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015Y1 -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 Google Patents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015Y1
KR200358015Y1 KR20-2004-0013253U KR20040013253U KR200358015Y1 KR 200358015 Y1 KR200358015 Y1 KR 200358015Y1 KR 20040013253 U KR20040013253 U KR 20040013253U KR 200358015 Y1 KR200358015 Y1 KR 200358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pulse
wire cable
breakag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2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남서
Original Assignee
이남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서 filed Critical 이남서
Priority to KR20-2004-0013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01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015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1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using pulse reflection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거나 해저에 가설된 전선케이블의 피복이 파손되는 경우 그 파손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kage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and a breakage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cover of the wire cable embedded in the ground or the seabed is broken, the breakage can be detected as well as the position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kable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and a broken position detecting device.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선과 상기 도선 주위를 감싸는 절연체인 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피복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피복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신호용 도선이 소정의 피치로 나선형으로 감겨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conductor and a sheath that is an insulator wrapped around the wire, and wherein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can detect breakage of the sheath, wherein the inside of the insulator sheath is provided. At least one pulse signal conductor is spirally wound at a predetermined pitch and embedded therei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펄스신호용 도선으로 송출하고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으로부터 펄스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일단에 연결된 제1펄스송수신기와,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로 발신하고, 상기 제1펄스송수기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송출시간과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에 수신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수신시간으로부터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여부를 분석하고 그 파손위치를 산출하는 제1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eakage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to send to the pulse signal conductor of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nd to receive the pulse signal from the pulse signal conductor A first pulse transmitter connected to one end of a pulse signal conductor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pulse receiver to the first pulse transmitter, and the waveform an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transmitter and And a first controller which analyzes whether or not the dam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is damaged from a waveform and a reception time of the puls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pulse transmitter and calculates the damage position.

Description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Wire cable and device for detecting damage location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본 고안은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거나 해저에 가설된 전선케이블의 피복이 파손되는 경우 그 파손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kage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and a breakage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cover of the wire cable embedded in the ground or the seabed is broken, the breakage can be detected as well as the position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kable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and a broken position detecting device.

일반적으로 전선케이블은 지상에 설치된 전신주나 철탑에 걸쳐져 가설된다.In general, wire cables are laid across telephone poles or pylons installed on the ground.

그러나, 전신주나 철탑을 이용한 전선케이블의 가설은 도시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전신주나 철탑의 설치에 따른 가설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시지역을 위주로 전선케이블의 지중에 매설되어 가설되는 지중케이블이 증가하고 있다.However, the hypothesis of the wire cable using the telephone pole or the pylon has a disadvantage of not only harm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but also requires a lot of temporary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telephone pole or the pylon. Therefore, in recent years, underground cables, which are laid and laid in the ground of electric wire cables, have been increasing mainly in urban areas.

또한, 섬지역에 대한 전기의 공급을 위해 육지와 섬이 마주보는 지역에 철탑을 설치하여 전선케이블을 가설하기도 하나 육지와 섬 사이의 거리가 매우 먼 경우에는 해저를 통해 전선케이블을 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island area, a wire tower i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land and the island face each other, bu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and and the island is very long, it is common to install the wire cable through the sea floor. to be.

그러나, 전선케이블이 지중에 매설된 경우 전선케이블이 손상되거나 파손된 경우에 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된 전선케이블을 매 구간별로 검사하여 파손된 부분이 포함된 구간을 개략적으로 파악한 다음에 그 구간에 대해서는 지중에 매설된 전선케이블을 지상으로 들어내 파손된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지중에 매설된 전선케이블의 파손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However, if the cable is buried in the ground, in order to find out the location of the cable when it is damaged or broken, inspect the wire cable embedded in the ground for each section to identify the section that contains the broken parts. For the section,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location of the wire cable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cost is high because it is necessary to lift the cable laid in the ground to find the exact location of the cable.

마찬가지로, 전선케이블이 해저에 가설된 경우 전선케이블의 파손된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해저케이블을 해상으로 노출시켜 검사해야 한다.Similarly, if wire cables are placed on the sea floor, the cables should be exposed to the sea to find the damaged location.

