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552B1 - 프로브 - Google Patents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552B1
KR102217552B1 KR1020200022465A KR20200022465A KR102217552B1 KR 102217552 B1 KR102217552 B1 KR 102217552B1 KR 1020200022465 A KR1020200022465 A KR 1020200022465A KR 20200022465 A KR20200022465 A KR 20200022465A KR 102217552 B1 KR102217552 B1 KR 10221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lt
cover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철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라인
주식회사 인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라인, 주식회사 인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to KR102020002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 개구되는 전선통과홈(111)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하부 코어와 접촉되는 상부 코어를 구비하는 커버(120)와 상기 본체(110)에 상기 커버(120)를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볼트를 풀어도 일측은 상기 커버(120)가 상기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고 반대되는 타측은 볼트가 상기 커버(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130)과 상기 전선통과홈(111)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통전핀(140)과 상기 전선통과홈(111)에 삽입된 전선을 통전핀(140) 방향으로 눌러주어 상기 통전핀(140)이 상기 전선(L)의 피복을 뚫고 내부 도선과 접촉하게 하는 조임수단(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고, 전기적으로 안전하며, 본체와 커버의 결합이 견고하고 전선과 통전핀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브{PROBE}
본 발명은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전선에 설치되어 부하 측정 및 전원 공급 등을 수행하는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주상변압기에는 전력 사용개소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하선이 연결되어 있다.
주상변압기에는 2차 인하선과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시스템의 주자재인 DCU(Data Concentration Unit) 간을 연결하여 DCU에 전원을 공급하고,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신호를 전달하며, 2차 인하선의 전압과 전류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브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프로브는 본체와 커버가 일측에서 힌지 구조로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에서 상하 탄성 걸쇠 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본체와 커버에는 전선을 감싸는 위치에 각각 코어가 구비된다.
상기한 종래의 프로브는 본체와 커버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힌지 부위가 약해 부러지기 쉽고, 커버가 본체에 대해 열려있는 상태로 낙하하면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에 커버를 잠그는 상하 탄성 걸쇠가 장시간 경과하면 탄성이 약해지므로 접촉부위가 느슨해지고, 본체와 커버의 접촉부위가 느슨해지면 본체에 구비된 코어와 커버에 구비된 코어의 접촉이 불량해져 전류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프로브는 외부로 신호 전달 또는 전력 전달을 위한 통전핀이 전선을 뚫고 지나가는 관통형을 채용함에 따라, 접촉부위가 느슨해져 전선이 유동하면 전기저항이 증가하여 과열이 발생하고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2238호(2011.02.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전기적으로 안전하며, 본체와 커버의 결합이 견고하고, 전선과 통전핀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내구성이 우수한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로 개구되는 전선통과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된 하부 코어와 접촉되는 상부 코어를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를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볼트를 풀어도 일측은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고 반대되는 타측은 볼트가 상기 커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과 상기 전선통과홈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통전핀과 상기 전선통과홈에 삽입된 전선을 통전핀 방향으로 눌러주어 상기 통전핀이 상기 전선의 피복을 뚫고 내부 도선과 접촉하게 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1 체결홀과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연통되는 제2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1 체결홀에 체결되고 단부가 상기 제1 체결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단부에 고정공이 형성된 제1 체결볼트와 상기 제1 체결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체결볼트의 고정공에 걸어지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3 체결홀과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체결홀과 연통되는 제4 체결홀과 상기 제4 체결홀과 상기 제3 체결홀에 체결되고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체결볼트와 상기 제4 체결홀을 내경이 서로 다른 두 공간으로 나누는 단차면과 상기 제2 체결볼트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체결볼트가 상기 제4 체결홀에서 풀리는 과정에서 상기 단차면에 걸어져 상기 제2 체결볼트가 상기 커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링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의 저면에서 상기 단차면 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체결볼트가 상기 제3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2 체결볼트의 나사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다.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2 체결볼트가 상기 제3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최상부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통전핀과 상기 조임수단은 전선과 직교하도록 상기 전선통과홈의 전방에 양측으로 배치되고,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조임수단이 상기 전선을 상기 통전핀 방향으로 조여주는 힘을 가한다.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조임공이 형성된 고정블록과 상기 조임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볼트가 상기 고정블록에서 회전시 상기 고정블록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상기 삽입홈과 직교하게 형성된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볼트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볼트의 나사산 일부에 끼움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끼움 결합된 고정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임볼트의 나사산 일부는 상기 고정판이 끼움 결합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조임볼트의 단부는 단면이 사각형상이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전선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 상기 고정블록, 슬라이드 블록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에 형성한 안착홈에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금속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보강재의 일측은 상기 통전핀를 상기 본체에 구비된 지지블록에 고정하는 연결부와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고정블록의 조임공에 배치된 너트부에 연결된다.
