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880Y1 -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880Y1
KR200354880Y1 KR20-2004-0010205U KR20040010205U KR200354880Y1 KR 200354880 Y1 KR200354880 Y1 KR 200354880Y1 KR 20040010205 U KR20040010205 U KR 20040010205U KR 200354880 Y1 KR200354880 Y1 KR 200354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filter basket
filter
coffee mak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0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6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a sealed water boiling vessel in which the steam pressure urges the hot water through a rising 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메이커에 설치되는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동시에 여러 종류의 커피를 투입하고, 필요시 원하는 종류에 해당하는 커피 또는 차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걸름망이 안착되는 필터 바스켓과; 상기 필터 바스켓 내부로 동시에 여러 종류의 커피를 각각 따로 나뉘어 채워넣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커피 메이커{coffee maker}
본 고안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커피를 동시에 채워놓고, 원하는 커피만을 추출가능하도록 한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메이커는 원두커피를 추출하여 커피 포트에 자동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저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피 메이커는, 종래의 커피 메이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 1과 같이, 본체(10)와, 식수 저장통(20)과, 필터 바스켓(30)과, 커피 포트(60)와, 가열히터(도시는 생략함) 그리고, 온수 공급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커피 메이커의 외관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식수 저장통(20)은 상기 본체(10) 내의 상단 후방측에 구비되며, 커피 추출을 위한 식수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걸름망(40)이 장착되는 부위로써,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피 포트(60)에는 추출된 커피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히터(도시는 생략함)는 식수를 가열하도록 발열되며, 상기 본체(10) 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공급관(50)은 그 일단이 상기 식수 저장통(2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필터 바스켓(30)의 상단에 위치되며, 히터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를 유동하면서 가열된 식수를 상기 필터 바스켓(3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필터 바스켓(30)의 상단에 위치되는 온수 공급관(50)의 끝단에는 다수의 분무홀(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바스켓(30)에 걸름망(30)을 장착한 상태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원두커피를 투입한 후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가 발열되어 온수 공급관(50) 내의 식수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되는 식수는 상기 온수 공급관(50)을 따라 필터 바스켓(30)의 상단으로 유동한 후 상기 온수 공급관(50)의 끝단에 형성된 다수의 분무홀(51)을 통해 상기 필터 바스켓(30)의 내부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필터 바스켓(30) 내의 필터 바스켓(40)에 투입된 원두커피의 원액이 추출되어 상기 필터 바스켓(30)의 하단에 위치된 커피 포트(60) 내부에 저장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피 메이커에 장착되는 필터 바스켓(30)은 원두커피 등을 채워 놓고 한 번 사용 후에 재 사용 시나 또는, 다른 종류의 맛을 갖는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는, 그 때마다 필터 바스켓(30)을 세척하고 걸름망을 걸러준 후, 다시 커피를 채워넣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 바스켓을 분리벽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필터실로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각 필터실에 다양한 향 및 맛을 지니는 커피를 각각 채워 넣어, 추출 시에 원하는종류에 해당하는 커피만을 추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피 메이커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커피 메이커에 구비되는 필터 바스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바스켓을 구비하는 커피 메이커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필터실을 구비하는 필터 바스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필터실을 구비하는 필터 바스켓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20...식수통
130...필터 바스켓 133...커피 배출구
135...분리벽 138...필터실
140...걸름망 151...분무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걸름망이 안착되는 필터 바스켓과; 상기 필터 바스켓 내부로 동시에 여러 종류의 커피를 각각 따로 나뉘어 채워넣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바스켓을 구비하는 커피 메이커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필터실을 구비하는 필터 바스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필터실을 구비하는 필터 바스켓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걸름망(140)이 안착되는 필터 바스켓(130)과; 상기 필터 바스켓(130) 내부로 동시에 여러 종류의 커피를 각각 따로 나뉘어 채워넣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벽(13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본 고안 커피 메이커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에는 상부 공간의 후방측에 식수통(120)이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식수가 저장된다.
이 때, 상기 식수통(120)에는 식수공급을 하기 위한 식수공급공(121)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 상부 공간 중 상기 식수통(120)의 전방측 공간상에는 필터 바스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바스켓(130)은 저부가 개구된 커피배출구(133)가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내부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벽(135)이 구비되어, 상기 필터 바스켓(130)이 다수개의 필터실(138)로 나뉘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나뉘어진 각 필터실(138)마다 그 내부로 걸름망(140)이 각각 안착된다.
