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680B1 - 냉장고의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680B1
KR100690680B1 KR1020050019265A KR20050019265A KR100690680B1 KR 100690680 B1 KR100690680 B1 KR 100690680B1 KR 1020050019265 A KR1020050019265 A KR 1020050019265A KR 20050019265 A KR20050019265 A KR 20050019265A KR 100690680 B1 KR100690680 B1 KR 10069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blocking plate
mold
making mold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053A (ko
Inventor
양호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6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상하 측으로 개구된 캐비티가 형성된 복수의 제빙몰드와; 상기 제빙몰드의 각 하단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빙몰드를 지지하는 몰드지지부와; 상기 제빙몰드의 각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몰드수용부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각 제빙몰드의 하단을 차단하는 차단판과; 상기 제빙몰드와 상기 차단판 사이에 개재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차단판이 상기 제빙몰드의 하부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판을 회동 구동시키는 차단판구동부와; 상기 각 제빙몰드의 상측에서 상기 각 제빙몰드로 물을 낙하시켜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빙장치{ICE MAKER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제빙몰드영역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차단판의 이빙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몰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제빙몰드 112a : 캐비티
115 : 온도센서 117 : 제2히터
121 : 몰드지지부 131 : 차단판
135 : 몰드수용부 138 : 실링부재
141 : 모터 151 : 급수부
155 : 급수공 161 : 콘트롤박스
181 : 제어부 183 : 차단판위치검출부
185 : 만빙감지부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제빙장치는, 내부에 소정 형상의 얼음(15)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캐비티(13)가 형성된 제빙몰드(11)와, 제빙몰드(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빙몰드(11)에 제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1)와, 제빙몰드(11)의 하측에 제빙몰드(11)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히터(25)와, 제빙몰드(11)에 형성된 얼음(15)을 제빙몰드(1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빙몰드(11)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젝터(31)와, 제빙몰드(11) 및 이젝터(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콘트롤박스(41)를 구비하고 있다.
제빙몰드(11)는 상향 개구된 반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알루미늄부재로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빙몰드(11)의 내부는 초승달 모양의 얼음(15)이 형성될 수 있게 내부 공간을 복수의 캐비티(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획하는 복수의 리브(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빙몰드(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각 캐비티 (13)에 제빙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제빙몰드(11)의 외면에는 제빙된 얼음(15)이 제빙몰드(11)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제빙몰드(11)를 가열하는 히터(25)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빙몰드(11)의 상측에는 각 캐비티(13)에 형성된 얼음(15)을 분리할 수 있도록 이젝터(31)가 배치되어 있다. 이젝터(31)는 제빙몰드(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32)와, 각 캐비티(13)에 대응되게 샤프트(32)의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이젝터핀(33)을 구비하고 있다. 제빙몰드(11)의 상측 이젝터(31)의 일측에는 이젝터핀(33)에 의해 제빙몰드(11)로부터 분리된 얼음(15)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스트리퍼(35)가 배치되어 있다.
제빙몰드(11)의 하측에는 제빙몰드(11)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얼음(15)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아이스뱅크(45)가 배치되어 있으며, 아이스뱅크(45)의 상측에는 얼음(15)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만빙감지암(43)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있어서는, 제빙몰드(11)가 상향 개구된 형태로 고정되어 있고, 제빙후에는 히터(25)로 제빙몰드(11)를 가열하여 얼음(15)이 제빙몰드(11)로부터 분리한 후 이젝터핀(33)을 회동시켜 분리된 얼음(15)이 제빙몰드(11)의 하측으로 낙하여 아이스뱅크(45)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젝터(31) 및 스트리퍼(35)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빙 완료된 제빙트레이를 비틀어지게 하여 제빙된 얼음이 제빙트레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소위 트위스트 방식의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있어서는, 제 빙트레이를 비틀어지게 하기 위해 비교적 큰 지지바디가 필요하게 되고 출력이 큰 구동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상하 측으로 개구된 캐비티가 형성된 복수의 제빙몰드와; 상기 제빙몰드의 각 하단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빙몰드를 지지하는 몰드지지부와; 상기 제빙몰드의 각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몰드수용부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각 제빙몰드의 하단을 차단하는 차단판과; 상기 제빙몰드와 상기 차단판 사이에 개재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차단판이 상기 제빙몰드의 하부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판을 회동 구동시키는 차단판구동부와; 상기 각 제빙몰드의 상측에서 상기 각 제빙몰드로 물을 낙하시켜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각 제빙몰드의 하부 개구를 동시에 차단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각 몰드수용부의 측벽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빙몰드는 서로 다른 크기의 2개 이상의 캐비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빙몰드는 서로 다른 단면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캐비티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구동부는, 전기력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및 솔레노이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빙몰드 및 상기 차단판 중 어느 하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차단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단판위치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판 및 상기 제빙몰드 중 어느 하나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차단판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빙몰드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제빙몰드영역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차단판의 이빙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몰드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제빙장치는, 내부에 하향 