상기 금속보강재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너트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절연처리된다.
본 발명은 볼트를 풀고 본체에 대해 커버를 회전시켜 본체의 전선통과홈을 개방시킬 수 있고, 볼트를 풀더라도 본체에서 커버가 분리되지 않고 볼트도 커버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의 시공 편의성이 높고, 작업 중 커버 또는 볼트가 낙하할 우려가 방지되므로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을 고정하는 조임볼트와 통전핀이 전선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전선을 통전핀 방향으로 조여주는 힘을 가하게 되므로, 고정블록과 슬라이드 블록, 지지블록의 뒤틀림이 방지되고, 내구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임볼트의 단부를 사각 형상으로 가공하고, 고정나사로 고정함으로 조임볼트의 풀림이 방지되고, 고정판으로 슬라이드 블록을 본체에 결합시키므로 조임볼트가 조여지는 힘을 전선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선과 통전핀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드 블록의 내구성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에 쇠구조물인 금속보강재를 삽입하여 고정블록과 지지블록을 지지한다. 따라서 조임볼트가 전선을 조이는 힘에 저항하는 전선의 힘에 대하여 강하게 버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브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체에 커버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체에 커버를 체결수단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체의 전선통과홈에 전선을 삽입하고 커버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임볼트와 고정판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임수단과 통전핀으로 전선을 고정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체에 금속보강재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프로브는 전주 상의 주상변압기 2차측 전선에 설치되고 통전핀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전달되는 구조로, 전선의 부하를 측정하여 원격 검침에 이용하거나 DCU에 전원을 공급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브(100)는 본체(110), 커버(120), 체결수단(130), 통전핀(140) 및 조임수단(15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부로 개구되는 전선통과홈(111)이 형성된다. 전선통과홈(111)에는 전선이 삽입된다. 전선통과홈(111)은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커버(120)는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선통과홈(111)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한다. 커버(120)에는 상부 코어(미도시)가 구비된다. 커버(120)가 본체(110)에 결합되면 커버(120)에 구비된 상부 코어는 본체(110)에 구비된 하부 코어(미도시)와 접촉된다.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는 전선통과홈(111)에 삽입된 전선을 감싸 전류의 감도를 높임으로써 전류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수단(130)은 본체(110)에 커버(120)를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볼트 체결 방식은 본체(110)와 커버(1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본체(110)에 구비된 하부 코어와 커버(120)에 구비된 상부 코어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선에 프로브(100)를 설치하는 작업은,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수행되고, 활선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작업자는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를 본체에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 시, 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로 커버를 본체에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일반적인 볼트 체결 방법으로는 시공이 복잡하고, 작업자가 착용한 절연 장갑으로 인해 볼트를 파지하고 볼트를 볼트홀에 정확하게 삽입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작업중 커버와 볼트가 낙하할 가능성이 높고, 커버가 낙하 시 파손의 위험과 지나가던 사람이 다칠 우려가 있으며, 볼트가 낙하하는 경우 다시 내려가서 볼트를 찾아야 하는 등 번거롭고 위험한 상황이 발생한다.
상기한 이유로, 체결수단(130)은 본체(110)에 커버(120)를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키되, 볼트를 풀어도 커버(120)가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고 볼트도 커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는 체결수단(130)은 본체(110)에 커버(120)를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키되, 볼트를 풀어도 일측은 커버(120)가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고 반대되는 타측은 볼트가 커버(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본체(110)에 대해 커버(120)를 회전시켜 본체(110)의 전선통과홈(111)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체결수단(130)은 본체(110)의 일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1 체결홀(131)과, 제1 체결홀(131)과 대응되게 커버(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체결홀(132)과, 제2 체결홀(132)과 제1 체결홀(131)에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133)를 포함한다. 제1 체결홀(131)과 제2 체결홀(132)은 연통된다. 제1 체결볼트(133)는 제2 체결홀(132)과 제1 체결홀(13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그 단부가 제1 체결홀(13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제1 체결볼트(133)의 단부에 고정공(133a)이 형성된다. 제1 체결홀(13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제1 체결볼트(133)의 고정공(133a)에 고정핀(134)이 걸어진다.
