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654B1 - 부하측정용 프로브 - Google Patents

부하측정용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654B1
KR101256654B1 KR1020120011592A KR20120011592A KR101256654B1 KR 101256654 B1 KR101256654 B1 KR 101256654B1 KR 1020120011592 A KR1020120011592 A KR 1020120011592A KR 20120011592 A KR20120011592 A KR 20120011592A KR 101256654 B1 KR101256654 B1 KR 10125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in
lower bracket
bracket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바
Priority to KR102012001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100)는 상부브라켓(120)과; 중앙에 전선삽입구멍(131)이 형성된 하부브라켓(130)과;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고정부(141)에 설치되며, 상기 전선삽입구멍(131)에 삽입된 전선과 접촉하여 전선의 전압 또는 전류 등을 측정하는 측정핀(140)과; 상기 측정핀(140)의 뾰족한 끝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브라켓(130)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핀보호부(142)와; 상기 측정핀(140)을 전후진 시키는 손잡이(147)와;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부브라켓(120)의 상면에 형성된 걸쇠홈(164)에 체결됨으로써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걸쇠(160)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부하측정용 프로브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분실 및 교체가 불가피 했던 부품들을 보완함으로써 전주 상에서 2차측 전선을 프로브에 삽입하는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하측정용 프로브 {Probe for load measurement}
본 발명은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상변압기 부하 감지 시스템 내에서 전압과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의 인도(人道) 등에 설치되는 지상변압기 혹은 전주에 설치되는 주상변압기는 변전소에서 보내온 높은 전압을 공장 및 가정에서 사용 가능한 낮은 전압으로 변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주상변압기에는 그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부하측정 시스템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부하측정시스템은 변압기와, 부하감시시스템과, 부하측정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1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먼저,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회사는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부하 중심에서 수백Km 떨어진 발전소로부터 전기를 생산하여 이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전송에 따른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전압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부하가 군집된 곳에 변전소를 설치하여 배전전압으로 내린 후, 이를 지중선로 또는 가공선로를 통해 사용자 인근의 변압기로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일반 전압으로 강압한다.
이때, 변압기는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변압시키므로 1차측 전압(변압기로 입력되는 전압) 및 2차측 전압(변압기에서출력되는 전압)은 매우 높기 때문에 변압기에 조그마한 오동작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변압기의 오동작은 주로 변압기의 과부하에 그 원인이 있는데, 이러한 과부하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변압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가 있으며, 더욱이 변압기의 과부하에 기인한 오동작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변압 기능이 수행되지 못할 경우에는 공장이나 가정에 필요이상으로 큰 전압이 공급되거나 매우 낮은 전압이 공급될 수가 있고, 필요이상의 고전압이 공급될 경우 심지어는 화재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전주에는 변전소에서 전력이 송신되는 1차측 전선이 전주의 상단을 통과하고, 상기 1차측 전선에서 소정의 전선이 분기되어 1차측 전압이 변압기로 입력된다. 상기 변압기로 입력된 1차측 전압은 변압기내의 감압회로에 의해 전압이 감소되어 2차측 전압을 생성하고, 2차측 전선에 의해 수용가로 전달된다.
상기에서 감압과정은 상당한 고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많은 전류량의 변화가 있으며, 감압시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므로, 변압기는 열에 의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처럼 변압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수백 또는 수천 가구에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어 사용자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변압기에서 수용가로 흘러가는 2차측 전선 내의 전압과 전류, 시스템 본체의 내부온도 및 주상 변압기의 외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부하감시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부하감시 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화되지 않았으나, 이에 대한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하감시 시스템는 주상 변압기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2차측 전선으로 흘러가는 전압,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데이터화하여 무선으로 각 중앙통제실로 실시간 전송한다.
