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822Y1 - 수평다관절형 로더 - Google Patents

수평다관절형 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822Y1
KR200356822Y1 KR20-2004-0010292U KR20040010292U KR200356822Y1 KR 200356822 Y1 KR200356822 Y1 KR 200356822Y1 KR 20040010292 U KR20040010292 U KR 20040010292U KR 200356822 Y1 KR200356822 Y1 KR 200356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pulley
driving
drive mo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철
이진혁
Original Assignee
윤종철
이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철, 이진혁 filed Critical 윤종철
Priority to KR20-2004-0010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8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9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grippers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다관절 로더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수평다관절 구조로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두개의 스윙암 및 핸드가 연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풀리와 타이밍벨트를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면적의 최소화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축간의 보간이 없어 조작이 간편한 수평다관절 로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하구동모터, 볼스크류, 이동블록, 한쌍의 LM 가이드로 구성되어 로더의 높이를 설정하는 상하구동부와, 고정블록, 제 1,2 스윙암, 핸드로 구성되어 소재운반대로 이송된 가공소재를 파지하여 CNC 공작기계로 공급토록 하는 작동부와, 주행구동모터, 하모닉 드라이브, 제 1,2,3,4 풀리, 제 1,2 타이밍벨트로 구성되어 작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고 이를 전달하는 주행구동부로 이루어진 수평다관절 로더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수평다관절형 로더{Horizontal Arm Loader}
본 고안은 수평 다관절형 로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운반대로 이송되어지는 가공소재를 파지한 후 CNC 공작기계의 작업대로 자동공급하는 수평다관절형 로더에 관한 것이다.
CNC 공작기계는 근대화된 산업발전에 따라 그 사용범위가 점차적으로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CNC 공작기계는 제품에 따라 작성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소재를 자동으로 가공함으로써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CNC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보다 자동화된 제조라인을 구현하기 위해 CNC 공작기계에 가공소재를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하는 산업용 다관절로보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CNC 공작기계 중 머시닝센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가공소재가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되고, 테이블에 고정된 가공소재의 상부에서 공구가 회전하며 절삭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머시닝센터에 가공소재를 자동으로 공급해주기 위해 산업용 다관절로보트 또는 수평다관절 로보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산업용 다관절로보트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이므로 자동화라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수평다관절 로보트는 산업용 다관절로보트에 비해 단순하나 각각의 스윙암을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모터를 필요로 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 및 자동화 제어의 복잡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수평다관절 구조로서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두개의 스윙암 및 핸드가 연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풀리와 타이밍벨트를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면적의 최소화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축간의 보간이 없어 조작이 간편한 수평다관절 로더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로더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러더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구동부의 구성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로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하구동부 (11) : 상하구동모터
(12) : 볼스크류 (13) : 이동블록
(14) : LM 가이드 (20) : 작동부
(21) : 고정블록 (22) : 제 1 스윙암
(23) : 제 2 스윙암 (24) : 핸드
(30) : 주행구동부 (31) : 주행구동모터
(32) : 하모닉 드라이브 (33) : 제 1 풀리
(34) : 제 2 풀리 (35) : 제 3 풀리
(36) : 제 4 풀리 (37) : 제 1 타이밍벨트
(38) : 제 2 타이밍벨트 (39)(40) : 회전축
(41)(42) : 아이들러 (50) : 포스트
(51) : 브라켓 (60) : 전선케이블
(70) : 근접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상하구동모터와, 이 상하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이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이 이동블록의 상하이동시 이를 안내하도록 볼스크류와 평행한 한쌍의 LM 가이드로 이루어진 상하구동부; 상기 이동블록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블록과, 이 고정블록으로부터 차례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2 스윙암 및 제 2 스윙암의 끝단에 설치되어 가공소재를 파지하는 핸드로 이루어진 작동부;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된 주행구동모터와, 이 주행구동모터와 제 1 스윙암을 연결하도록 고정블록에 설치되어 제 1 스윙암을 회전시키는 하모닉 드라이브와, 상기 제 1 스윙암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으며 제 1 스윙암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블록에 고정·설치된 제 1 풀리와, 이 제 1 풀리와 제 1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 1 스윙암의 선단 내측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이 제 2 스윙암에 고정되어 제 2 스윙암을 회전시키는 제 2 풀리와, 이 제 2 풀리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으며 제 2 스윙암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 