고정핀(134)은 제1 체결볼트(133)가 제1 체결홀(131)에서 풀리는 과정에서, 본체(110)의 제1 체결홀(131)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어져 제1 체결볼트(133)가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체결볼트(133)가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음에 의해 커버(120)가 제1 체결볼트(133)를 회전축으로 하여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고 본체(110)에서 분리되지는 않는다.
또한, 체결수단(130)은 본체(110)의 타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3 체결홀(136)과, 제3 체결홀(136)과 대응되게 커버(120)에 형성되며 제3 체결홀(136)과 연통되는 제4 체결홀(137)과, 제4 체결홀(137)과 제3 체결홀(136)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138)를 포함한다. 제2 체결볼트(138)의 일측에는 좌우로 결합공(138a)이 형성된다. 제2 체결볼트(138)의 결합공(138a)에는 스토퍼링(139)이 결합된다. 스토퍼링(139)은 스냅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4 체결홀(137)에는 제4 체결홀(137)을 내경이 서로 다른 두 공간으로 나누는 단차면(137a)이 형성된다. 단차면(137a)을 기준으로 하부의 제4 체결홀(137c)의 내경이 상부의 제4 체결홀(137b)의 내경에 비해 크다. 단차면(137a)을 기준으로 한 하부의 제4 체결홀(137c)의 내경은 스토퍼링(139)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단차면(137a)을 기준으로 하부의 제4 체결홀(137c)의 내경은 스토퍼링(139)의 외경보다 크다.
스토퍼링(139)은 제2 체결볼트(138)의 결합공(138a)에 결합되어 제2 체결볼트(138)의 외경 일부를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한다. 스토퍼링(139)은 제2 체결볼트(138)가 제4 체결홀(137)에서 풀리는 과정에서 단차면(137a)에 걸어져 제2 체결볼트(138)가 커버(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체결볼트(138)는 전체 길이가 제1 체결볼트(133)에 비해 짧다.
제1 체결볼트(133)는 커버(120)가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체결홀(13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2 체결볼트(138)는 본체(110)에서 분리 가능하고 커버(120)에서는 분리되지 않아야 하므로 제1 체결볼트(133)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볼트(138)는 스토퍼링(139)이 제4 체결홀(137)의 단차면(137a)에 걸어진 상태에서 나사부가 제3 체결홀(136)에 체결된 상태가 분리되어야 한다. 이는 제1 체결볼트(133)를 회전축으로 커버(120)를 회전시킬 때 제2 체결볼트(138)가 제3 체결홀(136)에서 분리되어야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커버(120)의 저면에서 단차면(137a) 까지의 길이(m)는, 제2 체결볼트(138)가 제3 체결홀(136)에 체결된 완전히 조여진 상태에서 커버(120)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볼트(138)의 나사부의 길이(n)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공(138a)은 제2 체결볼트(138)가 제4 체결홀(137)과 제3 체결홀(136)에 체결된 상태에서 커버(120)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최상부의 위치에 형성된다.
제3 체결홀(136)에 스토퍼링(139)을 수용할 수 있는 확장 내경부(136a)가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 내경부(136a)는 제4 체결홀(137)과 제3 체결홀(136)에 제2 체결볼트(138)가 완전히 조여졌을 때, 커버(120)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결합공(138a)에 결합된 스토퍼링(139)을 수용하여, 본체(110)와 커버(120)의 접촉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밀착 접촉되도록 한다. 확장 내경부(136a)의 내경은 스토퍼링(139)의 외경보다 크다.
