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728Y1 - 휴대단말기용 스마트카드 및 리더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스마트카드 및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728Y1
KR200357728Y1 KR20-2004-0013275U KR20040013275U KR200357728Y1 KR 200357728 Y1 KR200357728 Y1 KR 200357728Y1 KR 20040013275 U KR20040013275 U KR 20040013275U KR 200357728 Y1 KR200357728 Y1 KR 200357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card
reader
standard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 복 김
Original Assignee
만 복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복 김 filed Critical 만 복 김
Priority to KR20-2004-0013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카드를 휴대폰이나 PDA 등 휴대단말기에서 편리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마트카드를 개선하는 것과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 그리고 SD(Secure Digital)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SD 카드 타입 스마트카드는 SD 카드 표준을 만족하는 기구적 사양을 갖추고, 그 내부의 PCB 기판상에 스마트카드 칩과 상기 스마트카드 칩으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와 상기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가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호스트와 스마트카드 칩 내부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D 인터페이스 회로부 및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SD 카드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카드상의 금속 접속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스마트카드 및 리더기{Smart card and reader for mobile appliance}
본 고안은 기존의 휴대폰용 스마트카드와 일반 스마트카드의 사용에 있어 불편한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스마트카드는 도 1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인 크기의 스마트카드와 휴대폰 등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스마트카드를 물리적으로 절단하여 만든 소형의 스마트카드로 구분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일반 스마트카드를 절단기로 펀칭을 하여 배포되는 소형 스마트카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카드를 수령한 사용자가 상기 소형 스마트카드를 휴대폰에 삽입하기 위해 분리했을 때의 모습을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형 스마트카드는 보통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타입 등으로 불리는 형태의 카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공중전화기 등에서 주로 쓰이는 스마트카드와는 달리 이동통신단말기용 SIM 타입의 스마트카드는 그 사이즈가 작고, 사용상에 있어서도 이동통신단말기용 스마트카드는 보통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를 분리한 후 단말기 본체에 꽂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국내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모바일뱅킹의 경우에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은행들이 발급하는 SIM 타입의 스마트카드를 휴대폰에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사용자들의 자신이 거래하는 은행들의 스마트카드를 발급 받은 후 거래를 원하는 은행의 해당 스마트카드를 휴대폰에 삽입하기 위해 밧데리를 분리하고 카드를 삽입한 후 다시 밧데리를 재결합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SIM 타입의 스마트카드는 그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보관이 마땅치 않아 관리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기존의 문제점과 불편 요소를 제거하여 좀 더 편리하게 스마트카드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참고로 본 고안에 제시된 SD 카드는 소위 MMC(Multi Media Card) 카드와 호환성을 갖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보통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동일한 소켓을 통해 두 가지 타입의 카드를 모두 지원하며, 특히 SD의 경우 더 세분하면 SDIO 카드와 SD 메모리 카드로 구분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모두 통칭하여 SD 카드 타입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본 고안과 관련된 특허 출원으로는 출원번호 20-2003-0033320, 출원번호 20-2003-0033695, 출원번호 20-2004-0000439, 출원번호 20-2004-0001652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출원들은 본 고안과 달리 SD 소켓에 직접적으로 스마트카드를 접촉시키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구현 가능 여부가 확실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SD와 스마트카드 소켓을 일체화한 소켓의 경우에는 소켓의 신규 개발에 따르는 현실적인 부담과 공급 가능 여부에 대한불확실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기존의 접근 방식이 