(또는 접합부)으로 몰리게 되면 솔리드 플로링(U)이 솟아오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솔리드 팽창이 어느 한 방향으로 누적되게 되면 솔리드 플로링(U)이 점점 벌어지면서 원래의 시공패턴을 유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외관이 불규칙하게 되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 시킨 솔리드 클립 시스템의 근저에는 클립(C)에 의한 고정이 선형(線形)결속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원인이 있다.
본 발명은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HDPE 체결시트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 4곳을 체결용 접착제로 면 접착(面 接着)시켜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자체만으로 체결ㆍ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고정시킬 별도의 하부틀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중첩부된 4곳의 면 접착(面 接着)에 의하여 조립된 플로링 전체가 일체로 거동되게 함으로써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수평하중과, 그리고 솔리드 플로링 위에 작용되는 수직하중을 지지하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Self-Locking System)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형성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또한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HDPE 체결시트의 면 접착에 의하여 플로링 전체가 일체로 거동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면의 수평레벨이 불규칙하더라도 플로링의 처짐 현상이 방지되도록 할 뿐 아니라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시공유격의 변화를 HDPE 체결시트의 연성에 의하여 소화. 흡수함으로써 솔리드의 팽창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시공면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플로링의 어느 한 접합부에서 위로 솟아오르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Self-Locking System)의 적용이 가능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에 의하여 시공패턴이 원래의 정형화된 패턴대로 유지되고 플로링의 처짐이나 솟음이 방지되게 됨으로써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에 의한 플로링 전체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는 솔리드 플로어링(110)인 상부부재(U)와, HDPE 체결시트(120)인 하부부재(D와, 그리고 체결용 접착제(13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구성 및 그 유기적 구성을 도면부호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는 솔리드 플로어링(110)인 상부부재(U)와, 그리고 HDPE 체결시트(120)인 하부부재(D)로 이루어지고, 상부부재(U)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면서 인접변에 각각 요철부(112)와 요홈부(114)가 형성되어있으며, 하부부재(D)는 P영역과, Q영역과, 그리고 S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그 코너부 R영역은 절개되어있으며 하부부재(D)는 P영역 또는 Q영역만큼 상부부재(U)보다 그 면적이 크고, P영역을 제외한 하부부재(D)의 S영역과 Q영역에는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부부재(U)는 하부부재(D)의 P영역과 S영역에 놓여 있으면서 접착제(E)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일체로 접착되어있고, Q영역의 편평부에 대응ㆍ접착되는 하부부재(D)의 ‘P영역의 이면부(Pa)’에는 체결용 접착제(130)가 도포되어있으면서 상기 체결용 접착제(130)위에는 이형지(132)가 부착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유닛구조”이다.
여기에다 체결용 접착제(130)는 Q영역의 편평부(Qa)에 대응되는 하부부재(D)의 ‘P영역의 이면부(Pa)’에 길이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다수 열 도포되고 그 위에 이형지(132)가 부착되어있는 구성이다.
또한 하부부재(D)는 HDPE 체결시트(120)로서 HDPE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다. HDPE 체결시트(120)는 설명의 편의상 HDPE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하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는 HDPE 체결시트(120)에 P영역을 제외한 S영역과 Q영역에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배습공간이 형성된 현가방식이다.
돌출부(122)의 형상은 콘크리트 바닥면(200)에 안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면 어느 형상(일자형상이든 원형상이든 기타 어느 형상)이든 상관이 없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가 연속으로 조립되는 접합부가 셀프 록킹 시스템에 의하여 P영역과 Q영역이 서로 일체로 면 접착ㆍ고정된 것이므로 조립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전체가 일체로 거동되게 된다. 그뿐 아니라 솔리드 플로링(110)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수평하중과 충격하중과 같은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가 가능하므로 콘크리트 바닥면(200)이 불규칙하더라도 수평레벨이 유지되게 된다.