본체와 커버를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a와 같이, 본체(110)와 커버(120)를 준비한다. 본체(110)는 상부로 개구되는 전선통과홈(155a)이 형성되며 일측에 제1 체결홀(131)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측에 제3 체결홀(136)이 형성된다. 제1 체결홀(131)과 제3 체결홀(136)에는 너트가 매립되어 제1 체결볼트(133)와 제2 체결볼트(138)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커버(120)는 본체(110)의 상면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체결홀(131)과 연통되는 제2 체결홀(132) 및 제3 체결홀(136)과 연통되는 제4 체결홀(137)이 형성된다. 제2 체결홀(132)과 제4 체결홀(137)은 제1 체결볼트(133)와 제2 체결볼트(138)를 체결 시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10)와 커버(120)가 준비되면, 도 3b와 같이, 커버(120)의 제4 체결홀(137)에 제2 체결볼트(138)를 우선 체결한다. 제4 체결홀(137)에 제2 체결볼트(138)를 체결하면, 제2 체결볼트(138)의 결합공(138a)이 커버(120)의 하부로 노출된다. 커버(120)의 하부로 노출된 결합공(138a)에 스토퍼링(139)을 결합한다. 제4 체결홀(137)에서 단차면(137a)을 기준으로 한 하부의 제4 체결홀(137c)은 스토퍼링(139)의 이동을 안내하고, 단차면(137a)은 스토퍼링(139)이 걸어져 제2 체결볼트(138)가 제4 체결홀(137)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c와 같이, 제2 체결홀(132)과 제1 체결홀(131)에 제1 체결볼트(133)를 체결한다. 제2 체결홀(132)과 제1 체결홀(131)에 제1 체결볼트(133)를 체결하면, 도 3d와 같이, 제1 체결볼트(133)의 단부가 본체(110)의 하부로 돌출된다. 제1 체결홀(131)을 통해 본체(110)의 하부로 돌출된 제1 체결볼트(133)의 고정공(133a)에 고정핀(134)을 결합한다. 고정핀(134)은 "ㄱ"자 형태로 제작되어, 고정공(133a)에 끼운 후 도구를 사용하여 "ㄷ"자 형태로 구부려져 완성된다. 이 과정에서, 제2 체결볼트(138)는 제3 체결홀(136)에 체결하지 않고 제1 체결볼트(133)만 제2 체결홀(132)과 제1 체결홀(131)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e와 같이, 제1 체결볼트(133)는 제2 체결홀(132)과 제1 체결홀(131)의 관통하여 체결되고, 제2 체결볼트(138)는 제4 체결홀(137)에만 체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전주에 올라가 프로브를 전선에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e의 상태에서, 제1 체결볼트(133)를 회전축으로 커버(120)의 타측을 본체(110)에 대해 회전하여 전선통과홈(155a)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체결볼트(133)를 회전하여 체결된 상태를 일정부분 풀면 커버(120)의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제1 체결볼트(133)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핀(134)이 본체(110)의 저면에 걸어지므로 제1 체결볼트(133)의 추가적인 풀림이 방지되고 커버(120)가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체결볼트(138)는 본체(110)에서 분리되고, 커버(120)에서 분리되지 않아 볼트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에 대해 커버를 회전시켜 전선통과홈에 전선을 삽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a와 같이, 본체(110)와 커버(120)가 결합되면 본체(110)와 커버(120)는 상면이 일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체결볼트(133)와 제2 체결볼트(138)를 풀어 커버(120)가 본체(1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체결볼트(133)는 고정핀(134)이 본체(110)의 저면에 걸리는 위치까지 풀고, 제2 체결볼트(138)는 스토퍼링(139)이 제4 체결홀(137)의 단차면(137a)에 걸리는 위치까지 푼다.
다음으로, 도 4b와 같이, 제1 체결볼트(133)를 회전축으로 커버(120)의 타측을 본체(110)에 대해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커버(120)를 본체(110)에 대해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도 4c와 같이, 본체(110)의 전선통과홈(111)이 완전히 개방되고 작업자는 전선통과홈(111)에 전선(L)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볼트(138)는 제3 체결홀(136)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므로 커버(120)의 회전이 가능하다.
