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450Y1 - 파워코드커넥터위치변경장치 - Google Patents

파워코드커넥터위치변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450Y1
KR200356450Y1 KR2019980027533U KR19980027533U KR200356450Y1 KR 200356450 Y1 KR200356450 Y1 KR 200356450Y1 KR 2019980027533 U KR2019980027533 U KR 2019980027533U KR 19980027533 U KR19980027533 U KR 19980027533U KR 200356450 Y1 KR200356450 Y1 KR 200356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wer cord
power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235U (ko
Inventor
박영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7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45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파워 코드 커넥터.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각종 사무, 가정용 전기 기기에서 파워 코드의 연결단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커넥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며, 기기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다.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기 기기에서의 파워 코드의 각 라인 연결 단자와 각각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를 고정하며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조와,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와 상기 기기의 내부 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가진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각종 전기 기기의 파워 코드 커넥터에 적용된다.

Description

파워 코드 커넥터 위치 변경 장치{APPARATUS FOR CHANGING POSITION OF POWER CORD CONNECTOR}
본 고안은 가정용, 사무용 각종 전기, 전자 기기에서 교류 전원을 제공받기 위하여 파워 코드와 연결되는 연결단자(이하 커넥터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 코드 커넥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정용, 사무용 전기 기기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교류전원을 제공받는다. 상기 교류 전원은 소켓과, 상기 기기를 연결하는 파워 코드(파워 케이블)를 통해 제공되며, 이때 상기 파워 코드의 연결단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기기에는 파워 코드 커넥터가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프린터에 적용된 일반적인 파워 코드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프린터(10)의 뒷부분과, 일 옆부분 및 윗부분이 나타나도록 프린터(10)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의 뒷부분의 일측에는 커넥터(12)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12)는 파워 코드의 연결단(14)과 결합되어, 프린터(10)는 구동 전원을 제공받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커넥터(12)가 프린터(10)와 같은 기기에서 설치되는 위치는 통상적으로 미관상 기기의 뒷부분에서 고정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기기는 통상적으로 뒷부분이 벽면과 같은 밀폐된 부분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것이 많다. 그럴 경우에 상기 커넥터(12)와 파워 코드(14)의 연결단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결합을 한 상태에서는 돌출되는 부분이 있게 되어 상기 기기의 뒷부분이 벽면 등에 완전히 밀착되게 기기를 설치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가정. 및 사무실의 공간 활용에도 낭비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사무, 가정용 전기 기기에서 파워 코드의 연결단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커넥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종 사무, 가정용 전기 기기에서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파워 코드 커넥터 위치 변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 기기에서의 파워 코드의 각라인 연결 단자와 각각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를 고정하며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조와,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와 상기 기기의 내부 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프린터에 적용된 일반적인 파워 코드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프린터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 중 주요부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 개략도
도 4는 도 3 중 주요부의 종단 절단면 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프린터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코드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20)는 파워 코드(14)의 연결단의 각 라인 연결 단자와 각각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고정하는 하우징이 미리 설정된 방향(도 2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상기 하우징의 회전 이동 가이드구조와, 내부적으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와 상기 기기의 내부 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짐으로 상기 커넥터(20)에서 파워 코드(14)의 각 연결단자와 접속하는 접속단자의 설치 위치가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변경된다. 이하 상기 커넥터(20)의 상세 구성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 중 주요부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 중 주요부의 종단 절단면 개략도이다.
일반적으로, 파워 코드(14)를 통해 전기, 전자 기기에 유입되는 교류 전원은 핫라인, 중성라인 및 접지라인을 통해서 인가되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중성라인과 접지라인 간의 전위차는 제로볼트이며, 핫라인과 접지라인 및 중성라인간의 전위차는 전원전압차인 110V, 혹은 220V이다. 상기한 파워 코드(14)의 각 라인 연결단자와 각각 접속하기 위하여 커넥터(20)에는 접속단자(24a, 24b, 23c)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단자(24a, 24b, 24c)를 고정하며, 커넥터(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2)은 중공형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회전 가능토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2)의 내부 원통형 홀의 면에는 금속 도체의 원형판(26a, 26b, 26c)이 각각 어느 정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도체의 원형판(26a, 26b, 26c)은 각각 상기 커넥터(20)의 접속단자 (24a, 24b, 24c)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22)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조(23)는 중앙에 원통형의 돌출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 원통형 홀에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구조(23)는 마찬가지로 기기의 외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조(23)의 원통형의 돌출부위에는 금속 도체의 원형판 (25a, 25b, 25c)이 각각 어느 정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금속 도체의원형판((25a, 25b, 25c)은 각기 연결핀(28)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핀(28)은 기기 내부 회로(PCB)의 전원 입력단(29)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조(23)의 원통형 돌출부위에 상기 하우징(22)의 원통형 홀이 삽입되었을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구조(23)의 각각의 원형판(26a, 26b, 26c)과 상기 가이드구조(23)의 원형판(25a, 25b, 25c)과 각각 접촉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2)에 부착되어 전원 코드(14)의 각 단자와 접속되는 각각의 접속단자(24a, 24b, 24c)는 하우징(22)이 어떠한 회전 위치에 있든지 간에, 각각의 원형판들을 거쳐 기기의 내부 회로의 전원 입력단(29)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기기의 파워 코드 커넥터 위치 변경 장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는 파워 코드의 접속라인이 핫라인, 중성라인, 접지라인의 3개의 라인인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이외에도 교류 전원은 핫라인과 접지라인만을 통해 인가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 따라 2개의 라인일 경우에도 본 고안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 기기에서의 파워 코드의 각 라인 연결 단자와 각각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를 고정하며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조와,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와 상기 기기의 내부 회로의 전원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가지므로, 상기 기기에서 파워 코드의 연결단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커넥터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기기의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전기 기기에서의 커넥터 위치 변경 장치에 있어서,
    파워코드의 각 라인 연결단자와 각각 접속하는 각각 접속단자를 고정하며 회전 이동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조와,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상기 가이드구조와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하우징 원형 판과, 상기 하우징 원형판과 대응되는 가이드구조의 접촉면에 형성되며 상기 기기의 내부 회로의 전원 입력단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가이드구조 원형 판을 구비한 전원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위치 변경 장치.
KR2019980027533U 1998-12-30 1998-12-30 파워코드커넥터위치변경장치 KR200356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33U KR200356450Y1 (ko) 1998-12-30 1998-12-30 파워코드커넥터위치변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33U KR200356450Y1 (ko) 1998-12-30 1998-12-30 파워코드커넥터위치변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235U KR20000014235U (ko) 2000-07-25
KR200356450Y1 true KR200356450Y1 (ko) 2004-10-12

