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221Y1 -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 Google Patents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221Y1
KR200359221Y1 KR20-2004-0013652U KR20040013652U KR200359221Y1 KR 200359221 Y1 KR200359221 Y1 KR 200359221Y1 KR 20040013652 U KR20040013652 U KR 20040013652U KR 200359221 Y1 KR200359221 Y1 KR 200359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voltage
transformer
current
up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만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3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2Circuits for multi-testers, i.e. multimeters, e.g. for measuring voltage, current, or impedance at wi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상별 전압과 전류, 시스템 본체의 내부온도 및 주상변압의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부하감시시스템내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하부브라켓; 일단이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홈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는 상부브라켓;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전선을 측부에서 누르고, 동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크류핀; 상기 하부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 상부브라켓을 고정하는 걸이쇠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Probe for Load Measurement in Pole Transformer Load Observation System}
본 고안은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프로브 사이에 전선을 고정시 2단의 과정을 거쳐서 고정하였던 것을 한번의 과정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예에서,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은 변압기(103),부하감시시스템(104) 및 상기 부하측정용 프로브(1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주(101)에는 변전소에서 전력이 송신되는 1차측 전선(102)이 전주상단을 통과하고, 상기 1차측 전선(102)에서 소정의 전선이 분기되어 1차측 전압이 변압기(103)로 입력된다. 상기 변압기(103)로 입력된 1차측 전압은 변압기내의 감압회로에 의해 전압이 감소되어 2차측 전압을 생성하고, 2차측 전선(105)에 의해 수용가로 전달된다.
상기 감압과정은 상당한 고압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많은 전류량의 변화가 있으며 감압시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므로, 변압기는 상기 열에 의한 고장이 빈번하게 일어나곤 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변압기가 고장나면 수백 또는 수천 가구에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어 일반 가구에 많은 불편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변압기(103)에서 수용가로 흘러가는 2차측 전선(105)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2차측 전선(105)내의 전압과 전류, 시스템 본체의 내부온도 및 주상변압의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부하감시시스템(104)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주(101)에 설치된 변압기(103)의 전류와 전압 등의 부하상태를 실시간으로 중앙통제부의 배전운영실로 알려줘 예방조치를 취하게 함으로써 전력의 안정감과 품질을 높여주는 시스템이다.
도 1의 도면부호 104는 상기 2차측 전선(105)내의 전압과 전류, 시스템 본체의 내부온도 및 주상변압기(103)의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부하감시시스템(104)이 외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부하감시시스템(104)은 전주(101)에 매달려 있는 각 주상변압기(103)와 가까이 위치하여 상기 근접한 각각의 주상변압기내(103)에서 나와서 수용가로 흘러가는 전기의 이동통로인 2차측 전선(105)으로 흘러가는 전압,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주상변압기(103)내의 내부온도 및 외부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화하고 인터넷 또는 무선으로 각 중앙통제실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게 한다.
상기 부하감시시스템(104)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화되지는 않았으나 이에 대한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하감시시스템(104)은 주상변압기(103)의 2차측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상전류 검출수단과, 주상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유기된 각 상의 전압을 검출하는 상 전압 검출수단과, 시스템 본체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내부온도 검출수단과, 상기 주상변압기의 외부온도를 검출하는 외부온도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이를 중앙통제실에 전송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사무실에서 원격으로 변압기의 부하를 감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상전압 등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경보음을 들을 수 있고, 변압기별로 일별· 월별 점검상황표를 출력할 수 있어 변압기 고장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지역실정에 맞게 변압기 환경설정을 할 수 있는 리모콘 기능과 신속· 정확하게 고장지점을 추적할 수 있도록 배전선로가 표시된 GIS지리정보가 함께 제공된다.
이중에서 상기 검출수단은 구체적으로는 부하감시시스템내 프로브(100)에 의해 달성된다.
도 2는 종래 변압기내에 2차측 전선의 전류와 전압, 내부온도 및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의 결합도이고, 도 3은 종래 프로브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종래 프로브는 상부브라켓(201), 하부브라켓(202), 제 1고정부(203), 제 1조임나사(204), 제 2고정부(205), 제 2고정나사(206) 및 스크류핀(207)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2차측 전선을 종래 프로브(100)에 삽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 2고정부(205)에 형성된 제 2조임나사(206)를 풀어서 상기 제 2고정부(205)를 상기 상부브라켓(201)에서 탈착시킨다. 이후, 제 1고정부(203)에 형성된 제 1조임나사(204)를 풀어서 상기 제 1고정부(203)가 느슨해지도록 만든 다음 상부브라켓(201)을 90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에 의해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2차측 전선(105)이 들어갈 공간이 생기면 변압기내의 감압된 전기를 유도하는 2차측 전선(105)은 상기 하부브라켓(202)의 중앙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미도시)에 끼워진다.