한편, 상기 분리벽(135)은 상기 필터 바스켓(130)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경우에 따라 상기 분리벽(135)을 상기 필터 바스켓(130)으로부터 분리하면,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필터 바스켓(30)과 같이 하나의 필터실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분리벽(135)이 필터 바스켓(130)에 결합 시에 상기 분리벽(135)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상기 필터 바스켓(13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 안착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벽(135)에는 상기 안착홈(131)에 안착되도록 하는 리브(136)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 커피 메이커는 필터 바스켓(130) 아래로는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포트(170)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공급부는 식수통(120)에 저장된 물을 히터(180)를 통하여 가열한 후, 다시 분무홀(151)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온수공급관(152)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무홀(151)은 상기 다수개의 필터실(138) 중 한 개의 필터실(13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선택되는 하나의 필터실(138)으로만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바스켓을 구비한 커피 메이커를 이용하여 커피가 추출되는 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마시고자 하는 여러 종류의 커피를 각각의 필터실(138)에 나뉘어 투입하고, 추출을 원하고자 하는 커피가 들어있는 필터실(138)이 분무홀(151)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필터 바스켓(130)을 회전한 후, 식수공급공(121)을 통하여 물을 투입한다.
그리고 난 후, 전원을 켜면 분무홀(151)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 필터 바스켓(130)의 필터실(138)으로만 히터(180)를 통하여 가열된 온수가 공급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선택한 종류의 커피만을 추출하여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또 다른 종류의 커피를 추출하여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터 바스켓(130)을 회전시켜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가 들어있는 또 다른 필터실(138)을 분무홀(151) 아래에 위치시킨 후, 온수를 투입하여, 새로 선택한 다른 종류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필터 바스켓(130)을 회전시키며, 원하는 필터실(138)이 분무홀(151)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나, 반대로 분무홀(151) 또는 온수공급관(152)을 이동하여 상기 분무홀(151)이 원하는 필터실(138)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새 커피로 교체하고자 또는 다른 종류의 커피를 마시고자 여러 번 필터를 청소하여야 하는 수고 없이도, 한번에 여러 종류의 커피를 필터 바스켓(130)의 각 필터실(138)에 투입한 후, 원하는 커피가 투입된 필터실(138)이 분무홀(151) 아래에 위치하도록 필터 바스켓(130)을 이동시키며 원하는 커피만을 추출하여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도면에서는 필터 바스켓(130)에 네개의 필터실(138)이 구비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필터 바스켓(130)는 분리벽(135)의 구조에 따라 두개 또는 그 이상의 필터실(138)을 가지는 구조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필터실에는 커피 이외에 녹차 등과 같은 차를 투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피 메이커는 여러 종류의 커피를 동시에 투입한 후,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종류의 커피만을 추출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제품 만족도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걸름망이 안착되는 필터 바스켓과;
    상기 필터 바스켓 내부로 동시에 여러 종류의 커피를 각각 따로 나뉘어 채워넣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필터 바스켓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이 상기 필터 바스켓에 결합 시에 상기 분리벽이 고정 지지되도록 상기 필터 바스켓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분리벽에는 상기 필터 바스켓과 결합되는 상부에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
KR20-2004-0010205U 2004-04-13 2004-04-13 커피 메이커 KR200354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05U KR200354880Y1 (ko) 2004-04-13 2004-04-13 커피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205U KR200354880Y1 (ko) 2004-04-13 2004-04-13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880Y1 true KR200354880Y1 (ko) 2004-06-30

Family

ID=4943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205U KR200354880Y1 (ko) 2004-04-13 2004-04-13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8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2813C (en) Tea brewing apparatus
US6968775B2 (en) Coffee brewer
EP1978854B1 (en) Coffee brewer
CA2225015C (en) Apparatus for quick brewing of tea
WO2014011324A1 (en) Hybrid coffee maker with multiple brewing modes
JP2015509420A (ja) 少なくとも2つの異なる方法で飲料を作るために使用されるのに適した器具
JP6835845B2 (ja) コーヒーメーカおよびコーヒーメーカを運転する方法
WO2004058016A2 (en) Brew station for coffee drinks
US6708599B2 (en) Coffee maker
KR101116227B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WO2015038809A1 (en) Tea brew basket
JP2008516728A (ja) コーヒーカートリッジ用ファンネルインサート
US4793246A (en) Electrically operated hot beverage maker
KR20160133710A (ko) 대용량 더치커피 추출장치
CN201360836Y (zh) 茶水自动冲泡机
KR200354880Y1 (ko) 커피 메이커
CN112437622A (zh) 滴落过滤器头部和方法
CN210446649U (zh) 养生壶
JP3671888B2 (ja) コーヒー沸かし器
JP3092429U (ja) 熱冷両用コーヒー器具
AU612447B2 (en) Electrically operated hot beverage maker
KR200409399Y1 (ko) 온수기가 구비된 커피메이커
KR20200002263U (ko) 음료 추출장치
CN102715838A (zh) 咖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