특히, 전선케이블이 지중에 매설되거나 해저에 가설된 경우 전선케이블이 완전히 파손되어 전기의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만 파손여부가 파악되기 때문에 전선케이블이 완전히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기의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쉽다.In particular, when wire cable is buried in the ground or placed on the sea floor, the wire cable is completely damaged and the breakage of the power cable is only detected. It is easy to cause safety acciden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거나 해저에 가설된 전선케이블을 지상 또는 해상으로 노출시키지 않고서도 그 파손여부 및 파손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maged position that can detect the damage and the location of the damage without exposing the wire cable laid in the ground or placed on the seabed to the ground or se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ectable wire cable and a device for detecting a breakage position thereof.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거나 해저에 가설된 전선케이블이 완전히 파손되기 전에 미리 그 파손여부 및 파손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oken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and its broken position detecting device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damage and the location of the damage before the wire cable buried in the ground or placed on the sea floor completely damaged. .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을 그 피복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oken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a part of its coating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이 해저에 가설되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maged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is installed on a sea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maged position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장치의 구성 및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nd principle of a damage location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Short description of the major reference symbols>

10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11 도선10 Damage location detection wire cable 11 lead wire

12a,12b 피복 13,14 펄스신호용 도선12a, 12b sheath 13,14 pulse signal conductor

21 제1펄스송수신기 23 제1컨트롤러21 First Pulse Transmitter 23 First Controller

31 펄스수신기 41 제2펄스송수신기31 Pulse receiver 41 Second pulse transmitter

43 제2컨트롤러43 2nd Controll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선과 상기 도선 주위를 감싸는 절연체인 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피복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피복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신호용 도선이 소정의 피치로 나선형으로 감겨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conductor and a sheath that is an insulator wrapping around the wire, and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n detect breakage of the sheath. In the cable, at least one pulse signal conductor is spirally wound and embedded in the insulator sheath at a predetermined pitch.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펄스신호용 도선으로 송출하고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으로부터 펄스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일단에 연결된 제1펄스송수신기와,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로 발신하고, 상기 제1펄스송수기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송출시간과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에 수신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수신시간으로부터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여부를 분석하고 그 파손위치를 산출하는 제1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eakage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te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to send out the pulse signal conductor of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nd to receive a pulse signal from the pulse signal conductor A first pulse transmitt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pulse transmitter to the first pulse transmitter, and the waveform and transmission time of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transmitter And a first controller for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dam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is damaged from a waveform and a reception time of the puls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pulse transmitter, and calculating the damage posi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타단으로 전달된 펄스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타단에 연결된 펄스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eakage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s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 to receive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receiver to the other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 It further comprises a receiv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으로 송출하고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으로부터 펄스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타단에 연결된 제2펄스송수신기와,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로 발신하고, 상기 제2펄스송수기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송출시간과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에 수신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수신시간으로부터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여부를 분석하고 그 파손위치를 산출하는 제2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eakage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te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to be sent to the pulse signal lead wire and to receive the pulse signal from the pulse signal lead wire to the other end of the pulse signal lead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pulse transmitter and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cond pulse receiver to the second pulse receiver, and the waveform and transmission time of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ulse transmitter to the second pulse receiver And a second controller for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damage location detectable wire cable is broken from the waveform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received pulse signal and calculating the damage lo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am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nd the damag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을 그 피복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a portion of the coating.