솔리드 플로링(110)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시공유격의 변화가 HDPE 체결시트(120)의 연성에 의하여 소화ㆍ흡수되면서 면 접착된 4변으로 균등하게 배분되게 되므로 시공패턴이 원래의 정형화된 패턴대로 유지되고 그 결과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한 플로링 전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한 플로링 전체가 일체로 거동됨으로써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기능이 조립된 전체마루의 탄력성에 더해져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전체의 기능이 더한층 향상되게 된다.
셀프 록킹 시스템에 의하여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가 연속으로 접착ㆍ고정되므로 그 고정수단이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HDPE 체결시트가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 4곳을 체결용 접착제로 면 접착(面 接着)시켜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자체만으로 체결ㆍ고정이 가능한 구성이므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고정시킬 별도의 하부틀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조립된 플로링 전체가 일체로 거동됨과 동시에 일체거동에 의하여 솔리드 플로링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수평하중과, 그리고 솔리드 플로링 위에 작용되는 수직하중이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솔리드 클립시스템은 클립의 신축에 의한 선형(線形)고정이므로 솔리드 플로 링의 결속력이 취약할 뿐 아니라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없는 구조이어서 처짐 현상이 불가피한 반면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는 HDPE 체결시트의 면 접착에 의한 고정이므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모두의 지지력이 확실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면의 불규칙한 수평레벨로 인한 처짐이나 솔리드 플로링의 수축으로 인접 시공된 조립 패널이 서로 이탈되거나 팽창으로 인한 솟음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HDPE 체결시트의 연성에 의하여 솔리드 플로링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시공유격의 변화가 소화ㆍ흡수되는 구조이므로 솔리드 플로링의 팽창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시공면이 그대로 유지됨은 물론이고 시공패턴이 원래의 정형화된 패턴대로 유지되어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에 의한 플로링 전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일체거동이 HDPE 체결시트의 면 접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일체거동수단이 간편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여기에다 하부틀이 없는 설치구조이므로 시공이 효율적이어서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구성과 구성상호 간의 유기적 관계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구성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는 상부부재(U)와 하부부재(D)와 그리고 체결용 접착제(13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부부재(U)는 솔리드 플로어링(110)이고, 하부부재(D)는 상부부재(U)에 일체로 접착되는 연성재질의 HDPE 체결시트(120)이다. 상부부재(U)의 형상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하부부재(D)는 상부부재(U)를 2개 겹쳐놓은 형상이다.
하나의 상부부재(U)는 P영역에 일치된 경우이고, 다른 하나의 상부부재(U)는 Q영역에 일치된 경우이다. 이와 같이 2개의 상부부재(U)가 겹친 공통영역을 S라 하면 솔리드 플로어링(110)의 면적은 S영역에다 P영역 또는 Q영역을 합한 것이 된다. 즉 『S영역 + P영역』 = 『S영역 + Q영역』의 관계가 성립된다.
HDPE 체결시트(120)의 면적은 S영역과 P영역과 Q영역을 합한 것이 된다. 즉『S영역 + P영역 + Q영역』이다.
코너부의 R영역에는 하부부재가 없는 절개된 절개부이다.
2)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조립관계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조립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를 연속적으로 조립하게 되면 2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부(A)와, 그리고 4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부(B)가 형성되게 된다.
먼저 2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부(A)의 경우 그 접합부(A)는 하나의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의 P영역과 다른 하나의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의 Q영역이 서로 겹치는 곳이다. 그 위치는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없는 P영역 밑에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된 Q영역이 설치된다. 여기서 P영역과 Q영역은 HDPE 체결시트(120)와 관련된 영역을 말한다.
2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부(A)의 두께는 HDPE 체결시트(120)의 P영역과 Q영역을 합한 두께이다.
