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641Y1 - 에어컨용수평블레이드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용수평블레이드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641Y1
KR200358641Y1 KR2019980027638U KR19980027638U KR200358641Y1 KR 200358641 Y1 KR200358641 Y1 KR 200358641Y1 KR 2019980027638 U KR2019980027638 U KR 2019980027638U KR 19980027638 U KR19980027638 U KR 19980027638U KR 200358641 Y1 KR200358641 Y1 KR 200358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horizontal blade
fastening
link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335U (ko
Inventor
경 수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19980027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64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결링크를 설치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링크에 발생되는 수직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에어컨의 작동시 또는 운반중의 충격발생시에도 상기 연결링크가 쉽게 틀어지지 않도록 한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에어컨의 토출구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하면으로 각각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수평블레이드 설치부와, 상,하부로 상기 제1 체결공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가 각각 형성된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하면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체결공의 후방으로 상기 제2 체결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와는 달리 연결링크가 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평블레이드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fixing the horizontal-blades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작동시나 운반중 충격시 에어컨의 수평블레이드가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창문형 에어컨과,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에어컨 및 패키지형 에어컨으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한편, 상기 분리형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크게 이루어지며, 실내기로는 열을 흡수하여 실내에 냉풍을 공급하는 증발기가 실외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실외기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방출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 부터 나오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켜 실내기의 증발기로 보내주는 모세관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에어컨을 보인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형 에어컨 본체(10)의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에어컨 내부에서 열교환된 냉풍이 토출되는 토출구(30)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흡입구(20)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30)를 통해 열교환된 냉풍을 토출시키는 송풍팬(도시안됨)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컨의 토출구에는 열교환된 냉풍의 토출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한 수직블레이드(40)와 수평블레이드(5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블레이드(50)는 냉풍의 상,하 토출방향을 조정하고, 수직블레이드(40)는 냉풍의 좌,우 토출방향을 조정한다. 이 수직 및 수평블레이드(40)(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즉 수동으로 또는 스텝핑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그 위치가 가변되어 냉풍의 토출방향을 가변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토출구를 보인 내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의 토출구(30) 후면에는 사각의 수평블레이드 설치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31)의 상,하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32a,b)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면으로는 다수의 고정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블레이드(50)의 양측 끝단으로 고정축(51)을 갖으며 중앙 일측으로는 링크연결축(52a)을 구비한 링크연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30)의 후방에는 수평블레이드(50)를 고정하는 연결링크(60)가 장착되는데, 상기 연결링크(60)의 상,하부로는 설치부(31)의 체결공(32a,32b)에 삽입되는 체결부(61a,61b)가 돌출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수평블레이드(50)의 링크연결축(52a)이 삽입되도록 삽입공(62a)이 형성된 고정편(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블레이드(50)를 토출구(30)의 수평블레이드 설치부(31)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블레이드(50)의 고정축(51)을 설치부(31)의 고정홈(33)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어, 연결링크(60)의 체결편(62)에 형성된 체결공(62a)을 수평블레이드(50)의 링크연결부(52)에 형성된 링크연결축(52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그 상,하에 형성된 체결부(61a,61b)를 설치부(31)의 체결공(32a,32b)에 각각 삽입시킴으로써, 고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수평블레이드는 연결링크(60)의 상,하에 형성된 체결부(61a,61b)를 설치부(31)의 체결공(32a,32b)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체결부와 체결공의 사이에 일정한 조립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연결링크(60)를 억지끼움하는 과정에서 수직하중에 의해 휨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컨의 구동시나 운반시 에어컨이 외부충격을 받게되면 연결링크(60)의 체결부(61a,61b)가 조립틈새에 의해 체결공(32a,32b)내의 소정각도로 틀어지면서, 수평블레이드(50)의 링크연결축(52a)이 상기 연결링크(60)의 삽입공(62a)에서 이탈됨으로써 원할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연결링크(60)가 휜상태에서는 그 이탈현상이 더욱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결링크를 설치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링크에 발생되는 수직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에어컨의 작동시 또는 운반중의 충격발생시에도 상기 연결링크가 쉽게 틀어지지 않도록 한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에어컨의 토출구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하면으로 각각 제1 체결공이 형성된 수평블레이드 설치부와, 상,하부로 상기 제1 체결공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가 각각 형성된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이 하면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체결공의 후방으로 상기 제2 체결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3은 종래의 에어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토출구를 보인 내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격합상태를 보인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토출구 131 : 설치부
