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186Y1 -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186Y1
KR200358186Y1 KR20-2004-0012232U KR20040012232U KR200358186Y1 KR 200358186 Y1 KR200358186 Y1 KR 200358186Y1 KR 20040012232 U KR20040012232 U KR 20040012232U KR 200358186 Y1 KR200358186 Y1 KR 200358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ay platform
subway
smoke
platfor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구
Original Assignee
곽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구 filed Critical 곽동구
Priority to KR20-2004-0012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철 승강장에서 화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시키는 지하철용 배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된 유독가스 등의 연기를 차량통로를 통해 배기시킬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된 연기를 배연하는 것에 있어서,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한 연기가 차량통로로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차량통로와 인접한 지하철 승강장의 천장에 제트 팬과 같은 배연장치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된 연기가 지하철 승강장의 지하철 대합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지하철 승강장의 계단통로를 통해 대피하는 승객의 질식사 등의 인명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Apparatus for exhausting smoke in subway platform}
본 고안은 지하철 승강장에서 화재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시키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 등의 연기가 지하철 승강장의 계단통로를 통해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로 인한 대피승객의 질식사 등 인명피해를 방지하고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은 차량으로 인한 도시의 교통체증, 물류비용, 공해문제 등을 일거에 해소하는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정부차원에서의 지원 하에 그 구간을 점차 확대 및 장려하고 있는 실정이며, 지하철이 갖는 신속성, 쾌적성, 안전성, 친환경성과 같은 여러 장점으로 인하여 점차 교통 분담비율이 계속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지하철은 많은 시민이 이용하는 특성상 재해나 사고 발생시 수많은 생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불안정한 국제환경으로 인한 각종 테러의 위험과 사회불안에 따른 불특정 다수를 향한 방화 등의 범죄행위로 인하여 지하철의 위험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방화참사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철 내에서의 화재발생은 화재발생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유독가스 등의 연기로 인하여 무고한 많은 시민의 생명을 앗아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엄청난 경제적 사회적 비용 및 국가적 이미지의 실추 등 우리 사회에 많은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철 역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로 인해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엄청난 양의 유독가스 등의 연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연기의 대부분은 지하철 승강장(100)과 지하철 대합실(110)의 계단통로(200)를 따라 배기되는데, 그 이유는 계단통로(200)가 굴뚝의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화재 발생시 순간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연기는 배기의 흐름이 원활한 쪽으로 배기가 집중되는데, 지하철 역사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다란 굴뚝과 같은 구조물의 역할을 하게 되고, 계단통로(200)는 굴뚝과 같은 연통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화재 등에 의해 유독가스 등의 연기가 발생될 경우, 대부분의 연기는 계단통로(200)를 통해 배기되므로 계단통로(200)를 통해 대피하는 승객을 몰살시키는 치명적인 원인이 되었다. 또한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유독가스 등의 연기는 정전사고와 맞물려 지하철 승강장(100) 내의 시야를 더욱 어둡게 하므로 계단통로(200)를 통해 대피하는 승객의 탈출을 방해하여 인명피해를 가중시키고, 신속한 화재진압을 저해하는 문제점으로 작용되었다.