다음으로 4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부(B)의 경우 그 접합부(B)는 R영역이 위치된 곳으로 HDPE 체결시트(120)의 4개의 모서리가 만나는 곳이다. 4개의 모서리는 2개의 P영역과 2개의 Q영역이 만나 는 곳이다. 4개의 모서리의 두께, 즉 2개의 P영역과 2개의 Q영역을 합한 두께는 위의 2개의 영역(P영역과 Q영역)을 합한 두께의 2배가 되므로 솔리드 플로링(110)의 수평면레벨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다. 솔리드 플로어링(110)의 수평면레벨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HDPE 체결시트(120)의 대각선에 R영역의 절개부를 둔 것이다.
이와 같이 2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부(A)의 두께와 4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부(B)의 두께가 대각선상의 절개부 R영역에 의하여 솔리드 플로어링(110)의 수평면레벨을 일치시킨 것이다.
한편 전통적인 마루구조에서 하부구조의 역할은 상부구조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는 하부구조가 없는 상부구조로만 되어있는 구조이다. 하부구조가 없다면 상부구조 내에는 반드시 상부구조를 고정하기위한 수단이 포함되어있어야 한다. HDPE 체결시트(120)가 바로 상부구조인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를 고정하기위한 고정수단이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고정은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HDPE 체결시트(120)의 중첩부를 면 접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가 서로 인접된 상태에서 HDPE 체결시트(120)가 중첩되는 중첩부는 P영역과 Q영역이다.
다시 말하면 2변의 중첩에 의한 접합부(A)이든 4변의 중첩에 의한 접합부(B)이든 항상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접합부(A)(B)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없는 P영역 밑에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있는 Q영역이 위치된다.
P영역과 Q영역의 접면은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없는 P영역의 평면부(Pa)와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있는 Q영역의 편평부가 서로 접면된다. 여기서 Q영역의 편평부가 접면된 P영역의 평면부(Pa)를 ‘P영역의 이면부(Pa)’라 부르기로 한다.
체결용 접착제(130)는 ‘P영역의 이면부(Pa)’에만 도포되어있다.
인접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HDPE 체결시트(120)의 접착은 ‘P영역의 이면부(Pa)’와 Q영역의 편평부가 면 접착된다.
면 접착은 ‘P영역의 이면부(Pa)’와 Q영역의 편평부가 접면된 곳, 모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4변형 접합부 전체가 면 접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의 접합부모두가 면 접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조립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전체가 하나로 일체화될 뿐 아니라 일체로 거동되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일체로 거동되는 면 접착에 의한 면 접착ㆍ고정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Self-Locking System)이라고 명명하였다.
클립 시스템의 문제점인 선형고정을 셀프 록킹 시스템의 면 접착(面 接着)고정에 의하여 해소한 것이다.
체결용 접착제(130)는 ‘P영역의 이면부(Pa)’전체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리드 플로링의 규모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도포할 수도 있다. 부분적인 도포일 경우에는 세로방향이나 가로방향으로 다수 열의 형태로 도포할 수 있다. 체결용 접착제(130)는 이형지(132)에 의하여 보호된다. 솔리드 플로링 설치 시에는 이형지(132)를 떼어내고 서로 면 접착시키면 된다.
조립된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전체가 면 접착에 의하여 하나로 일체화 거동되는 면 접착ㆍ고정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면 접착(面 接着) 셀 프 록킹 시스템(Self-Locking System)이라고 명명하였다.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은 강성클립에 의한 솔리드 클립시스템과는 달리 체결용 접착제(130)와 연성재질의 HDPE 체결시트(120)를 고정수단으로 한 것이므로 솔리드 플로어링(110)의 수축팽창에 대한 유연성이 발휘됨으로써 솔리드 클립시스템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정형화된 패턴이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은 연성재질의 HDPE 체결시트(120)의 ‘P영역의 이면부(Pa)’에 도포된 체결용 접착제(130)에 의하여 Q영역의 편평부와 면 접착ㆍ고정방식이므로 솔리드 플로어링(110)의 수축팽창에 대한 시공패턴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면 접착ㆍ고정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효율적일 뿐 아니라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의 4변형 전체의 접합부가 면 접착된 상태이어서 일체로 거동됨은 물론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가 가능하다.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가 가능하므로 처짐 현상, 솟음현상, 그리고 과도하게 틈새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정형화된 패턴이 그대로 유지되어 외관이 미려하다.