즉, 무선 통신을 통해 전주에 설치된 변압기의 전류와 전압 등의 부하상태를 실시간으로 중앙 통제부의 배전 운영실로 송신하여 예방조치를 취하게 함으로써 전력의 안정감과 품질을 높여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부하감시 시스템은 주상 변압기의 2차측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상전류 검출수단과, 주상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유기된 각 상의 전압을 검출하는 상 전압 검출수단과, 시스템 본체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내부 온도 검출수단과, 상기 주상 변압기의 외부 온도를 검출하는 외부온도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이를 중앙 통제실로 전송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상기 검출수단은 구체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로브에 2차측 전선을 끼워 전류 및 전압이 측정되어 지는 것이다.
종래기술로써 ‘변압기의 부하 감시 장치’(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689226)에는 변압기의 과부 운전을 예방하기 위한 부하 측정과 더불어 변압기 내부의 절연 열화 여부를 측정할 수 있고, 전력수요가 최대가 되는 하절기를 대비한 부하의 변동 추이를 분석하여 설정 값 이상이 되었을 때 경보를 중앙통제실에 알려줄 수 있으며, 전력선의 부하를 측정하는 장치를 플렉시블(Flexible)한 케이블 형태로 제작하여 작업자의 안전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한 변압기 부하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변압기 부하 감시 시스템은 배전용 변압기의 부하 상태를감시하는 부하 감시 장치에 있어서, 절연성 재질로 피복된 코일로 이루어져 플렉시블(Flexible)하며, 상기 변압기의 출력측 전력선의 부하를 측정하는 부하 측정용 케이블과, 상기 부하 측정용 케이블에 의한 측정값을 받아 데이터화 하고 상기데이터와 기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주상변압기의 과부하 여부를 감시하여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통제실로 제공하는 부하 진단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공개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1에는 배전용 변압기의 부하 상태를 감시하는 부하 감시 장치에 있어서, 절연성 재질로 피복된 코일로 이루어져 플렉시블(Flexible)하며 종단이 선택적으로 삽입 혹은 탈거 가능하도록 삽탈구를 갖는 폐합 잭을 가지며, 폐합잭과 종단을 결합시켜 측정 대상이 되는 상기 변압기의 출력측 전력선을 가운데로 오도록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변압기의 출력측 전력선의 부하를 측정하는 부하 측정용 케이블과; 상기 부하 측정용 케이블에 의한 측정값을 받아 데이터화 하고 상기 데이터와 기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주상변압기의 과부하 여부를 감시하여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통제실로 제공하는 부하진단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하 감시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써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59221)에 의하면, 각 상별 전압과 전류, 시스템 본체의 내부온도 및 주상변압의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부하감시시스템 내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는 프로브에 있어서, 전선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하부브라켓; 일단이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홈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는 상부브라켓;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전선을 측부에서 누르고, 동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크류핀; 상기 하부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 상부브라켓을 고정하는 걸이쇠 개폐기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전류 및 온도 측정 프로브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품에서는 전압과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는 스크류핀 등의 부품분실과, 잠금기능을 가진 탄성부재의 탄성력 감소 등으로 인한 불가피한 부품교체와, 전주 상에서 2차측 전선을 프로브에 삽입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분실 및 교체가 불가피 했던 부품들을 보완함으로써 전주 상에서 2차측 전선을 프로브에 삽입하는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부하측정용 프로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100)는 상부브라켓(120)과; 중앙에 전선삽입구멍(131)이 형성된 하부브라켓(130)과;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고정부(141)에 설치되며, 상기 전선삽입구멍(131)에 삽입된 전선과 접촉하여 전선의 전압 또는 전류 등을 측정하는 측정핀(140)과; 상기 측정핀(140)의 뾰족한 끝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브라켓(130)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핀보호부(142)와; 상기 측정핀(140)을 전후진 시키는 손잡이(147)와;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부브라켓(120)의 상면에 형성된 걸쇠홈(164)에 체결됨으로써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걸쇠(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하측정용 프로브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분실 및 교체가 불가피 했던 부품들을 보완함으로써 전주 상에서 2차측 전선을 프로브에 삽입하는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부하감시시스템의 설치도
도2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걸쇠가 해제된 상태도
도3은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정면도
도4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사시도
도5은 부하측정용 프로브 핀보호부의 실시예
도6은 도7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핀보호부 실시예의 확대도