전선케이블(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선(11)과 상기 도선 주위를 감싸는 절연체인 피복(12a,12b)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3개의 도선(11) 각각이 1차 피복(12a)으로 감싸여 서로 절연되고, 3개의 도선 전체가 2차 피복(12b)으로 감싸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선케이블(10)의 파손은 상기 피복(12a,12b)이 손상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1차 피복(12a)은 2차 피복(12b)으로 감싸여 보호되고 2차 피복(12b)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전선케이블(10)의 파손의 문제는 주로 2차 피복(12b)이 파손되는 문제로 귀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10)은 그 파손여부 및 파손위치의 감지를 위해 상기 2차 피복(12b) 내부에 펄스신호용 도선(13,14)이 소정의 피치(P)로 나선형으로 감겨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은 하술하는 펄스송수신기에 의해 발생된 펄스신호가 전달되는 통로이다. 만일 상기 2차 피복(12b)이 파손되면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도 손상 또는 단선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펄스신호의 전달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이 손단선되면 펄스신호는 그 부분에서 반사되어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하술하는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상기와 같이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펄스신호용 도선(13,14)으로 송출하여 그 전달되는 펄스신호의 파형 등의 변화와 반사된 펄스신호를 감지하여 전선케이블(10)의 파손여부 및 그 파손위치를 감지한다.The wire cable 10 includes at least one conductor 11 and sheaths 12a and 12b which are insulators surrounding the conductors. The drawing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each of the three conductors 11 is wrapped with a primary sheath 12a and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ntire three conductors are wrapped with a secondary sheath 12b. Breakage of the wire cable 10 means that the sheaths 12a and 12b are damaged. In general, since the primary sheath 12a is wrapped and protected by the secondary sheath 12b and the secondary sheath 12b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oblem of breakage of the wire cable 10 is mainly caused by the secondary sheath 12b. It results in the problem of being broken. Accordingly, in the damaged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re predetermined within the secondary sheath 12b to detect whether the damaged position and the damaged position are pres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ral wound in a pitch (P).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re passages through which pulse signals generated by the pulse transmitter and receiver described below are transmitted. If the secondary sheath 12b is broken,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re also damaged or broken, thereby causing an abnormality in the transmission of the puls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re broken, the pulse signal is reflected from the portion and travel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above-described damage position detecting device generates a pulse signal as described above, sends it out to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detects a change in the waveform of the transmitted pulse signal, and the like and reflects the reflected pulse signal of the wire cable 10. Detect whether there is damage or its location.

한편, 보다 정확한 파손여부 및 파손위치의 파악을 위해서는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이 가능한 촘촘하게 감기는 것이 적당하다. 즉,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피치(P)는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펄스신호용 도선(13,14)을 촘촘하게 감는 경우에는 그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선케이블(10)의 단위 길이당 감기는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길이가 매우 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펄스신호(13,14)는 펄스신호용 도선(13,14)을 통해 전달되면서 감쇄된다. 따라서, 정확한 감지를 위해서는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길이는 소정 길이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정 길이 이내의 펄스신호용 도선(13,14)을 보다 긴 길이의 전선케이블(10) 전체에 걸쳐 감기 위해서는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피치(P)를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는 보다 정확한 감지를 위해 펄스신호용 도선(13,14)을 촘촘하게 감아야 하는 조건과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피치(P)는 서로 배치되는 2개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적당한 크기(예를 들면 2Cm)를 갖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여러개의 펄스신호용 도선(13,14)을 동시에 감아 해결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는 2개의 펄스신호용 도선(13,14)이 감긴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의 펄스신호용 도선(13,14)을 각각 4Cm의 피치(P)로 감으면 결과적으로 이웃하는 도선(13과 14) 사이의 피치(P')는 2Cm가 된다. 즉, 펄스신호용 도선(13,14) 각각의 피치(P)는 크게함으로써 소정 길이 이하의 길이를 갖는 펄스신호용 도선(13,14)이 감길 수 있는 전선케이블(10)의 길이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이웃하는 펄스신호용 도선(13과14) 사이의 간격은 촘촘하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파손여부 및 위치의 감지가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it is appropriate to wound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s closely as possible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amage. That is, the pitch P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is preferably as small as possible. However, in the case of tightly winding the pulse signal leads 13 and 14, the cost increases and the length of the pulse signal leads 13 and 14 wound per unit length of the wire cable 10 becomes very large. In general, the pulse signals 13 and 14 are attenuated while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Therefore, for accurate detection, the length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is preferably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Therefore, in order to wind the pulse signal leads 13 and 14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ire cable 10, it is desirable to make the pitch P of the pulse signal leads 13 and 14 as large as possible. . However, this is arranged in a condition that the wires 13 and 14 for the pulse signal are tightly wound for more accurate detection. Therefore, the pitch P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should be adjusted to have a suitable size (e.g., 2 Cm) that satisfies both of the two conditions disposed therebetween.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winding several pulse signal leads 13 and 14 simultaneously. For example, there is shown an embodiment in which two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re wound. When the respectiv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re wound with a pitch P of 4 cm, respectively, the result is a neighboring conductor. The pitch P 'between 13 and 14 is 2 cm. That is, by increasing the pitch P of each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the length of the wire cable 10 that can be wound by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having a length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increased. As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pulse signal leads 13 and 14 becomes dense, more accurate detection of damage and position is possible.