다음으로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콘크리트 바닥면(200)을 수평레벨로 조정ㆍ정리하는 단계;
⒝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면서 사각형의 인접 변에 각각 요철부(112)와 요홈부(114)가 형성된 상부부재(U)인 솔리드 플로어링(110)을 HDPE 체결시트(120)에 접착제(E)에 의하여 일체로 접착시키되 솔리드 플로어링(110)이 접착되는 위치는 HDPE 체결시트(120)의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P영역과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된 S영역이고,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된 Q영역에는 접착제(E)가 도포되어있지 않으며, 솔리드 플로어링(110)과도 접착되어있지 않으면서 솔리드 플로어링(110)의 외부로 돌출ㆍ확장되어있고, 상기 ‘P영역의 이면부(Pa)’에는 체결용 접착제(130)가 도포되어있으며, 상기 체결용 접착제(130)위에는 이형지(132)가 부착되어있는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제작하는 단계;
⒞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조립하기위해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서로 맞대어놓되 Q영역이 P영역 밑에 위치되게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P영역의 이면부(Pa)’에 부착된 이형지(132)를 떼어내고 체결용 접착제(130)에 의하여 ‘P영역의 이면부(Pa)’와 ‘Q영역의 편평부’가 서로 견고하게 접착ㆍ고정되는 단계;
⒟ ⒝단계에서 제작된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가지고 ⒞단계를 반복하면서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의 접합부(A)(B)를 연속적으로 접착ㆍ고 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이다.
여기에다 ⒝단계의 ‘P영역의 이면부(Pa)’에 체결용 접착제(130)가 길이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다수 열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이다.
한편 ⒝단계에서 제작된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도장완제품 유닛 솔리드 플로어링으로 제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시공이 용이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도장완제품 유닛 솔리드 플로어링은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에다 도장 및 기타의 작업을 통해 완제품의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로 제작하여도 상기의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배경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중보행용, 상업용, 주거용 마루를 불문한 모든 솔리드 플로어링의 시공은 반드시 하부틀[즉 하부부재(주로 장선, 목재합판 등)]이 필수적으로 있어야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는 솔리드 플로어링(110)을 고정시켜 주는 하부틀을 생략한 구조이다.
강화마루(Laminated Floor)의 경우 마루대판이 MDF재질이므로 하부틀(Sub-floor)없이 클릭시스템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데 대하여 솔리드 플로어링(110)으로 구성된 마루의 경우는 클릭시스템에 의한 시공이 불가능하다. 솔리드 플로어링(110)에 클릭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특수 제혀쪽매를 가공한다하여도 시공 시 제혀쪽매가 완전히 파괴되기 때문이다.
또한 클립시스템에 의하여 하부틀 없이 상부 솔리드 플로어링만으로 솔리드 플로어링 시공이 가능하지만 강성의 고정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한 제반 문제점의 노정은 물론, 시공후의 패턴이 불규칙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금속재질의 강성 클립만으로는 발생하는 제반 문제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클립시스템에 의하여 하부틀 없는 솔리드 플로어링의 시공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솔리드의 수축팽창으로 인해 발생되는 구조적인 불안정과 불규칙한 시공패턴의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이 클립시스템의 가장 큰 단점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고 있는 면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는 본원 출원인의 특허 제10-0882000호의 기술을 근거로 연성의 HDPE 체결시트와 체결용 접착제의 면 접착에 의하여 일체로 거동되게 함으로써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가장 확실한 새로운 개념의 면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을 탄생시키게 된 것이다.