본 발명은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100)는 상부브라켓(120)과; 중앙에 전선삽입구멍(131)이 형성된 하부브라켓(130)과;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고정부(141)에 설치되며, 상기 전선삽입구멍(131)에 삽입된 전선과 접촉하여 전선의 전압 또는 전류 등을 측정하는 측정핀(140)과; 상기 측정핀(140)의 뾰족한 끝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브라켓(130)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핀보호부(142)와; 상기 측정핀(140)을 전후진 시키는 손잡이(147)와;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부브라켓(120)의 상면에 형성된 걸쇠홈(164)에 체결됨으로써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걸쇠(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120)과 하부브라켓(130)은 힌지(122)로 연결되되, 상기 상부브라켓(120) 하부에는 하부브라켓(130)의 전선삽입구멍(131)에 삽입된 전선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고정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브라켓(120)의 타측에는 걸쇠홈(16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상부 일측에는 힌지(122)로 상부브라켓(120)과 결합되는 힌지돌기(133)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돌기(133) 하부에는 측정핀(140) 손잡이(147)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타측에는 걸쇠돌기(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보호부(142)는 외부블록(block)(144)과, 내부블록(block)(145)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블록(144)은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중앙부에 내부블록(145)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삽입구멍(131)은 다각형 형상이고, 핀보호부(142)에는 삼각홈(146)이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 형상의 전선삽입구멍(131)과 삼각홈(146)은 원형상의 전선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부하감시시스템의 설치도, 도2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걸쇠가 해제된 상태도, 도3은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정면도, 도4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사시도, 도5은 부하측정용 프로브 핀보호부의 실시예, 도6은 도7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핀보호부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측정용 프로브는 상부브라켓과, 중앙에 전선삽입구멍이 형성된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의하여 전, 후진 되는 측정핀과, 상기 하부브라켓의 타측(손잡이의 반대측면)에 설치되어 상부브라켓의 상면에 형성된 걸쇠홈에 체결됨으로써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걸쇠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브라켓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2009376754-pat00001
’형상으로, 일측에는 하부브라켓과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에는 걸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의 고정홈은 하부브라켓에 형성된 전선삽입구멍에 삽입된 전선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브라켓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걸쇠홈은 하부브라켓과의 잠김 및 해제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하부브라켓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2009376754-pat00002
’형상으로, 상기 하부브라켓의 중앙에는 전선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쇠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브라켓의 전선삽입구멍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것으로, 전선의 삽입이 용이할수 있도록 전선삽입구멍은 전선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브라켓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힌지돌기에 상부브라켓이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연결로 인해 상부브라켓은 회동 되어진다.
또한, 상부브라켓을 회동(도2를 참조하면
Figure 112012009376754-pat00003
방향)시킴으로써 하부브라켓의 상부가 개방되어 공간이 확보되고, 작업자는 하부브라켓의 전선삽입구멍에 전선을 삽입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브라켓의 하부에는 코일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코일부는 하부브라켓의 하부를 감싸듯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보빈 및 코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보빈 및 코일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프로브에서 전류 및 전압 등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하부브라켓의 일측에는 전선과 접촉하여 전선의 전압 또는 전류 등을 측정하는 측정핀과, 상기 측정핀을 전, 후방으로 이동 시키는 손잡이가 설치된다.
상기 측정핀은 하부브라켓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핀고정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핀고정부의 측면에는 측정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핀은 핀고정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정핀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체결되어있고, 측정핀 타단의 끝단부는 전선의 전압 또는 전류 등을 측정하기위해 끝이 뾰족한 ‘
Figure 112012009376754-pat00004
’형상으로 되어있다.
