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919Y1 - 자석감지기 - Google Patents

자석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919Y1
KR200356919Y1 KR20-2004-0009673U KR20040009673U KR200356919Y1 KR 200356919 Y1 KR200356919 Y1 KR 200356919Y1 KR 20040009673 U KR20040009673 U KR 20040009673U KR 200356919 Y1 KR200356919 Y1 KR 200356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nsor
substrate
magnet
re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티
Priority to KR20-2004-0009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38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permanent magnets, e.g. balances, torsion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통한 외부인 침입을 감지하는 자석감지기의 센서부 내부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기판과 리드스위치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부가 높은 곳에서 바닥으로 떨어진 충격에 의해 충격에 고정판과 케이스 및 기판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완충부재가 그 비틀림 충격을 흡수하여 기판과 그 기판에 구비된 리드스위치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도어에 자석부를 고정하고 문틀에 센서부를 고정하여 외부인 침입방지용 자석감지기를 구성하되, 리드스위치와 전선이 연결 구성된 기판을 케이스에 삽입하고, 그 케이스를 고정판에 고정하여 구성하는 자석감지기의 센서부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리드스위치가 구비된 기판을 완충부재 내부의 고정홈에 삽입하고, 그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케이스내에 삽입한 후, 케이스와 고정판을 고정하여 자석감지기를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자석감지기{Magnet sensor}
본 고안은 도어를 통한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석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문틀에 설치되는 자석감지기의 센서부에 대한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센서부 내부의 리드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석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족한 경찰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경비를 전문으로 하는 시큐리티(Security) 업체가 등장하였고, 관련 시큐리티 장비들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그 중 사람의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기류로는 적외선감지기, 자석감지기, 열선감지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감지기들 중에서 자석감지기는 주로 도어(door)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센서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이러한 자석감지기는 크게 자석부와 센서부로구성된다.
상기 자석감지기의 자석부는 사출물에 영구자석이 내장된 상태로 구성되어 움직임이 있는 도어에 부착하며, 상기 센서부는 고정판과 케이스로 구성되는 사출물의 내부에 리드스위치가 구비된 기판을 고정하여 리드스위치의 접점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2~4가닥정도의 전선을 연결하여 구성할 뿐만 아니라, 그 센서부는 리드스위치의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되어야 하므로 센서부는 문틀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자석감지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센서부의 리드스위치는 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접점이 온 또는 오프 되도록 구성되며, 보통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에 부착된 자석부가 문틀에 고정된 센서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리드스위치의 접점이 오프되고, 센서부에 부착된 수신반에서는 그 오프신호를 감지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 즉 사람이 침입한 상태로 감지하게 된다.
한편 문이 닫혀있을 때는 센서부와 자석부가 근접하여 센서부의 리드스위치가 자력에 의해 온 되고, 이러한 온 신호를 수신반에서는 사람의 침입이 없는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센서부에 내장되는 리드스위치는 전원이 필요 없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자석감지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석감지기의 경우는 거의 모두 리드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는 리드스위치는 충진가스를 채운 유리관과 유리관 내부로부터 유리관 외부 양측으로 이어진 접점이 내장되어 구성되므로리드스위치의 유리관은 재질의 특성상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충격에 약한 리드스위치를 사용하는 자석감지기는 시공시 보통 도어의 상부 귀퉁이에 자석부를 고정하고, 그 위치의 문틀에 센서부를 고정하여 시공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2.5m 정도의 높이에 자석감지기를 시공하는 중에 작업자의 실수로 자석부 또는 센서부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되며, 현대의 건축물 바닥이 콘크리트나 대리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닥에 떨어지는 순간 자석부나 센서부는 큰 충격을 받게되고, 그로 인하여 센서부의 리드스위치가 파손되어 동작 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사람이 실내에서 활동을 하면서 도어를 열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갑작스런 바람 등의 이유로 문이 세게 닫히는 경우가 발생되면 자석부나 센서부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며, 리드스위치에 충격이 가해지면 유리관이 깨지거나 또는 리드와 유리관이 만나는 부분에 크랙이 가서 유리관 내부의 충진가스가 유출되므로 결과적으로 불량 동작을 유발한다.