특허 제10-0882000호에 대한 연구개발이 없었다면 새로운 개념의 면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은 세상에 나오지도 못했을 것이고, 정형화된 시공패턴을 균형있게 유지하면서 하부틀 없이 솔리드 플로어링 자체만으로 시공하는 것 역시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도1] 전통적인 솔리드 플로링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 하부구조인 드라이 코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a] 솔리드 클립 시스템구조의 분해사시도
[도3b] 솔리드 클립 시스템구조의 문제점인 처짐 현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3c] 솔리드 클립 시스템구조의 문제점인 솟음 현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4a] MDF 클릭 시스템 구조의 MDF 패널의 커플링 단면도
[도4b] 도4a의 MDF 패널간의 커플링클릭 단면도
[도5a] 본 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사시도
[도5b] 본 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위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5c] 본 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밑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5d] 도5b의 HDPE 체결시트의 평면도
[도5e] 도5c의 HDPE 체결시트의 저면도
[도5f] 도5d의 실시예
[도6a] 본 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가 접착ㆍ고정된 결합단면도
[도6b] 본 발명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의 4변이 일체로 접착ㆍ고정된 평면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110; 솔리드 플로링, 112; 요철부, 114; 요홈부,
120; HDPE 체결시트(120), 접착제(E), 122; 일자형상의 돌출부
Pa; ‘P영역의 이면부’
130; 체결용 접착제, 132; 이형지
200; 콘크리트 바닥면

Claims (7)

  1.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100)는 솔리드 플로어링(110)인 상부부재(U)와, 그리고 HDPE 체결시트(120)인 하부부재(D)로 이루어지고, 상부부재(U)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면서 인접변에 각각 요철부(112)와 요홈부(114)가 형성되어있으며, 하부부재(D)는 P영역과, Q영역과, 그리고 S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그 코너부 R영역은 절개되어있으며 하부부재(D)는 P영역 또는 Q영역만큼 상부부재(U)보다 그 면적이 크고, P영역을 제외한 하부부재(D)의 S영역과 Q영역에는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부부재(U)는 하부부재(D)의 P영역과 S영역에 놓여 있으면서 접착제(E)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일체로 접착되어있고, Q영역의 편평부에 대응ㆍ접착되는 하부부재(D)의 ‘P영역의 이면부(Pa)’에는 체결용 접착제(130)가 도포되어있으면서 상기 체결용 접착제(130)위에는 이형지(132)가 부착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유닛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용 접착제(130)가 하부부재(D)의 HDPE 체결시트(120)의 ‘P영역의 이면부(Pa)’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열 도포되고 그 위에 이형지(132)가 부착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체결용 접착제(130)가 하부부재(D)의 HDPE 체결시트(120)의 ‘P영역의 이면부(Pa)’에 횡 방향으로 다수 열 도포되고 그 위에 이형지(132)가 부착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HDPE 체결시트(120)인 하부부재(D)는 박판 플라스틱 멤브레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E 판상(120인 하부부재(D)는 박판 보드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6. ⒜ 콘크리트 바닥면(200)을 수평레벨로 조정ㆍ정리하는 단계;
    ⒝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면서 사각형의 인접 변에 각각 요철부(112)와 요홈부(114)가 형성된 상부부재(U)인 솔리드 플로어링(110)을 HDPE 체결시트(120)에 접착제(E)에 의하여 일체로 접착시키되 솔리드 플로어링(110)이 접착 되는 위치는 HDPE 체결시트(120)의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P영역과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된 S영역이고, 일자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된 Q영역에는 접착제(E)가 도포되어있지 않으며, 솔리드 플로어링(110)과도 접착되어있지 않으면서 솔리드 플로어링(110)의 외부로 돌출ㆍ확장되어있고, 상기 ‘P영역의 이면부(Pa)’에는 체결용 접착제(130)가 도포되어있으며, 상기 체결용 접착제(130)위에는 이형지(132)가 부착되어있는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제작하는 단계;
    ⒞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조립하기위해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서로 맞대어놓되 Q영역이 P영역 밑에 위치되게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P영역의 이면부(Pa)’에 부착된 이형지(132)를 떼어내고 체결용 접착제(130)에 의하여 ‘P영역의 이면부(Pa)’와 ‘Q영역의 편평부’가 서로 견고하게 접착ㆍ고정되는 단계;