1 스윙암의 선단 하부에 고정·설치된 제 3 풀리와, 이 제 3 풀리와 제 2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되며 제 2 스윙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핸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 4 풀리로 이루어진 주행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로더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를,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러더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를,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를,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를,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구동부의 구성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로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하방향 높이설정을 위한 상하구동부(10)와, 소재운반대로 이송된 가공소재를 파지하여 CNC 공작기계로 공급토록 하는 작동부(20)와, 이 작동부(20)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고 이를 전달하는 주행구동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구동부(10)는 상하구동모터(11), 볼스크류(12), LM 가이드(14), 이동블록(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구동모터(11)는 그 회전축이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포스트(50)에 설치된 브라켓(51)에 고정되어 있고, 이 상하구동모터(11)의 회전축에 볼스크류(12)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51)에는 볼스크류(12)와 평행한 한쌍의 LM 가이드(14)가 설치되고, 이 LM 가이드(14)와 볼스크류(12)에 이동블록(13)이 결합된 것으로 구성되어 볼스크류(12)의 회전시 이동블록(13)은 LM 가이드(14)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20)는 고정블록(21), 제 1,2 스윙암(22,23), 핸드(2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록(21)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의 블록으로서 상기 상하구동부(10)의 이동블록(13)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스윙암(22)은 고정블록(21)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제 2 스윙암(23)은 제 1 스윙암(22)의 선단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드(24)는 제 2 스윙암(23)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 1,2 스윙암(22,23)에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구동부(30)는 주행구동모터(31), 하모닉 드라이브(32), 제 1,2,3,4 풀리(33,34,35,36), 제 1,2 타이밍벨트(37,3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구동모터(31)는 상기 작동부(20)의 고정블록(2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모닉 드라이브(32)는 고정블록(21)의 내부에서 주행구동모터(31)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주행구동모터(31)의 속도를 일정비율로 감속시킨 상태로 제 1 스윙암(22)에 전달하여 제 1 스윙암(22)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모닉 드라이브(32)는 주지된 바와 같이 웨이브 발생기, 플랙스 스플라인, 서큘러스 스플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웨이브 발생기가 주행구동모터(31)에 연결되며, 서큘러스 스플라인이 제 1 스윙암(22)에 연결되어 주행구동모터(31)의 구동력을 일정비율로 감속시킨 상태에서 제 1 스윙암(22)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풀리(33)는 제 1 스윙암(22)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으며, 제 1 스윙암(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블록(21)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풀리(34)는 제 1 스윙암(22)의 선단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 2 스윙암(23)에 고정된 회전축(39)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풀리(33)와 제 1 타이밍벨트(37)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제 1 풀리(33)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 2 스윙암(2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풀리(35)는 제 2 풀리(34)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으며 제 2 스윙암(2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 1 스윙암(22)의 선단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4 풀리(36)는 제 2 스윙암(23)의 선단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그 회전축(40)이 가공소재를 파지하는 핸드(24)에 연결되며, 제 3 풀리(35)와 제 2 타이밍벨트(38)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24)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그리퍼가 구비된 통상의 구조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2 스윙암(22,23)의 내부 소정위치에는 제 1,2 타이밍벨트(37,38)의 적정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아이들러(41,4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풀리(33) 및 제 2 풀리(34)의 사이거리와 제 3 풀리(35) 및 제 4 풀리(36)의 사이거리는 동일하고, 상기 제 1 풀리(33)와 제 2 풀리(34)의 속도비는 1:2이며, 상기 제 3 풀리(35)와 제 4 풀리(36)의 속도비는 2:1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블록(21)의 전방 및 양측방향으로 제 1 스윙암(2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풀리(34) 및 제 4 풀리(36)를 지지하는 회전축(39,40)은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각종 전선케이블(60)이 관절부를 통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은 상하구동부(10)가 설치되는 포스트(50)가 CNC공작기계에 직접 부착되거나, 다수의 바퀴 및 고정대가 저면에 구비되어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이동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공작기계 또는 이동구조물에 설치된 로더는 소재이송대로 공급되는 가공소재를 핸드(24)로 파지하게 되고, 이후 주행구동모터(31)가 작동하여 제 1 스윙암(22)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제 1 스윙암(22)의 회전시 제 1 스윙암(22)의 내부에서 제 1 스윙암(22)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는 