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619Y1 - 목욕바구니 - Google Patents

목욕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619Y1
KR200356619Y1 KR20-2004-0011718U KR20040011718U KR200356619Y1 KR 200356619 Y1 KR200356619 Y1 KR 200356619Y1 KR 20040011718 U KR20040011718 U KR 20040011718U KR 200356619 Y1 KR200356619 Y1 KR 200356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partition
bath
presen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미
Original Assignee
송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미 filed Critical 송경미
Priority to KR20-2004-0011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6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욕바구니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다리(11)(31)와, 손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측부에 마련된 손잡이(12)(32)와,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인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3)(33)와, 배수구(13)(33)를 개방 또는 막는 마개(14)(34)와, 상부가 개방되어 통풍이 자유로운 사각 통형상의 바구니몸체(10)(30); 및 바구니몸체(10)(30)하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수납되는 것으로서,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칸막이를 가지는 구획부(20)(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욕바구니{A BATHING BASKET}
본 고안은 목욕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목욕을 하기 위하여 목욕탕에 갈때 통상적으로 준비하여야 할 몇가지 준비용품이 있는데, 이러한 준비용품으로서 예를 들면, 수건, 속옷, 때수건, 비누, 칫솔, 치약, 샴푸, 바디클리저 등이 있다. 이들 구성은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목욕바구니에 넣어져 이동된다. 이때, 이들 구성중 수건이나 속옷등은 물에 젓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때수건은 목욕후 젖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다른 구성들과 섞여서는 안되며, 비누는 목욕 전후 모두 다른 구성들과 접촉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칫솔, 치약은 비누와 접촉되어서는 안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들을 넣는 목욕바구니는 하나의 수납 공간만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한 구성들을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없었고, 목욕 전후에 상기한 구성들을 비닐봉지등에 각각 넣어 보관하는등 불편함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목욕바구니 내에 망사형 보조바구니 또는 망사형 선반을 두어 목욕을 끝낸 후, 젖은 목욕용품들의 물이 목욕바구니의 바닦으로 잘 배수되도록 하여 자연건조됨으로써 위생적으로 목욕용품들을 관리할 수 있고, 목욕바구니의 밑면에 마개를 두어 이동시 목욕바구니 외부로 물이 흐르지 않아 탈의실 또는 자동차 시트등을 젖시지 않고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획칸막이를 두어 목욕용품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섞이지 않아 목욕용품들의 정리정돈이 용이한 목욕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목욕바구니에 있어서, 구획부가 바구니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목욕바구니에 있어서, 구획부가 바구니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30 ... 바구니몸체 11, 31 ... 다리
12, 32 ... 손잡이 13, 33 ... 배수구
14, 34 ... 마개 20, 40 ... 구획부
21, 41 ... 구획칸막이 36 ... 수직홈
42 ... 선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다리(11)(31)와, 손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측부에 마련된 손잡이(12)(32)와,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인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3)(33)와, 상기 배수구(13)(33)를 개방 또는 막는 마개(14)(34)와, 상부가 개방되어 통풍이 자유로운 사각통형상의 바구니몸체(10)(30); 및 상기 바구니몸체(10)(30) 하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수납되는 것으로서,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칸막이를 가지는 구획부(20)(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20)는, 상기 구획칸막이(21)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여러개의 구획공간(20a)(20b)(20c)이 형성되는 보조바구니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구니(30)의 내측벽에는 대칭되는 여러개의 수직홈(36)들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40)는, 상기 구획칸막이(41)가 상기 수직홈(36)에 끼어진 상태에서 그 구획칸막이(41)의 하단을 지지하는 선반(42)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도 1의 목욕바구니에 있어서, 구획부가 바구니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의 일실시예는, 바구니몸체(10)와, 그 바구니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획부(20)로 구성된다.
바구니몸체(10)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다리(11)와, 손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측부에 마련된 손잡이(12)와,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인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3)와, 배수구(13)를 개방 또는 막는 마개(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리(21)는 4 개로 구성되고, 손잡이(12)는 바구니몸체(1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구(13) 내주면과 마개(14)의 외주면에는 고무박킹이 끼워져 물이 새지 않도록 장착되며, 마개(14)를 시계바늘회전 방향으로 완전히 돌리면 배수구가 완전히 막히게 되고, 시계바늘회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배수구가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나사 마개로도 할 수 있다.
구획부(20)는, 바구니몸체(10) 하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수납되는 것으로서,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칸막이(21)를 가진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획부(20)는, 상기한 구획칸막이(21)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여러개의 구획공간(20a)(20b)(20c)이 형성되는 보조바구니가 된다. 이러한 보조바구니는 바구니몸체(10)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독립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획부(20)를 이루는 보조바구니는 물이 목욕바구니 바닦으로 잘 샐수 있도록 망사모양 또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젖은 옷 예컨대 젖은 수영복 등의 건조가 잘 되어 위생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목욕바구니의 동작을 설명한다.
목욕을 하기 위하여 목욕탕에 갈때에는, 속옷이나 수건, 때수건은 바구니몸체(10)의 바닥에 넣고, 구획부(20)를 바구니몸체(10)에 수납시키면, 속옷이나 수건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비누나 칫솔, 치약등은 구획부(20)의 구획공간(20a)(20b)(20c)에 각각 수납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한 구성들이 상호 섞이지 않게 되고, 목욕 전후에 독립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별도의 비닐봉지등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목욕탕에서 목욕을 끝낸 후, 이동전 물을 배수시킨 다음 마개를 돌려 막고 이동시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므로서, 탈의실 또는 자동차의 시트등을 젖지 않게 하여, 위생상, 외관상 좋게 한다.
다음,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목욕바구니에 있어서, 구획부가 바구니몸체 하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목욕바구니의 다른 실시예는, 바구니몸체(30)와, 그 바구니몸체(30)의 내부 밑부분에 수납되는 구획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구니몸체(30)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 구성의 복수의 다리(31)와, 손잡이(32)와, 배구수(33)와, 마개(34)로 구성된다.
이때, 바구니몸체(30)의 내측 하부에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복수의 다리가형성된 선반(42)이 장착되게 되며, 바구니몸체(30)의 내측벽에는 여러개의 수직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총 4 쌍의 수직홈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부(40)는, 바구니몸체(30) 하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수납되는 것으로서,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칸막이(41)를 가진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획부(40)는, 수직홈(36)에 끼어진 상기한 구획칸막이(41)의 하단을 지지하는 선반(42)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선반(42)은 중심부 및 둘레에 복수개의 다리를 두어 지탱하게 된다. 이때, 구획칸막이(41)는 특정 수직홈(36)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선반(42) 상에서 형성되는 구획공간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욕바구니의 제2실시예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욕바구니에 따르면, 망사형 보조바구니 또는 선반(42)을 두어 목욕을 끝낸 후, 젖은 목욕용품들의 물이 목욕바구니의 바닦으로 잘 배수되도록 하여 자연건조됨으로써 위생적으로 양호하고, 목욕바구니의 밑면에 마개(14, 34)를 두어 이동시 목욕바구니 외부로 물이 흐르지 않아 탈의실 또는 자동차 시트등을 젖시지 않고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획칸막이(21, 41)를 두어 목욕용품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섞이지 않아 목욕용품들의 정리정돈이 손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다리(11)(31)와, 손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측부에 마련된 손잡이(12)(32)와,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인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3)(33)와, 상기 배수구(13)(33)를 개방 또는 막는 마개(14)(34)와, 상부가 개방되어 통풍이 자유로운 사각통형상의 바구니몸체(10)(30); 및
    상기 바구니몸체(10)(30) 하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수납되는 것으로서,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칸막이를 가지는 구획부(20)(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바구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20)는, 상기 구획칸막이(21)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여러개의 구획공간(20a)(20b)(20c)이 형성되는 보조바구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바구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구니(30)의 내측벽에는 대칭되는 여러개의 수직홈(36)들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40)는, 상기 구획칸막이(41)가 상기 수직홈(36)에 끼어진 상태에서 그 구획칸막이(41)의 하단을 지지하는 선반(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바구니.
KR20-2004-0011718U 2004-04-27 2004-04-27 목욕바구니 KR200356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718U KR200356619Y1 (ko) 2004-04-27 2004-04-27 목욕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718U KR200356619Y1 (ko) 2004-04-27 2004-04-27 목욕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619Y1 true KR200356619Y1 (ko) 2004-07-19