    ⒟ ⒝단계에서 제작된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를 가지고 ⒞단계를 반복하면서 솔리드 플로어링 유닛구조(100)의 접합부(A)(B)를 연속적으로 접착ㆍ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단계의 ‘P영역의 이면부(Pa)’에 체결용 접착제(A)가 길이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다수 열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面 接着)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KR1020090089730A 2009-09-22 2009-09-22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KR10096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30A KR100960399B1 (ko) 2009-09-22 2009-09-22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30A KR100960399B1 (ko) 2009-09-22 2009-09-22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399B1 true KR100960399B1 (ko) 2010-05-28

Family

ID=4228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730A KR100960399B1 (ko) 2009-09-22 2009-09-22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2543A (zh) * 2011-02-08 2012-01-11 朱寿连 自锁地板块
WO2012023636A1 (ko) * 2010-08-16 2012-02-23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하부틀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487A (ja) * 1994-05-13 1995-11-21 Noda Corp 床 板
KR200164335Y1 (ko) 1999-01-16 2000-02-15 고덕기 건축용 간이식 실내 바닥재
KR200315058Y1 (ko) 2003-03-17 2003-06-02 주식회사 원진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음 차단판
KR100882000B1 (ko) 2007-11-19 2009-02-04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현가 조립식 마루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링 패널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487A (ja) * 1994-05-13 1995-11-21 Noda Corp 床 板
KR200164335Y1 (ko) 1999-01-16 2000-02-15 고덕기 건축용 간이식 실내 바닥재
KR200315058Y1 (ko) 2003-03-17 2003-06-02 주식회사 원진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음 차단판
KR100882000B1 (ko) 2007-11-19 2009-02-04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현가 조립식 마루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플로어링 패널조립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636A1 (ko) * 2010-08-16 2012-02-23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하부틀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CN102312543A (zh) * 2011-02-08 2012-01-11 朱寿连 自锁地板块
CN102312543B (zh) * 2011-02-08 2014-04-16 朱寿连 自锁地板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438B1 (ko) 밀봉부를 갖는 다중패널 플로어 시스템 패널 커넥터
US9695596B2 (en) Natural rock panel, natural rock veneer panel and panel support apparatus
US8266849B2 (en) Interlocking platform panels and modules
US8621803B2 (en) Structural interlocking wood panel
KR101053238B1 (ko) 합성목재 연결장치와 미끄럼방지 수단이 포함된 합성목재
JP4415381B2 (ja) 弾性フロアのためのフロアボードとフロアカバリング
US20060174974A1 (en) Floorboard and floor convering for resilient floor
KR100960399B1 (ko) 하부틀(sub―floor)이 생략된 면 접착 셀프 록킹 시스템의 솔리드 플로링 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솔리드 플로링의 시공방법
KR101347755B1 (ko) 라미네이트 마루 패널
KR100486439B1 (ko) 다방향성 패널
US20050115181A1 (en) Modular flooring system with framed tiles
DK2344702T3 (en) Plate Fixation
JP2009275500A5 (ko)
JP2009275500A (ja) 内装下地構造及び内装下地構造の形成方法
JP2000001940A (ja) 断熱床構造
KR100858843B1 (ko) 마루바닥재의 하부지지대 조립구조
US20070196614A1 (en) Heated Floor Element having a Surface Layer
GB2356205A (en) Resilient member with projections extending from at least one surface
JPH04297654A (ja) パネル状床材
JP2009250019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タイル張り工法
JP3488214B2 (ja) 相互連結される係合解除可能なフローリング装置
CA2662125A1 (en) Self-spacing wood composite panels
EP1309761B1 (en) Flooring system with floor layer and sub-floor panels
AU2010101526A4 (en) Floor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
JPH1193313A (ja) Alc床板の敷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