갖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특허의 취지에 부합하는 신규성 및 진보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우선 기존의 SIM 타입 카드를 사용함에 있어 지금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마련된 별도의 SIM 타입 소켓에 삽입하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 리더기를 제시하고, 상기 리더기를 통해 기존의 SIM 타입 스마트카드뿐만 아니라 기존의 일반 스마트카드도 읽을 수 있도록 고안된 스마트카드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를 제시함으로써 별도의 스마트카드 리더기나 별도의 SIM 타입 소켓을 구비하지 않고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바로 스마트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스마트카드
도 2는 기존의 휴대폰용 스마트카드
도 3은 상기 도2의 휴대폰용 스마트카드의 분리 상태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스마트카드 예
도 5는 기존의 메모리 카드(MMC 혹은 SD 카드)
도 6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SD 카드 형태의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활용 예로서 도 4의 본 고안의 스마트카드 삽입 방식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SD 카드 형태의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활용 예로서 도 3의 일반 SIM 타입 스마트카드와 본 고안의 SIM 타입 스마트카드 삽입 방식 설명도
도 8은 상기 도 6과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 리더기의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마트카드 칩
2: 스마트카드의 플라스틱부
3: SIM 타입의 스마트카드
4: SIM 타입의 스마트카드 배포용 카드의 절단부
5: SIM 타입의 스마트카드 배포용 카드의 절단부를 가상적으로 도시한 선
6a, 6b: 본 고안의 스마트카드 상에 마련된 홈
7: SD 카드의 플라스틱 기구물
8a ~ 8i: SD 카드상의 금속 접속부
9: 스마트카드 접속용 소켓
10: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
11: 스마트카드 중 리더기에 삽입되는 부분
12: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
13: SD 인터페이스 회로부
14: SD 카드의 PCB
100: 기존 스마트카드
110: 기존의 스마트카드(SIM 타입 스마트카드 배포용)
120: 기존의 SIM 타입 스마트카드
130: 본 고안의 스마트카드
140: 기존의 SD 카드
150: 본 고안의 SD 카드 타입 스마트카드 리더기
160: 본 고안의 SIM 타입 스마트카드
170: 본 고안의 SD 카드 타입 스마트카드
본 고안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스마트카드의 사용상 문제점을 개선한 본 고안의 스마트카드에 대해 살펴보면,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스마트카드(100)에 하나 내지는 두 개의 홈(6a, 6b)을 마련함으로써 도 6에 제시된 본 고안의 SD 카드 타입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존의 스마트카드(100)의 경우는 플라스틱부(2)에 스마트카드 칩(1)이 장착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기존의 SIM 타입 스마트카드(1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일반 스마트카드(100)를 절단하여 그 규격을 소형화한 것이다. 따라서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SD 타입 스마트카드 리더기를 통해 두 가지 타입의 스마트카드를 모두 읽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M 타입 스마트카드(120) 규격에 대응하는 홈(6a, 6b)을 만들 필요가 있다. 참고로 도 5의 점선(5)은 SIM 타입 스마트카드의 규격에 해당하는 가상의 선으로 홈의 형상 및 위치와 SIM 타입 스마트카드의 규격과의 상관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스마트카드 리더기(150)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한 기존의 SD 카드(140)의 플라스틱 기구물에 스마트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스마트카드 접속용 소켓(9)을 구비한 카드 삽입 공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 리더기는 기구적으로는 SDIO 카드를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SD 카드는 SD 메모리 카드와 SDIO 카드로 구분이 되는데 SD 메모리 카드의 경우 가로, 세로, 두께를 포함한 기구적 규격이 이미 표준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그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그 내부에 스마트카드 접속용 소켓을 내장하고 스마트카드 삽입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반면에 SDIO 카드의 경우 SD 카드 접속용 소켓에 삽입되는 부분 외에 소켓 외부에 도출되는 부분에 대한 규격을 제한하고 있지 않고, 확장되어 소켓 밖으로 도출된 부분에 대한 두께 역시 제한을 두지 않기 때문에 본 고안과 같은 SD 카드타입의 스마트카드 리더기(150)의 구현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이다. 단, 기구적인 규격을 제외한 부분은 SD 메모리 카드 규격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가능하다. 즉, 기구적으로는 SDIO 카드 규격을 따르되, 회로적인 규격은 SDIO 및 SD 메모리 카드 규격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 따라서 회로적인 측면에서는 MMC 카드와도 호환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적인 제약은 기구물 제작 기술의 발달과 디자인상의 아이디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바 SD 메모리 사양의 기구적인 사양을 만족하는 리더기의 개발도 불가하다 할 수 없다.