전선통과홈(111)에 전선을 삽입한 다음에는 커버(120)를 본체(110)의 상면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제2 체결볼트(138)를 조여 제2 체결볼트(138)가 제4 체결홀(137)과 제3 체결홀(136)에 완전히 조여지도록 하고, 제1 체결볼트(133)를 조여 제1 체결볼트(133)가 제2 체결홀(132)과 제1 체결홀(131)에 완전히 조여지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본체(110)의 전선통과홈(111)에 전선(L)을 삽입하고 본체(110)와 커버(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110)와 커버(120)는 볼트 체결로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C)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결합시킬 수 있고, 본체(110)와 커버(120)의 접촉부분으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게 함으로 내부의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C)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전선통과홈(111)을 관통하는 전선(L)을 조임수단(150)으로 조여 전선(L)에 통전핀(140)이 접촉되게 한다. 전선통과홈(111)은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통과홈(111)을 관통하는 전선(L)은 조임수단(150)으로 조여 고정함과 아울러 전선(L)의 내부 도체에 통전핀(140)을 접촉하여 외부로 신호 전달 또는 전력 전달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임수단(150)은 전선통과홈(111)에 삽입된 전선(L)을 통전핀(140) 방향으로 눌러주어 통전핀이 전선(L)의 피복을 뚫고 내부 도선과 접촉하게 한다. 통전핀(140)은 삼각형의 핀이 다수 개 돌출된 악어발 형상으로 형성된다. 악어발 형상의 통전핀(140)은 전선을 관통하는 관통형이 아니고 전선의 일측에서 전선의 피복을 뚫고 전선의 내부 도체와 접촉하는 측면 접촉형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핀(140)과 조임수단(150)은 전선과 직교하도록 전선통과홈(111)의 전방에 양측으로 배치되고,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조임수단(150)이 전선(L)을 통전핀(140) 방향으로 조여주는 힘을 가한다.
도 5에 의하면, 조임수단(150)은 고정블록(151), 조임볼트(153), 슬라이드 블록(155)을 포함한다. 고정블록(151)은 본체(110)의 전방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전선통과홈(111)에 삽입된 전선과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고정블록(151)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151)에 전선통과홈(111)과 직교한 방향으로 조임공(152)이 형성된다. 조임공(152)에는 조임볼트(153)가 체결된다. 조임볼트(153)는 슬라이드 블록(155)을 고정블록(151)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 블록(155)은 조임볼트(153)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156)이 형성된다. 조임볼트(153)가 고정블록(151)의 조임공(152)에서 조여지면 슬라이드 블록(155)은 전선통과홈(111)에 삽입된 전선을 통전핀(14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155)은 전선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155a)이 구비된다. 지지면(155a)은 전선(L)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블록(151)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블록(155)은 ㄷ자 단면을 가지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 블록(155)의 ㄷ자 사이의 공간(S)에 고정블록(151)이 위치하고, 고정블록(151)에 대해 슬라이드 블록(155)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블록(151)의 조임공(152)을 관통하여 체결된 조임볼트(153)의 단부가 슬라이드 블록(155)의 삽입홈(156)에 삽입되고, 삽입홈(156)에 삽입된 조임볼트(153)의 단부는 고정나사(158)로 고정된다.
도 6과 같이, 슬라이드 블록(155)에 삽입홈(156)과 직교하게 고정홀(157)이 형성된다. 고정홀(157)에 고정나사(158)가 체결된다. 고정홀(157)에 체결된 고정나사(158)는 삽입홈(156)에 삽입된 조임볼트(153)의 단부를 눌러 조임볼트(153)의 단부가 삽입홈(156)에 삽입된 상태를 고정한다.
슬라이드 블록(155)의 삽입홈(156)에 삽입된 조임볼트(153)의 단부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임볼트(153)의 단부는 나사부의 끝부분을 사각형으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조임볼트(153)의 단부 측면을 고정나사(158)의 하면이 눌러 고정하고, 조임볼트(153)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임볼트(153)로 전선을 조인 상태에서 장시간 경과하면 자연적인 진동이나 전선의 탄성에 의해 조임볼트(153)가 풀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조임볼트(153)의 단부를 사각형상으로 가공하고, 고정나사(158)로 눌러 고정하면 조임볼트(153)가 자연적인 힘에 의해 풀릴 수 없다.