Family

ID=4934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533U KR200356450Y1 (ko) 1998-12-30 1998-12-30 파워코드커넥터위치변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4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235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599B1 (ko) 내부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브라켓
CA2393014A1 (en) Switch/power drop unit for modular wiring system
BR0115832A (pt) Base de conexão para conectar cabos de alimentação de corrente de um motor elétrico aos condutores de fase de bobinas do motor elétrico
KR200356450Y1 (ko) 파워코드커넥터위치변경장치
DE50310799D1 (de) Elektrischer winkelförmiger steckverbinder mit gegenseitiger festlegung der beiden winkelschenkel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KR20050123064A (ko) 버스웨이 시스템
CN208445035U (zh) 一种转接电缆、发电车及电力系统
CN107706571B (zh) 电机
KR200225332Y1 (ko) 방향전환이 가능한플러그
KR200252568Y1 (ko) 커넥터
CN219067370U (zh) 一种连接器
CN214852231U (zh) 一种智能开关控制盒
CN217334447U (zh) 电连接器和电动车
CN220672962U (zh) 一种连接器及电子设备
CN211829432U (zh) 模块化电子开关及模块化电源插座
CN212849201U (zh) 一种无线充插座
JP3921948B2 (ja) ユニット装置
JPH08293363A (ja) 接続変換コネクタ
KR920001213Y1 (ko) 콘센트의 이동장치
KR19990010460U (ko) 전기 접속구
JP2005038737A (ja) 天井照明用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JP2000021488A (ja) 移動可能なコンセントの取り付け構造
SU1262750A1 (ru) Блок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й аппаратуры
KR20210155924A (ko) IoT 기능을 구비한 조립형 멀티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