한편, 지하철 승강장(100)에는 환기를 위한 덕트(610)가 설치되어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시킬 수 있으나, 기존의 지하철 승강장(100)에 시공된 배기용량은 대부분 지하철 승강장(100)에서의 환기를 위해 설계 시공된 상태이므로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를 신속하고 충분하게 배기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지하철 승강장(100)에 설치된 덕트(610)를 통한 배기는 극히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지하철 승강장(100) 양측의 차량통로(300)에는 일정 간격으로 환풍기(400)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환풍기(400)는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고, 또한 건물 및 공조저항에 의해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발생된 연기를 효과적으로 강제 흡기하여 배기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발생된 대부분의 연기는 지하철 승강장(100)의 계단통로(200)를 통해 배출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지하철 승강장(100)의 배연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철 역사 내의 공조실에 대용량의 환풍설비를 설치하고, 지하철 승강장(100)에 추가로 대용량의 덕트(610)를 설치하는 등의 제연설비를 추가로 시공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시공 중에 있는 지하철 역사에는 적용 가능할 수 있으나, 시공이 완료된 대부분의 지하철 역사에 적용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지하철 역사가 이러한 제연설비의 확장에 따른 추가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설계 시공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제연설비의 확장시공을 위해서는 지하철 역사의 구조를 대대적으로 개조할 수밖에 없으며, 이 과정에서 지하철 역사 건물의 구조적 안전문제, 과도한 시공비용, 고가의 환풍설비 구입비용 등이 발생되어 현실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바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100)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른 안전시스템의 핵심은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얼마나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기하는가에 따라 결정될 것이나,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지하철 역사의 구조물의 문제점과 경제적 타당성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대구 지하철 방화참사가 발생한지 1년이 지나도록 지하철 승강장 내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른 효과적인 배연방법이 확실하게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하철 승강장에서 화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를 지하철 승강장의 계단통로가 아닌, 차량통로 측으로 배기되도록 하여 계단 통로를 통해 대피하는 승객의 질식사 등의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하철 역사의 건물 구조를 개조하지 않고도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된 연기를 차량통로에 측으로 배기되도록 하여 낮은 비용으로 지하철 승강장의 배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철 승강장의 기존 공조설비와 연계하여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한 연기를 챠량통로에 설치된 환풍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철 승강장의 배연과정을 나타낸 지하철 역사 건물의 개략 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와 지하철 승강장의 배연과정을 나타낸 지하철 승강장의 개략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와 지하철 승강장의 배연과정을 나타낸 지하철 승강장의 개략 종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트 팬의 다른 설치 예를 나타낸 지하철 승강장의 개략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를 나타낸 지하철 승강장의 배연과정을 나타낸 지하철 승강장의 개략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하철 승강장110 : 지하철 대합실
200 : 계단통로300 : 차량통로
400 : 환풍기500 : 환풍구
600 : 공조기610 : 덕트
620 : 디퓨저700,710 : 제트 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된 연기를 배연하는 것에 있어서,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된 연기를 차량통로 측으로 배기되도록 차량통로와 인접한 지하철 승강장의 천장에 배연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와 지하철 승강장의 배연과정을 나타낸 지하철 승강장의 개략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와 지하철 승강장의 배연과정을 나타낸 지하철 승강장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는 차량통로(300)와 인접한 지하철 승강장(100)의 천장에 제트 팬(700)과 같은 배연장치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러한 제트 팬(700)은 도 3 이외에 도 4에서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100) 중 급기덕트(610) 측에 인접되도록 지하철 승강장(100)의 천장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100)의 천장 중앙에 트윈형의 제트 팬(71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지하철 승강장(100)의 구조에 따라 적정하게 그 설치위치와 종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화재나 폭발물의 폭발 등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지하철 승강장(100)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 등의 작동에 의해 제트 팬(700)을 가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트 팬(700)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한 제트 흡입력을 발생시켜 지하철 승강장(100)의 천장 부근의 연기를 지하철 승강장(100) 양측의 차량통로(300) 측으로 신속하게 배기시키게 되고, 제트 팬(700)에 의해 차량통로(300)로 배기된 연기는 차량통로(300)에 설치된 환풍기(400) 및 환풍구(500)를 통해 지상으로 배기된다.