조임볼트(153)가 조임공(152)에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임볼트(153)의 단부가 슬라이드 블록(155)을 밀어 슬라이드 블록(155)이 고정블록(151)과 멀어지고 통전핀(14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 및 도 7과 같이, 조임수단(150)은 조임볼트(153)의 나사산 일측에 끼움 결합되고 양단이 슬라이드 블록(155)에 끼움 결합된 고정판(160)을 더 포함한다. 고정판(16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하부로 개구되는 아치형의 끼움홈(160a)이 형성된다. 고정판(160)의 끼움홈(160a)에 조임볼트(153)가 끼워진다. 고정판(160)이 끼움 결합되는 조임볼트(153)의 나사산 일부는 홈 형상(153a)으로 가공하여 고정판(16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판(160)은 슬라이드 블록(155)과 조임볼트(153)를 결합한다. 고정판(160)은 슬라이드 블록(155)이 본체(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조임볼트(153)를 전후진할 때 조임볼트(153)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블록(155)이 고정블록(151)에 대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드 블록(155)에는 고정판(160)의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슬릿(159)이 형성된다. 끼움슬릿(159)은 슬라이드 블록(155)의 제작시 형성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본체(110)의 전선통과홈(111)에 전선(L)을 삽입하고 본체(110)와 커버(120)를 결합시킨 다음, 조임볼트(153)를 회전시켜 슬라이드 블록(155)을 전선(L)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드 블록(155)은 전선(L)을 통전핀(14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전선(L)이 통전핀(140)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통전핀(140)이 전선(L)의 피복을 뚫고 전선(L)의 내부 도체에 접촉되며, 프로브(100)를 전선(L)에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조임볼트(153)가 조이는 힘을 전선(L)과 일직선(s) 상에서 가하므로 슬라이드 블록(155)과 통전핀(140)이 전선(L)의 양측에서 전선(L)을 균일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고, 슬라이드 블록(155)과 통전핀(140)이 설치된 지지블록(145)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만약, 조임볼트(153)와 통전핀(140)이 전선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로 전선을 조이는 경우, 전선을 조이는 힘에 저항하는 힘이 생겨 전선을 양측에서 가압하게 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지지블록 간의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프로브(100)를 형성하는 본체(110), 커버(120), 고정블록(151), 슬라이드 블록(155) 및 지지블록(145)은 절연을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10)에 고정블록(151)이 일체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블록(155)은 조임볼트(153)의 단부를 슬라이드 블록(155)에 고정하는 고정나사(158)에 의해 고정블록(15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조임볼트(153)의 단부와 조임볼트(153)의 단부를 슬라이드 블록(155)에 고정하는 고정나사(158)의 단부가 원형이 아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전선의 진동이나 탄성에 의해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155)은 조임볼트(153)와 슬라이드 블록(155)을 결합한 고정판(160)에 의해 본체(110)에 고정되므로 조임볼트(153)가 조이는 힘을 전선(L)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고, 조임볼트(153)가 전선(L)을 조이는 힘에 저항하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15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L)을 조이는 힘에 저항하는 힘을 받는 고정블록(151)과 지지블록(145)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보강재(170)를 더 포함한다. 고정블록(151)과 지지블록(145)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금속재질의 조임볼트(153)가 조이는 힘에 의해 부러지거나 본체(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본체(110)에 안착홈(115)을 형성하고, 안착홈(115)에 금속보강재(170)를 삽입하여 조임볼트(153)의 강력한 조임에 고정블록(151)과 지지블록(145)이 버틸수 있도록 한다.
금속보강재(170)는 ㄷ자 형상으로 된 쇠구조물이다. 금속보강재(170)는 일측이 통전핀(140)을 본체(110)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블록(145)과 본체(110)를 연결하는 연결부(146)와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측은 고정블록(151)의 조임공(152)에 배치된 너트부(154)에 연결된다.
연결부(146)와 너트부(154)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연결부(146)와 금속보강재(170)가 연결되는 부분과 너트부(154)와 금속보강재(170)가 연결되는 부분은 절연처리하여 전기적으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본체(110)는 안착홈(115)이 형성된 상태로 사출 성형된다.
금속보강재(170)는 조임볼트(153)를 수동 드라이브로 조이거나 전동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최대 토크로 조일 경우에도 고정블록(151)과 지지블록(145)을 지지하여 고정블록(151)과 지지블록(145)이 부서지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프로브(100)는 본체(110)에 대해 커버(120)를 회전시켜 본체(110)의 전선통과홈(111)을 개방시킬 수 있고, 전선통과홈(111)에 전선(L)을 삽입한 후에는 본체(110)에 대해 커버(1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110)의 전선통과홈(111)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100)는 본체(110)에 커버(120)를 2개의 체결볼트(133,138)로 결합시키므로, 본체(110)에 구비된 하부 코어와 커버(120)에 구비된 상부 코어가 밀접하게 접촉되고, 장시간 경과하여도 커버(120)와 본체(110)의 결합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지속적으로 전류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있다.