상기 2차측 전선(105)이 끼워지면 상기 회전시켰던 상부브라켓(201)을 다시 원위치 시키어 고정하고 상기 제 1조임나사(204)를 조여 제 1고정부(203)를 고정시킨 후 제 2고정부(205)를 상부로 들어올려 상기 상부브라켓(201)의 일측에 형성된 홈(209)에 끼운 후에 제 2조임나사(206)를 조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2차측 전선(105)이 고정되면 스크류핀(207)을 조여 전선에 닫기까지 삽입시킨다. 상기 스크류핀(207)에 의해 전압과 전류, 변압기의 내부온도 및 외부온도가 측정되면 상기측정된 정보는 부하감시시스템(104)으로 전송된다.
즉, 이를 요약하면 2차측 전선(105)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2조임나사(205)를 푼 후 제 2고정부(206)를 탈착시키고, 제 1조임나사(204)를 풀어 상부브라켓(201)을 회전시킨 후, 상기 2차측 전선(105)을 삽입하여 상부브라켓(201)을 원위치 시킨다. 이후, 제 1조임나사(203)를 조이고 다시 제 2고정부(205)를 상부브라켓에 삽입하여 제 2조임나사(206)를 조임으로써 모든 과정이 끝난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꽤 복잡하고 2차측 전선을 프로브에 삽입하는데 많은 시간과 수고 및 번거로움을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종래 많은 과정을 거쳐 2차측 전선을 고정하였던 부하감시용 프로브를 재구성하여 간단하게 상기 2차측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부하감시시스템이 전주에 설치된 외부모형이다.
도 2는 종래 부하감시시스템에서 부하의 전류와 전압 및 변압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부하감시시스템에서 부하의 전류와 전압 및 변압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감시시스템에서 부하의 전류와 전압 및 변압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의 결합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감시시스템에서 부하의 전류와 전압 및 변압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감시시스템에서 부하의 전류와 전압 및 변압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프로브 101 : 전주
102 : 1차측 전선 103 : 주상변압기
104 : 부하감시시스템 105 : 2차측 전선
201 : 상부 브라켓 202 : 하부 브라켓
203 : 제 1고정부 204 : 제 1조임나사
205 : 제 2고정부 206 : 제 2조임나사
207 : 스크류핀 401 : 상부 브라켓
402 : 하부 브라켓 403 : 걸림돌기
404 : 걸이쇠 개폐기 404a : 걸이쇠
404b : 개폐기 405 : 힌지
406 : 스크류핀 408 : 스크류핀 구멍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 상별 전압과 전류, 시스템 본체의 내부온도 및 주상변압의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부하감시시스템내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전선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하부브라켓; 일단이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되고,타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홈 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는 상부브라켓;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전선을 측부에서 누르고, 동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크류핀; 상기 하부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 상부브라켓을 고정하는 걸이쇠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의 정면도,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프로브는 상부브라켓(401), 하부브라켓(402), 걸림돌기(403), 걸이쇠개폐기(404), 힌지(405) 및 스크류핀(406)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프로브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브라켓(401)의 일단에는 걸림돌기(40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힌지(405)가 형성된다. 하부브라켓(402)의 일단에는 걸이쇠 개폐기(4040)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힌지(405)의 대응부분(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브라켓(401)의 힌지(405)와 하부브라켓(402)의 힌지 대응부분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브라켓(402)의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크기는 2차측 전선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브라켓(402)의 타단에는 스크류핀(406)이 삽입되는 구멍(408)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핀(406)은 상기 구멍으로 삽입되어 2차측 전선(105)에 접촉한다.
이하, 2차측 전선(105)이 삽입되는 과정을 알아본다.
도 4는 본 고안의 프로브가 초기 생산될 때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프로브에 2차측 전선(105)을 고정하기 위해서 우선 걸이쇠 개폐기(404) 중 아래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손잡이(404b)(이하, '개폐기'라 한다)를 상부로 젖히면 '딸깍'소리와 함께 상기 상부브라켓(40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03)에 물려있던 걸이쇠 개폐기(404) 중 걸이쇠 부분(404a)(이하, '걸이쇠'라 한다.)이 느슨해지면서 자동적으로 상기 걸림돌기(403)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일로써 상기 개폐기(404b)를 위로 젖힘으로써 한번에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이다.
상기 걸이쇠(404a)가 걸림돌기(403)에서 느슨해져 빠져나오면 상기 상부브라켓(401)을 위로 들어올린다. 이후, 2차측 전선(105)을 삽입하고 다시 상부브라켓(401)을 눌러 고정시킨다. 이후, 느슨해진 걸이쇠(404a)를 걸림돌기(403)에 걸고 개폐기(404b)를 아래로 젖히면 단 한번에 2차측 전선(105)이 고정된다.