또한 본 고안의 SD 타입 스마트카드 리더기(150)는 본 고안의 스마트카드(130)와 함께 사용할 경우, 도 6과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 타입과 SIM 타입 스마트카드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는 특징을 부가적으로 가지고 있다.
더불어 여기서 본 고안의 SIM 타입 스마트카드를 설명하면,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일단 SIM 타입 스마트카드(160)가 리더기(150)에 삽입이 되고 난 후, 이를 빼내고자 할 때 좀 더 쉽게 카드를 리더기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카드상에 홈(11)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미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 있는 본 고안의 스마트카드 리더기(150)에 대하여 도 8을 통해 그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고안의 스마트카드 리더기(150)는 PCB 기판(14)상에 스마트카드 접속용 소켓(9)과 상기 소켓(9)과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카드 스마트카드 칩(1) 내부의 정보를 읽거나 변경하는 역할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12)와 상기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12)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를 SD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스마트카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SD 인터페이스 회로부(13)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SD 카드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카드상의 금속 접속부(8a ~ 8i) 등으로 구성이 된다.
지금까지는 기존의 스마트카드의 규격과 사용상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리더기와 카드에 대한 설명이었으며, 다음은 기존의 스마트카드 규격을 만족하지는 않지만, 향후 SD 카드의 보편화를 고려하여 사용자 입장의 편리성 증진 차원에서 고안된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170)에 대한 설명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SD 카드 타입 스마트카드(170)는 SD 카드 표준을 만족하는 기구적 사양을 갖추고, 그 내부의 PCB 기판(14)상에 스마트카드 칩(1)과 상기 스마트카드 칩(1)으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12)와 상기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12)가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호스트와 스마트카드 칩(1) 내부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D 인터페이스 회로부(13) 및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SD 카드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카드상의 금속 접속부(8a ~ 8i)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별도의 SIM 타입 소켓을 구비하지 않은 PDA나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서도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에 내장된 정보를 읽고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카드 칩(1)의 설계 변경을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12)와 SD 인터페이스 회로부(13)를 하나의 칩에 통합한 스마트카드의 개발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기존에는 모바일뱅킹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모바일뱅킹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하고 SIM 타입 스마트카드를 발급 받아 사용해야 했으며, 모바일뱅킹 이외에 별도의 목적을 위해 스마트카드를 쓰고자 할 경우, 예를 들어 현금지급기 등을 위해서는 일반 규격의 스마트카드를 별도로 발급 받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은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채택되고 있는 SIM 타입 스마트카드 소켓 및 관련 회로부 등을 구비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들도 스마트카드를 통한 모바일뱅킹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뱅킹용 단말기 개발과 공급 그리고 기존 단말기 교체 등에 따르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SIM 타입 스마트 카드와 일반 스마트카드의 두 가지 카드를 중복해서 발급 받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한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의 경우에는 SIM 타입 스마트카드 소켓을 내장한 모바일뱅킹용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별도의 스마트카드 리더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일반 SD 카드 소켓을 내장한 이동통신단말기상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단말기상에서 스마트카드 정보를 읽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와 접속되는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있어서,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공간에 구비된 스마트카드 접속용 소켓과 상기 소켓과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카드 스마트카드 칩 내부의 정보를 읽거나 변경하는 역할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와 상기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를 SD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스마트카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SD 인터페이스 회로부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SD 카드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카드상의 금속 접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리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공간은 SIM 타입의 스마트가 규격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리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D 인터페이스 회로부는 SDIO, SD 메모리, MMC 카드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규격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리더기.