또한, 프로브(100)는 본체(110)와 커버(120)를 고정하는 제1 체결볼트(133)와 제2 체결볼트(138)에 고정핀(134)과 스토퍼링(139)이 결합되어 있어, 볼트를 풀어도 일측은 커버(120)가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고 반대되는 타측은 볼트가 커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따라서 작업 중 커버 또는 볼트가 낙하할 우려가 방지되고 작업자의 시공 편의성도 높아진다.
또한, 프로브(100)는 조임볼트(153)와 통전핀(140)이 전선(L)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전선(L)을 통전핀(140) 방향으로 조여주는 힘을 가하게 되므로, 고정블록(151)과 슬라이드 블록(155)과 지지블록(145)의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프로브(100)는 고정나사(158)로 조임볼트(153)의 단부(153b)를 슬라이드 블록(155)에 고정하고, 고정판(160)으로 슬라이드 블록(155)을 본체(110)에 결합시키므로 조임볼트(153)가 조여지는 힘을 전선(L)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고 슬라이드 블록(155)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100)는 조임볼트(153)의 단부와 조임볼트(153)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나사(158)가 가압하므로 조임볼트(153)의 자연적인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프로브(100)는 금속보강재(170)를 더 포함하여 조임볼트(153)를 수동 드라이브로 조이거나 전동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최대 토크로 조일 경우에도 고정블록(151)과 지지블록(145)을 지지하여 고정블록(151)과 지지블록(145)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로브 110: 본체
111: 전선통과홈 120: 커버
130: 체결수단 131: 제1 체결홀
132: 제2 체결홀 133: 제1 체결볼트
133a: 고정공 134: 고정핀
136: 제3 체결홀 137: 제4 체결홀
138: 제2 체결볼트 138a: 결합공
139: 스토퍼링 140: 통전핀
145: 지지블록 146: 연결부
150: 조임수단 151: 고정블록
152: 조임공 153: 조임볼트
153a: 홈 형상 153b: 단부
154: 너트부 155: 슬라이드 블록
155a: 지지면 156: 삽입홈
157: 고정홀 158: 고정나사
159: 끼움슬릿 160: 고정판
170: 금속보강재 115: 안착홈
C: 코어 L: 전선

Claims (15)

  1. 상부로 개구되는 전선통과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된 하부 코어와 접촉되는 상부 코어를 구비하는 커버;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를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볼트를 풀어도 일측은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고 반대되는 타측은 볼트가 상기 커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
    상기 전선통과홈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통전핀; 및
    상기 전선통과홈에 삽입된 전선을 통전핀 방향으로 눌러주어 상기 통전핀이 상기 전선의 피복을 뚫고 내부 도선과 접촉하게 하는 조임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3 체결홀;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체결홀과 연통되는 제4 체결홀;
    상기 제4 체결홀과 상기 제3 체결홀에 체결되고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체결볼트;
    상기 제4 체결홀을 내경이 서로 다른 두 공간으로 나누는 단차면; 및
    상기 제2 체결볼트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체결볼트가 상기 제4 체결홀에서 풀리는 과정에서 상기 단차면에 걸어져 상기 제2 체결볼트가 상기 커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링;
    을 포함하는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제1 체결홀;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연통되는 제2 체결홀;
    상기 제2 체결홀과 상기 제1 체결홀에 체결되고 단부가 상기 제1 체결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단부에 고정공이 형성된 제1 체결볼트; 및
    상기 제1 체결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 체결볼트의 고정공에 걸어지는 고정핀;
    을 포함하는 프로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체결홀에 상기 스토퍼링을 수용할 수 있는 확장 내경부가 형성된 프로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면에서 상기 단차면 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체결볼트가 상기 제3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2 체결볼트의 나사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것인 프로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2 체결볼트가 상기 제3 체결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최상부의 위치에 형성된 프로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핀과 상기 조임수단은 전선과 직교하도록 상기 전선통과홈의 전방에 양측으로 배치되고,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조임수단이 상기 전선을 상기 통전핀 방향으로 조여주는 힘을 가하는 프로브.