개구되고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증대되는 캐비티(112a)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빙몰드(111)와, 제빙몰드(111)의 각 하단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제빙몰드(111)를 지지하는 몰드지지부(121)와, 제빙몰드(111)의 하부 개구(112c)를 차단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판(131)과, 차단판(131)이 제빙몰드(111)의 하부 개구(112c)를 차단하는 제빙위치와, 차단판(131)이 제빙몰드(111)의 하부 개구(112c)를 개방하도록 하향 회동되는 이빙위치간을 회동 구동시키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141)로 구현된 차단판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제빙몰드(111)는 하부 개구(112c)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몰드지지부(121)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제빙몰드(111)의 하측에는 제빙몰드(111)의 하부 개구(112c)를 동시에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도록 차단판(131)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빙몰드(111)의 상측에는 제빙몰드(111)에 물(107)을 공급할 수 있도 록 급수부(1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빙몰드(111)의 일측에는 각 부품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161)가 배치되어 있다. 차단판(131) 및 콘트롤박스(161)의 하측에는 제빙몰드(111)로부터 낙하되는 얼음(108)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아이스뱅크(171)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빙몰드(111)는 내부에 상향 및 하향 개구되고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증가하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캐비티(112a)를 형성하도록 열전도성부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 금속부재나 열전도성 플라스틱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빙몰드(111)의 일측에는 제빙몰드(11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15)와, 내부의 얼음(108)이 분리될 수 있게 제빙몰드(111)를 가열하는 제2히터(117)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얼음(108)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캐비티(212a~212c)를 구비하도록 제빙몰드(211a~211c)를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단면 형상, 예를 들면 사각형 단면 형상의 캐비티(222a~222c) 또는 원형 단면 형상의 캐비티(222d,222e)를 구비하도록 제빙몰드(221a~221e)를 형성할 수도 있다.
몰드지지부(121)는, 각 제빙몰드(111)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122a)와, 제빙몰드(111)의 일측에 거의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냉동실(105)의 내벽(106)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빙몰드(111)를 지지하는 지지판부(122b)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부(122b)의 하부영역에는 차단판(13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차단판지지부(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차단판지지부(125)에는 축공(126)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급수부(151)는 거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물(107)이 유입되는 급수관(153)이 연결되어 있다. 급수부(151)의 저부에는 각 제빙몰드(111)에 물(107)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제빙몰드(111)의 상부 개구(112b)에 대응되는 지점에 급수공(1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차단판(131)은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축공(12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1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측 회전축(133)은 콘트롤박스(161)의 내부로 연장되어 차단판(131)을 정역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41)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차단판(13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차단판위치검출부(183)가 구비되어 있다.
차단판(131)의 상면에는 각 제빙몰드(111)의 하단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몰드수용부(135)가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 몰드수용부(135)의 측부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판(131)과 제빙몰드(111)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138)의 일측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판(131)의 저부에는 이빙 시 차단판(131)이 각 제빙몰드(111) 및 얼음(108)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차단판(131)을 가열할 수 있도록 제1히터(137)가 구비되어 있다.
콘트롤박스(161)의 외면 일측에는 전원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전원스위치(163)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부에는 아이스뱅크(171)의 내부의 얼음(108)의 수위(레벨)를 검출할 수 있도록 만빙감지레버(165)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콘트롤박스(161)의 내부에는 전원 투입 시 여러 부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16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67)에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의 형태로 구현되는 제어부(181)가 구비된다. 제어부(181)에는 제빙몰드(111)의 온도와, 받침판의 위치 및 아이스뱅크(171)의 내부의 얼음(108) 수위를 각각 검출하여 이빙 및 제빙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115)와, 차단판위치검출부(183)와, 만빙감지레버(165)와 연동되어 아이스뱅크(171)의 내부에 수용 저장된 얼음(108)의 수위(레벨)를 검출하는 만빙감지부(185)와, 모터(141)와, 제1히터(137) 및 제2히터(117)와, 급수관(153)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급수밸브(187)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원스위치(163)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81)는 차단판(131)이 각 제빙몰드(111)의 하부 개구(112c)를 차단하는 제빙위치로에 위치되도록 하고, 급수밸브(187)를 제어하여 각 제빙몰드(111)에 물(107)이 공급되도록 한다. 물(107)이 공급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온도센서(115)에 의해 제빙몰드(111)의 온도를 검출되도록 하고, 검출된 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제빙 완료로 판단하여 제1히터(137) 및 제2히터(117)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제1히터(137) 및 제2히터(117)에 전원이 인가되면 차단판(131) 및 제빙몰드(111)의 표면 온도가 상승되어 얼음(108)은 차단판(131) 및 제빙몰드(111)로부터 분리된다. 제1히터(137) 및 제2히터(117)에 전원이 인가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모터(141)를 제어하여 차단판(131)이 이빙위치로 하향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빙몰드(111)와 얼음(108)이 분리되는 시점 보다 차단판(131)과 얼음(108)이 분리되는 시점이 선행되도록 제1히터(137) 및 제2히터(117)의 발열량을 조절하거나 제1히터(137)와 제2히터(117)의 전원 투입 시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차단판(131)이 이빙위치로 회동되면 각 제빙몰드(111)의 내부의 얼음(108)은 해당 제빙몰드(111)로부터 분리되고 하측의 아이스뱅크(171)의 내부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제어부(181)는 차단판위치검출부(183)에 의해 차단판(131)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모터(141)를 제어하여 차단판(131)이 제빙위치로 상향 회동되도록 한 후, 급수밸브(187)를 제어하여 각 제빙몰드(111)에 물(107)이 공급되도록 한다. 