Family

ID=4934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718U KR200356619Y1 (ko) 2004-04-27 2004-04-27 목욕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61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90Y1 (ko) * 2011-04-22 2011-09-30 백성은 배수기능을 갖는 목욕가방
KR200477001Y1 (ko) * 2014-01-15 2015-04-23 장경준 세탁물 바구니
KR102383414B1 (ko) 2020-12-02 2022-04-06 김승건 목욕 바구니
KR20220002491U (ko) 2021-04-09 2022-10-18 이상완 세탁물 바구니
KR20220165083A (ko) 2021-06-07 2022-12-14 서승철 목욕 바구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90Y1 (ko) * 2011-04-22 2011-09-30 백성은 배수기능을 갖는 목욕가방
KR200477001Y1 (ko) * 2014-01-15 2015-04-23 장경준 세탁물 바구니
KR102383414B1 (ko) 2020-12-02 2022-04-06 김승건 목욕 바구니
KR20220002491U (ko) 2021-04-09 2022-10-18 이상완 세탁물 바구니
KR20220165083A (ko) 2021-06-07 2022-12-14 서승철 목욕 바구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3730A1 (en) Baby bath &amp; changing unit
US1798800A (en) Bathroom cabinet
KR200356619Y1 (ko) 목욕바구니
US20090126101A1 (en) Portable foldable infant bathing and changing station and infant bathing and changing kit
JP2011518631A (ja) モップ用バケツ
US5640723A (en) Portable shower stool with storage compartment
US6343845B1 (en) Multiple bar soap storage dispenser
KR200358021Y1 (ko) 욕조
KR101349419B1 (ko) 세정부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KR200384642Y1 (ko) 휴대용 목욕용품 수납백
KR101567826B1 (ko) 욕실용 선반
KR200495767Y1 (ko) 기능성 목욕 바구니
KR0136155Y1 (ko) 화장실용 다용도 수납함
CN204683427U (zh) 一种多腔室的折叠脸盆
US20230322441A1 (en) Storage facilitation system
KR200233718Y1 (ko) 생활용품 보관함
JP3166373U (ja) 風呂用セット
CN104389338A (zh) 便于盥洗的坐便器
JPH0421350Y2 (ko)
KR970001603Y1 (ko) 바구니겸용 목욕의자
KR200348700Y1 (ko) 세면대
JP2003111681A (ja) 洗面化粧台
JP3006069U (ja) 浴室用防カビ除菌具
KR20220165083A (ko) 목욕 바구니
JP2511001Y2 (ja) 風呂用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