상기와 같은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10)에는 하술하는 파손위치 감지장치가 연결되어 그 파손여부 및 그 위치가 감지된다.The damage location detecting wire cable 1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a damage location detection device described below, and whether or not the damage is detected.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이 해저에 가설되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장치가가 연결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장치의 구성 및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maged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is installed on a sea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maged position detecting device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nd principle of a breakag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시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펄스송수신기(21)와 제1컨트롤러(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amaged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ulse transmitter 21 and the first controller 23 installed at one end of the damaged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10. .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는 소정의 펄스신호(St)를 발생시켜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10)의 펄스신호용 도선(13,14)으로 송출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케이블(10)의 파손으로 펄스신호용 도선(13,14)이 손상 또는 단선된 부분으로부터 반사되어 전달된 펄스신호(Sr)를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는 상기 전선케이블(10)의 일단에 위치된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일단에 연결된다.The first pulse receiver 21 generates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St and transmits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of the damaged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10 to the wire cable 10 as described above. This is for receiving the pulse signal Sr ref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damaged or disconnected portion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due to the breakage from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located at one end of the wire cable 10.

상기 제1컨트롤러(23)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로 발신하고, 상기 제1펄스송수기(21)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St)의 파형 및 송출시간과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에 수신된 반사 펄스신호(Sr)의 파형 및 수신시간으로부터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10)의 파손여부를 분석하고 그 파손위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전선케이블(10)이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St)는 반사되지 않고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타단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에 반사 펄스신호(Sr)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선케이블(10)이 정상적인 경우로 볼 수 있으며, 반사 펄스신호(Sr)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전선케이블(1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컨트롤러(23)는 펄스신호의 속도와 송출시간 및 수신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로부터 펄스신호가 반사되는 위치, 즉 펄스신호용 도선(13,14)이 손상 또는 단선된 위치까지의 거리(L)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troller 23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to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and transmits the pulse signal St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Breakage of the broken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10 is analyzed from the waveform and the sending time of the waveguide) and the time and the waveform of the reflected pulse signal (Sr) received by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Calculate. For example, when the wire cable 10 is normal, the pulse signal St sent from the first pulse receiver 21 is not reflected bu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nds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ccordingly, when the reflected pulse signal Sr is not detected by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the wire cable 10 may be regarded as a normal case, and when the reflected pulse signal Sr is detected, the wire cable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10).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23 is a position where the pulse signal is reflected from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from the speed,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pulse signal, that is,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re damaged or disconnect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stance L to the position.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10)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St)를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타단에서 검출하기 위한 펄스수신기(31)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mag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lse receiver for detecting the pulse signal (St)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receiver 10 at the other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 (13, 14) ( 31) further.

상기 펄스수신기(31)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타단으로 전달된 펄스신호(Ss)를 수신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가 정상적인 경우, 즉 전선케이블(10)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St)가 상기 펄스수신기(31)로 수신되며,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펄스수신기(31)로 펄스신호(Ss)가 전달되지 않거나 그 파형에 이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펄스수신기(31)로 수신된펄스신호(Ss)로부터 전선케이블(10)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e pulse receiver 31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receives the pulse signal Ss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receiver 21 to the other ends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Connected to the other end. When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are normal, that is, when the wire cable 10 is normal, the pulse signal St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receiver 21 is received by the pulse receiver 31,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ulse signal wires 13 and 14, the pulse signal Ss is not transmitted to the pulse receiver 31 o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wavefor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abnormality of the wire cable 10 from the pulse signal (Ss) received by the pulse receiver 31.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와 제1컨트롤러(23)가 연결된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일단의 반대쪽 단, 즉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타단에 연결된 제2펄스송수신기(41)와 제2컨트롤러(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41)와 제2컨트롤러(43) 각각은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와 제1컨트롤러(23) 각각과 대동소이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주요 특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mag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posite end of one end of the pulse signal wire (13, 14) connected to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and the first controller 23, that is for the pulse signal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pulse transmitter 41 and the second controller 43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conductive wires (13, 14). Since each of the second pulse transmitter 41 and the second controller 4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each of the first pulse receiver 21 and the first controller 23, only the main feature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신호가 펄스신호용 도선(13,14)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거리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케이블(10)의 길이가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이 감길 수 있는 길이보다 커지는 경우에는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와 제1컨트롤러(23)가 감지 가능한 전선케이블의 한계길이(Lf) 이상을 넘어선 부분에 대해서는 전선케이블(10)의 파손여부 및 그 위치 감지가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와 제1컨트롤러(23)가 연결된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일단의 반대측 단, 즉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타단에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41)와 제2컨트롤러(43)를 연결함으로써 해결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와 제1컨트롤러(23)가 감지 가능한 전선케이블(10)의 한계길이(Lf) 이상을 넘어선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13,14)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41)와 제2컨트롤러(43)에 의해 그 파손여부와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that the pulse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is limited. Therefore, when the length of the wire cable 10 is larger than the length that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can be wound,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may be used. And the portion beyond the limit length (Lf) of the wire cable that can be detected by the first controller (23) it becomes impossible to detect the damage and the position of the wire cable (10). This problem is caused by the opposite end of one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connected to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and the first controller 23,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This can be solved by connecting the two-pulse receiver 41 and the second controller 43. That is, for a portion beyond the limit length Lf of the wire cable 10 that can be sensed by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and the first controller 2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The second pulse transmitter 41 and the second controller 43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s 13 and 14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y are damaged.

