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379Y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379Y1
KR200356379Y1 KR20-2004-0011034U KR20040011034U KR200356379Y1 KR 200356379 Y1 KR200356379 Y1 KR 200356379Y1 KR 20040011034 U KR20040011034 U KR 20040011034U KR 200356379 Y1 KR200356379 Y1 KR 200356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ice maker
presen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이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한 filed Critical 이재한
Priority to KR20-2004-0011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사용되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기의 크기를 컴팩트화함으로써 각 주요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효율 좋고 저렴한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제빙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고안은 소정 내용적을 가지고 격실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트레이와, 얼음을 밀어내어 취출 하는 이빙레버와, 얼음 수납부에 수납된 얼음의 만충을 검지 하는 검빙레버와, 정수를 상기 트레이로 유도하는 급수부와,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장설 되는 히터와, 회로기판과 모터를 내장하는 제어박스로 이루어지는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1열 또는 2열의 격실이 각 열별로 5개 이하로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형성되는 브래킷을 통해 부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빙기를 컴펙트화하여 어떠한 냉장고나 냉동실에도 적응이 되면서 간편하고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각 구성 부품을 최적화하면서 조립이 손쉬운 구조를 제공하며, 각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에 또는 기존의 부품과도 호환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사용되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기를 컴팩트화하여 각 주요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효율 좋고 저렴한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제빙기에 관한 발명이다.
제빙기는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고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얼음(물 또는 주스나 우유의 응고체를 모두 포함하며, 이하 '얼음'으로 통칭함)을 제빙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일반적인 구조는 소정의 트레이(Tray) 내에 소정 형상으로 구획되어 급수를 저장하는 격실을 가지고, 또한 급수수단과 이빙(離氷)수단을 가지는 것이며, 급수수단을 통해 트레이에 정수(응고를 하고자 하는 모든 종류의 액체가 포함되며, 이하 '정수'라 통칭함)가 공급되면, 냉장고의 냉동실 또는 냉동고에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급수된 정수가 응고되고, 이를 이빙수단에 의해 소정의 얼음보관용 케이스 측으로 낙하시켜서 제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방식이 통용되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냉동실 또는 냉동고의 냉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제빙(製氷)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빙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으로 웰빙(Well-being)한 생활을 하고자 하는 현대에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기본이 되어, 이에다가 소소한 변화를 줌으로서 그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안 중 가장 전형적인 예가 공개특허 제2000-0055342호인데, 이는 '자동 제빙기의 제어방법'인 제어회로에 대한 고안임으로 본원 고안과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도면에 도시된 구조가 전형적인 제빙기의 일 태양을 보이고 있음으로 이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설치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고안의 구성 상태도이고, 도 3은 종래 고안의 내부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도 2의 측면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고안의 분해 상태도이다.
종래의 고안은 냉장고의 냉동실(5)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빙기(1')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1')는 소정 내용적을 가지는 격실(21)이 2열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트레이(2)와, 상기 트레이(2)의 각 격실(21)의 얼음을 밀어내어 얼음수납부(7)로 취출 하는 이빙레버(22)와, 상기 트레이(2)의 하단에서 스윙 자제한 검빙레버(23)와, 상기 트레이(2)의 일측에 부착되어 주입되는 정수를 상기 트레이(2)로 공급하는 급수부(24)와, 상기 트레이(2)의 하단에 장설 되는 시즈히터(25')와, 상기 트레이(2)의 각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31)과 구동력을 공급하는 A. C.