제 1 풀리(33)는 고정블록(21)에 고정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렇게 정지된 제 1 풀리(33)와 제 2 풀리(34)가 제 1 타이밍벨트(37)에 의해 연결되는 한편, 제 2 풀리(34)가 제 1 스윙암(22)에 의해 회동하게 되므로 제 2 풀리(34)는 제 1 스윙암(22)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제 2 풀리(34)의 회전축(39)이 고정된 제 2 스윙암(23)은 제 1 스윙암(22)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스윙암(23)의 회전시 제 1 스윙암(22)의 선단 하부에 고정된 제 3 풀리(35)는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서 제 2 풀리(34)와 함께 회동하게 되고, 이때 제 3 풀리(35)와 제 2 타이밍벨트(38)에 의해 연결된 제 4 풀리(36)가 제 2 스윙암(23)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핸드(24)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2 풀리(33,34)의 사이간격과 제 3,4 풀리(35,36)의 사이간격이 동일하고, 제 1,2 풀리의 속도비가 1:2이며, 제 3,4 풀리의 속도비가 2:1이므로 제 1 스윙암(22)과 핸드(24)는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핸드(24)에 파지된 가공소재는 직선궤적을 그리며 CNC 공작기계의 테이블로 공급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주행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제 1,2 스윙암 및 핸드를 연동화여 회전시킴으로서 가공소재의 오토로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면적의 감소로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축간의 보간이 없어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구동모터(11)와, 이 상하구동모터(11)에 의해 회전하는 볼스크류(12)와, 이 볼스크류(1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블록(13)과, 이 이동블록(13)의 상하이동시 이를 안내하도록 볼스크류(12)와 평행한 한쌍의 LM 가이드(14)로 이루어진 상하구동부(10);
    상기 이동블록(13)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블록(21)과, 이 고정블록(21)으로부터 차례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2 스윙암(22,23) 및 제 2 스윙암(23)의 끝단에 설치되어 가공소재를 파지하는 핸드(24)로 이루어진 작동부(20);
    상기 고정블록(21)에 설치된 주행구동모터(31)와, 이 주행구동모터(31)와 제 1 스윙암(22)을 연결하도록 고정블록(21)에 설치되어 제 1 스윙암(22)을 회전시키는 하모닉 드라이브(32)와, 상기 제 1 스윙암(22)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으며 제 1 스윙암(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블록(21)에 고정·설치된 제 1 풀리(33)와, 이 제 1 풀리(33)와 제 1 타이밍벨트(37)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 1 스윙암(22)의 선단 내측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39)이 제 2 스윙암(23)에 고정되어 제 2 스윙암(23)을 회전시키는 제 2 풀리(34)와, 이 제 2 풀리(34)와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으며 제 2 스윙암(2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 1 스윙암(22)의 선단 하부에 고정·설치된 제 3 풀리(35)와, 이 제 3 풀리(35)와 제 2 타이밍벨트(38)에 의해 연결되며 제 2 스윙암(23)의 선단에 설치되어 핸드(2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 4 풀리(36)로 이루어진 주행구동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다관절형로더.
KR20-2004-0010292U 2004-04-14 2004-04-14 수평다관절형 로더 KR200356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92U KR200356822Y1 (ko) 2004-04-14 2004-04-14 수평다관절형 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92U KR200356822Y1 (ko) 2004-04-14 2004-04-14 수평다관절형 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822Y1 true KR200356822Y1 (ko) 2004-07-19

Family

ID=4934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292U KR200356822Y1 (ko) 2004-04-14 2004-04-14 수평다관절형 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8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170A (ko) * 2019-04-09 2020-10-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
KR102197895B1 (ko) * 2019-11-25 2021-01-04 (주)경원정공 Cnc 공작기계용 관절형 어태치먼트
KR20210133079A (ko) * 2020-04-28 2021-11-05 (주)경원정공 공작기계용 홀 가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170A (ko) * 2019-04-09 2020-10-1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
KR102616227B1 (ko) 2019-04-09 2023-12-20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공작기계의 파트 언로더 장치
KR102197895B1 (ko) * 2019-11-25 2021-01-04 (주)경원정공 Cnc 공작기계용 관절형 어태치먼트
KR20210133079A (ko) * 2020-04-28 2021-11-05 (주)경원정공 공작기계용 홀 가공장치
KR102423787B1 (ko) * 2020-04-28 2022-07-22 (주)경원정공 공작기계용 홀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1214B (zh) 一种具备示教作用的六轴机械手及其工作方法
EP0291292B1 (en) Offset mechanism for a robot
JP2008049418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ハンド装置
EP0500309B1 (en) Work holding device
JP2001038656A (ja) 多関節型マニピュレータ
KR200356822Y1 (ko) 수평다관절형 로더
WO2020090079A1 (ja) ワーク自動搬送機
JP2018069354A (ja) リンク式多関節ロボット
CN210210383U (zh) 同位横移进料机械手
KR20160099362A (ko) 수평유지 유닛을 구비한 다기능 고정형 로봇
CN211867837U (zh) 一种可变姿态夹具
JP2019527626A (ja) Cnc機械加工装置
JPS61214985A (ja) 産業用ロボツト
CN209077884U (zh) 滚针轴承保持架剖分装置
JPH06320363A (ja) 部品自動組立装置
US8991037B2 (en) Workpiece positioning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using it
JP2606786B2 (ja) 自動回転位置決め治具
CN216784704U (zh) 一种行星轮架旋转定位台、工作装置及生产线
JPH08323661A (ja) 自動組付機
JPH0333469B2 (ko)
CN214085196U (zh) 自动贴标设备
CN211134423U (zh) 一种自动化涂覆涂装成套设备
CN110978025A (zh) 一种可变姿态夹具
JPH03196989A (ja) 工業用ロボット等における工具把持部装置
JP2000024981A (ja) 産業用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