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614Y1 -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614Y1
KR200356614Y1 KR20-2004-0011636U KR20040011636U KR200356614Y1 KR 200356614 Y1 KR200356614 Y1 KR 200356614Y1 KR 20040011636 U KR20040011636 U KR 20040011636U KR 200356614 Y1 KR200356614 Y1 KR 200356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box
backflow prevention
fastener
river
box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권
Original Assignee
(주)한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11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Abstract

본 고안은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에 의하여 하수박스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하천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천과 접한 제방에 설치된 하수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방(100)에는, 그 하부에 옹벽(200)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200)에는 상부에 하수 박스 구조물(300)이 설치되며,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에는 하천과 접하는 입구에 체결구(500)와 역류 방지구(600)가 힌지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옹벽(200)은, "ㅗ"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에는, 하천(W) 측으로 입구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한편 상부에 절곡부(310)가 수직하게 입설되며, 하부 바닥면에 단턱부(330)가 형성되고, 상부 천장면에 앵커 볼트(400)가 매설되며, 그 앵커 볼트(400)에 체결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앵커 너트(410)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구(500)는, 관통홀(510)과 힌지봉홀(520)이 형성되어 하수 박스 구조물(300)의 상부 내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구(500)에는, 역류 방지구(600)의 힌지봉(620)이 힌지봉홀(520)에 체결되어 힌지 작동되는 한편, 상기 역류 방지구(600)는, 평판 형태로, 상부에 힌지봉(620)이 양측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DRAIN BOX STRUCTURE OF EMBANKMENT}
본 고안은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에 의하여 하수박스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하천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에 설치되는 하수 박스는, 콘크리트 제품으로 제작되어 하천과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하수 박스에는 수문 등이 설치되어 대홍수시에 하천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한강 등과 같은 지역의 제방에는, 하수 박스가 설치되어 발생된 하수를 한강으로 유입시키고 있지만, 하수 박스가 설치된 상태가 하천보다 높게 형성되어 대부분 수문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방의 하수 박스는, 대홍수 등이 발생되는 경우, 하천의 물이 하수 박스를 통해 유입되어 제방 근처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제방의 하부에 옹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옹벽의 상부에 하수 박스 구조물이 설치되고 그 하수 박스 구조물의 입구에 역류 방지구가 힌지 운동되도록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하수가 하천으로 흘러갈 수 있으며, 대홍수에 따른 하천의 역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상시 상태, (b)는 대홍수시 상태.
도 2는 본 고안의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방 200: 옹벽
300: 하수박스 구조물 400: 앵커 볼트
500: 체결구 600: 역류 방지구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하천과 접한 제방에 설치된 하수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방에는, 그 하부에 옹벽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에는 상부에 하수 박스 구조물이 설치되며,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에는 하천과 접하는 입구에 체결구와 역류 방지구가 힌지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옹벽은, "ㅗ"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에는, 하천 측으로 입구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한편 상부에 절곡부가 수직하게 입설되며, 하부 바닥면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부 천장면에 앵커 볼트가 매설되며, 그 앵커 볼트에 체결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앵커 너트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구는, 관통홀과 힌지봉홀이 형성되어 하수 박스 구조물의 상부 내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구에는, 역류 방지구의 힌지봉이 힌지봉홀에 체결되어 힌지 작동되는 한편, 상기 역류 방지구는, 평판 형태로, 상부에 힌지봉이 양측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상시 상태, (b)는 대홍수시 상태를 나타내는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천(W)과 접하는 제방(100)에는, 그 하부에 옹벽(200)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200)에는 상부에 하수 박스 구조물(300)이 설치되며,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에는 하천과 접하는 입구에 체결구(500)와 역류 방지구(600)가 힌지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옹벽(200)은, 하천 바닥면의 기초부를 구성하는 한편, 개략적으로 "ㅗ"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은, 하부 바닥면이 옹벽(200)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천(W) 측으로 입구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한편 상부에 절곡부(310)가 수직하게 입설되어 제방(100)의 토사가 하천으로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형성되고, 하부 바닥면에 단턱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은, 상부 천장면에 앵커 볼트(400)가 매설되고, 그 앵커 볼트(400)에 체결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앵커 너트(410)로 체결되는 한편, 상기 앵커 볼트(400)는 "ㄱ"자 단면 형태로 절곡된 상부가 매설된다.
상기 체결구(500)는, 개략적으로 "ㅗ"자형 단면 형태로, 관통홀(510)과 힌지봉홀(520)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500)는 하수 박스 구조물(300)의 상부 내측면에 2개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500)에는, 역류 방지구(600)의 힌지봉(620)이 힌지봉홀(520)에 체결되어 힌지 작동되는데, 상기 역류 방지구(600)는, 평판 형태로, 상부에 힌지봉(620)이 양측으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은, 입구가 하천(W)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제방(100)의 토사가 흘러내려가는 경우 하천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의 천장면과 바닥면에 경사지게 역류 방지구(600)가 설치되는 관계로, 대홍수가 발생되어 하천 수위가 높이진 경우, 그 수압이 역류 방지구(600)를 눌르게 되어 제방(100)까지 하천 수위가 올라가지 않는 경우 하천의 역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는, 그 구조상, 하수 박스 구조물의 입구에 역류 방지구가 힌지 운동되도록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하수가 하천으로 흘러갈 수 있으며, 대홍수에 따른 하천의 역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하천과 접한 제방에 설치된 하수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방(100)에는, 그 하부에 옹벽(200)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200)에는 상부에 하수 박스 구조물(300)이 설치되며,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에는 하천과 접하는 입구에 체결구(500)와 역류 방지구(600)가 힌지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옹벽(200)은, "ㅗ"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수 박스 구조물(300)에는, 하천(W) 측으로 입구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한편 상부에 절곡부(310)가 수직하게 입설되며, 하부 바닥면에 단턱부(330)가 형성되고, 상부 천장면에 앵커 볼트(400)가 매설되며, 그 앵커 볼트(400)에 체결구(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앵커 너트(410)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구(500)는, 관통홀(510)과 힌지봉홀(520)이 형성되어 하수 박스 구조물(300)의 상부 내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구(500)에는, 역류 방지구(600)의 힌지봉(620)이 힌지봉홀(520)에 체결되어 힌지 작동되는 한편, 상기 역류 방지구(600)는, 평판 형태로, 상부에 힌지봉(620)이 양측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
KR20-2004-0011636U 2004-04-27 2004-04-27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 KR200356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36U KR200356614Y1 (ko) 2004-04-27 2004-04-27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36U KR200356614Y1 (ko) 2004-04-27 2004-04-27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614Y1 true KR200356614Y1 (ko) 2004-07-19