즉, 측정핀이 핀고정부의 측면으로 관통되어 있으므로, 핀고정부의 일측에는 측정핀의 일단에 체결된 손잡이가 위치하고, 핀고정부의 타측에는 측정핀의 뾰족한 형상의 끝단부가 위치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핀고정부에 형성된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측정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홈과 나사산은 상기 측정핀이 핀고정부에 삽입되는 깊이(측정핀이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측정핀 외주면의 나사산과, 핀고정부 내주면의 나사홈이 맞물려서 측정핀이 전, 후방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프로브의 설치작업 시 측정핀과 체결되어있는 손잡이를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측정핀의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측정핀의 뾰족한 끝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브라켓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핀보호부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핀보호부는 측정핀의 뾰족한 끝단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핀보호부의 또 다른 실시례로 도7과 도8을 참고하면, 상기 핀보호부는 외부블록(block)과, 내부블록(block)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블록측면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2009376754-pat00005
’형상으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중앙부에 내부블록이 삽입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외부블록의 끝단부에는 내부블록이 빠지지 않도록 홈과,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블록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블록은 ‘
Figure 112012009376754-pat00006
’형상으로, 상기 내부블록의 일면에는 삼각홈이 형성되고, 일면의 양끝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기가 외부블록 끝단부의 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내부블록이 외부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블록의 삼각홈에는 전선삽입구에 삽입된 전선이 접촉 되는 것으로, 상기 삼각홈은 원 형상의 전선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선의 수직단면은 원 형상이므로 원형상의 홈에 원형상의 전선이 접촉되는 것 보다, 삼각형상의 홈에 원형상의 전선이 접촉되면 더 넓은 면적이 접촉되므로 더욱 안정성 있게 전선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블록 내면의 폭과, 내부블록의 외면의 폭은 동일하되, 외부블록 내면의 높이는 내부블록 외면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블록에 삽입된 내부블록은 상, 하로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도6을 참조하면, 각 블록의 폭은 가로길이를 의미하고, 블록의 높이는 세로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선삽입구에 전선을 끼운 뒤, 상기 전선에 측정핀이 닿도록 조절할 때, 상기 측정핀이 전선의 하부를 찌르면 내부블록은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측정핀이 전선의 상부를 찌르면 내부블록은 하부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블록의 상,하로의 움직임은 측정핀이 전선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구멍을 다각형으로 형상시킴으로써, 상기 다각형 형상의 전선삽입구멍이 원 형상의 전선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브라켓의 타측(힌지연결부와, 손잡이의 반대측면)에는 걸쇠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쇠돌기에는 걸쇠가 힌지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걸쇠는 걸쇠작동구와, 걸쇠고리로 구성되되, 걸쇠작동구는 ‘
Figure 112012009376754-pat00007
’형상으로 되어있고, 걸쇠고리는 ‘
Figure 112012009376754-pat00008
’형상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걸쇠고리는 걸쇠작동구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걸쇠작동구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며, 상부브라켓 상면에 형성된 걸쇠홈에 걸림으로써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걸쇠작동구를 아랫방향으로 당기면 걸쇠작동구의 중간부에 연결된 걸쇠고리는 자동으로 아랫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걸쇠작동구를 위쪽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상기 걸쇠고리는 자동으로 위쪽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걸쇠고리는 걸쇠작동구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이해를 돕기위해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하부브라켓에 형성된 걸쇠작동구를 아랫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부브라켓에 체결된 걸쇠고리가 해제되며, 작업자는 상기 상부브라켓을 개방되게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하부브라켓의 상부공간이 확보되어, 전선삽입구멍에 전선이 용이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삽입구멍에 전선이 끼워지면 회동시켯던 상부브라켓을 하부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로 다시 회동시키고, 하부브라켓에 설치된 걸쇠작동구를 위쪽방향으로 밀어올림으로써 걸쇠작동구에 설치된 걸쇠고리가 상부브라켓에 형성된 걸쇠홈에 체결되어 진다. 즉, 전선은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된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측정핀이 전선에 접촉되게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핀은 하부브라켓 하부에 설치되어있는 전선을 통해서 부하감시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핀에 의해 측정된 정보는 부하감시시스템으로 전송되어 데이터화된 후 무선으로 각 중앙통제실에 실시간 전송된다.