모터(32')를 내장하는 상기 트레이(2)에 접합되는 제어박스(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빙기(1')의 트레이(2)는 열전도율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으로 제작되는데, 트레이(2)에는 2열로 7~10개의 격실(21)이 형성되어 급수센서(도시 생략)를 통해 격실(21) 또는 트레이(2)가 비어 있는 것을 인지하면, 정수를 공급하여 응고과정을 진행하게 되며, 이어서 취출과정도 소정의 센싱을 통해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응고과정은 정수를 소정용량씩 다수회 급수하여 만충된 것이 급수센서를 통해 인지되게 되며, 급수된 정수는 외부의 디스펜서 또는 저수탱크(6)에서 공급되어 급수부(24)를 통해 트레이(2)의 각 격실(21)에 공급되어 찬 외기에 의하여 응고하여 얼음이 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취출과정은 응고된 후 또는 거의 완료과정에서 이루어지는데, 트레이(2)의 하단에 설치된 검빙레버(23)가 얼음수납부(7)를 검지 하여 얼음이 모자란다고 판단되면, 응고된 얼음을 트레이(2)에서 취출 하도록 하는 것으로, 트레이(2)의 격실(21)에 응고되어 부착된 얼음이 트레이(2)하부에 설치된 시즈히터(25')에 의하여 표면이 약간 녹으면서 박리가 되면, 이빙레버(22)가 각얼음을 격실(21)에서 밀어내어 취출 하게 되며, 트레이(2)의 격실(21)에 얼음 또는 물이 비어있는 것을 급수센서가 감지하면, 다시 상술한 급수과정을 통해 응고 및 취출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 과정은 제어박스(3)에 내장되는 회로기판(31)에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각 레버(22, 23)의 구동력은 A. C.모터(32')에서 캠(321)을 거쳐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고안은 트레이가 너무 커서 응고에 시간이 걸리고, 특히 트레이나 격실로부터 많이 이격된 부분은 응고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얼음이 취출 되기도 하며, 제빙기가 커서 작은 냉장고나 냉동실에는 수납 및 취부에 어려움이 있으며, 각 구성 부분이 구조상 고가의 소재로 제작 될 수밖에 없게 되어 있으며, 그 조립에도 공수가 많이 드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첫째로 제빙기를 컴펙트화하여 어떠한 냉장고나 냉동실에도 적응이 되면서 간편하고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둘째 각 구성 부품을 최적화하면서 조립이 손쉬운 구조를 제공하며, 셋째 각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에 또는 기존의 부품과도 호환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목적으로 연구 개발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종래의 제빙기에 있어서, 트레이를 컴펙트화하고, 회로기판을 모튤화하며, 트레이와 제어박스간의 접속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구성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종래 고안의 분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부 절개 구성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의 절단상태 요약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 부호
1. 제빙기 1'. (종래의) 제빙기
2. 트레이
21. 격실 22. 이빙레버 23. 검빙레버
24. 급수부 26. 브래킷
3. 제어박스
31. 회로기판 311. 접속부 312. 슬롯
32. D. C.모터 32'. A. C.모터 321. 캠
4. 스크류 볼트
5. 냉동실
6. 저수탱크
7. 얼음수납부
이하에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을 냉동실 내에 설치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기본구성을 가지는 구성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어박스(3)의 일부를 절개하여 접속부(311)와 슬롯(312)간의 연결 상태를 알 수 있도록 도시한 구성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구성은, 소정 내용적을 가지고 격실(21)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트레이(2)와, 얼음을 밀어내어 취출 하는 이빙레버(22)와, 얼음수납부(7)에 수납된 얼음의 만충을 검지 하는 검빙레버(23)와, 정수를 상기 트레이(2)로 유도하는 급수부(24)와, 상기 트레이(2)의 하단에 장설 되는 히터(25)와, 회로기판(31)과 모터(32)를 내장하는 제어박스(3)로 이루어지는 제빙기(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3)에 내장되는 회로기판(31)이 일측에 접속 단자를 밀집 배열하는 접속부(311)로 되고, 상기 접속부(311)가 삽입되는 슬롯(3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는 1열 또는 2열의 격실(21)이 각 열별로 5개 이하로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2)의 일측에 형성되는 브래킷(26)을 통해 부착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제어박스(3)를 절단하여 요약상태로 도시한 요약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빙레버(22)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D. C.모터(32)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고안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5)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경우의 각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소정 내용적을 가지고 격실(21)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트레이(2)와, 얼음을 밀어내어 취출 하는 이빙레버(22)와, 얼음수납부(7)에 수납된 얼음의 만충을 검지 하는 검빙레버(23)와, 정수를 상기 트레이(2)로 유도하는 급수부(24)와, 상기 트레이(2)의 하단에 장설 되는 히터(25)와, 회로기판(31)과 모터(32)를 내장하는 제어박스(3)로 이루어지는 제빙기(1)를 기본으로 하는데, 이는 전형적인 종래의 제빙기(1')를 기술하는 것으로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지 상기한 제빙기(1)에만 제한 적으로 이용된 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2) 내부인 격실(21)이 비어 있는 것을 인지하면, 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과정과, 그 후 정수가 응고되고 얼음수납부가 충만(充滿)되지 않은 것을 감지하면, 응고된 얼음을 트레이(2)에서 취출 하도록 하는 취출과정을 사이클로 하는 순환을 반복하면서 얼음을 얼려서 자동으로 반복하게 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며, 이러한 각 과정이 제어박스(3)에 내장되는 회로기판(31)에서 제어가 이루어지며, 각 레버(22, 23)의 구동력은 모터(32')에서 공급하게 되는 것도 동일하다.