일련의 제빙과정이 수행되면 제어부(181)는 만빙감지레버(165)를 동작시켜 만빙감지부(185)에 의해 아이스뱅크(171)의 내부의 얼음(108)의 수위를 검출하고, 만빙수위가 검출되면 모터(141)와, 급수밸브(187)와, 제1히터(137) 및 제2히터(117)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대기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차단판을 회동 구동시키는 차단판구동부가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차단판구동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제빙몰드가 모두 상부 개구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각 제빙몰드의 상부 개구에 대응되게 급수공을 구비하도록 급수부를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각 캐비티가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하고 하나의 제빙몰드에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하향 개구되고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증대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빙몰드와, 제빙몰드의 각 하단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제빙몰드를 지지하는 몰드지지부와, 제빙몰드의 하부 개구를 차단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판과, 차단판이 제빙몰드의 하부 개구를 차단하는 제빙위치와 차단판이 제빙몰드의 하부 개구를 개방하도록 하향 회동되는 이빙위치간을 회동 구동시키는 차단판구동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5)

  1. 내부에 상하 측으로 개구된 캐비티가 형성된 복수의 제빙몰드와;
    상기 제빙몰드의 각 하단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빙몰드를 지지하는 몰드지지부와;
    상기 제빙몰드의 각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몰드수용부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각 제빙몰드의 하단을 차단하는 차단판과;
    상기 제빙몰드와 상기 차단판 사이에 개재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차단판이 상기 제빙몰드의 하부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차단판을 회동 구동시키는 차단판구동부와;
    상기 각 제빙몰드의 상측에서 상기 각 제빙몰드로 물을 낙하시켜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각 제빙몰드의 하부 개구를 동시에 차단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몰드수용부의 측벽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몰드는 서로 다른 크기의 2개 이상의 캐비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몰드는 서로 다른 단면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캐비티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0. 제1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력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및 솔레노이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몰드 및 상기 차단판 중 어느 하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단판위치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 및 상기 제빙몰드 중 어느 하나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차단판을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빙몰드를 가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2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20050019265A 2005-03-08 2005-03-08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69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265A KR100690680B1 (ko) 2005-03-08 2005-03-08 냉장고의 제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265A KR100690680B1 (ko) 2005-03-08 2005-03-08 냉장고의 제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53A KR20060098053A (ko) 2006-09-18
KR100690680B1 true KR100690680B1 (ko) 2007-03-09

Family

ID=3762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265A KR100690680B1 (ko) 2005-03-08 2005-03-08 냉장고의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335B1 (ko) * 2007-02-02 2008-05-08 주식회사 대창 냉장고의 제빙 디스펜서 시스템
CN116447783B (zh) * 2023-03-31 2023-12-01 宜兴市冰源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供液均匀的直冷式制冰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483A (ja) 1997-03-27 1998-10-09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JPH11182997A (ja) 1997-12-24 1999-07-06 Sanyo Electric Co Ltd セル型製氷機
KR20030054154A (ko) * 2001-12-24 2003-07-0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물 분무식 자동 제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7483A (ja) 1997-03-27 1998-10-09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JPH11182997A (ja) 1997-12-24 1999-07-06 Sanyo Electric Co Ltd セル型製氷機
KR20030054154A (ko) * 2001-12-24 2003-07-0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물 분무식 자동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53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624B1 (ko) 자동제빙기용 이젝터의 회전 제어장치
EP2096384B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1387790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수위 감지방법
KR20090092386A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수위 감지방법
KR20100110183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KR100814686B1 (ko) 제빙기
KR100690680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EP2096385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86076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39562B1 (ko) 냉장실의 도어구조
KR100631557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631555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781287B1 (ko) 제빙 장치 및 이의 얼음량 감지 방법, 그리고 냉장고
KR100631558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EP3862709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531290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 제어방법
KR20210005798A (ko) 냉장고
KR20050110211A (ko) 제빙기
US1183528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9958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662445B1 (ko) 제빙장치
KR100565611B1 (ko) 자동제빙기용 이젝터의 회전 제어장치
KR20030015054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히터단속방법 및 장치
KR20090092387A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물넘침 방지방법
KR10060992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