Family

ID=4943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636U KR200356614Y1 (ko) 2004-04-27 2004-04-27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6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606A (ko) * 2016-12-02 2016-12-21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606A (ko) * 2016-12-02 2016-12-21 전상훈 스플릿형 가림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035B2 (ja) 津波対策構造
US20200032471A1 (en) Integrated Drain Gate Seawall System
JP5361096B1 (ja) 水門
KR200356614Y1 (ko) 이물질 걸림방지를 위한 하수박스 역류방지 구조
KR10071523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20100057110A (ko) 수문조절장치
GB2450875A (en) Flood prevention barrier incorporating a float member
JP5108553B2 (ja) 透過型砂防堰堤
KR100841081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KR100514954B1 (ko) 하향식 가동보
KR100612719B1 (ko) 곡류하천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 구조물
KR200466377Y1 (ko) 수문의 수밀고무
KR20090034154A (ko) 부표식 플랩밸브
KR200316401Y1 (ko) 하천 수위 상승지역의 역류방지용 복합재 수문구조
KR200310580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구조
KR100543435B1 (ko) 하수역류방지장치
CN217463343U (zh) 一种防倒灌拍门
KR200297673Y1 (ko) 자동 보의 수문 개폐장치
KR200378182Y1 (ko)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말뚝기초 옹벽 구조
KR200232382Y1 (ko) 부상식 자동 수문 개폐장치
KR200420164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비
KR100722156B1 (ko) 하천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블록
KR200407932Y1 (ko) 펌프 일체형 수문
JP4675089B2 (ja) 空気圧を利用するゲートの水位上昇の自動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