  4. 제 1항에 있어서,
    기구적인 규격은 SDIO 카드 표준을 따르면서, 전기적 사양은 SDIO 외에도 SD 메모리 또는 MMC 카드 표준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리더기.
  5. 일반 스마트카드 규격을 만족하는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플라스틱부의 일부를 절단하여 SIM 타입 스마트카드의 규격에 대응하는 홈을 생성하여 SIM 타입 스마트카드 리더기에 삽입 가능하도록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6. SIM 타입의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플라스틱부의 일부에 홈을 생성하여 스마트카드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7. SD 카드 표준을 만족하는 기구적 사양을 갖추고, 그 내부의 PCB 기판상에 스마트카드 칩과, 상기 스마트카드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거나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와, 상기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가 이동통신단말기 등의 호스트와 상기 스마트카드 칩 내부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SD 인터페이스 회로부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SD 카드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카드상의 금속 접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SD 카드 타입 스마트카드.
  8. 제 7항에 있어서,
    SD 인터페이스 회로부는 SDIO, SD 메모리, MMC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규격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
  9. 제 7항에 있어서,
    스마트카드 칩과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와 SD 인터페이스 회로부가 각각 별도의 칩으로 분리되거나 하나 또는 두 개의 칩으로 통합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
  10. 제 7항에 있어서,
    스마트카드 칩은 스마트카드 리더 회로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SD 인터페이스 회로부에 접속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 카드 타입의 스마트카드.
KR20-2004-0013275U 2004-05-13 2004-05-13 휴대단말기용 스마트카드 및 리더기 KR200357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75U KR200357728Y1 (ko) 2004-05-13 2004-05-13 휴대단말기용 스마트카드 및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75U KR200357728Y1 (ko) 2004-05-13 2004-05-13 휴대단말기용 스마트카드 및 리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728Y1 true KR200357728Y1 (ko) 2004-07-31

Family

ID=4934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275U KR200357728Y1 (ko) 2004-05-13 2004-05-13 휴대단말기용 스마트카드 및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7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4720C (zh) 用于可携式装置的双通用集成电路卡系统
EP1914828B1 (en) Antenna for use with plug-in type dual-interface smart card
JP4891253B2 (ja) 移動体通信機器用の共用icカード及び無線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
CN201118053Y (zh) 多任务微型记忆卡嵌入式连接器
US20100069118A1 (en) Modular Structure to Expand and Enhanc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Functionality
JP5366401B2 (ja) 位置決め性能を改善したマルチプラグsimカード
US20080099559A1 (en) Dual Interface SIM Card Adapter with Detachable Antenna
US20100155489A1 (en) Connector of for insert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CN101025782A (zh) 支持高速接口的icc上的非接触接口的方法和设备
TW201330681A (zh) 能夠由電子設備的安全數位輸入/輸出終端容納的轉接裝置及無線通訊裝置的系統
CN102970432A (zh)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sim卡热插拔的方法
WO2014194598A1 (zh) 信息存储卡的通信处理方法及装置、移动终端
KR20020042748A (ko)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휴지 접점으로 전환한스마트카드를 장착한 휴대용 전화기
KR10074757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드 장착 소켓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1719958B (zh) Stk业务处理的方法和移动终端
CN101997977A (zh) 兼容不同网络制式的移动终端和智能卡的方法及装置
CN201418091Y (zh) 一种移动终端及移动支付系统
KR200357728Y1 (ko) 휴대단말기용 스마트카드 및 리더기
US8602314B2 (en) Memory card adapter
CN109921814B (zh) 虚拟sim卡的实现方法、装置、系统及移动终端
KR20043850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마트 카드 어댑터
CN201315620Y (zh) 嵌入手机sim卡槽的通用功能扩展器
WO2012089532A1 (en) Contactless adaptor device
JPWO2003105079A1 (ja) Icチップ並びにそれに接続するカード及び携帯端末装置
JP4828943B2 (ja) Icカード及びこのicカードが適用される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