특히 시큐리티 장비에 있어서 동작 불량은 곧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한 문제가 아닐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자석감지기의 센서부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센서부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개발된 구성은 고정판을 사출 성형할 때 기판하우징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고, 그 기판하우징에 리드스위치가 구비된 기판을 고정하며, 기판하우징의 내부에 합성수지몰딩제(에폭시수지)를 충진시킨 후, 기판하우징의 외측으로 케이스를 덮어씌워 고정판에 고정시키는 구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판에 기판하우징을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케이스를 씌우는 센서부의 구성은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기판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문틀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은 그대로 합성수지몰딩제에 전달된 후 기판과 리드스위치로 전달되어 내충격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석감지기의 센서부를 문틀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센서부를 떨어뜨렸을 때에도 케이스와 고정판 중 어느 곳으로 떨어지더라도 그 충격은 그대로 합성수지몰딩제를 통해 기판과 리드스위치로 전달되므로 센서부를 바닥에 떨어뜨려 전해지는 충격 역시 전혀 완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를 통한 외부인 침입을 감지하는 자석감지기의 센서부 내부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기판과 리드스위치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부가 높은 곳에서 바닥으로 떨어진 충격에 의해 충격에 고정판과 케이스 및 기판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완충부재가 그 비틀림 충격을 흡수하여 기판과 그 기판에 구비된 리드스위치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자석감지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센서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센서부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센서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도 4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20 : 문틀
100 : 자석부 200 : 센서부
210 : 고정판 211 : 보스
220 : 기판 230 : 리드스위치
231 : 전선 240 : 완충부재
241 : 고정홈 242 : 절개홈
243 : 돌기 244 : 갭
250 : 케이스 251 : 요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도어(10)에 자석부(100)를 고정하고 문틀(20)에 센서부(200)를 고정하여 외부인 침입방지용 자석감지기를 구성하되, 상기 센서부(200)는 리드스위치(230)와 전선(231)이 연결 구성된 기판(220)을 케이스(250)에 삽입하고, 그 케이스(250)의 요홈(251)에 고정판(210)의 보스(211)를 삽입시켜 고정 구성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200)는 기판(220)을 케이스(250)에 삽입할 때 리드스위치(230)가 구비된 기판(220)을 완충부재(240) 내부의 고정홈(241)에 삽입한 후, 그 고무재질의 완충부재(240)를 케이스(250)내에 삽입하여 케이스(250)와 고정판(210)을 고정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24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홈(241)은 기판(220)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기판(220)의 양단을 고정홈(241)에 삽입하는 것이고, 그 완충부재(240)의 일측에는 절개홈(242)을 형성하여 기판(220)에 연결된 전선(231)을 끼울 수 있도록 하며, 완충부재(240)에 기판(220)을 끼운 후에는 그 완충부재(240)의 내부에 에폭시수지를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선(231)이 연결되도록 리드스위치(230)를 기판(220)에 구비하고, 그 기판(220)을 완충부재(240)의 내부에 삽입한 후, 그 완충부재(240)를 케이스(250)에 삽입하고, 케이스(250)를 초음파 융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판(210)에 고정시키면 외부의 충격이 리드스위치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판(220)이 직접 고정되는 완충부재(240)를 고무재질로 형성하여 그 내부의 고정홈(241)에 기판(220)의 양단을 끼워 기판(220)이 완충부재(240)의 내부에 고정되게 하고, 그 기판(220)이 끼워진 완충부재(240) 내부에 에폭시수지를 충진한 후, 완충부재(240)를 케이스(250)에 삽입함으로써 케이스(250) 외부에서 전달되는 각종 충격을 완충부재(240)가 완충하여 기판(220)과 리드스위치(23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고정판(210)과 케이스(250)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직선형의 충격이어도 고무재질의 완충부재(240)가 충격이 전달되는 부분에서 수축되었다가 복원되는 동작을 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기판(220)이나 리드스위치(230)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판(210)과 케이스(250)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비틀림 충격일 경우에는 고정판(210)과 케이스(250)의 비틀림 충격이 기판(220)까지 전달되어도 기판(220)과 케이스(250) 사이에 구비된 완충부재(240)가 기판(220)보다 연질인 고무재질로 구성된 것이므로 그 비틀림 충격은 완충부재(240)의 비틀림으로 인하여 모두 완화되고 기판(220)은 보호된다.
