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980Y1 -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980Y1
KR200358980Y1 KR20-2004-0006731U KR20040006731U KR200358980Y1 KR 200358980 Y1 KR200358980 Y1 KR 200358980Y1 KR 20040006731 U KR20040006731 U KR 20040006731U KR 200358980 Y1 KR200358980 Y1 KR 200358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skating
skiing
ice
tri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사균
Original Assignee
홍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사균 filed Critical 홍사균
Priority to KR20-2004-0006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3/00Accessories for skates
    • A63C3/06Supports for use whilst strapping skates on to boo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25Short sk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35Skis or snowboards with ground engaging roll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06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conversion into another devic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상이나 빙상의 어느 환경에서도 자유롭고 안전하게 스키 또는 스케이팅 동작을 연출하여 스키 또는 스케이트의 겨울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스키 겸용 스케이트의 구성은 바닥창(10) 하부에 일체성 있게 형성되며 단면이 반원으로 이루워진 곡면부(20)와, 상기 곡면부(2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있는 심재(32), 상기 심재(32)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곡면부(20)에 지지되는 삼각안내부(34)와, 이 삼각안내부(34) 하단에 전후보다 중앙이 더 돌출되어 유선형태의 칼날부(36)로 이루어진 삼각날(30)을 포함한다. 따라서, 둥근 바닥창에 한 쌍의 삼각날을 구비하여 설상이나 빙상의 어느한 곳에서 스키나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으며, 안정된 자세로 스키나 스케이드 동작을 이루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빙상이나 설상의 손상이나 마모를 최소화하여 시설관리를 도모하고 신발의 묶음을 간소화하면서 견고하게 하여 안정된 자세로 스키나 스케이트를 보다 즐겁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Ski Combined Skate}
본 고안은 스키와 스케이트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키와 스케이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설상이나 빙상의 어느 환경에서도 자유롭고 안전하게 스키 또는 스케이팅 동작을 연출하여 스키 또는 스케이트의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와 스케이트는 설상과 빙상의 조건에 맞는 형태로 만들어져서 각각의 환경에서 즐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키는 폭이 좁고 긴 형태의 글라스파이버·메탈제(製)로 평면형태로 만들어져 설상에서 추진력에 의해 미끄럼동작을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설상에서는 미끄럼동작을 연출하여 스키를 이용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으나, 빙상에서는 설상과 같은 안정감 있는 적정한 미끄럼이 아니라 자세 조정이 불가능 할 정도의 심한 미끄럼동작에 의하여 스키를 즐길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설상에서 안정한 미끄럼 동작을 유발하기 위하여 부츠 하단에 소정의 칼날을 부착한 스케이트가 있으나, 이는 빙상에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설상에서의 사용을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사용되오고 있는 스키와 스케이트는 설상과 빙상에서만 전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로 구입하게 되므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과 설상 또는 빙상에서 한정된 사용을 하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좁아서 다양한 스포츠 문화를 이룰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빙상이나 설상의 어느 면에서도 스키나 스케이트와 같은 몸동작으로 안정되고 자유롭게 스피드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걸림턱이나 불규칙한 노면등에서도 안정된 추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과다한 미끄럼방지를 이룸으로서 균형있는 자세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스키와 스케이트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키 겸용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키 겸용 스케이트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키 겸용 스케이트의 다른 방향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창 20 : 곡면부
30 : 삼각날 32 : 심재
34 : 삼각안내부 36 : 칼날부
40 : 마찰판 44,44a,46,46a, : 연결끈
50 : 보울트 52 : 브라켓트
100 : 스키 겸용 스케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는, 바닥창의 윗면에 슈우가 고정설치되고 바닥창의 전방이 상부로 경사지고 바닥창 하면으로 하나의 날부가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 하부에 일체성있게 형성되며 단면이 반원으로 이루워진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있는 심재, 상기 심재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곡면부에 지지되는 삼각안내부와, 이 삼각안내부 하단에 전후보다 중앙이 더 돌출되어 유선형태의 칼날부로 이루어진 삼각날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상기 삼각날은 심재없이 상기 곡면부에 보울트로 고정되는 브라켓트에 한 쌍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키 겸용 스케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키 겸용 스케이트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키 겸용 스케이트의 다른 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창(10)의 윗면에 슈즈를 고정하는 마찰판(40)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마찰판의 양측으로 매직테이프(42)로 결속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결끈(44)(44a)(46)(46a)이 전후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삼각날(30)이 배치되어 스키 겸용 스케이트(100)가 구성된다.
상기 바닥창(10)은 전방이 상부로 경사지고 하부에 일체성 있게 단면이 반원으로 된 곡면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곡면부(20) 중앙 소정영역에는 하나의 삼각날(30)이 한 쌍이 설치되어 있다.
삼각날(30)은 심재(32)의 하단에 삼각안내부(34)가 연결되고 삼각안내부(34)의 하단에는 칼날부(36)가 일체성 있게 형성된다.