한편,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와 제1컨트롤러(23)가 감지 가능한 한계길이(Lf)는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로부터 상기 전선케이블(10)이 파손된 위치까지 송출 펄스신호(St)가 지난 거리와 상기 전선케이블(10)이 파손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까지 반사 펄스신호(Sr)가 지난 거리의 절반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St)는 상기 전선케이블(10)의 길이가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21)와 제1컨트롤러(23)가 감지 가능한 전선케이블(10)의 한계길이(Lf)를 넘어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41)로 전달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41)는 상기 펄스수신기(31)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사용되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mit length (Lf) that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and the first controller 23 can detect the output pulse signal from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to the position where the wire cable 10 is damaged ( It corresponds to half of the distance over which the reflected pulse signal Sr passes from the distance past St) and the position where the wire cable 10 is broken to the first pulse transmitter 21. Accordingly, the pulse signal St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receiver 21 may have a length of the wire cable 10 that the first pulse receiver 21 and the first controller 23 can detect. It may be delivered to the second pulse transmitter 41 beyond the limit length (Lf) of. Thus, the second pulse receiver 41 may be used to serve the same role as the pulse receiver 31.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지중에 매설되거나 해저에 가설된 전선케이블을 지상 또는 해상으로 노출시키지 않고서도 그 파손여부 및 파손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amaged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and the damaged position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 the damage and the damaged position without exposing the wire cable embedded in the ground or the seabed to the ground or the sea. It has the advantage to do i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지중에 매설되거나 해저에 가설된 전선케이블이 완전히 파손되기 전에 미리 그 파손여부 및 파손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breakage position sensing wire cable and the breakage position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found in advance whether the breakage and the damage position before the wire cable is completely buried in the ground or placed on the seab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 및 그 파손위치 감지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damaged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and the damaged position detect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embodiments which have been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long as it is one of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선과 상기 도선 주위를 감싸는 절연체인 피복을 포함하며 상기 피복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에 있어서,A breakage position detectable wire cable comprising at least one conductor and a sheath that is an insulator surrounding the conductor and capable of detecting breakage of the sheath, 상기 절연체 피복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펄스신호용 도선이 소정의 피치로 나선형으로 감겨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At least one pulse signal conductor is spirally wound at a predetermined pitch and embedded in the insulator coating.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제1항의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펄스신호용 도선으로 송출하고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으로부터 펄스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일단에 연결된 제1펄스송수신기와,A first pulse transmitt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pulse signal to the pulse signal conductor of the breakable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of claim 1 and receiving a pulse signal from the pulse signal conductor;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로 발신하고, 상기 제1펄스송수기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송출시간과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에 수신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수신시간으로부터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여부를 분석하고 그 파손위치를 산출하는 제1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위치 감지장치.Send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pulse transmitter to the first pulse receiver, sends and outputs the waveform and time of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transmitter, and the waveform of the puls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pulse transmitter, And a first controller for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damaged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is damaged from a reception time and calculating the damaged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펄스송수신기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타단으로 전달된 펄스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타단에 연결된 펄스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위치 감지장치.A broken position detection of the broken position detecting possible wire cable further comprises a pulse receiv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 for receiving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pulse receiver to the other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으로 송출하고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으로부터 펄스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펄스신호용 도선의 타단에 연결된 제2펄스송수신기와,A second pulse receiv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ulse signal conductor to generate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send the pulse signal conductor to the pulse signal conductor, and receive the pulse signal from the pulse signal conductor;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로 발신하고, 상기 제2펄스송수기로부터 송출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송출시간과 상기 제2펄스송수신기에 수신된 펄스신호의 파형 및 수신시간으로부터 상기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여부를 분석하고 그 파손위치를 산출하는 제2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위치 감지가능 전선케이블의 파손위치 감지장치.Send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cond pulse transmitter to the second pulse receiver, sends and outputs a waveform and a transmission time of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ulse transmitter, a waveform of the puls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pulse transmitter, and And a second controller for analyzing whether the damaged position detecting wire cable is damaged from a reception time and calculating a damaged position.
KR20-2004-0013253U 2004-05-13 2004-05-13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KR20035801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53U KR200358015Y1 (en) 2004-05-13 2004-05-13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53U KR200358015Y1 (en) 2004-05-13 2004-05-13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015Y1 true KR200358015Y1 (en) 2004-08-02