즉, 작업자는 전선을 삽입시키기 위하여 걸쇠를 해제하고, 상부브라켓을 회동시킨 후, 상기 전선을 전선삽입구멍에 삽입 하고, 상부브라켓을 다시 회동시키고,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쇠를 체결하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측정핀을 전선에 닿이게 조절함으로써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하측정용 프로브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분실 및 교체가 불가피 했던 부품들을 보완함으로써 전주 상에서 전선(2차측 전선)을 프로브에 삽입하는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프로브 101: 전주
102: 1차측 전선 103: 주상변압기
104: 2차측 전선 105: 부하감시시스템
120: 상부브라켓 121: 고정홈
122: 힌지 123: 상부브라켓돌기
130: 하부브라켓 131: 전선삽입구멍
132: 걸쇠돌기 133: 힌지돌기
134: 코일부
140: 측정핀 141: 핀고정부
142: 핀보호부 144: 외부블록(block)
145: 내부블록(block) 146: 삼각홈
147: 손잡이
160: 걸쇠 161: 걸쇠작동구
162: 걸쇠고리 163: 걸쇠턱
164: 걸쇠홈

Claims (4)

  1. 삭제
  2. 상부브라켓(120)과; 중앙에 전선삽입구멍(131)이 형성된 하부브라켓(130)과;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고정부(141)에 설치되며, 상기 전선삽입구멍(131)에 삽입된 전선과 접촉하여 전선의 전압 또는 전류 등을 측정하는 측정핀(140)과; 상기 측정핀(140)의 뾰족한 끝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브라켓(130)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핀보호부(142)와; 상기 측정핀(140)을 전후진 시키는 손잡이(147)와;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부브라켓(120)의 상면에 형성된 걸쇠홈(164)에 체결됨으로써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걸쇠(160)를 포함하는 부하측정용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120)과 하부브라켓(130)은 힌지(122)로 연결되되, 상기 상부브라켓(120) 하부에는 하부브라켓(130)의 전선삽입구멍(131)에 삽입된 전선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고정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브라켓(120)의 타측에는 걸쇠홈(16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상부 일측에는 힌지(122)로 상부브라켓(120)과 결합되는 힌지돌기(133)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돌기(133) 하부에는 측정핀(140) 손잡이(147)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브라켓(130)의 타측에는 걸쇠돌기(1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정용 프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보호부(142)는 외부블록(block)(144)과, 내부블록(block)(145)으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블록(144)은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중앙부에 내부블록(145)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정용 프로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구멍(131)은 다각형 형상이고, 핀보호부(142)에는 삼각홈(146)이 형성되어, 상기 다각형 형상의 전선삽입구멍(131)과 삼각홈(146)은 원형상의 전선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측정용 프로브
KR1020120011592A 2012-02-06 2012-02-06 부하측정용 프로브 KR10125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592A KR101256654B1 (ko) 2012-02-06 2012-02-06 부하측정용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592A KR101256654B1 (ko) 2012-02-06 2012-02-06 부하측정용 프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654B1 true KR101256654B1 (ko) 2013-04-19

Family

ID=4844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592A KR101256654B1 (ko) 2012-02-06 2012-02-06 부하측정용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6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04B1 (ko) * 2013-09-13 2014-11-20 오찬배 전력 부하 측정용 프로브