이후, 상기 스크류핀(406)은 상기 하부브라켓(402)의 타측에 형성된 구멍(408)을 통하여 삽입되고, 2차측 전선(105)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 및 변압기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를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브루브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종래에는 부하감시시스템에 구비된 프로브에 2차측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여러 번의 단계를 거쳐야 했으나, 단 한번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2차측 전선이 고정 가능하여 단 한번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2차측 전선이 고정 가능함으로 불필요한 노력과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성요소의 감소로 인하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 상별 전압과 전류, 시스템 본체의 내부온도 및 주상변압의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부하감시시스템내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에 있어서,
    전선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하부브라켓; 일단이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홈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는 상부브라켓;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전선을 측부에서 누르고, 동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크류핀; 상기 하부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 상부브라켓을 고정하는 걸이쇠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전류 및 온도 측정 프로브.
KR20-2004-0013652U 2004-05-17 2004-05-17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KR200359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652U KR200359221Y1 (ko) 2004-05-17 2004-05-17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652U KR200359221Y1 (ko) 2004-05-17 2004-05-17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221Y1 true KR200359221Y1 (ko) 2004-08-16

Family

ID=4943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652U KR200359221Y1 (ko) 2004-05-17 2004-05-17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22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654B1 (ko) * 2012-02-06 2013-04-19 주식회사 아이바 부하측정용 프로브
KR101548178B1 (ko) 2014-04-17 2015-09-01 피에스텍주식회사 주상변압기 배전선로의 전압 전류 측정용 프로브
KR101627773B1 (ko) * 2015-12-23 2016-06-08 (주)유림기술단 배전선로의 전압 측정 시스템
KR101847456B1 (ko) * 2017-12-27 2018-04-1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주상변압기용 프로브 유닛
KR101926763B1 (ko) 2018-10-17 2018-12-07 (주)한양케이앤이 주상변압기용 프로브 유닛
KR101985420B1 (ko) * 2018-06-29 2019-06-03 (주)청우전자 전기부하측정용 프로브 및 전기부하측정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654B1 (ko) * 2012-02-06 2013-04-19 주식회사 아이바 부하측정용 프로브
KR101548178B1 (ko) 2014-04-17 2015-09-01 피에스텍주식회사 주상변압기 배전선로의 전압 전류 측정용 프로브
KR101627773B1 (ko) * 2015-12-23 2016-06-08 (주)유림기술단 배전선로의 전압 측정 시스템
KR101847456B1 (ko) * 2017-12-27 2018-04-1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주상변압기용 프로브 유닛
KR101985420B1 (ko) * 2018-06-29 2019-06-03 (주)청우전자 전기부하측정용 프로브 및 전기부하측정 시스템
KR101926763B1 (ko) 2018-10-17 2018-12-07 (주)한양케이앤이 주상변압기용 프로브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3575C2 (ru) Беспроводн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энергии в параллельной цепи
WO2009049499A1 (fr) Dispositif de mesure d'énergie électronique modulaire
US11316349B2 (en) Recloser control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 synchronization
WO2015113522A1 (zh) 用于获取用电信息的装置和方法
EP3267316B1 (e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of power module
KR101548178B1 (ko) 주상변압기 배전선로의 전압 전류 측정용 프로브
KR102019603B1 (ko) 전력량계 봉인장치 및 방법
KR200359221Y1 (ko)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US7746624B2 (en) Current transformer disconnect switch
KR101313281B1 (ko) 스플릿 코일을 가진 고정 설치형 계측 장치
KR101099573B1 (ko) 통신기능 탑재형 배선용 차단기
CN212435433U (zh) 一种智能用电监控装置
KR101208351B1 (ko) 스플릿 타입 관통형 계측 장치
KR20220040908A (ko) 지상 수동개폐기를 활용한 배전선로 고장검출 시스템
CN217087167U (zh) 一种带智能监控的配电柜
KR101818124B1 (ko) 차단기별 부하 전력 상태 감시를 위한 차단기 일체형 전력계측방법
CN212627148U (zh) 一种电气柜综合测控保护装置
CN210863905U (zh) 一种户外的智能低压故障诊断装置
CN208126135U (zh) 电力设备监控装置及远程电力设备监控系统
CN209167858U (zh) 实现各回路智能监测并控制的云端安全用电监控装置
CN209448505U (zh) 一种馈线装置及直流馈线屏
CN102074926A (zh) 单体式火灾监控器
KR101831970B1 (ko) 차단기 일체형 전력계측장치의 운용방법
TW201608253A (zh) 射頻裝置、射頻電路的檢測電路及檢測方法
CN110783900B (zh) 无源保护装置及其监控模块与监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