한편 센서부(200)에 작용되는 외부의 충격이 직선의 충격과 비틀림 충격이 혼합된 형태를 이루어도 그 모든 충격은 고무재질인 완충부재(240)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키므로 기판(220)의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그 기판(220)에 구비된 리드스위치(230)의 파손도 방지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자석감지기의 센서부(200)는 케이스(250) 내부에 삽입되는 완충부재(240)의 외측면 전체에 다수의 돌기(243)를 형성시킴으로써 기판(220)을 내부에 끼우고 에폭시수지를 충진한 완충부재(240)를 케이스(250)에 삽입하였을 때 완충부재(240)와 케이스(250) 사이에 갭(244)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250)에서 완충부재(24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갭(244)에서 1차 분산시키고 완충부재(240)에서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완충부재(240)와 케이스(250) 사이에 갭(244)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243)는 완충부재(240)에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250)의 내측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갭(244)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를 통한 외부인 침입을 감지하는 자석감지기의 센서부 내부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기판과 리드스위치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갭을 형성함으로써 와부의 충격이 완충부재로 전달되기 전에 갭에서 충격을 1차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자석감지기의 내충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도어(10)에 자석부(100)를 고정하고 문틀(20)에 센서부(200)를 고정하여 외부인 침입방지용 자석감지기를 구성하되, 리드스위치(230)와 전선(231)이 연결 구성된 기판(220)을 케이스(250)에 삽입하고, 그 케이스(250)를 고정판(210)에 고정하여 구성하는 자석감지기의 센서부(200)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0)는 리드스위치(230)가 구비된 기판(220)을 완충부재(240) 내부의 고정홈(241)에 삽입하고, 그 고무재질의 완충부재(240)를 케이스(250)내에 삽입한 후, 케이스(250)와 고정판(210)을 고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석감지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240)는 외측면에 다수의 돌기(243)를 형성하여 완충부재(240)와 케이스(250) 사이에 갭(244)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석감지기.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50)는 내측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완충부재(240)와 케이스(250) 사이에 갭(244)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석감지기.
KR20-2004-0009673U 2004-04-08 2004-04-08 자석감지기 KR200356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673U KR200356919Y1 (ko) 2004-04-08 2004-04-08 자석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673U KR200356919Y1 (ko) 2004-04-08 2004-04-08 자석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919Y1 true KR200356919Y1 (ko) 2004-07-21

Family

ID=4934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673U KR200356919Y1 (ko) 2004-04-08 2004-04-08 자석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9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76B1 (ko) * 2019-08-28 2020-04-23 태광물산 주식회사 도어감지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76B1 (ko) * 2019-08-28 2020-04-23 태광물산 주식회사 도어감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3496B2 (en) Elongated wireless sensor assembly
KR102298863B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200356919Y1 (ko) 자석감지기
KR100508328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장치
US6430775B1 (en) Door stop
KR102290499B1 (ko) 충격 흡수 창호 시스템
KR200194824Y1 (ko) 힌지문 닫힘 방지 장치(문고정장치)
KR101531274B1 (ko) 미닫이 창호
US20010013203A1 (en) Device for recognition of obstruction of closure
KR200316775Y1 (ko)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CN215421232U (zh) 具有电子单元和灌封元件的组件
KR200274877Y1 (ko) 기어 투스 센서의 충격 방지 장치
KR200442019Y1 (ko) 전자석 도어락용 전자석코어 보호커버
KR100579473B1 (ko)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KR200438763Y1 (ko) 창호용 스토퍼
JPH0618973U (ja) 半導体加速度検出器の保護筐体
KR200316774Y1 (ko)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US20060113943A1 (en) Contact-detecting apparatus
KR200306009Y1 (ko) 도어용 패킹 조립체
KR101515913B1 (ko)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KR20180001844U (ko)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의 레인 커버
JPH11258330A (ja) 応答器ケース
KR101255164B1 (ko) 결로방지 패드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0354525B1 (ko) 도어프레임의 댐핑구조
KR20090070449A (ko) 미서기 창틀용 완충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