따라서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발생된 연기는 지하철 승강장(100)의 계단통로(200) 측으로 배기되지 않으므로 지하철 승강장(100)의 계단통로(200)를 통해 대피하는 승객이 질식사되는 치명적인 인명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발생한 연기의 신속한 배기는 지하철 승강장(100) 내의 시야를 확보하므로 승객의 대피를 돕는 역할을 하며,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고, 또한 지하철 승강장(100) 및 대합실(110) 등의 내장재가 연기로 인해 오염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해 지하철 승강장(100)에 설치된 제트 팬(700)은 지하철 승강장(100)에 설치된 기존의 공조시스템과 연계하여 지하철 승강장(100)에서의 화재 발생으로 인한 연기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배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 팬(700)의 가동과 함께 지하철 승강장(100)에 설치된 덕트(610)와 디퓨저(620)를 통해 외기를 급기시키므로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발생된 연기가 제트 팬(700)을 통해 차량통로(300) 측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배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고가의 공조기(600)를 별도를 설치하지 않고도 지하철 승강장(100)에서의 화재 등으로 인한 연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기시키므로 지하철 승강장(100)의 배연을 위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지하철 역사의 건물구조를 개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배연장치의 경우에는 본 고안에서 설명한 제트 팬 이외에 제트 팬과 유사한 기능의 라인팬과 같은 팬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통로와 인접한 지하철 승강장의 천장에 제트 팬과 같은 배연장치를 설치하여 지하철 승강장에서 화재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차량통로에 설치된 환풍구 측으로 배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된 연기가 지하철 승강장의 계단통로가 아닌, 차량통로 측으로 배기되도록 하여 지하철 승강장의 계단통로를 통해 대피하는 승객의 질식사 등의 인명피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트 팬과 같은 배연장치의 설치만으로 지하철 승강장의 제연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달성하므로 고가의 공조기를 추가로 구입하거나 지하철 역사의 건물의 개조가 불필요하게 되는 등 낮은 비용으로 지하철 승강장의 제연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지하철 승강장의 기존 공조설비와 본 고안에 따라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된 제트 팬을 연동시켜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한 연기를 차량통로 측으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기시키는 유용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지하철 승강장에서 발생된 연기를 배연하는 것에 있어서,
    지하철 승강장(100)에서 발생된 연기를 차량통로(300) 측으로 배기되도록 차량통로(300)와 인접한 지하철 승강장(100)의 천장에 배연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연장치는 제트 팬(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KR20-2004-0012232U 2004-04-30 2004-04-30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KR200358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32U KR200358186Y1 (ko) 2004-04-30 2004-04-30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32U KR200358186Y1 (ko) 2004-04-30 2004-04-30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186Y1 true KR200358186Y1 (ko) 2004-08-07

Family

ID=4943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232U KR200358186Y1 (ko) 2004-04-30 2004-04-30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1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9942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JP3977190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101088341B1 (ko) 터널의 양방향 환기.배연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42504A1 (en) Tunnel cover for a tunnel for controlled ventilation of gas
WO2010021005A1 (en) Ventilation system for railway tunnels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CN108561170A (zh) 一种兼具逃生与防火功能的隧道通风系统
KR200358186Y1 (ko)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장치
CN110593936B (zh) 隧道用空气幕防排烟系统及使用该系统进行隧道防排烟的方法
EP1025340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facilitating rescuing and evacuating operations from closed rooms
KR20050105036A (ko) 지하철 승강장용 배연방법
CN208011992U (zh) 一种火灾疏散防排烟集成系统
KR20130124037A (ko) 승강장 제연 설비 시스템
KR20130006253U (ko) 제연 시스템 댐퍼
KR100529046B1 (ko) 지하철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
KR101647073B1 (ko) 에어커튼식 화연 차단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지하 구조물
KR102337826B1 (ko) 장대 터널에 설치되는 횡류식 터널 구조물 및 횡류식 터널 구조물의 배연방법
KR20170133126A (ko) 지하철의 승강장 배연 장치
CN208330435U (zh) 一种兼具逃生与防火功能的隧道通风系统
CN112843527A (zh) 综合管廊通风区间单元及管廊火灾处理方法
JP6840210B2 (ja) ガス系消火設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1461845U (zh) 综合管廊通风区间单元
CN214499127U (zh) 一种隧道火灾报警及通风排烟系统
Vuilleumier et al. Safety Aspects of the Lötschberg Railway Tunnel & Mont-Blanc Road Tunnel
KR102243704B1 (ko) 터널 사이드에 복수설치가 가능한 임펠러 없는 환기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