132a,132b : 체결공 133 : 제2 체결공
134 : 고정축 150 : 수평블레이드
151 : 고정축 152 : 링크연결부
152a : 링크연결축 160 : 연결링크
161a,161b : 제1 체결부 162 : 체결편
162a : 체결공 163 : 지지축
164 : 제2 체결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의 토출구(130)의 후면에는 사각의 수평블레이드 실치부(131)가 형성되며, 이 설치부(131)의 상,하면 일측으로는 각각 제1 체결공(132a,132b)이 형성되고, 하부의 제1 체결공(132b) 후방에는 제2 체결공(133)이 형성되며, 양측면으로는 다수의 고정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블레이드(150)의 양측 끝단으로 고정축(151)을 갖으며 중앙 일측으로는 링크연결축(152a)을 구비한 링크연결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130)의 후방에는 수평블레이드(150)를 고정하는 연결링크(160)가 장착되는데, 상기 연결링크(160)의 상,하부로는 설치부(131)의 제1 체결공(132a,132b)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161a,161b)가 돌출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수평블레이드(150)의 링크연결축(152a)이 삽입되도록 삽입공(162a)이 형성된 고정편(1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160)의 상부면 일측으로는 지지축(163)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축(163)의 하부면으로 제2 체결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블레이드(150)를 설치부(131)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상기 수평블레이드(150)의 고정축(151)을 설치부(131)의 고정홈(134)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어, 연결링크(160)의 고정편(162)에 형성된 삽입공(162a)을 수평블레이드(150)의 링크연결부(152)에 형성된 링크연결축(152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링크(160)의 제1 체결부(161a,161b)를 설치부(131)의 제1 체결공(132a,132b)에 각각 결합하고, 지지축(163)의 제2 체결부(164)를 제2 체결공(133)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고정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길링크(16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본체측 하부의 제1 체결부(161b)와 지지축(163) 하부의 제2 체결부(164)에 의해 2개의 지지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링크(160)의 장착시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일자형의 본체와 지지축(163)으로 분산됨으로써, 상기 연결링크(160)가 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링크(1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에어컨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종래와는 그 하부가 2개의 지지점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링크가 쉽게 틀어지지 않게 되어 수평블레이드(150)의 링크연결축(152a)이 삽입공(162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링크의 일측으로 제2 체결부를 갖는 지지축을 구비하여, 설치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직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상기 연결링크가 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에어컨의 작동시 또는 운반중의 충격발생시에도 연결링크가 틀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수평블레이드의 링크연결축이 연결링크의 삽입공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수평블레이드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에어컨의 토출구(130)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하면으로 각각 제1 체결공(132a,132b)이 형성된 수평블레이드 설치부(131)와, 상,하부로 상기 제1 체결공(132a,132b)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161a,161b)가 각각 형성된 연결링크(160)를 포함하는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160)의 일측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6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163)의 하면에는 제2 체결부(164)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31)의 하면에는 상기 제1 체결공(132b)의 후방으로 상기 제2 체결부(164)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제2 체결공(1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수평블레이드 고정장치.
KR2019980027638U 1998-12-30 1998-12-30 에어컨용수평블레이드고정장치 KR200358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638U KR200358641Y1 (ko) 1998-12-30 1998-12-30 에어컨용수평블레이드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638U KR200358641Y1 (ko) 1998-12-30 1998-12-30 에어컨용수평블레이드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335U KR20000014335U (ko) 2000-07-25
KR200358641Y1 true KR200358641Y1 (ko) 2004-11-09

Family

ID=4943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638U KR200358641Y1 (ko) 1998-12-30 1998-12-30 에어컨용수평블레이드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6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4B1 (ko) 2016-02-04 2016-07-13 강영모 냉난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4B1 (ko) 2016-02-04 2016-07-13 강영모 냉난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335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302B1 (ko) 공기조화기
KR10213325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358641Y1 (ko) 에어컨용수평블레이드고정장치
KR100360235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
KR10044110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KR100445340B1 (ko) 토출그릴의 이슬형성 방지구조
KR20020027965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조
KR200198162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실외기설치구조
KR0128923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지지대
KR100371346B1 (ko) 제습기의 하우징 구조
KR100511952B1 (ko) 산소발생 공기조화기
KR10045237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10033506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39331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모터 고정장치
KR100345085B1 (ko) 에어콘의 흡입구 프론트 패널
KR200221819Y1 (ko) 공조기기
KR200177721Y1 (ko) 에어콘의실내기
KR101016304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서비스밸브 설치구조
KR20030073355A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지지구조
KR20010027697A (ko) 에어컨 실외기
KR0172925B1 (ko) 분리형 에어콘의 실외기
KR20020036422A (ko) 제습기의 송풍 모터 취부 장치
KR100432692B1 (ko) 필터장착이 용이한 에어컨의 다방면 흡입판넬 구조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KR19990071200A (ko)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