상기 심재(32)는 곡면부(2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삼각안내부(34)의 상면은 곡면부(20)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36)는 전후보다 중앙이 더 돌출되어 유선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칼날부(36)은 적어도 5㎜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끈(44)(44a)(46)46a)는 결속의 편리함과 신속함을 위하여 밸크로(매직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신발을 묶어 주는 수단이면 모두가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삼각날(30)은 심재(32)가 없이 상기 곡면부(20)에 보울트(50)로 고정되는 브라켓트(52)에 한 쌍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바닥창(10)의 마찰판(40)에 신발을 딛으면 마찰판(40)과 신발바닥창이 견고한 밀착력을 유지하게 되고 바닥창(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끈(44)(44a)(46)(46a)을 통하여 신발등을 묶게 되면 안전한 스키 겸용 스케이트(100)의 착용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착용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직립상태로 일어설 수 있는데, 이는 바닥창(10)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삼각날(30)이 평행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균형유지가 안정되어서 스키나 스케이트 자세를 확립할 수 있다.
따라서 양손에 도시를 생략한 폴대를 잡고 스키와 같은 동작으로 저어 나가면 설상에서의 스키를 즐기게 되고 폴대없이 다리를 이용하여 슬라이딩하면 스케이트 동작으로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다.
여기서 불균형적인 설상에서는 바닥창(10)의 전면부에 상부로 경사져 있어서 추진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바닥창(10)의 하면부에는 곡면부(20)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링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여 안전한 스키를 즐길 수 있게 한다.
또한 한 쌍의 삼각날(30)이 형성되어 있어서 설상 스키시 옆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므로 안정된 사용을 이루게 한다.
한편, 빙상에서도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는데, 이때에는 폴대가 필요없이 두 다리를 제쳐나가는 형태의 동작으로 가능하게 된다.
즉, 곡면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삼각날(30)의 칼날부(36)을 통하여 빙상에서의 미끄럼동작을 연출하여 스피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여기서도 삼각날(3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빙상마모를 최소화하고 하중분산이 되기 때문에 빙상면의 보호를 이루면서 안전한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으며, 유선형태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턱이나 고르지못한 빙상면에서의 안전한스케이팅을 이루게 한다.
한편, 상기 칼날부(36)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곡면부(20)에 보울트(50)로 고정되는 브라켓트(52)에 한 쌍을 고정함으로써 브라켓트(52)만을 곡면부(20 하단에 대응하고 보울트(50)로 조립함으로써 곡면부(20)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지는 삼각날(36)의 부착을 보다 용이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둥근바닥창에 한 쌍의 삼각날을 구비하여 설상이나 빙상의 어느 한 곳에서 스키나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으며, 안정된 자세로 스키나 스케이드 동작을 이루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빙상이나 설상의 손상이나 마모를 최소화하여 시설관리를 도모하고 신발의 묶음을 간소화하면서 견고하게 하여 안정된 자세로 스키나 스케이트를 보다 즐겁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바닥창(10)의 윗면에 슈우가 고정설치되고 바닥창(10)의 전방이 상부로 경사지고 바닥창(10) 하면으로 하나의 날부가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10) 하부에 일체성있게 형성되며 단면이 반원으로 이루어진 곡면부(20)와;
    상기 곡면부(2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있는 심재(32), 상기 심재(32)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곡면부(20)에 지지되는 삼각안내부(34)와, 이 삼각안내부(34) 하단에 전후보다 중앙이 더 돌출되어 유선형태의 칼날부(36)로 이루어진 삼각날(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날(30)은 심재(32) 없이 상기 곡면부(20)에 보울트(50)로 고정되는 브라켓트(52)에 한 쌍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KR20-2004-0006731U 2004-03-09 2004-03-09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KR200358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731U KR200358980Y1 (ko) 2004-03-09 2004-03-09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731U KR200358980Y1 (ko) 2004-03-09 2004-03-09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980Y1 true KR200358980Y1 (ko) 2004-08-21

Family

ID=4943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731U KR200358980Y1 (ko) 2004-03-09 2004-03-09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9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19B1 (ko) 2013-01-18 2014-04-09 김재억 대나무재질의 산악용 스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19B1 (ko) 2013-01-18 2014-04-09 김재억 대나무재질의 산악용 스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465500A1 (fr) Planche a neige
JP4778424B2 (ja) 人体移動装置
US4363495A (en) Sloping-terrain vehicle
US20170007900A1 (en) Stand-on 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US20070120335A1 (en) Skateboard ski with spring suspension
US7837232B2 (en) Protective ski appliance
KR200358980Y1 (ko) 설상 및 빙상용 스키 겸용 스케이트
CA2369489A1 (en) Short ski
FR2623724A1 (fr) Patin a neige
KR101777056B1 (ko) 롤러스케이트로 변환가능한 스케이트보드
US20150121725A1 (en) Snowshoe
ES2265059T3 (es) Esqui sobre ruedas.
CA2914913C (en) Snowboard
KR200299863Y1 (ko) 인라인스키
KR200316657Y1 (ko) 인라인스키
KR200435676Y1 (ko) 3륜 스케이트 보드
KR200372428Y1 (ko) 스키보드
CN201441806U (zh) 陆地轮式滑雪板
KR100588052B1 (ko) 스노우 스케이트
KR900007739Y1 (ko) 미끄럼 방지구와 스케이트날을 겸설한 신발
WO2017192150A1 (en) Stand-on-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KR200265756Y1 (ko) 퀵 스노보드
WO1997032635A1 (es) Sistema de desplazamiento mediante patines con bastones de control incorporados y libres de sujecion integral a los pies
KR980006756U (ko) 롤러 스키
US20190247735A1 (en) Snowboard, assembly, and training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