그런데, 본 고안은, 상기 제어박스(3)에 내장되는 회로기판(31)이 일측에 접속 단자를 밀집 배열하는 접속부(311)로 되고, 상기 접속부(311)가 삽입되는 슬롯(3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인데, 종래의 회로기판(31)은 P. C. B.에서 직접 연결되는 것(도 3 참조)으로 연결선(제어선 및 파워)이 다수로 되어 늘어져서 배선되어 단선의 염려도 많고 정비에도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이들 배선을 하네스(Harness)로 집속하여 슬롯(312)을 통해 접속부(311)로 회로기판(31)과 연결되어 설치가 간편하고 단선의 염려도 없을 뿐만 아니라 추후의 정비도 손쉽게 된다(도 7참조). 게다가, 본 고안에서는 트레이(2)를 컴펙트화하여동력이 적게 듦으로 동력선도 하네스에 집속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히터(25)의 용량을 종래(약 140W 이상)보다 월등 줄일 수 있어서(100W 이하) 안전성을 높이면서, 주변기기에 열영향을 적게 주어 기기의 안정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트레이(2)가 1열 또는 2열로 이루어지는 격실(21)이 각 열별로 5개 이하로 배치되어 있어서(도 6 참조), 주변의 냉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여 응고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특히 이는 제빙기(1) 전체의 규격을 줄여서 아주 작은 냉장고의 냉동실(5)이나 냉동고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트레이(2)는 그 일측에 형성되는 브래킷(26)을 통해 부착되는 것인데, 트레이(2)가 컴펙트화되어 브래킷(26)이 종래와 같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서 2개 이하로도 줄일 수 있어서 설치의 편의뿐만 아니라, 이러한 설치는 브래킷(26)을 통해 스크류 볼트(4)로 천공하면서 설치됨으로 설치되는 냉동실(5)에 데메지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이빙레버(22)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D. C.모터(32)로 된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종래의 제빙기(1)에서는 트레이(2)가 커서 이빙레버(22)로 취출 하여야 할 얼음이 많음으로 큰 힘이 소요되고, 이는 모터를 힘이 좋은 A. C.모터(32')로 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도 3 참조), 본 고안에서는 컴펙트화를 도모하여 힘이 조금 약해도 규격을 줄이면서 정밀 제어가 가능한 D. C.모터(32)로 대체할 수 있게 된 것이다(도 8참조).
본 고안에 따른 제빙기는 크기를 컴펙트화 함으로써, 어떠한 냉장고나 냉동실에도 적응이 되면서 간편하고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각 구성 부품을 최적화하면서 조립이 손쉬운 구조를 제공하며, 히터의 설치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저렴한 히터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각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에 또는 기존의 부품과도 호환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제빙기보다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컴펙트화 된 구조로서 얼음을 제빙시키게 됨으로써 제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반면, 시간당 제빙능력은 종래의 컴펙트화 되지 않은 제빙기에 뒤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소량의 얼음을 얻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제빙기보다 단시간내에 얻을 수 있고, 다량의 얼음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제빙기와 같은 시간내에는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소정 내용적을 가지고 격실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트레이와, 얼음을 밀어내어 취출 하는 이빙레버와, 얼음 수납부에 수납된 얼음의 만충을 검지 하는 검빙레버와, 정수를 상기 트레이로 유도하는 급수부와,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장설 되는 히터와, 회로기판과 모터를 내장하는 제어박스로 이루어지는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에 내장되는 회로기판이 일측에 접속 단자를 밀집 배열하는 접속부로 되고,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는 슬롯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1열 또는 2열의 격실이 각 열별로 5개 이하로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형성되는 브래킷을 통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빙레버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D. C.모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20-2004-0011034U 2004-04-21 2004-04-21 제빙기 KR200356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034U KR200356379Y1 (ko) 2004-04-21 2004-04-21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034U KR200356379Y1 (ko) 2004-04-21 2004-04-21 제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468A Division KR20050102701A (ko) 2004-04-21 2004-04-21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379Y1 true KR200356379Y1 (ko) 2004-07-15

Family

ID=4934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034U KR200356379Y1 (ko) 2004-04-21 2004-04-21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3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0767B1 (en) Low-volume ice-making machine
US5992167A (en) Ice maker
KR101405959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356379Y1 (ko) 제빙기
KR20060009405A (ko) 개량된 히터를 가지는 제빙기
KR200356378Y1 (ko) 제빙기
KR200356381Y1 (ko) 제빙기
KR200356380Y1 (ko) 제빙기
CN102132117A (zh) 用于制冷装置的冰分配器
KR100756991B1 (ko) 제빙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050110213A (ko) 제빙기
KR20060007067A (ko) 조립식 트레이를 가지는 제빙기
KR20060007068A (ko) 개량된 제빙기
KR20060007066A (ko) 접속단자를 밀집배열한 제빙기
KR20050102701A (ko) 제빙기
KR100246392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 장치
US11268745B2 (en) Harness free ice maker system
KR20050110209A (ko) 제빙기
KR100631555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CN215176242U (zh) 制冰机的自动供水装置及制冰机
KR100690680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CN212678050U (zh) 一种多功能宠物投食机
KR0176944B1 (ko) 냉장고의 빙수 디스펜스
CN114812030B (zh) 一种制冰模块及具有其的制冰机和冰箱
CN219913658U (zh) 一种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