  8. 상부로 개구되는 전선통과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구비된 하부 코어와 접촉되는 상부 코어를 구비하는 커버;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를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볼트를 풀어도 일측은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고 반대되는 타측은 볼트가 상기 커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
    상기 전선통과홈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통전핀; 및
    상기 전선통과홈에 삽입된 전선을 통전핀 방향으로 눌러주어 상기 통전핀이 상기 전선의 피복을 뚫고 내부 도선과 접촉하게 하는 조임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수단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조임공이 형성된 고정블록;
    상기 조임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볼트;
    상기 조임볼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볼트가 상기 고정블록에서 회전시 상기 고정블록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블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상기 삽입홈과 직교하게 형성된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어 상기 조임볼트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나사;
    를 포함하는 프로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의 나사산 일부에 끼움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끼움 결합된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프로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의 나사산 일부는 상기 고정판이 끼움 결합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된 프로브.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조임볼트의 단부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프로브.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전선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이 구비된 프로브.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고정블록, 슬라이드 블록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프로브.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한 안착홈에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금속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보강재의 일측은 상기 통전핀를 상기 본체에 구비된 지지블록에 고정하는 연결부와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측은 상기 고정블록의 조임공에 배치된 너트부에 연결되는 프로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보강재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너트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절연처리된 프로브.
KR1020200022465A 2020-02-24 2020-02-24 프로브 KR102217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65A KR102217552B1 (ko) 2020-02-24 2020-02-24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65A KR102217552B1 (ko) 2020-02-24 2020-02-24 프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552B1 true KR102217552B1 (ko) 2021-02-19

Family

ID=7468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65A KR102217552B1 (ko) 2020-02-24 2020-02-24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5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59Y1 (ko) * 2000-06-07 2001-03-15 김병기 중, 대형 구경의 나사구조
KR20040057815A (ko) * 2002-12-26 2004-07-02 (주)에디테크 전력전송계의 계측장치 및 계측방법
KR20110012238A (ko) 2009-07-30 2011-02-09 (주)플레넷아이엔티 부하측정용 감지기
KR101256654B1 (ko) * 2012-02-06 2013-04-19 주식회사 아이바 부하측정용 프로브
KR101474512B1 (ko) * 2014-01-14 2014-12-22 (주)세창 걸쇠와 클립바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구조
KR101548178B1 (ko) * 2014-04-17 2015-09-01 피에스텍주식회사 주상변압기 배전선로의 전압 전류 측정용 프로브
KR101899091B1 (ko) * 2017-03-31 2018-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mi 주상변압기 부하 측정 및 전원공급 프로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59Y1 (ko) * 2000-06-07 2001-03-15 김병기 중, 대형 구경의 나사구조
KR20040057815A (ko) * 2002-12-26 2004-07-02 (주)에디테크 전력전송계의 계측장치 및 계측방법
KR20110012238A (ko) 2009-07-30 2011-02-09 (주)플레넷아이엔티 부하측정용 감지기
KR101256654B1 (ko) * 2012-02-06 2013-04-19 주식회사 아이바 부하측정용 프로브
KR101474512B1 (ko) * 2014-01-14 2014-12-22 (주)세창 걸쇠와 클립바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구조
KR101548178B1 (ko) * 2014-04-17 2015-09-01 피에스텍주식회사 주상변압기 배전선로의 전압 전류 측정용 프로브
KR101899091B1 (ko) * 2017-03-31 2018-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mi 주상변압기 부하 측정 및 전원공급 프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465B1 (ko) 케이블 단부의 접속장치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US9601841B2 (en) Wire terminal assembly and adapter kit
KR100943428B1 (ko) 배전선 지지용 절연애자
KR102217552B1 (ko) 프로브
US6734355B1 (en) Ground connector
US10727613B2 (en)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s
US4842530A (en) Electrical floating bond assembly
US6710251B2 (en) Fiber optic cable shield bond system
KR100960153B1 (ko) 특고압 송전용 가공선 고정애자
USRE37724E1 (en) Kenny clamp
JP2008267857A (ja) ブッシング用試験端子
CN208736908U (zh) 电能表表托插件
US7402061B1 (en) Structure of energy-efficient lamp base
KR101099853B1 (ko) 변류기 고정장치
CN211700626U (zh) 一种母线接地预装置
CN109216950A (zh) 一种电力工程接地装置
US6345993B1 (en) Compact branch connector for at least one branch neutral cable into a main neutral cable and simultaneous grounding
CN204694749U (zh) 电能计量用穿刺线夹
CN109510160B (zh) 一种带指示的电缆分支箱
US6000963A (en) Contact element with a connection for stranded conductors
KR200453958Y1 (ko) 회로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량계
KR20080047662A (ko) 전선 연결 장치
CN220569931U (zh) 一种电源线快接装置
US4298240A (en)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