Family

ID=4943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253U KR200358015Y1 (en) 2004-05-13 2004-05-13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015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83B1 (en) * 2008-03-07 2009-12-24 주식회사 케이티 Tamper Detection Cable
KR101248207B1 (en) 2011-06-28 2013-03-27 주식회사 경신 Apparatus for sensing vehicles battery cable breakage
KR101313966B1 (en) * 2013-03-15 2013-10-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 breakdown sensing system of liner film connection
KR20150036895A (en) * 2013-09-30 2015-04-08 한국전력공사 Discrimination and restoration method for detecting fault section of submarine cable
WO2022015417A1 (en) * 2020-07-17 2022-01-20 Commscope Technologies Llc Mmwave sensing for cable identific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783B1 (en) * 2008-03-07 2009-12-24 주식회사 케이티 Tamper Detection Cable
KR101248207B1 (en) 2011-06-28 2013-03-27 주식회사 경신 Apparatus for sensing vehicles battery cable breakage
KR101313966B1 (en) * 2013-03-15 2013-10-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 breakdown sensing system of liner film connection
KR20150036895A (en) * 2013-09-30 2015-04-08 한국전력공사 Discrimination and restoration method for detecting fault section of submarine cable
KR102047813B1 (en) * 2013-09-30 2019-11-22 한국전력공사 Discrimination and restoration method for detecting fault section of submarine cable
WO2022015417A1 (en) * 2020-07-17 2022-01-20 Commscope Technologies Llc Mmwave sensing for cable ident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75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in an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102606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short location of long-distance cable
KR200358015Y1 (en) An electric cable detectable the location of breakage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breakage thereof
US20210035711A1 (en) Underground Layable Power Cable, In Particular, a Submarine Cable
JPH02144810A (en) Power cable and its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ment
JP2009531826A (en) Power cable that can be searched for faults
KR101510119B1 (en) Composite Cable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JP2018156824A (en) Cable, cable trouble orientation method and connection method of cable
CN209232442U (en) A kind of insulated wire cores and power distribution network intelligent cable
CN103412232A (en) Power system high voltage transmission wire breaking and fractu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883359B1 (en) System for diagnosing deterioration of underground power cable
JP2000055968A (en) Power cable fault detection transmitter
KR102258907B1 (en) Monitoring system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aggregated cable and monitoring method therefor
JPH0340280B2 (en)
CN220985318U (en) Safety device of electric power system
WO2023144916A1 (en) Power cab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nsor rope
US11914000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 cable tray
JPH0340279B2 (en)
KR20100089668A (en) Bus duct system with optical fiber for temperature sensing
WO2016027966A1 (en) Failure monitoring system and failure monitoring method for optoelectronic cable assembly
KR20040084291A (en) A Complex Cable For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JPH08136607A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fault point of transmission line struck by lightning
JP3214959B2 (en) Insulated cable composite overhead wire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17134475A1 (en) Intelligent cable
KR102244743B1 (en) Monitoring system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aggregated cable and monito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