KR101468887B1 (ko) * 2013-09-13 2014-12-05 오찬배 전력 부하 측정용 프로브
KR101627773B1 (ko) * 2015-12-23 2016-06-08 (주)유림기술단 배전선로의 전압 측정 시스템
KR101895719B1 (ko) * 2017-05-12 2018-09-05 안생열 전류 및 전압 동시 측정장치
KR101899091B1 (ko) * 2017-03-31 2018-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mi 주상변압기 부하 측정 및 전원공급 프로브
KR101908606B1 (ko) * 2017-10-11 2018-10-16 (주)청우전자 부하측정용 감지장치
KR102217552B1 (ko) * 2020-02-24 2021-02-19 주식회사 젤라인 프로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221Y1 (ko) * 2004-05-17 2004-08-1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KR20070101543A (ko) * 2006-04-11 2007-10-17 (주)가우스 전압측정 프로브장치
KR20110012238A (ko) * 2009-07-30 2011-02-09 (주)플레넷아이엔티 부하측정용 감지기
KR20110056463A (ko) * 2011-05-02 2011-05-30 (주)플레넷아이엔티 부하측정용 감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221Y1 (ko) * 2004-05-17 2004-08-1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주상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내의 부하측정용 프로브
KR20070101543A (ko) * 2006-04-11 2007-10-17 (주)가우스 전압측정 프로브장치
KR20110012238A (ko) * 2009-07-30 2011-02-09 (주)플레넷아이엔티 부하측정용 감지기
KR20110056463A (ko) * 2011-05-02 2011-05-30 (주)플레넷아이엔티 부하측정용 감지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04B1 (ko) * 2013-09-13 2014-11-20 오찬배 전력 부하 측정용 프로브
KR101468887B1 (ko) * 2013-09-13 2014-12-05 오찬배 전력 부하 측정용 프로브
KR101627773B1 (ko) * 2015-12-23 2016-06-08 (주)유림기술단 배전선로의 전압 측정 시스템
KR101899091B1 (ko) * 2017-03-31 2018-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mi 주상변압기 부하 측정 및 전원공급 프로브
KR101895719B1 (ko) * 2017-05-12 2018-09-05 안생열 전류 및 전압 동시 측정장치
KR101908606B1 (ko) * 2017-10-11 2018-10-16 (주)청우전자 부하측정용 감지장치
KR102217552B1 (ko) * 2020-02-24 2021-02-19 주식회사 젤라인 프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654B1 (ko) 부하측정용 프로브
JP6355217B2 (ja) 無線分岐回路エネルギー監視システム
US20200081036A1 (en) Wireless rogowski coil system
US9069009B2 (en) Power line takeoff clamp assembly
PT1614203E (pt) Disjuntor eléctrico
KR101214693B1 (ko) 전력 모니터링 장치
US7746624B2 (en) Current transformer disconnect switch
KR20100132316A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춘 전력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부하별 전력 사용량 분석 장치
GB2450426A (en) Circuit breaker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KR101468887B1 (ko) 전력 부하 측정용 프로브
KR20110012238A (ko) 부하측정용 감지기
KR101313281B1 (ko) 스플릿 코일을 가진 고정 설치형 계측 장치
KR20110056463A (ko) 부하측정용 감지기
US20160033553A1 (en) Intelligent electrical circuit digital amperage display interface
CN205753375U (zh) 一种临时继电保护装置
KR20060134431A (ko) 변압기의 부하 감시 장치
CN211785875U (zh) 配电线路失地检测工具
CN206772451U (zh) 电缆的温度监测装置及温度监测系统
CN207396697U (zh) 变电站直流电源系统中窜入交流量的施加装置
CN202004423U (zh) 电源插座过流保护装置
CN207801216U (zh) 一种适用于开关柜的托架安装型电流互感器的安装结构
KR101462204B1 (ko) 전력 부하 측정용 프로브
CN203758645U (zh) 变压器桩头测温装置
KR101304553B1 (ko) 변압기의 부하감시장치
KR101679024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정격전류 가변식 전류차단기 및 전류차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